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이다. 1907년 계획되어 1930년 4월 18일에 개통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가 종전 후 재개통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1990년 4월 서쪽 출구가 먼저 개방되었고, 같은 해 7월 동쪽 출구가 재개장하면서 다시 운영을 시작했다. 로젠탈러 플라츠역과 볼타슈트라세역 사이에 위치하며, 베를린 노면전차 M10, 베를린 버스 247번과 환승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과 U반의 환승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폐쇄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 중요한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브란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에 있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개선문으로, 독일 최초의 그리스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며, 도리스식 기둥과 사륜전차상으로 장식되어 프로이센의 번영과 독일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베벨 광장
    베를린에 있는 베벨 광장은 과거 오페라하우스 광장으로 불렸으나, 독일 사회민주당 창립 멤버의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나치의 책 사르기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복구된 건물들과 함께 광장 활용 방안에 대한 논쟁이 있는 장소이다.
  • 베를린 지하철역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베를린 지하철역 - 베를린 브란덴부르거 토어역
    베를린 브란덴부르거 토어역은 베를린의 환승역으로, 과거 운터 덴 린덴역으로 개통되었으나 장벽 건설로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통일 후 재개방 및 개명되었으며, 주변에 주요 명소가 있다.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명베르나우어 슈트라세
역명 (독일어)U-Bahnhof Bernauer Straße
위치베를린 미테구
개업일1930년 4월 18일
승강장1면 2선 (섬식 승강장)
노선베를린 지하철 8호선
영업 거리보딘슈트라세 기점 7.5 km
역 코드B
노선 정보
이전 역로젠탈러 플라츠 (0.9 km)
다음 역볼타슈트라세 (0.6 km)
기타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승강장
승강장

2. 역사

1907년 AEG가 베를린 내각에 제출한 도시 철도 계획에 브루넨슈트라세를 통과하는 구간이 포함되어 있었다. 1912년 건설 허가를 받고 착공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후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를 이어받아 1930년 4월 18일 역사가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2월 8일 폭격으로 파괴되었고, 1945년 4월 폐쇄되었다가 5월에 다시 문을 열었다. 전쟁 이후 역 남쪽이 서방 연합군과 소련군 점령 경계가 되었고,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로 서베를린 열차가 통과하는 유령역이 되었다.

통일 과정에서 1990년 4월 12일 서베를린 방면 북부 출입구가 먼저 개방되었고, 7월 1일 동베를린 시민의 자유로운 통행이 허용되면서 동쪽 출입구도 개보수 후 개방되었다. 이후 역 전체에 대한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07년 ~ 1930년)

1907년 AEG에서 베를린 내각에 제출한 도시 철도 계획에는 브루넨슈트라세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었다. 협상 끝에 1912년 건설 허가를 받아냈고 같은 해에 착공했다. 슈프레강을 건너는 터널 등을 건설하기 위해서 자회사 AEG-Schnellbahn-A.G.가 설립되었고, 볼타슈트라세-브루넨슈트라세 구간은 이 회사가 초기에 착공한 구간이다. 1914년 역 구조물이 완공된 후 페터 베렌스가 역사를 설계했다. 볼타슈트라세역과 비슷하게 단순한 디자인의 역을 거의 동일하게 설계했다. 역 중앙부 기둥 중 일부는 검은색 대리석으로 설치될 예정이었고, 역사 외벽은 세라믹 타일을 사용할 예정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후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를 이어받아서 1920년대 말부터 재공사가 시작되었고, 1930년 4월 18일에 역사가 개통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 (1930년 ~ 1990년)

국경 개방 이후 개방된 지하철역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1930년에 건설한 이 역은 D선의 GN 반(Gesundbrunnen-Neukölln)역이었다. 1944년 2월 8일 천장 개구부로 인해 파괴되었다.

1945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폐쇄되었고, 같은 해 5월에 다시 문을 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하철역은 소련군과 프랑스군 점령 구역 사이의 경계선 아래에 있었다.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이 역은 노선상의 다른 5개 역과 마찬가지로 열차가 통과하는 유령역(Geisterbahnhof)이 되었다.[1] 1990년 4월 12일, 정치적 전환과 함께 서쪽 부분이 먼저 다시 접근 가능하게 되면서 개방되었다. 역 개방 결정에 따라 1990년 3월 19일 입구 게이트가 제거되었다. U-Bahn 역의 총알 자국은 나중에 제거되었다. 야노비츠브뤼케역이나 로젠탈러 플라츠역과는 다르게, 동베를린 방면 북부 출입구는 별도의 국경 통과 시설 없이 재개통되었다.[2] 동베를린 시민의 자유로운 국경 통과는 1990년 7월 1일에 가능하게 되었다. 동쪽 출구는 개보수되어 같은 날 재개장했다.[1] 이후 오랜 기간 동안 폐쇄되었던 역의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2. 3. 독일 통일과 재개통 (1990년 ~ 현재)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이 역은 서베를린 열차가 통과하는 유령역이 되었다.[2] 1990년 4월 12일, 야노비츠브뤼케역이나 로젠탈러 플라츠역과는 다르게 별도의 국경 통과 시설 없이 서베를린 방면 북부 출입구가 재개통되었다.[2] 1990년 3월 19일 역 개방 결정에 따라 입구 게이트가 제거되었고, U-Bahn 역의 총알 자국은 나중에 제거되었다. 1990년 7월 1일 동베를린 시민의 자유로운 국경 통과가 가능해졌고, 동쪽 출구도 개보수되어 재개장했다.[1] 이후 오랜 기간 동안 폐쇄되었던 역의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3. 인접 역

베를린 노면전차 M10, 베를린 버스 247번과 환승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Verlag 1996
[2] 간행물 U-Bahn-Transitverkehr 1961–1990 202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