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해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해국제공항은 1976년 개항한 부산광역시의 공항으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영한다. 1940년 수영비행장으로 시작하여, 1976년 김해군으로 이전하며 김해국제공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3년부터 국제선 터미널 확장 공사를 진행했으며, 2016년 김해신공항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백지화되었고, 현재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2023년에는 에어부산이 가장 많은 승객을 수송했으며, 2023년 국내선 최다 이용 노선은 제주 노선, 국제선은 후쿠오카 노선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군산공항
    군산공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1938년 일본군 비행장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민간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국제선 취항 문제, 소음 피해 등의 논란이 있는 공항이다.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청주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은 1978년 군사 비행장으로 개항하여 1997년 민간 국제공항으로 전환된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무비자 환승 공항 지정 후 이용객이 급증하였으나, 군사 공항으로 사진 촬영 제한 및 시설 확장, 명칭 변경 논란이 있다.
  • 김해국제공항 -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는 2002년 김해국제공항 착륙 중 돗대산에 추락하여 129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기장의 부적절한 조종과 승무원 자원 관리 미흡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 김해국제공항 - 공항로 (부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과 대저1동을 잇는 공항로는 르노삼성대로와 직결되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중앙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낙동남로, 낙동북로 등 주요 도로와 교차하여 김해국제공항 방면으로 이어진다.
  • 부산 강서구의 건축물 - 부산신항역
    부산신항역은 2010년 부산신항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구내 선로가 전철화되었으며, 장유역과 남철송장역, 북철송장역 사이에 위치한다.
  • 부산 강서구의 건축물 - 부산교도소
    부산교도소는 1947년 개소하여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창원 탈주 사건 등 여러 사건과 교도소장의 비위 연루 등의 논란이 있었고, 부산구치소와의 통합이 추진되기도 했다.
김해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김해국제공항
로마자 표기Gimhae Gukje Gonghang
한자 표기金海國際空港
영어 이름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ATA 코드PUS
ICAO 코드RKPK
공항 유형공공/군사
개항일1976년 8월 1일
소유주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운영 기관한국공항공사
대한민국 공군
관할 지역부산-경남권 및 경상도
위치부산광역시 강서구
허브 항공사에어부산
주요 취항 항공사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고도2 m
웹사이트김해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웹사이트 (한국어)김해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활주로 정보
활주로 1 방향18L/36R
활주로 1 길이2,743 m
활주로 1 표면콘크리트
활주로 2 방향18R/36L
활주로 2 길이3,200 m
활주로 2 표면콘크리트
통계 (2023년)
항공기 운항 횟수82,185 회
국제선 여객6,521,513 명
국내선 여객7,173,197 명
총 여객 수13,694,710 명
기타
군사 시설김해 공군기지
김해국제공항
2011년 김해국제공항
관련 정보
신공항 건설 계획가덕도신공항

2. 역사

김해국제공항 개항 이전에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했던 수영비행장(이후 부산비행장)이 이용되었다. 1976년 8월 김해국제공항이 현재 위치에 개항하면서 기존 부산비행장의 상업 항공 교통 기능이 이전되었다.

1983년 5월에는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이 완공되었고,[7] 이후 공항 시설 확충이 이루어졌다. 국제선 노선도 점차 확대되어 1992년 10월 대한항공호놀룰루 노선을 취항했으며,[8] 2002년 4월에는 노스웨스트 항공도쿄 나리타 공항을 경유하는 미국행 노선을 개설했다.[9][10]

2007년 3월에는 루프트한자가 서울을 경유하는 뮌헨 노선을 개설하여 부산과 유럽을 잇는 첫 노선이 되었다.[11][12] 같은 해 11월에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이 문을 열었다.[13]

그러나 일부 노선은 운항을 중단하기도 했다. 2012년 5월에는 노스웨스트 항공을 합병한 델타항공이 도쿄 노선을 중단했고,[9][11] 2014년 3월에는 루프트한자가 뮌헨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14]

2. 1. 수영비행장과 민항기 취항 (1940-1976)

일제1940년 현재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벡스코 부지에 건설한 육군 비행장인 '''수영비행장'''은 김해국제공항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광복 직후인 1946년 미군정은 C-47 항공기 8대를 투입하여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 - 대구 - 부산 간 노선을 주 2회 운항하기 시작하면서 민간인 이용이 시작되었다.

1948년 10월 30일부터는 대한국민항공사(KNA)가 서울 - 부산 간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였다. 수영비행장은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8월부터 정전 후 여의도비행장이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임시국제공항으로 사용되었다. 1953년 12월부터는 수영비행장을 기점으로 광주, 군산, 대구, 제주를 연결하는 국내선 노선을 부정기적으로 운항하였다. 1957년 12월 17일에는 항공통신소가 설치되었다.

1958년 1월 30일에 수영비행장은 '''부산비행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63년 9월 30일 교통부에 의해 정식 국제공항으로 승격하였다.[65]

1976년 8월, 현재의 위치에 김해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수영비행장의 민간 항공 기능은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고, 수영비행장은 폐쇄되었다. 폐쇄된 수영비행장 부지에는 이후 벡스코, 센텀시티 등이 건설되었다.

2. 2. 김해국제공항 개항과 발전 (1976-현재)

1976년 8월, 기존 부산비행장(1940년 일제에 의해 건설된 수영비행장이 전신)의 기능이 당시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면서 '''김해국제공항'''이라는 이름으로 개항했다.[7] 김해국제공항이라는 명칭은 개항 당시 행정구역이 경상남도 김해군이었기 때문에 붙여졌으며, 공항 부지는 1978년 2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 기존 부산비행장 부지는 공군 비행장으로 사용되다가 1987년에 폐쇄되었고, 현재 그 자리에는 센텀시티와 벡스코 등이 들어서 있다.

1983년 5월부터 한국공항공사가 김해국제공항을 인수하여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5월에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이 완공되었다.[7] 이후 공항 시설 확충을 통해 1993년 5월에는 현재 사용 중인 국내선 청사가, 2007년 11월에는 국제선 청사가 각각 신축되었다. 특히 2007년 국제선 청사 신축은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국제선과 국내선 환승이 용이한 김해국제공항의 장점을 살려 한국 남부 관문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신축된 국제선 터미널은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개장식을 가졌으며,[13] 이용객의 편의를 고려하여 콤팩트하고 기능적으로 설계되었고 국제선 간 환승 동선도 최소화했다. 현재 국제선 터미널과 국내선 터미널은 인접해 있어 도보 이동이 가능하며, 무료 셔틀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개항 이후 김해국제공항은 다양한 국제 노선을 유치하며 성장했다. 1992년 10월에는 대한항공호놀룰루 노선을 취항했으며,[8] 2002년 4월에는 노스웨스트 항공도쿄 나리타 공항을 경유하여 미국으로 가는 노선을 개설했다.[9][10] 2007년 3월에는 루프트한자가 서울을 경유하는 뮌헨 노선을 개설하여 부산과 유럽을 잇는 최초의 노선이 되었다.[11][12] 하지만 일부 노선은 운항을 중단하기도 했는데, 노스웨스트 항공을 합병한 델타항공2012년 5월 도쿄 노선을 중단했고,[9][11] 루프트한자 역시 2014년 3월 부산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14]

현재 김해국제공항은 부산뿐만 아니라 서울(김포국제공항) 및 제주(제주국제공항) 등 국내 주요 도시를 연결하고, 일본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나고야/주부, 후쿠오카, 삿포로/신치토세, 오키나와/나하, 마쓰야마, 쿠마모토 등 8개 도시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선을 운항하며 대한민국 남부 지역의 핵심 관문 공항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 시설

김해국제공항은 여객 수송을 위한 여객 터미널과 항공기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 항공기 주기 공간인 계류장, 그리고 안전 운항을 지원하는 다양한 항행안전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각 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터미널

여객 터미널은 연간 2,100만 명(국내선 1,269만 명, 국제선 831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68] 현재 국제선 터미널과 국내선 터미널은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두 터미널은 인접해 있어 도보로 이동 가능하고 무료 셔틀버스도 운행된다.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을 계기로 김해국제공항은 국제선과 국내선 환승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터미널 재건축을 진행했다. 새롭게 지어진 국제선 터미널은 2007년 11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국제선 간 환승도 최소한의 이동 거리로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터미널 내부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다. 체크인 카운터의 경우, 에어부산 이용객을 위한 전용 카운터가 마련되어 있다. 출국 심사대를 통과한 후 출발 로비에는 간단한 간식을 판매하는 매장 2곳과 롯데면세점, 경복궁면세점 등 2개의 면세점이 있다. 편의점으로는 CU가 입점해 있다. 라운지는 2층에 대한항공(KAL) 라운지와 에어부산 라운지가 있으며, 두 곳 모두 프라이어리티 패스로 이용할 수 있다. 1층에는 프라이어리티 패스 전용 라운지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3. 2. 활주로

김해국제공항에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활주로가 있다.[69] 하나는 길이 3200m × 폭 60m이고, 다른 하나는 길이 2743m × 폭 45m이다.[69] 이 활주로들의 연간 항공기 처리 능력은 민간 항공기 기준으로 118,000회이다.[69]

활주로 운영을 지원하는 항행안전시설로는 계기착륙시설(ILS), 무선표지(TVOR/DME), 항공등화, RVR(시정자동측정장치) 등이 있다. 공항 등급은 CAT-II로, 착륙 가능한 활주로 가시범위는 300m에서 550m 사이다.

3. 3. 계류장

382594m2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26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3. 4. 항행 안전 시설

김해국제공항은 다음과 같은 항행 안전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항 등급은 CAT-II로, 착륙 가능한 활주로 가시범위는 300m에서 550m 사이다.

3. 5. 급유 시설

2019년 8월 1일 한국공항공사가 4180억을 들여서 김해국제공항에 620만 리터 규모의 하이드런트 급유 시설을 신설함에 따라 급유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으며, 이에 따라 A350이나 B787같은 중형 광동체기의 운항 여건이 개선됐다.[75]

4. 군-민 공용

대한민국 공군 김해기지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일본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된 부산비행장 (수영비행장)을 이전하기 위해 기존의 공군 기지를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6.25 전쟁 당시 미군은 이 기지를 서부산공군기지 (Pusan West (K-1) Air Base영어)로 이름붙였다.[64] 1976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공군의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사용하고 있다.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성남 서울공항의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 최대 크기 수송기인 C-130, 조기경보기 E-737 등을 운영하는 부대이다. 제5공중기동비행단에는 실미도 부대의 부대마크를 그대로 사용하는 특수부대가 있다.

5. 운항 노선

김해국제공항은 대한민국 남부 지역의 핵심 관문 공항으로서 국내선과 국제선을 활발히 운항하고 있다. 국내선은 서울(김포)제주 노선이 주축을 이루며, 대한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등 여러 항공사가 운항한다.

국제선은 특히 아시아 지역 노선망이 발달해 있다. 일본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후쿠오카 등 주요 도시와 중국베이징(수도), 상하이(푸둥), 칭다오 등을 연결한다. 동남아시아 노선도 다양하여 방콕(수완나품), 싱가포르, 다낭, 세부 등 인기 휴양지로 향하는 항공편이 많다.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등 국내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다수의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며, 중국국제항공, 베트남 항공, 싱가포르 항공 등 여러 외국 항공사들도 취항하고 있다.

화물 노선으로는 대한항공 화물이 서울(인천) 노선을 운항한다.

자세한 운항 노선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국내선


5. 2. 국제선

2014년 초까지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을 운항하는 지역 국제공항이었다. 하지만 1994년 대한항공호놀룰루 직항 노선 폐지, 델타 항공나리타 경유 미주 노선 폐지에 이어[66] 2014년 3월 30일 루프트한자의 뮌헨행 노선마저 인천 출발로 단축되면서 정기 중장거리 노선은 사라졌다. 따라서 현재 김해국제공항에서 미주나 유럽으로 가려면 인천국제공항이나 일본 등 외국의 국제공항에서 환승해야 한다.

김해국제공항은 이용률에 비해 운항 기반 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공항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항공기의 최대이륙중량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장거리용 대형 항공기의 이착륙이 어렵다. 또한, 착륙 시 주변 지형 때문에 선회 접근을 해야 하는데, 이는 2002년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2019년 8월 하이드런트(Hydrant) 방식 급유 시설이 설치되기 전까지는 급유 시설 용량 부족 문제도 심각하여 대형기는 물론 중형 광동체기의 운항도 어려웠다. 이러한 지리적, 시설적 제약과 커퓨 타임(야간 운항 통제 시간)은 장거리 노선 취항의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020년 3월 취항 예정이었던 핀에어헬싱키 노선 역시 최대이륙중량 문제로 인해 김해 출발편은 A350 항공기의 일부 좌석을 비우고 운항할 계획이었다.[67] 과거 루프트한자가 운항했던 뮌헨 노선의 A340 항공기는 김해의 부족한 급유 시설 때문에 중간 기착지인 인천국제공항에서 급유를 받아야 했다.

2007년 11월 1일, 새 국제선 터미널이 개장하여 이용객 편의를 높였다. 국제선 터미널과 국내선 터미널은 인접해 있어 도보 이동이 가능하며, 무료 셔틀버스도 운행된다. 국제선 터미널 내부에는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 롯데면세점 등 면세점, 식음료 매장, 편의점(CU) 등이 있다. 라운지대한항공(KAL) 라운지와 에어부산 라운지가 있으며, 프라이어리티 패스로 이용 가능하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많은 국제선 노선이 운휴하거나 감편되었다. 또한, 일본항공(JAL)은 저비용 항공사(LCC)와의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2021년 마지막 남은 도쿄(나리타) 노선을 폐지하고 김해국제공항에서 철수했다. 현재 JAL은 대한항공과의 코드쉐어 형태로만 운항하고 있다.[56]

아래는 2023년 7월 기준 김해국제공항의 국제선 취항 노선 목록이다.[57][58]

항공사취항지
대한항공 |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베이징(수도), 상하이(푸둥), 칭다오, 타이베이(타오위안), 후쿠오카
내항기: 서울(인천)[53]
에어부산 | 가오슝, 나트랑, 다낭, 덴파사르, 도쿄(나리타), 마쓰야마, 마카오, 방콕(수완나품), 보홀, 비엔티안, 삿포로(신치토세), 싼야, 시안, 옌지, 오사카(간사이), 울란바토르, 장자제, 칭다오, 칼리보, 코타키나발루, 타이베이(타오위안), 하이커우, 호치민, 홍콩(첵랍콕), 후쿠오카
이스타항공 | 구마모토[77], 옌지[76], 오키나와(나하)[77], 치앙마이, 타이베이(타오위안)
제주항공 | 가오슝,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보홀, 삿포로(신치토세), 세부, 스자좡, 싱가포르, 오사카(간사이), 울란바토르, 장자제, 코타키나발루, 클라크, 타이베이(타오위안), 후쿠오카
계절편: 홍콩 (2025년 1월 25일 ~ 2025년 2월 6일)[35]
진에어 | , 나트랑,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삿포로(신치토세), 세부, 오사카(간사이), 오키나와(나하), 클라크, 타이베이(타오위안)[78], 후쿠오카
티웨이항공 | 나트랑, 오사카(간사이)
중국국제항공 | 베이징(수도)
중국남방항공 | 선양
계절편: 옌지
중국동방항공 | 상하이(푸둥)
상하이 항공 | 상하이(푸둥)
춘추항공 | 상하이(푸둥)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첵랍콕)
중화항공 | 타이베이(타오위안)
타이거 항공 타이완 | 타이베이(타오위안), 타이중
MIAT 몽골 항공 | 울란바토르
베트남 항공 | 하노이, 호치민
비엣젯 항공 | 하노이, 나트랑, 다낭, 푸꾸옥, 호치민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필리핀 항공 | 마닐라



'''화물 노선'''

항공사취항지
대한항공 화물 | 서울(인천)


6. 교통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시내 및 인근 지역과 연결되는 다양한 교통 수단을 제공한다.

부산-김해 경전철 공항역이 공항 터미널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부산 도시철도와의 환승을 통해 부산 시내 각지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국내선 및 국제선 청사 인근에는 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하며, 경상남도의 주요 도시(마산, 창원, 진해, 김해, 양산, 거제 등)와 경상북도(포항, 경주, 구미), 대구 등지로 향하는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공항을 경유하여 해운대, 서면, 부산역, 구포역 등 부산 시내 주요 지점과 연결된다. 과거 운행되었던 리무진 버스는 2024년 7월 1일부로 모든 노선이 폐지되었다.[1][2]

택시 이용 시, 교통 상황에 따라 서면까지 약 20분, 해운대까지 약 55분 정도 소요될 수 있다.

6. 1. 대중교통



부산-김해 경전철 공항역


부산-김해 경전철 열차

  • '''버스'''
  • * 리무진버스 (2024년 7월 1일 노선 폐지)
  • ** 해운대 방면 (요금: 어른 1만, 어린이 6천 / 운행시간: 06:55 ~ 21:55) '''김해국제공항''' → 대남교차로 → 남천동수영역벡스코 → 올림픽요트경기장 → 한화리조트 → 웨스틴조선호텔 부산 → 그랜드호텔 → 해운대해수욕장·노보텔 앰배서더 부산 → 파라다이스호텔·면세점 → 팔레드시즈 콘도미니엄 → 장산역해운대백병원 → 동부아파트 → 대림아파트 → 벡스코수영역남천동 → 대남교차로 → '''김해국제공항'''
  • ** 부산역 방면 (요금: 어른 5천, 어린이 3천 / 운행시간: 07:10 ~ 21:40) '''김해국제공항''' → 서면롯데호텔·면세점 → 서면 → 현대백화점 → 부산진역 → 부산역토요코인 중앙동 → 중앙역 → 연안여객터미널 → 남포동 → 충무동 → 이하 역순으로 '''김해국제공항'''까지 운행
  • * 시내버스

노선 번호주요 경유지운행 시간배차 간격
307번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구포역 ↔ 동래역 ↔ 벡스코해운대역05:15, 06:15~23:2015~20분
1009번금곡동 ↔ 덕천역구포역 ↔ 강서구청역 ↔ 김해국제공항 ↔ 명지 ↔ 녹산산업단지 ↔ 부산신항 ↔ 가덕도 순창금곡동 출발 기준 05:20~20:5040분
1009-1번강서공영차고지 ↔ 김해국제공항서면역 ↔ 네오스포
1012번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동원역 ↔ 금곡주차장
2029번김해국제공항서면역수영역벡스코장산역해운대백병원


  • * 고속버스: 경주, 포항 방면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 * 마을버스

노선 번호주요 경유지
강서11번울만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북구청 ↔ 구포역덕천역 (구포시장)
강서13번하단역 ↔ 을숙도 ↔ 명지 ↔ 덕두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역 (덕천 나들목)


  • '''택시'''
  • * 일반택시와 모범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 * 주요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 서면 약 20분, 남포동 약 35분, 동래구 약 35분, 해운대 약 55분.

6. 2. 도로 교통



김해국제공항을 오가는 다양한 도로 교통편이 운행되고 있다.

=== 버스 ===

==== 리무진버스 ====

2024년 7월 1일부로 해운대 방면과 부산역 방면 리무진버스 노선이 모두 폐지되었다.[1][2] 아래는 폐지 전 운행 정보이다.

  • '''해운대 방면 (폐지됨)''': (요금: 어른 1만, 어린이 6천, 운행시간: 06:55 ~ 21:55) 김해국제공항 → 대남교차로 → 남천동 → 수영역벡스코 → 올림픽요트경기장 → 한화리조트 → 웨스틴조선호텔 부산 → 그랜드호텔 → 해운대해수욕장·노보텔 앰배서더호텔 → 파라다이스호텔·면세점 → 팔레드시즈 콘도미니엄 → 장산역 → 해운대백병원 → 동부아파트 → 대림아파트 → 벡스코수영역 → 남천동 → 대남교차로 → 김해국제공항
  • '''부산역 방면 (폐지됨)''': (요금: 어른 5천, 어린이 3천, 운행시간: 07:10 ~ 21:40) 김해국제공항 → 서면롯데호텔·면세점서면 → 현대백화점 → 부산진역 → 부산역 → 토요코인 중앙동 → 중앙역 → 연안여객터미널 → 남포동 → 충무동 → 이하 역순으로 김해국제공항까지 운행


==== 시내버스 ====

노선 번호주요 경유지운행 시간배차 간격
307번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만덕역 ↔ 동래역 ↔ 센텀시티역(벡스코) ↔ 해운대해수욕장05:15 ~ 23:2015~20분
1009번금곡동 ↔ 덕천역구포역 ↔ 강서구청역 ↔ 김해국제공항 ↔ 명지 ↔ 녹산산업단지 ↔ 부산신항 ↔ 가덕도 순창금곡동 출발 기준 05:20 ~ 20:5040분
1009-1번강서공영차고지 ↔ 김해국제공항서면역 ↔ 네오스포
1012번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동원역 ↔ 금곡주차장
2029번 (심야)김해국제공항서면역수영역벡스코장산역 ↔ 해운대백병원


  • 201번 노선은 폐지되었다.


==== 고속/시외버스 ====

김해공항시외버스터미널에서 마산, 창원, 진해, 장유, 김해, 포항, 경주, 구미, 동대구, 울산, 언양, 양산, 고현, 옥포, 장승포 등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 마을버스 ====

  • '''강서 11번''': 울만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북구청 ↔ 구포역덕천역 (구포시장)
  • '''강서 13번''': 하단 ↔ 을숙도 ↔ 명지 ↔ 덕두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역 (덕천 나들목)
  • 마을버스 11번, 13번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강서구청역 및 경부선 구포역까지 운행한다.


=== 택시 ===

일반택시와 모범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주요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 시간은 다음과 같다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기타 ===

7. 통계

(내용 없음)

7. 1. 이용객 추이

2000년 김해국제공항의 연간 이용객은 935만 명을 넘어섰으나,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고속도로 신설 등의 영향으로 국내선 수요가 감소하면서 2005년에는 704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후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를 겪으며 2009년에는 687만 명까지 감소했다.[80]

그러나 2010년대 들어 저비용 항공사의 성장과 함께 제주 노선 및 국제선 이용객이 빠르게 증가하여 2014년에는 연간 이용객 1,000만 명을 다시 돌파했다.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 2018년에는 1,700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이용객 수가 급감했다.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4월 2일부터 김해 - 인천 노선은 국제선 환승 전용으로 운영 방식이 변경되었다.[81] 해당 노선 이용객은 국제선 터미널을 이용하지만, 한국공항공사의 공식 통계상으로는 국내선 이용객으로 집계된다.

항공 교통 통계
연도항공기 운항편수여객 수화물 운송량 (톤)
200161,2429,168,089203,335
200260,0909,173,288204,464
200358,6008,782,835185,372
200452,2127,674,153175,850
200550,7357,045,806152,407
200652,9357,071,037135,607
200758,1197,403,262126,947
200859,5757,202,117113,710
200961,1716,870,157105,320
201062,2258,160,546119,390
201166,5258,749,153126,710
201271,7139,196,090121,256
201377,6659,671,381116,185
201478,64610,378,867123,242
201587,70912,382,150146,694
201699,35814,900,815185,472
2017107,36316,403,541186,471
2018110,92417,064,613183,507
2019111,27616,931,023171,953
202053,1507,235,65248,250
202157,6948,859,30436,010
202261,73310,027,09755,555
202382,18513,694,710113,703
출처: 한국공항공사 교통 통계[54]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터미널 외관


2012년 김해국제공항 모습


다음은 2023년 김해국제공항 이용객 수 기준 상위 10개 항공사이다.

'''상위 항공사 (2023)'''
순위항공사국내선
승객
국제선
승객
총계비율
1에어부산2,673,2262,215,3554,888,58135.69%
2제주항공1,181,2561,540,5662,721,82219.87%
3대한항공1,893,205363,0692,256,27416.48%
4진에어764,035800,4811,564,51611.42%
5티웨이항공605,581136,044741,6255.42%
6비엣젯 항공591,285591,2854.32%
7베트남 항공319,960319,9602.34%
8필리핀 항공128,063128,0631.06%
9중화항공80,30380,3030.09%
10타이거에어 타이완79,30379,3030.06%


7. 2. 노선별 순위

승객국제선
승객총계비율1에어부산2,673,2262,215,3554,888,58135.69%2제주항공1,181,2561,540,5662,721,82219.87%3대한항공1,893,205363,0692,256,27416.48%4진에어764,035800,4811,564,51611.42%5티웨이항공605,581136,044741,6255.42%6베트남 저가항공591,285591,2854.32%7베트남항공319,960319,9602.34%8필리핀항공128,063128,0631.06%9중화항공80,30380,3030.09%10타이거항공 타이완79,30379,3030.06%



'''국내선 최다 이용 노선 (2023)'''
순위공항2023년 승객 수운항편 수주요 항공사
1제주3,579,94620,198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2서울-김포3,275,77421,146에어부산, 에어서울,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3서울-인천317,4772,552에어부산, 제주항공, 대한항공



'''국제선 최다 이용 노선 (2023)'''
순위공항2023년 승객 수운항편 수주요 항공사
1후쿠오카992,6025,375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2오사카-간사이896,8824,748에어부산, 제주항공,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3도쿄-나리타551,8993,410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4타이베이-타오위안541,1083,502에어부산, 중화항공, 타이거항공 타이완,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5다낭493,7502,882에어부산, 베트남 저가항공, 베트남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6방콕-수완나품391,1972,143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7냐짱307,3131,625에어부산, 제주항공, 베트남 저가항공
8호치민295,3561,449베트남 저가항공, 베트남항공
9하노이291,8211,460베트남 저가항공, 베트남항공
10세부250,7681,465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11삿포로-치토세166,137961에어부산, 진에어
12138,773961제주항공, 진에어
13마닐라116,274696필리핀항공
14클라크108,564824에어부산, 진에어, 필리핀항공
15싱가포르103,090722제주항공, 싱가포르항공


8. 사건 및 사고

9. 논란

김해국제공항은 운영 및 확장 과정에서 몇 가지 주요 논란에 직면했다. 대표적으로 공항의 운영 한계와 영남권 항공 수요 증가에 따라 불거진 동남권 신공항 건설 논란이 있다. 또한, 공항의 행정구역과 명칭 불일치로 인한 명칭 변경 문제도 제기된 바 있다.

9. 1. 동남권 신공항 논란

영남권 국제선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김해국제공항은 군용 공항을 겸하고 있어 소음 피해 문제로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다. 또한 공항 주변의 신어산, 돗대산 등 지형적 장애물 때문에 활주로 이용에 제약이 있어, 이를 대체할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검토되었다.

이에 부산광역시는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해상 공항으로 가덕도 남쪽 해상을 주장했고,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울산광역시는 접근성이 좋은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을 주장하며 대립했다.

2011년 3월 30일 당시 국토해양부(현재의 국토교통부)는 과도한 건설 비용과 낮은 경제성을 이유로 신공항 사업 검토를 백지화했다. 이후에도 건설 요구가 이어졌으나, 박근혜 정부 시기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 의뢰한 용역에서도 경제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2016년 6월 21일 국토교통부는 신공항 건설 대신 김해국제공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9. 2. 명칭 변경 문제

2011년 10월, 부산광역시는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에 위치함에도 공항 명칭이 '김해'인 점을 들어 '부산국제공항'으로 변경을 추진했다. 이에 경상남도 김해시는 반발하였다. 부산광역시는 도시명과 공항명이 달라 국내외 이용객에게 혼란을 준다는 점, 공항이 김해군 소속이었던 기간은 1년 반에 불과하나 부산광역시 소속 기간은 30년이 넘는다는 점, 이용객의 59%가 부산 시민이라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84] 하지만 김해시의 반발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명칭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85]

10. 확장 계획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청사2013년 이용객 수가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인 464만 명에 육박하자, 한국공항공사2013년부터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 공사를 시작했다. 2017년 7월, 터미널을 남쪽으로 34% 확장하여 연간 처리 능력을 631만 명으로 늘렸다.[70][71] 그러나 김해공항의 국제선 이용객 수는 빠르게 증가하여 2016년에 이미 770만 명을 넘어섰다.[72] 이에 따라 2024년 4월, 다시 청사를 증축하여 국제선 터미널 수용 능력을 830만 명으로 늘렸다.[73]

이러한 시설 확충 노력의 일환으로, 2013년 말에는 신규 취항 및 증편에 맞춰 1119억을 투입하여 탑승교(보딩 브리지)와 수하물 수취소의 벨트 컨베이어를 증설하는 등 시설 확장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59] 또한, 2019년 8월 1일에는 한국공항공사가 418억을 들여 620L 규모의 하이드런트 급유 시설을 신설하여 급유 문제를 일부 해결했으며, 이에 따라 A350이나 B787 같은 중형 광동체기의 운항 여건이 개선되었다.[75]

한편, 김해공항의 열악한 시설과 운항 여건으로 인해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두 차례 추진되었으나, 모두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 무산되었다. 결국 2016년 6월 21일, 국토교통부는 영남권 신공항 건설 대신 김해국제공항에 새로운 활주로를 신설하는 확장안을 결정하고, 이를 '''김해 신공항'''으로 명명했다.[74]

그러나 2020년 11월 17일,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는 안전, 소음, 환경, 시설운영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을 지적하며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검증 결과를 발표했고, 이에 따라 김해 신공항 건설 계획은 사실상 백지화되었다.[60] 이후 신공항 건설은 가덕도에 추진하는 것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2022년 4월 가덕도 신공항 건설이 확정되었으며 2035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61]

참조

[1] 웹사이트 Airport information for RKPK https://web.archive.[...] 2006-10-00
[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6-03-18
[3]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2007-11-06
[4] 뉴스 (LEAD) Gov't committee virtually scraps new Gimhae airport project https://en.yna.co.kr[...] 2020-11-17
[5] 웹사이트 South Gyeongsang Province seeks to name new airport after heroic admiral https://www.koreatim[...] 2023-08-22
[6] 웹사이트 Gimhae Airport (PUS)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https://gimhaeairpor[...] 2024-02-06
[7] 웹사이트 https://www.airport.[...]
[8] 간행물 Korean Air 50 Years History Volume 1: History https://kr.img.news.[...] 2019-11-00
[9] 뉴스 https://www.yna.co.k[...] 2012-02-09
[10] 뉴스 Northwest's traffic pushed up in January by holiday, Asia flights 2003-02-06
[11] 뉴스 https://www.yna.co.k[...] 2013-11-08
[12] 뉴스 https://www.chosun.c[...] 2007-02-22
[13] 뉴스 https://news.sbs.co.[...] 2007-10-31
[14] 뉴스 Busan-Amsterdam air route to be launched in late October http://www.koreahera[...] 2015-09-25
[15] 웹사이트 AIR BUSAN PLANS BANGKOK LAUNCH IN LATE-JULY 2022 https://aeroroutes.c[...] 2022-07-11
[16] 웹사이트 AIR BUSAN SCHEDULES BUSAN – DENPASAR LATE-OCT 2024 LAUNCH https://www.aerorout[...] Aeroroutes
[17] 웹사이트 Air Busan W19 International network additions https://www.routeson[...]
[18] 웹사이트 Air Busan Resumes Busan – Hong Kong Service From Nov 2024 https://www.aerorout[...]
[19] 웹사이트 Air Busan schedules Kota Kinabalu service from May 2019 https://www.routeson[...]
[20] 웹사이트 https://m.sedaily.co[...] 2019-12-26
[21] 웹사이트 Air Busan Resumes Taipei Service in late-Dec 2022 https://www.aerorout[...] 2022-11-25
[22] 웹사이트 Air China Resumes Busan Service From April 2023 https://www.aerorout[...]
[23]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NS23 International / Regional Network – 23APR23 https://www.aerorout[...]
[24] 웹사이트 CHINA SOUTHERN RESUMES YANJI – BUSAN IN 3Q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4-07-08
[25] 웹사이트 Eastar Jet Adds Busan-Chiang Mai From mid-Dec 2024 https://www.aerorout[...]
[26] 웹사이트 Eastar Jet Schedules New Busan – Japan Routes in late-Dec 2024 https://www.aerorout[...]
[27] 웹사이트 Eastar Jet Resumes Busan – Taipei Service in 4Q24 https://www.aerorout[...]
[28] 웹사이트 HK Express 1Q23 Korea Service Restorations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2-11-15
[29] 웹사이트 Jeju Air Resumes Busan - Kaohsiung Service in NW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30] 웹사이트 JEJU AIR ADDS BUSAN – KOTA KINABALU SERVICE IN NW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31] 뉴스 Jeju Air to resume Busan-Singapore route next month http://www.koreahera[...] 2022-05-09
[32] 웹사이트 Jeju Air NW23 Busan / Muan Network Expansion https://www.aerorout[...] 2023-10-26
[33] 웹사이트 Jeju Air Resumes Taipei Service in Jan 2023 https://www.aerorout[...] 2022-12-07
[34] 웹사이트 Jeju Air Adds Busan – Ulaanbaatar Service From late-July 2023 https://www.aerorout[...]
[35] 웹사이트 Jeju Air Adds Busan – Hong Kong Service in 1Q25 https://www.aerorout[...]
[36] 웹사이트 Jin Air Resumes Busan – Okinawa Service in NW23 https://www.aerorout[...] 2023-08-16
[37] 웹사이트 Timetables for this Month https://www.new-chit[...] 2022-12-11
[38] 웹사이트 Jin Air adds new domestic routes in 2Q20 https://www.routeson[...] 2020-05-26
[39] 웹사이트 Jin Air Adds Busan – Taipei Service From Dec 2023 https://www.aerorout[...] 2023-10-13
[40]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Busan – Bangkok Service in 2Q24 https://www.aerorout[...] 2024-02-27
[41]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Busan – Beijing Capital Service in Sep 2024 https://www.aerorout[...] 2024-06-21
[42]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Additional Busan – Japan Service From late-Sep 2023 https://www.aerorout[...] 2023-07-19
[43]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Busan - Qingdao service from Dec 2024 https://www.aerorout[...] 2024-08-27
[44] 뉴스 Korean Air resuming flights to China from Gimhae https://korea.stripe[...] Stripes Korea 2024-07-10
[45]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Busan - Taipei Service in late-March 2023 https://www.aerorout[...] 2023-02-17
[46] 웹사이트 Singapore Airlines Moves Busan Resumption to late-August 2023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3-01-26
[47] 웹사이트 Spring Airlines Adds Shanghai – Busan Service in NW24 https://www.aerorout[...] 2024-09-20
[48] 웹사이트 tigerair Taiwan NW22 Operation Changes – 13OCT22 https://www.aerorout[...] 2022-10-27
[49] 웹사이트 T'Way Air NW22 Japan Operations – 27OCT22 https://www.aerorout[...] 2022-10-27
[50] 웹사이트 VietJet Air Boosts Busan Service in late-July 2022 https://aeroroutes.c[...] 2022-07-05
[51] 웹사이트 Vietjet Air adds Cam Ranh/Nha Trang – Busan service from July 2019 https://www.routeson[...]
[52] 웹사이트 VietJet Air Adds Phu Quoc – Busan Service From Dec 2023 https://www.aerorout[...] 2023-10-04
[53]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Seoul Incheon – Busan Service in late-Sep 2022 https://www.aerorout[...] 2022-09-04
[54] 웹사이트 Air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2023-07-23
[55] 웹사이트 KAC https://www.airport.[...] 2022-02-20
[56] 일반
[57] 웹사이트 Flight schedule https://www.airport.[...]
[58] 웹사이트 プサン・金海国際空港 飛行機時刻表 https://transit.navi[...]
[59] 뉴스 地方釜山・金海空港発着の国際線 大幅増へ=施設も拡充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13-04-16
[60] 뉴스 韓国・南部の金海新空港建設計画 事実上白紙に https://jp.yna.co.kr[...] 연합뉴스 2020-11-17
[61] 웹사이트 韓国政府、プサンの新空港となるカドク島新空港推進計画を議決 2035年に開港へ https://sky-budget.c[...] sky-budget スカイバジェット 2023-03-20
[62]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Air China Flight 129 https://aviation-saf[...] 2020-02-16
[63] 웹사이트 South Korea air safety profile https://aviation-saf[...] 2020-02-16
[64] 웹사이트 Pusan(Busan) Air Base http://www.globalsec[...]
[65] 웹인용 민간항공 초기시대 http://www.airportal[...] 2007-10-31
[66] 일반
[67] 뉴스 헬싱키 직항 핀에어, 김해국제공항 승객 만석 포기 이유 들어 보니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68] 뉴스 부산 김해공항, 2016년 1,490만 이용… 年20%↑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7-01-10
[69] 뉴스 김해국제공항 슬롯 주중 20회·주말 26회로 확대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8-01-11
[70] 뉴스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 수용능력 2년 뒤엔 포화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3-03-14
[71] 뉴스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증축 완료…승객 포화 상태는 여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7-07-25
[72] 뉴스 부산 김해공항, 2016년 1,490만 이용… 年20%↑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7-01-10
[73] 뉴스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 증축 5년 만에 완공, 직항 국제노선 늘리기로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4-04-24
[74] 뉴스 10년 넘게 끈 신공항 결국 접고 '김해국제공항 확장' 택했다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6-06-21
[75] 뉴스 김해국제공항, 신축 항공유 저장소 오픈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null
[76] 뉴스인용 이스타항공, 내달까지 신규 항공기 3대 도입해 10개 노선 취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6-05
[77] 웹인용 EastarJet Schedules New Busan – Japan Routes in late-Dec 20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4-09-20
[78] 뉴스인용 진에어, 부산-타이베이 신규 취항…12월 5일부터 운항 https://www.etoday.c[...] 이투데이 2023-10-20
[79] 뉴스인용 Finnair’s Busan to Helsinki Flight Postponed Until March 2021 https://www.hapskore[...] Haps Maganzine Korea 2020-06-23
[80]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20-01-21
[81] 뉴스 김해공항에서 출입국 수속 마치고 인천에서는 환승만 하세요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2-04-02
[82] 뉴스 중국항공기 김해추락사고의 원인은 조종미숙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5-06
[83] 뉴스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10여명 부상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7-08-12
[84] 뉴스 부산 對 김해, 국제공항 명칭 놓고 갈등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1-10-19
[85] 뉴스 김해국제공항 명칭변경 본회의 상정보류로 일단락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0-19
[86] 저널인용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3-26
[87]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null
[88]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null null
[89]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null null
[90]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null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