맨위로가기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은 폴란드와 프랑스에 사는 두 여성, 베로니카와 베로니크의 기묘한 운명을 그린 영화이다. 이렌 자코브는 1인 2역을 맡아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영화는 두 여성의 외모와 재능의 유사성을 보여주며, 인형극단에서 일하는 알렉상드르 파브리가 베로니크에게 수수께끼 같은 선물을 보내는 등 신비로운 연결고리를 암시한다. 즈비그니에프 프라이스네르의 음악과 슬라보미르 이지악의 촬영 기법은 영화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강조하며,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라쿠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대리석 인간
    대리석 인간은 1977년 안제이 바이다가 감독한 폴란드 영화로, 1950년대 노동 영웅 마테우슈 비르쿠트의 삶을 추적하는 젊은 영화감독 아그니에슈카를 통해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스탈린주의를 비판한다.
  • 크라쿠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다크 크라임
    2018년 개봉한 다크 크라임은 알렉산드로스 아브라나스 감독의 범죄 스릴러 영화로, 데이비드 그랜의 논픽션 기사를 원작으로 짐 캐리가 폴란드 형사 타데크 역을 맡아 소설과 유사한 살인 사건을 추적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개봉 후 선정적인 묘사와 짐 캐리의 연기에 대한 비판을 받으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영화 - 세 가지 색: 레드
    세 가지 색: 레드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세 가지 색》 3부작 마지막 작품으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우연히 만난 은퇴 판사와 여대생 발렌틴의 교류를 통해 인물 간 관계와 심리, 법과 도덕에 대한 성찰을 빨간색을 활용하여 표현한다.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영화 - 카메라 버프
    《카메라 버프》는 1970년대 후반 폴란드를 배경으로, 8mm 카메라를 얻은 공장 노동자가 아마추어 영화 제작에 빠지면서 영화 제작 열정이 개인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과 공산주의 사회 검열, 예술가의 사회적 책임을 탐구하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1979년 폴란드 영화이다.
  • 폴란드에서 촬영한 영화 - 쉰들러 리스트
    《쉰들러 리스트》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한 1993년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스카 쉰들러가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들을 구출한 실화를 흑백 화면으로 생생하게 묘사하며, 인간의 선과 악,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다룬다.
  • 폴란드에서 촬영한 영화 - 피아니스트 (2002년 영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피아니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생존하려는 폴란드계 유대인 피아니스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아드리언 브로디가 주연을 맡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렌 자코브를 보여주는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 (프랑스어)La double vie de Véronique
원제 (폴란드어)Podwójne życie Weroniki
감독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각본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크쥐시토프 피에시에비치
제작레오나르도 데 라 푸엔테
출연이렌 자코브
필리프 볼테르
상드린 뒤마
알렉산데르 바르디니
루이 뒤크뢰
클로드 뒤네통
할리나 그리글라셰프스카
칼리나 옝드루시크
촬영스와보미르 이드지악
편집자크 비타
음악즈비그니에프 프라이스네르
제작사시데랄 프로덕션
스튜디오 토르
르 스튜디오 카날+
노르스크 필름
배급사시데랄 필름 (프랑스)
개봉일1991년 5월 15일 (프랑스)
1991년 9월 20일 (노르웨이)
1991년 10월 6일 (폴란드)
1992년 6월 20일 (일본)
2004년 5월 11일 (대한민국)
상영 시간98분
제작 국가프랑스
폴란드
노르웨이
언어프랑스어
폴란드어
이탈리아어
흥행
흥행 수익2백만 달러

2. 줄거리

1990년, 크라쿠프에서 베로니카는 야외 콘서트 도중 합창단과 함께 노래를 부르다 폭우로 공연이 중단된다. 이후 크라쿠프 중앙 광장을 걷던 중 자신과 똑같이 생긴 프랑스 관광객을 발견하고, 그녀의 도플갱어가 버스에 올라 사진을 찍는 모습을 지켜본다. 합창단 콘서트에서 솔로 파트를 부르던 베로니카는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같은 날 클레르몽페랑에서 베로니크는 베로니카와 똑같이 생겼으며, 남자친구와 성관계를 가진 후 슬픔에 잠겨 합창단을 그만두겠다고 음악 선생님에게 말한다. 이후 베로니크는 인형극 배우인 알렉상드르 파브리가 어린이 책 작가임을 알게 된다. 베로니크는 그의 책을 읽고, 아버지로부터 여러 단서가 담긴 카세트 테이프가 들어있는 소포를 받는다.

알렉상드르는 그녀가 자신에게 올지 확인하기 위해 소포를 보냈다고 고백한다. 베로니크는 알렉상드르에게 평생 동안 "두 곳에 동시에 있는" 느낌을 받았으며, 누군가가 자신의 삶을 인도해 왔다고 말한다. 알렉상드르는 베로니크의 사진이라고 생각되는 사진을 발견하지만, 그녀는 자신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베로니카의 죽음이 베로니크가 노래를 멈추고 비슷한 운명을 피하도록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해진다.

베로니크는 알렉상드르의 아파트를 방문하여 그녀를 닮은 두 개의 인형을 만들고 있는 것을 본다. 알렉상드르는 원래 인형이 손상될 경우를 대비해 예비 인형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는 서로 다른 도시에서 같은 날 태어나 신비한 연결고리를 가진 두 여성에 대한 그의 새로운 책을 읽어준다.

3. 등장인물


  • 이렌느 야곱 - 베로니카와 베로니크
  • 할리나 그리글라제프스카 - 이모
  • 칼리나 젱드루식 - 화려한 여자
  • 알렉산데르 바르디니 - 오케스트라 지휘자
  • 브와디스와프 코발스키 - 베로니카의 아버지
  • 예르지 구데이코 - 안테크
  • 얀 스테르닌스키 - 변호사
  • 필립 볼테르 - 알렉상드르 파브리
  • 클로드 뒤네통 - 베로니크의 아버지
  • 로렌 에바노프 - 클로드
  • 상드린 뒤마 - 카트린
  • 루이 뒤크루 - 교수
  • 기욤 드 통케데크 - 세르주
  • 질 가스통-드레퓌스 - 장-피에르
  • 알랭 프레로 - 우체부
  • 유세프 하미드 - 철도원
  • 티에리 드 카르보니에르 - 교사
  • 샹탈 노이비르트 - 접수원
  • 나우시카 라폰 - 니콜
  • 보구스와바 슈베르트 - 모자를 쓴 여자
  • 자크 포탱 - 회색 코트를 입은 남자

3. 1. 베로니카/베로니크

이렌 자코브는 이 영화에서 폴란드와 프랑스에 사는 두 명의 여성인 베로니카와 베로니크를 연기했다. 이들은 외모와 재능은 같지만 서로 다른 삶을 살아간다.[1] 이렌 자코브는 이 영화에서 1인 2역을 훌륭하게 소화해내며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1]

베로니카는 크라쿠프에서 합창단원으로 활동하다 공연 중 심장마비로 사망한다.[1] 베로니크는 클레르몽페랑에서 음악 교사로 일하며, 베로니카와 같은 날 알 수 없는 슬픔을 느끼고 합창단을 그만둔다.[1] 이후 베로니크는 인형극 배우 알렉상드르 파브리(필립 볼테르)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를 통해 자신의 삶과 베로니카의 죽음 사이에 신비로운 연결이 있음을 알게 된다.[1]

3. 2. 알렉상드르 파브리

필립 볼테르가 연기한 인형극단에서 일하는 남자이다. 베로니크에게 수수께끼 같은 선물을 보내며 그녀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3. 3. 기타 등장인물


  • 상드린 뒤마 - 카트린
  • 루이 뒤크루 - 교수
  • 기욤 드 통케데크 - 세르주
  • 질 가스통-드레퓌스 - 장-피에르
  • 알랭 프레로 - 우체부
  • 유세프 하미드 - 철도원
  • 티에리 드 카르보니에르 - 교사
  • 샹탈 노이비르트 - 접수원
  • 나우시카 라폰 - 니콜
  • 보구스와바 슈베르트 - 모자를 쓴 여자
  • 자크 포탱 - 회색 코트를 입은 남자

4. 제작 배경

1968년, 폴란드의 한 소녀는 겨울 별을, 프랑스의 다른 소녀는 봄의 첫 잎을 본다. 1990년, 베로니카라는 폴란드 여성은 야외 콘서트에서 노래를 부르다 폭우로 공연이 중단된다. 이후 남자친구와 성관계를 가진 후, 아픈 고모를 만나기 위해 크라쿠프로 떠난다. 그녀는 아버지에게 세상에 자신과 같은 사람이 또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크라쿠프에서 합창단 오디션에 합격한 베로니카는 어느 날 크라쿠프 중앙 광장에서 자신과 똑같이 생긴 프랑스 관광객을 발견하고, 버스에 올라 사진을 찍는 모습을 지켜본다. 합창단 콘서트에서 솔로 파트를 부르던 베로니카는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같은 날 클레르몽페랑의 베로니크는 남자친구와 성관계를 가진 후 슬픔에 잠겨 합창단을 그만두겠다고 말한다. 학교에서 베로니크는 18세기 작곡가 반 덴 부덴마이어의 음악을 연주하는 인형극을 본다. 이 음악은 베로니카가 죽기 전에 불렀던 음악이다. 그날 밤, 베로니크는 신호등에서 담배에 불을 붙이지 말라고 손짓하는 인형극 배우를 본다. 나중에, 그녀는 반 덴 부덴마이어의 음악을 연주하는 합창단을 듣는 신비한 전화를 받는다. 베로니크는 아버지를 찾아가 알지 못하는 사람을 사랑하고, 누군가를 잃은 듯한 느낌을 고백한다.

집으로 돌아온 베로니크는 끈이 든 소포를 받는다. 그녀는 인형극 배우가 어린이 책 작가인 알렉상드르 파브리임을 알게 된다. 베로니크는 그의 책을 읽고, 아버지로부터 타자기 소리, 기차역, 반 덴 부덴마이어의 음악 등이 담긴 카세트 테이프가 든 소포를 받는다. 봉투의 우표는 그녀를 파리의 생 라자르 역으로 이끌고, 알렉상드르는 카페에서 그녀를 기다린다. 그는 그녀가 올지 확인하기 위해 소포를 보냈다고 고백한다. 격분한 베로니크는 떠나 호텔에 체크인하고, 알렉상드르는 그녀를 따라와 사과한다. 그들은 서로의 감정을 고백하고 함께 잠든다.

다음 날 아침, 베로니크는 알렉상드르에게 평생 "두 곳에 동시에 있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녀는 폴란드 여행에서 찍은 사진을 보여준다. 알렉상드르는 베로니크의 사진이라고 생각되는 사진을 발견하지만, 그녀는 자신이 아니라고 한다. 베로니카의 죽음이 베로니크가 노래를 멈추고 비슷한 운명을 피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해진다.

나중에, 베로니크는 알렉상드르의 아파트에서 그녀를 닮은 두 개의 인형을 본다. 알렉상드르는 인형이 손상될 경우를 대비해 예비 인형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는 서로 다른 도시에서 같은 날 태어나 신비한 연결고리를 가진 두 여성에 대한 그의 새 책을 읽어준다. 그날 늦게, 베로니크는 아버지의 집을 방문하여 오래된 나무 줄기를 만진다.

4. 1. 촬영 방식

스와보미르 즈지악은 이 영화에서 색상과 카메라 필터를 사용하여 몽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양식화된 촬영 기법을 선보였다. 즈지악은 이전에 십계에서 이러한 기술을 실험했으며,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은 세 가지 색 삼부작에서 색상의 사용을 더욱 확장했다. 키에슬로프스키는 이전 폴란드 영화 ''우연의 만남''에서 동일 인물에 대한 서로 다른 삶의 경로라는 개념을 탐구하기도 했다. 베로니카와 베로니크가 직면한 중심적인 선택은 ''십계'' 아홉 번째 에피소드의 짧은 하위 플롯에 기반한다.[1]

4. 2. 촬영 장소

이 영화는 클레르몽페랑, 크라쿠프, 파리를 포함한 여러 장소에서 촬영되었다.[4]

4. 3. 음악

즈비그뉴 프라이스네르가 음악(스코어)을 작곡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이 음악이 프라이스네르와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이 시나리오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가상의 18세기 네덜란드 작곡가 반 덴 부덴마이어의 작품으로 표기된다.[5]

반 덴 부덴마이어의 음악은 키에슬로프스키의 ''십계''(1988)와 ''세 가지 색: 블루''(1993)에도 등장한다. ''세 가지 색: 블루''에서 반 덴 부덴마이어의 ''장송곡'' 테마가 ''유럽 통일을 위한 노래''에서 인용되며, E단조 소프라노 솔로는 베로니카의 마지막 공연에서 암시된다.[5]

4. 4. 인형극

영화에서 베로니크가 관람하는 인형극은 그녀의 삶과 운명을 암시하는 중요한 장치로 사용된다. 인형극은 미국의 인형극 배우이자 조각가인 브루스 슈워츠가 공연했다.[4] 대부분의 인형극 배우들이 장갑 속에 손을 숨기거나 줄 또는 막대기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슈워츠는 공연하는 동안 자신의 손을 드러내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한다.[4] 이는 인형의 움직임에 더욱 섬세한 감정을 불어넣고, 베로니크와 알렉상드르의 관계, 그리고 두 베로니카의 연결고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5. 평가

여러 비평가들이 영화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Not Coming to a Theater Near You영어의 제니 제디니는 "영화의 작은 기적"이라며 "독특하고 어쩌면 완벽한 감정적 조화를 이루어냈다"고 평가했다.[6] 워싱턴 포스트의 할 힌슨은 "섬뜩한 단조로 작곡된 매혹적인 시적 작품"이라고 묘사했다.[7] 뉴욕 타임스의 캐린 제임스는 "진정한 의미에서 시적"이라고 평했다.[8] 시카고 선타임스로저 이버트는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영화 중 하나"라고 칭찬했으며, 2009년 자신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추가했다.[9][10]

엠파이어 온라인의 데이비드 파킨슨은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운 영화"이자 "형이상학적 걸작"으로 평가했다.[11] ''All Movie''는 별 4개(5개 만점)를 부여하며 "높은 예술적 품질"을 인정했고,[12] ''About.com''은 별 5개 만점을 주었다.[13] BBC는 별 3개(5개 만점)를 부여했고,[14]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별 5개를 주었다.[15] 로튼 토마토에서는 36개 리뷰를 바탕으로 86%의 긍정적인 평점을 받았다.[16]

프랑스에서는 총 592,241명의 관람객을 동원하여 그 해 흥행 순위 50위를 기록했다.[17] 북미에서는 첫 주말에 한 개 스크린에서 8572USD의 수익을 올렸고, 총 22개 극장에서 상영되어 총 1999955USD의 수익을 올렸다.[18]

5. 1. 비평적 반응

Not Coming to a Theater Near You영어의 제니 제디니는 "여러 면에서,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은 영화의 작은 기적"이라며, "독특하고 어쩌면 완벽한 감정적 조화를 이루어냈다"고 평가했다.[6] 워싱턴 포스트의 할 힌슨은 이 영화를 "섬뜩한 단조로 작곡된 매혹적인 시적 작품"이라고 묘사하며, 관객에게 미묘하지만 깊은 인상을 남긴다고 했다. 특히 이렌 자코브의 연기에 대해 "카메라 앞에서 놀라운 개방성과 취약성을 지닌 배우"이며, "섹시하면서도 영혼이 있는 배우라는 드문 조합"이라고 극찬했다.[7]

뉴욕 타임스의 캐린 제임스는 이 영화가 "진정한 의미에서 시적"이며, "성격과 감정의 신비로운 연결을 시사"한다고 평했다.[8] 시카고 선타임스로저 이버트는 영화의 최면 효과에 주목하며, 특히 슬라보미르 이지악의 혁신적인 색상 사용과 촬영 기법을 언급하며 "이것은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영화 중 하나"라고 칭찬했다. 그는 이렌 자코브의 아름다움과 카메라가 그녀의 얼굴에 오래 머무는 점을 강조했다.[9] 이버트는 2009년 이 영화를 자신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추가했다.[10]

엠파이어 온라인의 데이비드 파킨슨은 이 영화를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운 영화"라고 칭하며, 슬라보미르 이지악의 촬영과 이렌 자코브의 연기를 극찬했다. 그는 이 영화를 "형이상학적 걸작"으로 평가했다.[11]

''All Movie'' 웹사이트에서는 별 5개 만점에 4개를 받아 "높은 예술적 품질"을 인정받았고,[12] ''About.com''에서는 비평가 리뷰에서 별 5개 만점을 받았다.[13] BBC에서는 별 5개 만점에 3개를 받았으며,[14]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별 5개를 부여했다.[15] 리뷰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36개 리뷰를 바탕으로 86%의 긍정적인 평점을 받았다.[16]

5. 2. 흥행 성적

프랑스에서는 총 592,241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그 해 흥행 순위 50위를 기록했다.[17] 북미에서는 첫 주말에 한 개의 스크린에서 8572USD의 수익을 올리며 개봉했다. 총 22개의 극장에서 상영되어 북미 박스 오피스에서 총 1999955USD의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외국 예술 영화로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이다.[18]

6. 수상 및 후보 선정

연도부문후보결과
19911991년 칸 영화제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수상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수상
여우주연상이렌느 야곱수상
황금종려상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후보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음악상즈비그니에프 프라이스너수상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관객상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수상
1991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수상
1992세자르상여우주연상이렌느 야곱후보
영화 음악상즈비그니에프 프라이스너후보
1992골든 글로브상외국어 영화상후보
1992굴드바게상외국어 영화상후보
1992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최우수 외국어 영화후보
1992전미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수상


7. 추가 정보

이 영화는 크라이테리언 컬렉션을 통해 DVD 및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1] 이 릴리스에는 아네트 인스도르프의 오디오 해설, 키에슬로프스키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키에슬로프스키의 스승인 카지미에시 카라바슈의 단편 영화, 키에슬로프스키와의 인터뷰, 배우 이렌느 야곱과의 인터뷰, 촬영 감독 및 작곡가와의 인터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관련 에세이와 발췌 내용이 담긴 소책자도 포함되어 있다.[2]

7. 1. 홈 미디어

이 영화의 디지털 복원 버전은 크라이테리언 컬렉션을 통해 DVD 및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 이 릴리스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아네트 인스도르프의 오디오 해설 및 저서 ''더블 라이브스, 세컨드 찬스: 크지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의 영화''
  • 키에슬로프스키 제작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공장''(1970), ''병원''(1976), ''기차역''(1980)
  • 키에슬로프스키의 스승인 카지미에시 카라바슈 제작 단편 영화 ''음악가들''(1958)
  • 다큐멘터리 ''키에슬로프스키의 대화''(1991): 키에슬로프스키와의 솔직한 인터뷰,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세트의 희귀 비하인드 스토리 영상 포함
  • 2005년 다큐멘터리 ''1966-1988: 키에슬로프스키, 폴란드 영화 제작자'': 키에슬로프스키의 학생 시절부터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까지 폴란드에서의 작업 추적
  • 배우 이렌느 야곱과의 2005년 인터뷰
  • 촬영 감독 스와보미르 이지악, 작곡가 즈비그니에프 프라이스너와의 새로운 비디오 인터뷰


조나단 로니, 슬라보예 지젝, 피터 코위의 에세이와 ''키에슬로프스키, 키에슬로프스키에 대해''의 발췌 내용이 담긴 소책자도 포함되어 있다.

7. 2. 참고 문헌

아네트 인스도르프, ''Double Lives, Second Chances: The Cinema of Krzysztof Kieślowski'' (New York: Hyperion, 1999), ISBN 0-7868-6562-8.[1]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다누시아 스톡 (ed.), ''Kieślowski on Kieślowski'' (London: Faber and Faber, 1998), ISBN 0-571-17328-4.[2]

참조

[1] 웹사이트 The Double Life of Véronique http://www.criterion[...] The Criterion Collection 2012-01-11
[2] 웹사이트 La Double vie de Veronique http://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12-01-11
[3]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4] 웹사이트 Filming locations for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https://www.imdb.com[...] 2012-02-11
[5] 웹사이트 Zbigniew Preisner http://www.musicolog[...] Musicolog 2012-02-12
[6] 웹사이트 The Double Life of Véronique http://www.notcoming[...] Not Coming to a Theater Near You 2012-01-11
[7] 뉴스 The Double Life of Véronique https://www.washingt[...] 2012-02-12
[8] 뉴스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1991) https://movies.nytim[...] 2012-01-11
[9] 뉴스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1991) http://rogerebert.su[...] 2012-01-11
[10] 뉴스 Great Movies http://rogerebert.su[...] 2012-02-12
[11] 간행물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http://www.empireonl[...] 2012-02-12
[12] 웹사이트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http://www.allmovie.[...] 2012-01-11
[13] 웹사이트 DVD Pick: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http://homevideo.abo[...] About.com 2012-01-11
[14] 뉴스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La Double Vie De Véronique) (1991) https://www.bbc.co.u[...] BBC 2012-01-11
[15] 웹사이트 The Double Life of Véronique https://www.theguard[...] 2006-03-16
[16] 웹사이트 La Double Vie de Véronique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1991) http://www.rottentom[...] 2024-12-17
[17] 웹사이트 La Double vie de Véronique http://www.jpbox-off[...] J.P.'s Box Office 2012-01-11
[18] 웹사이트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http://www.boxoffice[...] 2012-01-11
[19] 웹사이트 The Double Life of Véronique http://www.criterion[...] The Criterion Collection
[20] 웹사이트 SFCC Critics' Award 1991 https://www.syndicat[...]
[21] 웹사이트 La double vie de Véronique (1991) http://www.sfi.se/en[...] 2014-03-18
[22] 웹사이트 Awards for The Double Life of Veronique https://www.imdb.com[...] 2012-02-12
[23] 웹사이트 2021 Cannes Classics Lineup Includes Orson Welles, Powell and Pressburger, Tilda Swinton & More https://thefilmstage[...] 2021-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