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라아테는 흉부와 복부를 보호하는 간이 갑옷으로, 하라마키나 도마루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가마쿠라 시대에 하급 병졸용으로 등장하여 무로마치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경량성으로 인해 상급 무사나 승병의 호신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하라아테가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히라도 번 마쓰우라 씨 전래의 실물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갑주 - 대개
    오요로이는 헤이안 시대 일본 기마 사무라이들이 착용한 갑옷으로, 말 위에서의 활 사용에 특화된 구조와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실전 사용은 줄었으나 가문의 상징으로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 일본 갑주 - 당세구족
    당세구족은 센고쿠 시대에 전투의 대규모화와 조총 도입으로 인해 대량 생산, 높은 방어력, 기동성을 갖추도록 변화된 갑옷으로, 에도 시대에는 장식적인 요소가 강화되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 실용적 가치를 상실했다.
복당
일반 정보
복당의 모습
종류갑옷
착용 부위
용도배 보호
다른 이름가케다레 (掛垂)
마에다레 (前垂)
상세 정보
재료가죽

구조가슴과 배를 덮는 형태
어깨끈으로 고정
특징간편하게 착용 가능
다른 갑옷과 함께 착용 가능
역사
기원고대 일본
사용 시기주로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무로마치 시대 전기
에도 시대에는 의례용으로 사용
관련 인물무사
보병
언어별 명칭
일본어腹当 (하라아테)

2. 구조 및 특징

복원된 하라아테를 착용한 남성 (교토 시대 축제)


하라아테는 하라마키나 도마루보다 더 간소한 구조를 가진 갑옷이다. 흉부와 복부를 덮는 몸통 부분(동요, 胴鎧)에 작은 크기의 풀치마(草摺)를 앞과 좌우에 3부분(3간, 間)으로 나누어 늘어뜨린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착용자의 몸통 앞부분과 옆구리 부분의 복부만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는 현대 검도의 방어구 중 "동"과 "풀치마"의 형태와 유사하다.

하라아테는 가볍고 입고 벗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보호 범위가 좁아 방어력은 낮은 편이다. 이후 하라아테의 몸통을 보호하는 부분이 등까지 연장되면서 하라마키로 발전했다고 여겨진다.

3. 역사



문헌 등에 따르면 가마쿠라 시대 무렵에 주로 하급 병졸용 갑옷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무로마치 시대 후반에는 가볍고 간편한 경무장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하라아테는 가벼웠기 때문에 상급 무사나 승병이 호신용으로 의복 아래에 착용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현대의 방검 조끼와 유사한 방식이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될 때 "키고메 하라아테" 또는 "키고메"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줄여서 "아테"라고도 불렸다.

당세 구족 시대에도 하라아테와 유사한 간이 구조의 갑옷이 등장했다. "마에카케 구소쿠" 또는 "방 구소쿠"라고 불린 이 갑옷들은 주로 아시가루(하급 보병)들이 사용했다. 에도 시대에는 복고풍 갑옷으로 하라아테가 복원되거나 새로 제작되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당세 구족의 형식을 도입하거나, 옆구리 부분을 생략하여 앞부분만 보호하는 형태, 또는 투구나 소구족(팔, 다리 등을 보호하는 작은 갑옷류)을 갖춘 완전한 형태의 하라아테 구족 등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졌다.

하라아테는 주로 저급 소모품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에도 시대 복고풍 이전의 실물 유물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현존하는 유물로는 히라도 번의 마쓰우라 씨 가문에 전해 내려온 소가케 위(끈으로 갑옷 조각을 엮는 방식)의 하라아테(마쓰우라 자료 박물관 소장) 등이 있다. 또한, 『십계도』나 『호넨 쇼닌 에덴』과 같은 그림 두루마리에서도 당시 하라아테를 착용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4. 종류

무로마치 시대 후반에는 경무장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상급 무사나 승병이 호신용으로 의상 아래에 착용하는 형태도 나타났다. 이는 현대의 방검 조끼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용도의 하라아테는 키고메 하라아테 또는 줄여서 키고메라고 불렸다.

당세 구족 시대에는 하라아테의 양식을 따른 간이 구조의 갑옷이 등장했는데, 이를 마에카케 구소쿠 또는 방 구소쿠라고 불렀다. 주로 아시가루들이 사용하였다.

에도 시대에는 복고풍 갑옷으로 하라아테가 복원되거나 제작되기도 했으며, 당세 구족의 형식을 도입한 것, 옆구리 부분을 생략하고 앞부분만 남긴 형태, 투구나 소구족을 갖춘 하라아테 구족 등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