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스키디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키디 산맥은 길이가 약 600km, 너비 50-70km에 달하는 산맥으로, 주로 폴란드 남부, 슬로바키아 북부, 체코 동부, 우크라이나 서부에 걸쳐 있다. 어원은 불분명하며, 트라키아어, 일리리아어, 또는 중세 저지 독일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질학적으로는 서 카르파티아 산맥과 동 카르파티아 산맥에 속하며, 서부, 중앙, 동부 베스키디 산맥으로 세분된다. 이 지역은 목조 교회, 스키 리조트 등 다양한 관광 명소와 곰, 늑대, 스라소니 등 야생 동물의 서식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산맥 - 크림산맥
    크림산맥은 흑해 연안에 약 180km 뻗어 있는 산맥으로, 세 개의 주요 산계와 고원 지형인 야일라를 포함하며, 쥐라기 시대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이자 역사적 유적을 품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산맥 - 카르파티아산맥
    카르파티아산맥은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 여러 국가에 걸쳐 뻗어있는 유럽의 주요 산맥으로, 다양한 지형과 생태 환경을 가지며 역사적, 지정학적 중요성을 지닌다.
  • 체코의 산맥 - 수데티산맥
    수데티산맥은 폴란드, 체코, 독일 국경에 걸쳐 약 300km 길이로 뻗어 있으며, 동수데티산맥, 중앙수데티산맥, 서수데티산맥으로 나뉘고, 스네슈카산을 최고봉으로 하는 관광 자원이 풍부한 산맥이다.
  • 체코의 산맥 - 크르코노셰산맥
    크르코노셰산맥은 체코와 폴란드 국경에 걸쳐 있는 수데테산맥의 일부로, 빙하 권곡과 고산 지대의 특징을 보이며, 양국 모두 국립공원 및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관광 명소이다.
베스키디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베스키디산맥
원어명폴란드어: Beskidy
체코어: Beskydy
슬로바키아어: Beskydy
루신어: Бескиды (Beskydŷ)
우크라이나어: Бескиди (Beskydy)
위치폴란드, 슬로바키아, 체코, 우크라이나
지역실레시아
소폴란드
모라비아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리적 구분서부 카르파티아산맥, 동부 카르파티아산맥
인접 지형수데티스산맥, 타트라산맥
지리
길이600km
70km
최고봉호베를라산
해발고도2061m

2. 어원

베스키디산맥의 이름(체코어: beskydycs)의 기원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트라키아어 또는 일리리아어 기원이 제안되었지만, 아직까지 어떤 이론도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다수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단어는 카르파티아 산맥과 인접한 발칸 반도 지역의 여러 산 이름에서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알바니아어 bjeshkësq가 있다. 언어학자 Çabej와 Orel에 따르면, 이는 원시 알바니아어 *beškāi tāimis(의미: '산 목초지')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3] 슬로바키아어 이름(Beskydysk)은 폴란드 비에슈차디 산맥을 지칭하는데, 이는 베스키드 산맥 전체의 동의어가 아니라 동부 베스키드 산맥에 속하는 하나의 산맥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언어학적 이론에 따르면, 이는 '분수령'을 의미하는 중세 저지 독일어 beshêtgml, beskētgml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4]

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구 헝가리 왕국과 구 폴란드 왕국을 나누는 산맥을 묘사하는 데 수백 년 동안 사용되었다. 1269년에는 베스키드 산맥이 라틴어 이름 Beschad Alpes Poloniaela('폴란드의 베스키드 산맥')으로 알려졌다.[5]

3. 지리

베스키디 산맥은 소폴란드 남부 국경을 따라 북부 슬로바키아와 인접해 있으며, 체코 동부 모라바 및 체코령 실레지아 지역과 우크라이나 서부 카르파티아 루테니아까지 뻗어 있다. 길이는 약 600km이고 너비는 50km에서 70km이다.

서쪽 부분의 서부 베스키드 산맥,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E로 레이블링 됨


북쪽 부분의 서부 베스키드 산맥,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F로 레이블링 됨


서부 베스키드 산맥의 동쪽 부분,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H로 레이블링 됨


서부 베스키드 산맥의 중앙 부분,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G로 레이블링 됨


중앙 베스키디안 피에몬트,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A로 표시됨


중앙 베스키드,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B로 표시됨


동부 베스키디 산맥,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C로 레이블 지정됨


일부 지역은 유럽 분수계를 형성하며, 북쪽의 오데르강비스와강 유역을 동 슬로바키아 저지대와 분리하고, 이는 다뉴브강 유역의 헝가리 대평원의 일부이다. 지질학적으로 모든 베스키디 산맥은 외서 카르파티아산맥과 외동 카르파티아산맥에 속한다. 서쪽으로는 모라비아 관문의 자연적 고개에서 시작되어 동수데테스산맥과 분리되고, 타트라 산맥 북쪽의 띠를 이루며 동쪽으로 뻗어 우크라이나에서 끝난다. 베스키디 산맥의 동쪽 끝은 논쟁의 대상인데, 이전 자료에는 티사강의 발원지에서 끝난다고 나와 있지만, 새로운 자료에서는 폴란드-우크라이나 국경의 우조크 고개에서 끝난다고 한다.

베스키디 산맥은 다양한 전통, 언어, 국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카르파티아 산맥의 분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

구분폴란드어슬로바키아어체코어
서부 베스키드 산맥Beskidy Zachodnie|베스키디 자호드니에plZápadné Beskydy|자파드네 베스키디skZápadní Beskydy|자파드니 베스키디cs
구분슬로바키아어체코어비고
서부 베스키드 산맥 서부 구역colspan="3" |
호스티인스코-베세틴스카 호르나티나 산맥Hostýnsko-vsetínská hornatina|호스틴스코-브세틴스카 호르나티나cse1
모라비아-실레지아 베스키드 산맥Moravsko-sliezske Beskydy|모라프스코-슬리에스케 베스키디skMoravskoslezské Beskydy|모라프스코슬레스케 베스키디cse2
투르조프카 고원Turzovská vrchovina|투르조프스카 브르호비나ske3
야블룬코프 단층Jablunkovská brázda|야블룬코프스카 브라즈다cse4
로즈노프 단층Rožnovská brázda|로주노프스카 브라즈다cse5
야블룬코프 산간 분지Jablunkovské medzihorie|야블룬코프스케 메지호리에skJablunkovské mezihoří|야블룬코프스케 메지호르지cse6
구분폴란드어체코어비고
실레지아 베스키드 산맥Beskid Śląski|베스키트 실롱스키plSlezské Beskydy|슬레스케 베스키디cse7
지비에츠 분지Kotlina Żywiecka|코틀리나 지비에츠카ple8
구분폴란드어비고
서부 베스키드 산맥 북부 구역colspan="2" |
리틀 베스키드 산맥Beskid Mały|베스키트 마위plf1
마코프 베스키드 산맥Beskid Makowski|베스키트 마코프스키plf2
아일랜드 베스키드 산맥Beskid Wyspowy|베스키트 비스포비plf3
고르체 산맥Gorce|고르체plf4
라브카 분지Kotlina Rabczańska|코틀리나 랍찬스카plf5
상치 분지Kotlina Sądecka|코틀리나 송데츠카plf6
구분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비고
서부 베스키드 산맥 중부 구역colspan="3" |
오라바 베스키드 산맥Oravské Beskydy|오라우스케 베스키디sk+ 지비에츠 베스키드 산맥 Beskid Żywiecki|베스키트 지비에츠키pl (슬로바키아어: Slovenské Beskydy|슬로벤스케 베스키디sk 또는 Kysucko-oravské Beskydy|키수츠코-오라우스케 베스키디sk)g1
키수체 베스키드 산맥Kysucké Beskydy|키수츠케 베스키디sk+ 지비에츠 베스키드 산맥 Beskid Żywiecki|베스키트 지비에츠키pl (슬로바키아어: Slovenské Beskydy|슬로벤스케 베스키디sk 또는 Kysucko-oravské Beskydy|키수츠코-오라우스케 베스키디sk)g2
오라바 마구라Oravská Magura|오라우스카 마구라skg3
오라바 고원Oravská vrchovina|오라우스카 브르호비나skg4
서부 베스키드 산맥Podbeskydská brázda|포트베스키츠카 브라즈다skg5
서부 베스키드 산맥Podbeskydská vrchovina|포트베스키츠카 브르호비나skg6
구분폴란드어슬로바키아어비고
서부 베스키드 산맥 동부 구역colspan="3" |
베스키드 상데키 산맥Beskid Sądecki|베스키트 송데츠키plh1
체르고프 산맥Góry Czerchowskie|구리 체르호프스키에plČergov|체르고우skh2
피에니니 산맥Pieniny|피에니니plPieniny|피에니니skh3
구분체코어폴란드어비고
서부 베스키드 산맥 산기슭, 체코와 폴란드colspan="3" |
실레지아-모라비아 산기슭Podbeskydská pahorkatina|포트베스키츠카 파호르카티나csPogórze Śląsko-Morawskie|포구제 실롱스코-모라프스키에pld1
실레지아 산기슭Pogórze Śląskie|포구제 실롱스키에pld2
비엘리치카 산기슭Pogórze Wielickie|포구제 비엘리츠키에pld3
비시니치 산기슭Pogórze Wiśnickie|포구제 비시니츠키에pld4
구분폴란드어슬로바키아어비고
중앙 베스키드Beskidy Środkowe|베스키디 시로드코베pl또는 로우 베스키드 Nízke Beskydy|니스케 베스키디sk
부소프(Busov), 슬로바키아
온다바 고지대Ondavská vrchovina|온다우스카 브르호비나sk
로우 베스키드 Beskid Niski|베스키트 니스키pl + 라보레츠 고지대 Laborecká vrchovina|라보레츠카 브르호비나sk
베스키디안 남부 구릉지Beskydské predhorie|베스키츠케 프레트호리에sk
구분폴란드어비고
중앙 베스키디안 피에몬트, 폴란드colspan="2" |
로즈노우 피에몬트Pogórze Rożnowskie|포구제 로주노프스키에pl
치엥슈코비체 피에몬트Pogórze Ciężkowickie|포구제 치엥슈코비츠키에pl
스트르지주프 피에몬트Pogórze Strzyżowskie|포구제 스트르지주프스키에pl
디노프 피에몬트Pogórze Dynowskie|포구제 디노프스키에pl
프셰미실 피에몬트Pogórze Przemyskie|포구제 프셰미스키에pl
고를리체 분지Obniżenie Gorlickie|오브니제니에 고를리츠키에pl
야스워-크로스노 분지Kotlina Jasielsko-Krośnieńska|코틀리나 야시엘스코-크로스니엔스카pl
야스워 피에몬트Pogórze Jasielskie|포구제 야시엘스키에pl
부코프스코 피에몬트Pogórze Bukowskie|포구제 부코프스키에pl
구분폴란드어우크라이나어비고
동부 베스키디 산맥우드 베스키디 산맥과 폴로닌 베스키디 산맥의 두 평행 산맥으로 나뉨
우드 베스키디 산맥Beskidy Lesiste|베스키디 레시스테plЛісисті Бескиди|리시스티 베스키디uk
비에슈차디 산맥Bieszczady|비에슈차디plБещади|베슈차디ukc1
사노크-투르카 산맥Góry Sanocko-Turczańskie|구리 사노츠코-투르찬스키에plВерхньодністровські Бескиди|베르흐뇨드니스트로우스키 베스키디ukc3
스코레 베스키디 산맥Beskidy Skolskie|베스키디 스콜스키에plСколівські Бескиди|스콜리우스키 베스키디ukc2
고르가니 산맥Gorgany|고르가니plҐорґани|고르가니ukc4
포쿠티아-부코비나 베스키디 산맥Beskidy Pokucko-Bukowińskie|베스키디 포쿠츠코-부코빈스키에plПокутсько-Буковинські Карпати|포쿠츠코-부코빈스키 카르파티ukc5
폴로닌 베스키디 산맥Beskidy Połonińskie|베스키디 포워닌스키에plПолонинські Бескиди|폴로닌스키 베스키디uk
스무스 폴로니나Полонина Рівна|폴로니나 리우나ukc6
폴로니나 보르자바Полонина Боржава|폴로니나 보르자바ukc7
폴로니나 쿠크Полонина Кук|폴로니나 쿠크ukc8
레드 폴로니나Полонина Красна|폴로니나 크라스나ukc9
스비도베츠Свидівець|스비디베츠ukc10
초르노호라 산맥Чорногора|초르노호라ukc11
그리냐비 산맥Гриняви|흐리냐비ukc12


3. 1. 지형

베스키디 산맥은 주로 소폴란드 남부 국경을 따라 북부 슬로바키아와 인접해 있으며, 체코 동부 모라바 및 체코령 실레지아 지역과 우크라이나 서부 카르파티아 루테니아까지 뻗어 있는 산맥이다. 길이는 약 600km, 너비는 50km에서 70km이다. 일부 지역은 유럽 분수계를 형성하며, 북쪽의 오데르강비스와강 유역을 동 슬로바키아 저지대와 분리하고, 이는 다뉴브강 유역의 헝가리 대평원 일부이다.

지질학적으로 모든 베스키디 산맥은 외서 카르파티아산맥과 외동 카르파티아산맥에 속한다. 서쪽으로는 모라비아 관문의 자연적 고개에서 시작되어 동수데테스산맥과 분리되고, 타트라 산맥 북쪽 띠를 이루며 동쪽으로 뻗어 우크라이나에서 끝난다. 베스키디 산맥의 동쪽 끝은 논쟁의 대상인데, 이전 자료에는 티사강 발원지에서 끝난다고 나와 있지만, 새로운 자료에서는 폴란드-우크라이나 국경 우조크 고개에서 끝난다고 한다.

다양한 전통, 언어, 국적은 베스키드 산맥 분할 및 이름에 대한 중첩된 변형을 개발했다. 카르파티아 산맥의 분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서부 베스키드 산맥 (Beskidy Zachodnie|베스키디 자호드니에pl, Západné Beskydy|자파드네 베스키디sk, Západní Beskydy|자파드니 베스키디cs)
  • 서부 베스키드 산맥 서부 구역:
  • 호스티인스코-베세틴스카 호르나티나 산맥 (Hostýnsko-vsetínská hornatina|호스틴스코-브세틴스카 호르나티나cs) → e1
  • 모라비아-실레지아 베스키드 산맥 (Moravskoslezské Beskydy|모라프스코슬레스케 베스키디cs, Moravsko-sliezske Beskydy|모라프스코-슬리에스케 베스키디sk) → e2
  • 투르조프카 고원 (Turzovská vrchovina|투르조프스카 브르호비나sk) → e3
  • 야블룬코프 단층 (Jablunkovská brázda|야블룬코프스카 브라즈다cs) → e4
  • 로즈노프 단층 (Rožnovská brázda|로주노프스카 브라즈다cs) → e5
  • 야블룬코프 산간 분지 (Jablunkovské medzihorie|야블룬코프스케 메지호리에sk, Jablunkovské mezihoří|야블룬코프스케 메지호르지cs) → e6
  • 실레지아 베스키드 산맥 (Beskid Śląski|베스키트 실롱스키pl, Slezské Beskydy|슬레스케 베스키디cs) → e7
  • 지비에츠 분지 (Kotlina Żywiecka|코틀리나 지비에츠카pl) → e8
  • 서부 베스키드 산맥 북부 구역:
  • 리틀 베스키드 산맥 (Beskid Mały|베스키트 마위pl) → f1
  • 마코프 베스키드 산맥 (Beskid Makowski|베스키트 마코프스키pl) → f2
  • 아일랜드 베스키드 산맥 (Beskid Wyspowy|베스키트 비스포비pl) → f3
  • 고르체 산맥 (Gorce|고르체pl) → f4
  • 라브카 분지 (Kotlina Rabczańska|코틀리나 랍찬스카pl) → f5
  • 상치 분지 (Kotlina Sądecka|코틀리나 송데츠카pl) → f6
  • 서부 베스키드 산맥 중부 구역:
  • 오라바 베스키드 산맥 (Oravské Beskydy|오라우스케 베스키디sk) + 지비에츠 베스키드 산맥 (Beskid Żywiecki|베스키트 지비에츠키pl) (슬로바키아어: Slovenské Beskydy|슬로벤스케 베스키디sk 또는 Kysucko-oravské Beskydy|키수츠코-오라우스케 베스키디sk) → g1
  • 키수체 베스키드 산맥 (Kysucké Beskydy|키수츠케 베스키디sk) + 지비에츠 베스키드 산맥 (Beskid Żywiecki|베스키트 지비에츠키pl) (슬로바키아어: Slovenské Beskydy|슬로벤스케 베스키디sk 또는 Kysucko-oravské Beskydy|키수츠코-오라우스케 베스키디sk) → g2
  • 오라바 마구라 (Oravská Magura|오라우스카 마구라sk) → g3
  • 오라바 고원 (Oravská vrchovina|오라우스카 브르호비나sk) → g4
  • 서부 베스키드 산맥 (Podbeskydská brázda|포트베스키츠카 브라즈다sk) → g5
  • 서부 베스키드 산맥 (Podbeskydská vrchovina|포트베스키츠카 브르호비나sk) → g6
  • 서부 베스키드 산맥 동부 구역:
  • 베스키드 상데키 산맥 (Beskid Sądecki|베스키트 송데츠키pl) → h1
  • 체르고프 산맥 (Góry Czerchowskie|구리 체르호프스키에pl, Čergov|체르고우sk) → h2
  • 피에니니 산맥 (Pieniny|피에니니pl, Pieniny|피에니니sk) → h3
  • 서부 베스키드 산맥 산기슭, 체코와 폴란드
  • 실레지아-모라비아 산기슭 (Podbeskydská pahorkatina|포트베스키츠카 파호르카티나cs, Pogórze Śląsko-Morawskie|포구제 실롱스코-모라프스키에pl) → d1
  • 실레지아 산기슭 (Pogórze Śląskie|포구제 실롱스키에pl) → d2
  • 비엘리치카 산기슭 (Pogórze Wielickie|포구제 비엘리츠키에pl) → d3
  • 비시니치 산기슭 (Pogórze Wiśnickie|포구제 비시니츠키에pl) → d4

  • 중앙 베스키드(Beskidy Środkowe|베스키디 시로드코베pl) 또는 로우 베스키드(Nízke Beskydy|니스케 베스키디sk)
  • 부소프 (Busov), 슬로바키아
  • 온다바 고지대(Ondavská vrchovina|온다우스카 브르호비나sk)
  • ''로우 베스키드''(Beskid Niski|베스키트 니스키pl) + 라보레츠 고지대(Laborecká vrchovina|라보레츠카 브르호비나sk)
  • 베스키디안 남부 구릉지(Beskydské predhorie|베스키츠케 프레트호리에sk)
  • 중앙 베스키디안 피에몬트, 폴란드
  • 로즈노우 피에몬트(Pogórze Rożnowskie|포구제 로주노프스키에pl)
  • 치엥슈코비체 피에몬트(Pogórze Ciężkowickie|포구제 치엥슈코비츠키에pl)
  • 스트르지주프 피에몬트(Pogórze Strzyżowskie|포구제 스트르지주프스키에pl)
  • 디노프 피에몬트(Pogórze Dynowskie|포구제 디노프스키에pl)
  • 프셰미실 피에몬트(Pogórze Przemyskie|포구제 프셰미스키에pl)
  • 고를리체 분지(Obniżenie Gorlickie|오브니제니에 고를리츠키에pl)
  • 야스워-크로스노 분지(Kotlina Jasielsko-Krośnieńska|코틀리나 야시엘스코-크로스니엔스카pl)
  • 야스워 피에몬트(Pogórze Jasielskie|포구제 야시엘스키에pl)
  • 부코프스코 피에몬트(Pogórze Bukowskie|포구제 부코프스키에pl)


동부 베스키디 산맥은 우드 베스키디 산맥과 폴로닌 베스키디 산맥, 두 개 평행한 산맥으로 나뉜다.

  • 우드 베스키디 산맥 (Beskidy Lesiste|베스키디 레시스테pl, Лісисті Бескиди|리시스티 베스키디uk)
  • 비에슈차디 산맥 (Bieszczady|비에슈차디pl, Бещади|베슈차디uk) → c1
  • 사노크-투르카 산맥 (Góry Sanocko-Turczańskie|구리 사노츠코-투르찬스키에pl,Верхньодністровські Бескиди|베르흐뇨드니스트로우스키 베스키디uk) → c3
  • 스코레 베스키디 산맥 (Beskidy Skolskie|베스키디 스콜스키에pl, Сколівські Бескиди|스콜리우스키 베스키디uk) → c2
  • 고르가니 산맥 (Gorgany|고르가니pl, Ґорґани|고르가니uk) → c4
  • 포쿠티아-부코비나 베스키디 산맥 (Beskidy Pokucko-Bukowińskie|베스키디 포쿠츠코-부코빈스키에pl, Покутсько-Буковинські Карпати|포쿠츠코-부코빈스키 카르파티uk) → c5
  • 폴로닌 베스키디 산맥 (Beskidy Połonińskie|베스키디 포워닌스키에pl, Полонинські Бескиди|폴로닌스키 베스키디uk)
  • 스무스 폴로니나 (Полонина Рівна|폴로니나 리우나uk) → c6
  • 폴로니나 보르자바 (Полонина Боржава|폴로니나 보르자바uk) → c7
  • 폴로니나 쿠크 (Полонина Кук|폴로니나 쿠크uk) → c8
  • 레드 폴로니나 (Полонина Красна|폴로니나 크라스나uk)→ c9
  • 스비도베츠 (Свидівець|스비디베츠uk) → c10
  • 초르노호라 산맥 (Чорногора|초르노호라uk) → c11
  • 그리냐비 산맥 (Гриняви|흐리냐비uk) → c12

3. 2. 세부 구분

베스키디 산맥은 다양한 전통, 언어, 국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카르파티아 산맥의 분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서부 베스키드 산맥 (Beskidy Zachodnie|폴란드어pl, Západn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 Západní Beskydy|체코어cs)
  • 서부 베스키드 산맥의 서부 구역:
  • 호스티인스코-베세틴스카 호르나티나 산맥 (Hostýnsko-vsetínská hornatina|체코어cs) → e1
  • 모라비아-실레지아 베스키드 산맥 (Moravskoslezské Beskydy|체코어cs, Moravsko-sliezske Beskydy|슬로바키아어sk) → e2
  • 투르조프카 고원 (Turzovská vrchovina|슬로바키아어sk) → e3
  • 야블룬코프 단층 (Jablunkovská brázda|체코어cs) → e4
  • 로즈노프 단층 (Rožnovská brázda|체코어cs) → e5
  • 야블룬코프 산간 분지 (Jablunkovské medzihorie|슬로바키아어sk, Jablunkovské mezihoří|체코어cs) → e6
  • 실레지아 베스키드 산맥 (Beskid Śląski|폴란드어pl, Slezské Beskydy|체코어cs) → e7
  • 지비에츠 분지 (Kotlina Żywiecka|폴란드어pl) → e8
  • 서부 베스키드 산맥의 북부 구역:
  • 리틀 베스키드 산맥 (Beskid Mały|폴란드어pl) → f1
  • 마코프 베스키드 산맥 (Beskid Makowski|폴란드어pl) → f2
  • 아일랜드 베스키드 산맥 (Beskid Wyspowy|폴란드어pl) → f3
  • 고르체 산맥 (Gorce|폴란드어pl) → f4
  • 라브카 분지 (Kotlina Rabczańska|폴란드어pl) → f5
  • 상치 분지 (Kotlina Sądecka|폴란드어pl) → f6
  • 서부 베스키드 산맥의 중부 구역:
  • 오라바 베스키드 산맥 (Oravsk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 + 지비에츠 베스키드 산맥 (Beskid Żywiecki|폴란드어pl) (슬로바키아어에서는 Beskid Zywiecki|폴란드어pl를 Slovensk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 '슬로바키아 베스키드' 또는 Kysucko-oravsk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 '키수체-오라바 베스키드'라고도 함) → g1
  • 키수체 베스키드 산맥 (Kysuck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 + 지비에츠 베스키드 산맥 (Beskid Żywiecki|폴란드어pl) (슬로바키아어에서는 Beskid Zywiecki|폴란드어pl를 Slovensk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 또는 Kysucko-oravské Beskydy|슬로바키아어sk라고도 함) → g2
  • 오라바 마구라 (Oravská Magura|슬로바키아어sk) → g3
  • 오라바 고원 (Oravská vrchovina|슬로바키아어sk) → g4
  • 서부 베스키드 산맥 (Podbeskydská brázda|슬로바키아어sk) → g5
  • 서부 베스키드 산맥 (Podbeskydská vrchovina|슬로바키아어sk) → g6
  • 서부 베스키드 산맥의 동부 구역:
  • 베스키드 상데키 산맥 (Beskid Sądecki|폴란드어pl) → h1
  • 체르고프 산맥 (Góry Czerchowskie|폴란드어pl, Čergov|슬로바키아어sk) → h2
  • 피에니니 산맥 (Pieniny|폴란드어pl, Pieniny|슬로바키아어sk) → h3
  • 서부 베스키드 산맥 산기슭, 체코와 폴란드
  • 실레지아-모라비아 산기슭 (Podbeskydská pahorkatina|체코어cs, Pogórze Śląsko-Morawskie|폴란드어pl) → d1
  • 실레지아 산기슭 (Pogórze Śląskie|폴란드어pl) → d2
  • 비엘리치카 산기슭 (Pogórze Wielickie|폴란드어pl) → d3
  • 비시니치 산기슭 (Pogórze Wiśnickie|폴란드어pl) → d4
  • 중앙 베스키드(Beskidy Środkowe|폴란드어pl) 또는 로우 베스키드(Nízke Beskydy|슬로바키아어sk)
  • 부소프 (Busov), 슬로바키아
  • 온다바 고지대(Ondavská vrchovina|슬로바키아어sk)
  • ''로우 베스키드''(Beskid Niski|폴란드어pl) + 라보레츠 고지대(Laborecká vrchovina|슬로바키아어sk)
  • 베스키디안 남부 구릉지(Beskydské predhorie|슬로바키아어sk)
  • 중앙 베스키디안 피에몬트, 폴란드
  • 로즈노우 피에몬트(Pogórze Rożnowskie|폴란드어pl)
  • 치엥슈코비체 피에몬트(Pogórze Ciężkowickie|폴란드어pl)
  • 스트르지주프 피에몬트(Pogórze Strzyżowskie|폴란드어pl)
  • 디노프 피에몬트(Pogórze Dynowskie|폴란드어pl)
  • 프셰미실 피에몬트(Pogórze Przemyskie|폴란드어pl)
  • 고를리체 분지(Obniżenie Gorlickie|폴란드어pl)
  • 야스워-크로스노 분지(Kotlina Jasielsko-Krośnieńska|폴란드어pl)
  • 야스워 피에몬트(Pogórze Jasielskie|폴란드어pl)
  • 부코프스코 피에몬트(Pogórze Bukowskie|폴란드어pl)
  • 동부 베스키디 산맥은 우드 베스키디 산맥과 폴로닌 베스키디 산맥, 두 개의 평행한 산맥으로 나뉜다.
  • 우드 베스키디 산맥 (Beskidy Lesiste|폴란드어pl, Лісисті Бескиди|우크라이나어uk)
  • 비에슈차디 산맥 (Bieszczady|폴란드어pl, Бещади|우크라이나어uk) → c1
  • 사노크-투르카 산맥 (Góry Sanocko-Turczańskie|폴란드어pl, Верхньодністровські Бескиди|우크라이나어uk) → c3
  • 스코레 베스키디 산맥 (Beskidy Skolskie|폴란드어pl, Сколівські Бескиди|우크라이나어uk) → c2
  • 고르가니 산맥 (Gorgany|폴란드어pl, Ґорґани|우크라이나어uk) → c4
  • 포쿠티아-부코비나 베스키디 산맥 (Beskidy Pokucko-Bukowińskie|폴란드어pl, Покутсько-Буковинські Карпати|우크라이나어uk) → c5
  • 폴로닌 베스키디 산맥 (Beskidy Połonińskie|폴란드어pl, Полонинські Бескиди|우크라이나어uk)
  • 스무스 폴로니나 (Полонина Рівна|우크라이나어uk) → c6
  • 폴로니나 보르자바 (Полонина Боржава|우크라이나어uk) → c7
  • 폴로니나 쿠크 (Полонина Кук|우크라이나어uk) → c8
  • 레드 폴로니나 (Полонина Красна|우크라이나어uk) → c9
  • 스비도베츠 (Свидівець|우크라이나어uk) → c10
  • 초르노호라 산맥 (Чорногора|우크라이나어uk) → c11
  • 그리냐비 산맥 (Гриняви|우크라이나어uk) → c12

4. 생태

베스키디 산맥은 풍부한 산림과 석탄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철광석이 풍부하여 오스트라바와 트르지네츠의 트르지네츠 제철소와 같은 제철 산업이 발달했었다.[1] 여러 환경 단체들은 베스키디 산맥 생태계에 서식하는 곰, 늑대, 스라소니 등의 개체수 유지를 지원하고 있다.[1]

4. 1. 보호 지역

베스키디 산맥은 현재 산림과 석탄이 풍부하다. 과거에는 철광석이 풍부하여 오스트라바와 트르지네츠에 중요한 제철소인 트르지네츠 제철소가 있었다.

이곳에는 역사적인 목조 교회(남부 소폴란드 목조 교회, 카르파티아 목조 교회, 우크라이나 목조 교회)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스키 리조트 등 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여러 환경 단체들은 베스키디 산맥 생태계에 서식하는 소규모의 곰, 늑대, 스라소니 개체수를 지원하고 있다. 중앙 베스키디 산맥에는 폴란드의 바비아 고라 국립공원과 인접한 슬로바키아의 호르나 오라바 보호 자연 지역이 포함된다.

5. 문화

(요약과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베스키디산맥'의 '문화'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관광

베스키디 산맥은 산림과 석탄이 풍부하다. 과거에는 철광석이 풍부하여 오스트라바와 트르지네츠에 중요한 제철소인 트르지네츠 제철소가 있었다.[1]

여러 환경 단체들은 베스키디 산맥 생태계에 서식하는 소규모의 곰, 늑대, 스라소니 개체수를 지원하고 있다. 중앙 베스키디 산맥에는 폴란드의 바비아 고라 국립공원과 인접한 슬로바키아의 호르나 오라바 보호 자연 지역이 포함된다.[1]

6. 1. 주요 관광 명소

베스키디 산맥에는 여러 관광 명소가 있다. 여기에는 역사적인 목조 교회 (남부 소폴란드 목조 교회, 카르파티아 목조 교회, 우크라이나 목조 교회)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스키 리조트가 포함된다.[1]

서부 비에슈차디


모라비아 흐라보바의 목조 교회 (14세기 – 1564년)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Ukraine: Beskyds http://www.encyclope[...]
[2] 서적 Studime Gjuhësore I, Studime Etimologjike në Fushë të Shqipes, A-O Rilindja
[3] 서적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4]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s: A Linguist's View Slavica Publishers, Inc.
[5] 서적 Bieszczad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