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쿠스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트쿠스트 선은 스웨덴 서해안을 따라 예테보리에서 룬까지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여러 사철 회사가 건설한 노선이 합쳐져 탄생했으며, 건설 당시에는 스코네 내륙을 경유했다. 1990년대에 헬싱보리-란드스크로나-룬 노선을 건설하여 쇠드라 스탐바난과 연결되었고,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셰블링에-헬싱보리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현재 노선은 복선 및 단선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헬싱보리-엥겔홀름 구간은 복선 터널 건설이 진행 중이다. 베스트쿠스트 선은 급행, 광역, 시내 열차가 운행하며, 2008년 팔셴베리 역이 개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시나노 철도선
시나노 철도선은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으로 JR 동일본에서 시나노 철도로 이관된 가루이자와역과 나가노역을 잇는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구간 운행 열차와 관광열차가 운행되며 화물 열차도 운행되고, 1인 승무가 도입되었고 운행 편수 감소 및 최고 속도 저하가 이루어지는 등 지역 경제와 교통 패러다임 변화를 보여준다. - 188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묘코 하네우마 라인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묘코 하네우마 라인은 2015년 호쿠리쿠 신칸센 연장에 따라 JR 동일본 신에쓰 본선에서 이관되어 에치고토키메키 철도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이다. - 스웨덴의 철도 노선 - 알란다선
알란다 선은 스톡홀름 알란다 공항과 스톡홀름 중앙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민간 투자로 건설되어 개통 후 공항 접근성 향상에 기여했으나 높은 이용 요금과 독점 운영권 등으로 논란이 되었다. - 스웨덴의 철도 노선 - 그뢰나선
그뢰나선은 스톡홀름 지하철의 주요 노선으로 17, 18, 19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 25.5km에 32개 역을 갖추고 스톡홀름 시내 및 근교를 연결하며 주요 환승역을 통해 다른 노선 및 교통 수단과의 연계를 제공한다.
| 베스트쿠스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노선명 | 베스트쿠스트 선 |
| 원어명 | Västkustbanan |
![]() | |
| 위치 | 스웨덴 |
| 기점 | 룬드 중앙역 |
| 종점 | 예테보리 중앙역 |
| 소유자 | 스웨덴 교통청 |
| 운영자 | 스웨덴 교통청, SJ, 어라이바, DSBFirst, 그린 카고, TGOJ 등 |
| 노선 길이 | 283km |
| 복선 구간 | 대부분 복선 (헬싱보리-링발렌, 푀르슬뢰브-보스타드 노라, 함라-바르베리 간 단선) |
| 궤간 | 표준궤 (1435mm) |
| 최대 속도 | 200km/h |
| 신호 방식 | ATC |
2. 역사
베스트쿠스트 선은 여러 사철 회사들이 건설한 노선들이 합쳐져 만들어진 철도 노선이다. 건설 당시에는 말뫼-아를뢰브-셰블링에-테코마토르프-오스토르프-엥겔홀름 구간이었으나, 현재는 말뫼-룬드-셰블링에-란드스크로나-헬싱보리-엥겔홀름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스코네 내륙을 지나는 형태로 건설되었으며, 여러 노선이 존재했다. 1990년대에 헬싱보리-란드스크로나-룬드 노선을 건설하여 쇠드라 스탐바난과 연결하였고,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셰블링에-헬싱보리 구간 복선화 및 헬싱보리 도심 철도를 지하화했다. 헬싱보리-엥겔홀름 구간은 복선 터널을 건설하고 있다.[1]
2006년 1월 이전에는 X 2000 열차가 다른 경로로 운행했으나, 이후 조정되었다. 가장 최근에 개축된 역은 2008년 건설된 팔셴베리 역이다.[1]
2. 1. 초기 역사 (사철 시대)
베스트쿠스트 선은 여러 사철 회사들이 건설한 노선들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스코네 내륙을 지나는 형태로 건설되었으며, 엥겔홀름-헬싱보리, 헬싱보리-셰블링에, 란드스크로나-셰블링에 등 여러 노선이 존재했다. 당시에는 헬싱보리를 경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테보리-헬싱보리 간 별도의 열차가 운행되었고, 헬싱보리 경유 예테보리-말뫼 열차는 오스토르프를 경유했다. 란드스크로나로 가려면 헬싱보리에서 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헬싱보리 남부로 가는 열차는 로 선을 경유했으며, 현재 로 선은 통근 열차 및 화물 열차의 우회 노선으로 사용되고 있다.초기에 노선 건설에 참여한 사철 회사들과 각 노선의 개통 구간 및 연도는 다음과 같다.
| 철도 회사명 | 약칭 | 개통 구간 | 개통 연도 | 비고 |
|---|---|---|---|---|
| 말뫼-빌레스홀름 철도 | MBJ | 말뫼-빌레스홀름 (59km) | 1886년 | 1896년 국유화 |
| 룬드-셰블링에 철도 | LKJ | 룬드-셰블링에 (12.6km) | 1886년 | 1940년 SJ에서 매입, 1948년 전철화 |
| 란드스크로나 엥겔홀름 철도 | LEJ | 란드스크로나-빌레스홀름-엥겔홀름 (49km) | 1876년 | 1896년 국유화 |
| 스코네-할란드 철도 | SHJ | 헬싱보리-카타르프-할름스타드 (92km), 오스토르프-카타르프-회가네스 철도 (27km) | 1885년 | 1896년 국유화 |
| 멜레르스타 할란드 철도 | MHJ | 할름스타드-바르베리 (75km) | 1886년 | 1896년 국유화 |
| 예테보리 할란드 철도 | GHB | 바르베리-예테보리 (77km) | 1888년 | 1896년 국유화 |
룬드-셰블링에 철도를 제외한 모든 사철은 1896년에 국유화되었다.
2. 2. 노선 변경 및 국유화
베스트쿠스트 선은 여러 사철 회사가 건설한 노선이 합쳐져 만들어졌기 때문에, 초기에는 스코네 내륙을 지나갔다. 엥겔홀름-헬싱보리, 헬싱보리-셰블링에, 란드스크로나-셰블링에 등 여러 노선이 있었다. 초기에는 헬싱보리를 경유하지 않아 예테보리-헬싱보리 간 별도 열차가 2시간마다 운행되었다. 헬싱보리 경유 예테보리-말뫼 열차는 헤슬레홀름 대신 오스토르프를 경유했고, 란드스크로나로 가려면 헬싱보리에서 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헬싱보리 남부행 열차는 로 선을 경유했으며, 현재 로 선은 통근 열차 및 란드스크로나 경유 화물 열차의 우회 노선으로 사용된다.[1]1990년대에 헬싱보리-란드스크로나-룬드 노선을 건설하여 쇠드라 스탐바난과 연결하기로 결정하였다. 룬드 쪽에서는 1800년대에 셰블링에로 가는 노선을 건설하여 말뫼-예테보리 열차를 경유시켰다. 여객 운송에 중요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1940년대에 국유화되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셰블링에-헬싱보리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헬싱보리 도심의 철도는 터널로 지하화되었다. 헬싱보리-엥겔홀름 구간은 고저차 및 토지 확보 문제로 복선 터널을 건설하고 있다.[1]
2006년 1월 이전에는 말뫼에서 출발한 X 2000 열차가 헤슬레홀름, 마르카뤼드-할름스타드 경유 헬싱보리로 운행하였으나, 이후 헤슬레홀름만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 이는 엥겔홀름 경유 통근 열차의 선로 용량 및 헤슬레홀름-할름스타드 간 허용 속도 문제 때문이었다.[1]
가장 최근에 개축된 역은 팔셴베리 역으로, 2008년에 건설되었다.[1]
2. 3. 현대화 및 개량
베스트쿠스트 선은 여러 사철 회사가 건설한 노선 특성 때문에 건설 당시에는 스코네 내륙을 경유하였다. 엥겔홀름-헬싱보리, 헬싱보리-셰블링에, 란드스크로나-셰블링에 간 등 여러 노선이 있었다. 초기에는 헬싱보리로 열차가 경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테보리-헬싱보리 간은 별도의 열차가 2시간마다 운행하였다. 헬싱보리 경유 예테보리-말뫼 열차는 헤슬레홀름 대신 오스토르프를 경유하였으며, 란드스크로나로 가려면 헬싱보리에서 버스를 타야 했다. 헬싱보리 남부로 가는 열차는 로 선을 경유하였고, 현재 로 선은 통근 열차 및 란드스크로나 경유 화물 열차의 우회 노선으로 사용된다.1990년대에 헬싱보리-란드스크로나-룬드 노선을 건설하여 쇠드라 스탐바난과 연결시키기로 하였다. 룬드 쪽에서는 1800년대에 셰블링에로 가는 노선을 건설하여, 말뫼-예테보리 열차를 경유시켰다. 여객 운송에서 중요한 노선이기 때문에 1940년대에 국유화되었다. 1998년-2001년 동안 셰블링에-헬싱보리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헬싱보리 도심의 철도는 터널로 지하화되었다. 헬싱보리-엥겔홀름 구간은 고저차 및 토지 확보 때문에 복선 터널을 건설하고 있다.
2006년 1월 이전에는 말뫼에서 출발한 X 2000 열차가 헤슬레홀름, 마르카뤼드-할름스타드 경유 헬싱보리로 운행하였으나, 이후 헤슬레홀름만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 엥겔홀름을 경유하는 통근 열차의 선로 용량 및 헤슬레홀름-할름스타드 간 허용 속도 문제가 있었다.
가장 최근에 개축된 역은 팔셴베리 역으로, 2008년에 건설되었다.
3. 노선
말뫼에서 룬드, 셰블링에, 란드스크로나, 헬싱보리, 엥겔홀름, 보스타드, 라홀름, 할름스타드, 팔켄베리, 바르베리, 쿵스바카, 묄른달을 거쳐 예테보리까지 이어지는 노선이다.
노선의 상세한 복선 및 단선 구간은 2009년 기준으로 하위 문단을 참조.
3. 1. 선로 현황 (2009년 기준)
2009년 기준 베스트쿠스트선의 복선 및 단선 구간은 다음과 같다.| 구간 | 거리 | 선로 수 | 설명 |
|---|---|---|---|
| 룬드 C - 헬싱보리 C | 53km | 복선 | 셰블링에-람뢰사 구간은 25퍼밀 구배가 있어, 화물 열차는 구선으로 운행한다. |
| 헬싱보리 C - 마리아 | 5km | 단선 | 2020년까지는 착공 예정이 없다. |
| 마리아 - 엥겔홀름 | 22km | 단선 | 2016-2017년 사이에 복선화 계획이 있다. |
| 엥겔홀름 - 링발렌 | 5km | 단선 | 2005년 12월 복선화 공사가 시작되었다.[4] |
| 링발렌 - 푀르슬뢰브 | 8km | 복선 | |
| 푀르슬뢰브 - 보스타드 노라 | 11km | 단선 | 할란드소스 터널, 2015년 완공 예정. |
| 보스타드 노라 - 함라 | 96km | 복선 | |
| 함라 - 바르베리 | 8km | 단선 | 바르베리 구간은 터널로 복선화할 예정이며, 2012년까지 착공할 예정이다. |
| 바르베리 - 예테보리 C | 77km | 복선 | |
| colspan="4"| | |||
| 베스트쿠스트 선 전체 | 285km | 복선 234km, 단선 51km |
4. 개량 계획
2008년 할란드소스 터널을 포함한 복선 구간 15km를 착공하였다. 할란드소스 터널은 8km 길이의 터널을 포함한 10km 복선 구간 건설 계획이다. 최대 병목 구간이었으므로 교통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예테보리 근처 화물선에 사용하였던 1930년대에 건설된 다리의 신축 공사는 2009년 완공되었다. 헬싱보리-마리아 구간은 2008년 6월 조사가 끝났고, 반베르케트에서는 현재 구간을 복선화하며 마리아 역 남부에 1km 복선 구간을 건설할 것이라고 하였다.[5] 2010년까지 조사를 끝내고[5] 2016-2017년에 착공할 예정이다.[6] 한편 이미 단선 노선이 충분히 직선이고 고속화되어 있어서 복선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
마리아-헬싱보리 구간은 기초 조사 중이며, 폴셰 숲을 지나기 때문에 숲 지하를 터널로 지나갈 가능성이 있다. 2017년-2020년에 착공할 계획이 있다.[8]
보르베리 쪽은 복선화 계획이 이미 잡혀 있으나 착공 예정이 불투명하다. 할란드소스 터널 포함 전 노선이 복선화되면 2시간 10분까지 완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현재 IC 열차로 2시간 35분, 외레순토그 열차로 3시간 10분)
5. 운행 열차
베스트쿠스트선에는 시내 열차, 광역 열차, 급행 열차가 운행된다. 시내 열차는 예테보리와 쿵스바카 사이에서는 베스트토겐으로, 할름스타드와 룬 사이에서는 포고토겐으로 브랜드화되어 운행된다. 광역 열차는 외레순드토그로, 급행 열차는 SJ에서 운행하며 모든 열차는 룬 남쪽으로 계속 운행한다.
5. 1. 정차역
| 역 | 열차 종류 |
|---|---|
| 예테보리 | 급행, 광역, 시내 |
| 리세베리 | 시내 |
| 묄른달 | 광역, 시내 |
| 셸레레드 | 시내 |
| 린도메 | 시내 |
| 안네베리 | 시내 |
| 헤데 | 시내 |
| 쿵스바카 | 광역, 시내 |
| 오사 | 광역 |
| 바르베리 | 광역 |
| 팔켄베리 | 광역 |
| 할름스타드 | 급행, 광역, 시내 |
| 라홀름 | 광역, 시내 |
| 보스타드 | 광역, 시내 |
| 푀르슬뢰브 | 시내 |
| 바르코크라 | 시내 |
| 엥엘홀름 | 광역, 시내 |
| 카타르프 | 시내 |
| 외도크라 | 시내 |
| 마리아 | 시내 |
| 헬싱보리 | 급행, 광역, 시내 |
| 람뢰사 | 시내 |
| 뤼데베크 | 시내 |
| 글룸슬뢰브 | 시내 |
| 란스크로나 | 광역, 시내 |
| 헬랴르프 | 시내 |
| 됴셰브로 | 시내 |
| 셰블링에 | 시내 |
| 군네스보 | 시내 |
| 룬 | 급행, 광역, 시내 |
시내 열차는 예테보리와 쿵스바카 사이에서는 베스트토겐으로, 할름스타드와 룬 사이에서는 포고토겐으로 브랜드화되어 운행된다. 광역 열차는 외레순드토그로, 급행 열차는 SJ에서 운행한다. 모든 열차는 룬 남쪽으로 계속 운행한다.
참조
[1]
웹사이트
Ängelholm–Helsingborg, Romares väg. Trafikverket (swedish)
http://www.trafikver[...]
2022-02-25
[2]
웹사이트
Double tracks between Ängelholm and Helsingborg, Romares väg
https://www.trafikve[...]
Trafikverket
2019-06-26
[3]
웹사이트
The Varberg tunnel
https://www.trafikve[...]
Trafikverket
2021-10-14
[4]
웹인용
Trafikverket skjuter upp dubbelspår mellan Förslöv och Ängelholm
https://web.archive.[...]
2010-07-11
[5]
웹인용
"Trafikverkets projektsida för Ängelholm-Maria"
https://web.archive.[...]
2010-12-31
[6]
문서
Trafikverkets planeringsdel för Ängelholm-Maria
http://www.trafikver[...]
[7]
웹인용
"Effekter och samhällsekonomisk bedömning för sträckan Ängelholm-Maria"
https://web.archive.[...]
2010-12-31
[8]
웹인용
Trafikverkets projektsida för Helsingborg-Maria
https://web.archive.[...]
2010-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