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경찰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경찰청은 부산광역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63년 부산직할시 경찰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2021년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조직으로 청장, 3명의 부장, 각 과, 그리고 김해공항경찰대, 경찰특공대 등 직할 부대를 두고 있으며, 15개의 경찰서를 관할한다. 과거 권기선 전 청장의 욕설 논란, 예능 프로그램 출연 경찰관 포상 논란, 학교 전담 경찰관의 비위 사건 등 여러 사건과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시·도경찰청 - 서울특별시경찰청
서울특별시경찰청은 서울특별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 기관으로, 과거 여러 명칭을 거쳐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나, 과거 촛불집회 관련 언론 보도 요청 및 2022년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부실 대응 등으로 논란과 비판을 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경찰청 - 충청북도경찰청
충청북도경찰청은 충청북도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45년 충청북도 경찰부로 출발하여 명칭 변경과 조직 개편을 거쳐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과 함께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도내 시·군 경찰서를 관할하고 범죄 예방, 수사, 교통 관리, 경비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 부산광역시의 경찰서 - 부산북부경찰서
부산북부경찰서는 1999년 개서하여 부산광역시 북구를 관할하며 구포, 만덕, 화명, 덕천 지구대와 금곡파출소를 운영하여 치안 유지 및 범죄 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 부산광역시의 경찰서 - 부산동래경찰서
부산동래경찰서는 1945년 동래경찰서로 시작하여 관할 구역 조정과 명칭 변경을 거쳐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동래구를 관할하며 6개의 지구대 및 파출소를 운영하고 있다. - 부산 연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지방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은 1948년 개청하여 부산광역시 12개 구를 관할하는 검찰청으로, 동부지청과 서부지청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연제구 거제동에 위치한다. - 부산 연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법원은 1896년 부산재판소를 전신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류민 재판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일부 구와 군을 관할하는 본원, 동부지원, 서부지원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판부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부산광역시경찰청 | |
---|---|
기본 정보 | |
![]() | |
영어 | B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BMPA) |
한글 | 부산광역시경찰청 |
한자 | 釜山廣域市警察廳 |
가타카나 | 푸사ングァンヨクシギョンチャルチョン |
지방경찰청 정보 | |
이름 | 부산광역시경찰청 |
영문 표기 | B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 |
약칭 | 부산경찰청 |
주소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999 |
설치 년도 | 1963년 |
상급 기관 | 경찰청 (국가경찰사무) 부산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자치경찰사무) 국가수사본부 (수사사무) |
산하 경찰서 | 15개서 |
산하 기관 | 4개 |
청장 | 치안정감 김수환 |
관할 구역 | 부산광역시 |
경찰서 이름 | 경찰서 |
웹사이트 | 부산광역시경찰청 웹사이트 |
2. 연혁
-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 창설[1]
- 1946년 5월 18일: 부산경찰서가 제15구 경찰서로 개칭[1]
- 1957년 7월 26일: 제15구 경찰서를 중부경찰서로, 북부산경찰서를 동부산경찰서로, 부산수상경찰서를 영도경찰서로 각각 개칭하고, 중부경찰서에서 서부산경찰서 신설[1]
- 1963년 1월 1일: 경상남도 경찰국에서 분리되어 부산직할시 경찰국 설치[1]
- 1968년 1월 29일: 부산남부경찰서 설치[1]
- 1973년 7월 14일: 부산중부경찰서를 중부경찰서, 부산서부경찰서를 서부경찰서, 부산동부경찰서를 동부경찰서, 부산북부경찰서를 북부경찰서로, 부산남부경찰서를 남부경찰서로 명칭 변경[1]
- 1977년 11월 14일: 해운대경찰서 설치[1]
- 1978년 8월 9일: 북부경찰서 (현재의 부산사상경찰서) 설치 및 구 북부경찰서는 부산진경찰서로 명칭 환원[1]
- 1982년 4월 30일: 금정경찰서 설치[1]
- 1991년 8월 1일: 부산직할시 경찰국에서 부산직할시지방경찰청으로 개칭[1]
- 1995년 1월 1일: 부산직할시지방경찰청에서 부산광역시지방경찰청으로 개칭[1]
- 2021년 1월 4일: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부산광역시경찰청으로 개칭[2]
2. 1. 부산직할시 경찰국 (1963년 ~ 1991년)
1963년 1월 1일 경상남도 경찰국에서 분리되어 부산직할시 경찰국이 신설되었다.[1] 부산중부경찰서는 부산중부경찰서로, 서부경찰서는 부산서부경찰서로, 동부경찰서는 부산동부경찰서로, 부산진경찰서는 부산북부경찰서로 각각 개칭되었다.[1]2. 2. 부산직할시지방경찰청 (1991년 ~ 1995년)
1991년 8월 1일 부산직할시 경찰국이 부산직할시지방경찰청으로 변경되었다.[1] 1991년 12월 22일에는 연산경찰서가 설치되었고,[2] 1994년 1월 22일에는 강서경찰서가 설치되었다.[3]2. 3. 부산광역시지방경찰청 (1995년 ~ 2021년)
1995년 1월 1일 부산직할시지방경찰청이 부산광역시지방경찰청으로 변경되었다.[1] 같은 해 7월 2일에는 북부경찰서가 설치되고, 기존 북부경찰서는 사상경찰서로 이름이 바뀌었다.[1] 2001년에는 부산진경찰서를 제외한 경찰서 이름 앞에 지명을 추가하여 부산○○경찰서(○○에는 지명이 들어감) 형태로 변경되었다.[1] 2006년 3월 1일에는 부산남부경찰서, 부산연제경찰서(2006년 이전 연산경찰서[1]), 부산해운대경찰서, 부산금정경찰서를 제외하고 구와 동일한 관할로 조정되었다.[1]2. 4. 부산광역시경찰청 (2021년 ~ 현재)
2021년 1월 1일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라 부산광역시경찰청으로 변경되었다.[1] 같은 해 1월 4일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정식 명칭을 부산광역시경찰청으로 개칭하였다.[2]3. 조직
부산광역시경찰청은 부산광역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청장 아래 홍보담당관, 청문감사담당관을 두고 있으며, 직할대로 김해공항경찰대, 경찰특공대, 기동본대, 제1·2·3기동대가 있다. 1·2·3부장 산하에는 각각 경무과, 정보화장비과, 교통과, 경비과, 112종합상황실,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과, 수사과, 형사과, 정보과, 보안과, 외사과를 두고 있다.
3. 1. 지휘부
직위 | 이름 | 비고 |
---|---|---|
청장 | ||
홍보담당관 | ||
청문감사담당관 | ||
김해공항경찰대장 | ||
경찰특공대장 | ||
기동본대장 | ||
제1기동대장 | ||
제2기동대장 | ||
제3기동대장 | ||
제1부장 | ||
경무과장 | ||
정보화장비과장 | ||
교통과장 | ||
경비과장 | ||
제2부장 | ||
112종합상황실장 | ||
생활안전과장 | ||
여성청소년과장 | ||
수사과장 | ||
형사과장 | ||
제3부장 | ||
정보과장 | ||
보안과장 | ||
외사과장 |
3. 2. 참모 부서
- 경무계
* 기획예산계
* 인사계
* 교육계
* 경리계정보화장비과
* 정보화장비기획계
* 정보통신운영계
* 장비관리계교통과
* 교통계
* 안전계
* 관제계
* 면허계
* 교통조사계
* 교통순찰대
* 고속도로순찰대경비과
* 경비계
* 작전의경계
* 경호계
* 항공대2부장 112종합상황실 생활안전과
* 생활안전계
* 생활질서계
* 지하철경찰대여성청소년과
* 여성보호계
* 아동청소년계수사과
* 수사1·2계
* 사이버수사대
* 이의조사팀
* 금융범죄수사대형사과
* 강력계
* 폭력계
* 과학수사계
* 광역수사대
* 마약수사대3부장 정보과
* 정보1·2·3·4·5계보안과
* 보안계
* 보안수사 1·2계외사과
* 외사기획계
* 국제범죄수사대
* 외사정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