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학기술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1976년 성지공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979년 성지공업전문대학으로, 1985년 부산전문대학, 1989년 부산정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으며,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4개의 학부와 34개 학과를 운영하며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위치하며, 10개국과 국제 교류를 맺고 있다.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현재 각종 국책 사업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전문대학 - 경남정보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는 1970년 부산실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교명 변경을 거쳐 201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냉정캠퍼스와 센텀캠퍼스에서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한다. - 부산광역시의 전문대학 - 동의과학대학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인 동의과학대학교는 1972년 동의전문학교로 설립되어 교명 변경을 거쳐 2011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5개 계열 39개 학과에서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한다. - 과학기술대학교 -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는 1990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을 변경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며, 4개의 트랙과 20개의 학과를 통해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 과학기술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1910년 의정부 실업보수학교로 설립되어 경성공립공업학교, 서울산업대학교 등의 명칭을 거쳐 2010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고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캠퍼스는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및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옛터를 사용하여 다산관, 창학관 등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역사적인 건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산학협력과 국제 교류를 통해 융합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국립대학교이다.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로마자 표기 | Busan Gwahakgisuldaehakgyo |
한자 표기 | 釜山科學技術大學校 |
종류 | 사립/전문대학 |
설립일 | 1976년 12월 31일 |
개교일 | 1979년 1월 1일 |
표어 | 전문가를 만드는 전문가 |
건학 이념 | 창의, 진리, 봉사 |
교색 | "" 파랑 "" 파랑 |
상징 | 느티나무, 반달가슴곰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132번길 88 |
캠퍼스 | 교외 |
웹사이트 | www.bist.ac.kr |
조직 | |
설립자 | 강기성 |
총장 | 강기성 |
학교 법인 | 중앙학원 |
학장 | 강기성 |
교수진 | 알 수 없음 |
행정 직원 | 361명 |
학생 | |
재학생 수 | 4,685명 |
학부생 | 알 수 없음 |
대학원생 | 알 수 없음 |
박사 과정 | 알 수 없음 |
학문 | |
학부 | 선단공학부 공간디자인학부 관광학부 보건웰빙학부 인문사회학부 |
기타 | |
소속 | 알 수 없음 |
2. 연혁
1976년 12월 31일 '''성지공업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 이듬해 1977년 3월 17일 개교하였고, 1979년 '''성지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5년 1월 5일 현 캠퍼스 소재지로 이전하였고, 같은 해 3월 '''부산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5월 '''부산정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학기술부 등에서 평가한 대학 평가에 따라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3] 2012년 3월 16일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이후, 각종 국책 사업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4][5]
2. 1. 설립 초기 (1976년 ~ 1985년)
1976년 12월 31일 '''성지공업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3] 이듬해인 1977년 3월 17일 개교하였고, 1979년 '''성지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3] 정태성이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 산55-1번지에 설립한 것이 시초이다.1983년 캠퍼스를 우암동 산55-1번지에서 우암동 38-1번지로 이전하고, 1985년에는 북구 구포동 산48-6번지(현 캠퍼스 소재지)로 이전했다.[3] 같은 해 3월 '''부산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1984년 학교법인 서린학원으로, 1986년 학교법인 중앙학원으로 운영 단체가 변경되었다.[3]
2. 2. 교명 변경 및 발전 (1985년 ~ 현재)
1985년 1월 5일, 현 캠퍼스 소재지로 이전하였고, 3월에 '''부산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5월, '''부산정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2011년,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학기술부 등에서 평가한 대학 평가에 따라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2년 3월 16일,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이후, 각종 국책 사업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4][5]1983년, 캠퍼스를 부산직할시 남구 우암동 산55-1번지에서 우암동 38-1번지로 이전하고, 1985년에는 부산직할시 북구 구포동 산48-6번지로 이전한다. 또한, 1984년에 운영 단체가 학교법인 서린학원으로, 1986년에 학교법인 중앙학원으로 변경된다.
3. 역대 총장
이름 | 재임 기간 |
---|---|
박화술 | 1977년 3월 1일 ~ 1983년 2월 1일 |
최정락 | 1983년 2월 1일 ~ 1986년 1월 1일 |
최학유 | 1986년 1월 1일 ~ 1987년 1월 1일 |
이윤근 | 1987년 1월 1일 ~ 1991년 2월 27일 |
정순영 | 1991년 2월 27일 ~ 2001년 1월 0일 |
강기성 | 2001년 1월 5일 ~ 2008년 9월 8일 |
오정석 | 2008년 9월 8일 ~ 2010년 2월 1일 |
서용범 | 2010년 2월 1일 ~ 2013년 3월 1일 |
강기성 | 2013년 3월 1일 ~ 현재 |
4. 교육편제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2022년 기준 자연과학, 공학, 인문사회, 예체능 등 4개 계열을 자체 설정하고 34개 학과를 설치하여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6]
4. 1. 학부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2022년 기준 자연과학, 공학, 인문사회, 예체능 등 4개 계열을 자체 설정하고 34개 학과를 설치하여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6]4개의 학부와 25개의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 | 학과 |
---|---|
공학부 | 융합기계 (CAD/CAM 전공, 컴퓨터응용설계 전공), 자동차공학 (자동차 하이테크 전공, 자동차 튜닝 전공, SUV/BOSCH 전공, 하이브리드/전기차 전공), 컴퓨터정보, 전기자동화, 항공전자, 통신, 스마트전자, 정밀화학, 소방안전관리, 건축, 드론 공간정보 |
인문사회학부 | 아동교육, 의료행정, 경영, 경찰/경호, 사회복지 (사회복지 전공, 아동복지보육 전공), 호텔관광경영, 한중 비즈니스 |
자연과학부 | 안경광학, 치위생, 간호, 호텔/외식조리 |
예체능학부 | 미용, 재활운동건강, 디자인 (제품디자인 전공, 패션디자인 전공, 주얼리 전공) |
4. 2. 학과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2022년 기준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등 4개 계열을 자체 설정하고 34개 학과를 설치하여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6]4. 2. 1. 공학부
- 융합기계
- ** CAD/CAM 전공
- ** 컴퓨터응용설계 전공
- 자동차공학
- ** 자동차 하이테크 전공
- ** 자동차 튜닝 전공
- ** SUV/BOSCH 전공
- ** 하이브리드/전기차 전공
- 컴퓨터정보
- 전기자동화
- 항공전자
- 통신
- 스마트전자
- 정밀화학
- 소방안전관리
- 건축
- 드론 공간정보[6]
4. 2. 2. 인문사회학부
- 유아교육과
- 의료행정
- 경영
- 경찰/경호
- 사회복지
- * 사회복지
- * 아동복지보육
- 호텔관광경영
- 한중 비즈니스[6]
- 유통/물류 전공
- 기업경영 전공
- 경찰행정 전공
- 경호보안 전공
- 사회복지과[6]
4. 2. 3. 자연과학부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2022년 기준으로 자연과학계열을 설치하여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6]자연과학부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설치되어 있다.
학과 |
---|
안경광학과 |
치위생과 |
간호학과 |
호텔·외식조리 |
4. 2. 4. 예체능학부
:** 제품디자인 전공[6]
:** 패션디자인 전공[6]
:** 주얼리 전공[6]
5. 교육 방침상의 특징
(내용 없음)
5. 1. 국제 교류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10개 국가의 각종 학교들과 교류 중에 있다고 하나, 실제 대학 기관과 교류하고 있는 국가는 8개국의 각종 대학들과 교류 중에 있다.[7]5. 2. 장학 제도
부산과학기술대학교에는 신입생특별장학금 11종 외 17종의 교내장학금과 중앙문화장학회 장학금 외 24종의 교외장학금이 있다. 재학생 1인당 평균 수혜 장학금은 3459482KRW으로, 전국 전문대학 평균 1인당 장학금 수혜 금액인 3507414KRW보다 47932KRW 적다.[8][9] 부산광역시 기준 평균 수혜 장학금액인 3741466KRW과 비교하면 281984KRW 적다.[10]6. 캠퍼스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이다. 캠퍼스는 122839m2의 교지에 약 12동의 건축물로 이루어져 있다. 캠퍼스 동쪽에는 낙동북로722번가길이 수직으로, 사랑로132번길이 수평으로 지나가 접근할 수 있다. 캠퍼스 남쪽은 산지이다.
6. 1. 주요 시설
부산과학기술대학교는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교지 면적은 122839m2이며 약 12동의 건축물이 있다. 캠퍼스 동쪽에는 낙동북로722번가길이 수직으로, 사랑로132번길이 수평으로 지나가 접근성이 좋다. 캠퍼스 남쪽은 산지이다.참조
[1]
웹사이트
Application Guidelin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http://www.bist.ac.k[...]
2020-05-06
[2]
웹인용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academyinfo.[...]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
2024
[3]
뉴스
정부, 43개 사립대학 재정지원 제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05
[4]
뉴스
부산 과기대, 대한민국 대표 특성화 전문대학 - 경남매일
http://www.gnmaeil.c[...]
2018-04-23
[5]
뉴스
[LI NC+/부산과학기술대학교] NBP+기반 지역밀착 사회맞춤형 인력 양성 -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
2018-02-20
[6]
웹인용
학과안내
http://www.bist.ac.k[...]
2022-09-15
[7]
웹인용
국제교류기관
http://kj.bist.ac.kr[...]
[8]
웹인용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공시)
https://academyinfo.[...]
2019-04-01
[9]
웹인용
부산 재학생 1인당 장학금(원)
https://academyinfo.[...]
[10]
웹인용
재학생 1인당 장학금(원)
https://academyinfo.[...]
[11]
웹인용
대학알리미
http://www.academyin[...]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