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경찰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경찰청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 창설과 함께 수도경찰청으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경찰국,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을 거쳐 2021년 1월 4일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1993년 빌 클린턴 대통령 방한 당시 폭탄 위협 수사, 1999년 서울대학교 시위 진압, 2007년 서울청장 보복 공격 의혹, 2022년 이태원 압사 참사 관련 김광호 청장 기소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경찰청은 청장을 중심으로 공공안전, 수사, 자치경찰 관련 부서를 운영하며, 산하에 여러 경찰서, 기동단, 경비대 등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법집행기관 - 대한민국 경찰청
대한민국 경찰청은 치안과 공공 안전 유지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미군정청 경무국에서 시작하여 내무부 외청으로 독립, 자치경찰제 도입 및 국가수사본부 출범을 거쳐 현재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국, 심의관실, 과 및 담당관실로 구성되어 전국 시·도경찰청을 통해 지역 치안을 담당하고 경찰관 양성 및 특수 조직 운영 등 다양한 치안 수요에 대응한다. - 대한민국의 법집행기관 - 경찰위원회
경찰위원회는 경찰법에 따라 설치되어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민주적 운영을 도모하는 기관으로, 위원장 1인을 포함한 7인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위원 임명 과정의 정치적 고려에 대한 비판이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경찰청 - 충청북도경찰청
충청북도경찰청은 충청북도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45년 충청북도 경찰부로 출발하여 명칭 변경과 조직 개편을 거쳐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과 함께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도내 시·군 경찰서를 관할하고 범죄 예방, 수사, 교통 관리, 경비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경찰청 - 울산광역시경찰청
울산광역시경찰청은 울산광역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대한민국 경찰청 산하 기관으로, 1945년 울산경찰서로 시작하여 1999년 울산광역시지방경찰청으로 개청했으며,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한민국 경찰청 - 대한민국의 경찰청장
대한민국의 경찰청장은 국가경찰 사무를 총괄하고 경찰청 업무를 관장하며 소속 공무원과 각급 국가경찰기관을 지휘·감독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며, 1991년 7월 31일 경찰청장 체제로 개편되기 전에는 여러 직책이 존재했다. - 대한민국 경찰청 - 대한민국의 경찰청 차장
대한민국의 경찰청 차장은 경찰청장을 보좌하며 청장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는 직위로, 미군정 경무부 차장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천을 거쳐 1991년 경찰청 차장으로 개편되었고, 격변기 잦은 교체와 경찰 개혁 과제 추진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서울특별시경찰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서울특별시경찰청 |
영문 표기 |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
약칭 | 서울경찰청 |
한자 표기 | 서울特別市警察廳 |
설치 년도 | 1946년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8길 31 (내자동) |
국가 | 대한민국 |
상급 기관 | 경찰청 (국가경찰사무)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 (자치경찰사무) 국가수사본부 (수사사무) |
산하 기관 수 | 12개 |
청장 | 김봉식 (치안정감) |
관할 구역 | 서울특별시 |
산하 경찰서 수 | 31 |
경찰서 이름 | 경찰서 |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경찰청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 |
2. 역사
날짜 | 내용 |
---|---|
1945년 10월 21일 | 국립경찰 창설 (본정, 종로, 서대문, 동대문, 용산, 마포, 영등포, 성동, 창덕궁 10개 경찰서), 초대 수도경찰청장에 장택상 임명 |
1946년 9월 17일 | 수도관구 경찰청 창설 |
1947년 2월 1일 | 본정경찰서를 중부경찰서로 개칭 |
1948년 12월 30일 | 서울특별시경찰국으로 개칭 |
1949년 2월 23일 | 창덕궁경찰서를 경무대경찰서로 개칭 |
1959년 10월 27일 | 남대문경찰서 설치 |
1960년 6월 28일 | 경무대경찰서 폐지 |
1966년 7월 11일 | 노량진경찰서, 동부경찰서 설치 |
1968년 8월 26일 | 서부, 북부경찰서 설치 |
1972년 5월 30일 | 남부경찰서 설치 |
1973년 12월 12일 | 태릉경찰서 설치 |
1976년 12월 14일 | 강남, 강서, 관악경찰서 설치 |
1978년 8월 9일 | 강동경찰서 설치 |
1979년 10월 15일 | 종암경찰서 설치 |
1980년 11월 22일 | 구로경찰서 설치 |
1985년 11월 27일 | 서초경찰서 설치 |
1987년 6월 1일 | 신정경찰서 설치 |
1990년 10월 5일 | 송파, 노원경찰서 설치. 태릉경찰서를 중랑경찰서로 개칭 |
1991년 8월 1일 |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으로 개칭. 신정경찰서를 양천경찰서로 개칭 |
1991년 11월 1일 | 은평, 방배, 도봉경찰서 설치 |
1998년 2월 19일 | 수서경찰서 설치 |
2001년 11월 27일 | 경찰서 앞에 지명 추가 (서울○○경찰서, ○○은 지명) |
2006년 3월 1일 | 관할구역 조정 (1구 1경찰서, 일부 제외) 및 명칭 변경 (행정구역명과 일치, 단 동대문경찰서는 서울혜화경찰서로 변경) |
2008년 7월 30일 | 기동본부 발대[18] |
2010년 4월 20일 | 55개 지구대 폐지, 110개 파출소 설치 및 관할구역 개편[18] |
2021년 1월 4일 |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서울특별시경찰청으로 개칭. |
2.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이 창설되면서 초대 수도경찰청장에 장택상이 임명되었다. 당시 본정, 종로, 서대문, 동대문, 용산, 마포, 영등포, 성북, 성동, 창덕궁의 10개 경찰서가 설치되었다.[2]1946년 9월 17일: 수도관구 경찰청이 창설되었다.[2]
1948년 9월 3일: 서울특별시 경찰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1949년 7월 31일: 시경국장은 부시장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이 창설되면서 초대 수도경찰청장에 장택상이 임명되었다. 당시 10개의 경찰서(본정, 종로, 서대문, 동대문, 용산, 마포, 영등포, 성북, 성동, 창덕궁)가 설치되었다.[2] 1946년 9월 17일에는 수도관구 경찰청이 창설되었다.[2] 1948년 9월 3일 서울특별시 경찰국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7월 31일에는 시경국장이 부시장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1991년 8월 1일,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서울지방경찰청)이 발족되었다.[2] 2021년 1월 1일에는 자치경찰제[21] 도입에 따라 서울특별시경찰청으로 변경되었다.
서울의 경찰 조직은 1945년 8월 15일 창설된 경기도경찰부였다. 이후 여러 차례 개혁을 거쳤는데, 1951년에는 국회경비대가, 1961년에는 서울기동경찰대가 신설되었다. 1971년에는 중앙정부청사경비대가, 1973년에는 공항경찰대, 1985년에는 올림픽경비대가 신설되었다. 이들 부서는 1991년에 현재의 서울특별시경찰청으로 통합되었고,[2] 차장 1명, 부서 7개, 국장 2명, 과 17개, 직속대 7개로 구성되었다.[3]
1947년 2월 1일, 본정경찰서를 중부경찰서로 개칭하였다. 1949년 2월 23일에는 창덕궁경찰서를 경무대경찰서로 개칭하였다. 1959년 10월 27일 남대문경찰서가 설치되었고, 1960년 6월 28일 경무대경찰서는 폐지되었다.
1966년 7월 11일 노량진경찰서와 동부경찰서가, 1968년 8월 26일에는 서부, 북부경찰서가 설치되었다. 1972년 5월 30일 남부경찰서, 1973년 12월 12일 태릉경찰서, 1976년 12월 14일 강남, 강서, 관악경찰서가 설치되었다. 1978년 8월 9일 강동경찰서, 1979년 10월 15일 종암경찰서, 1980년 11월 22일 구로경찰서, 1985년 11월 27일 서초경찰서, 1987년 6월 1일 신정경찰서가 설치되었다.
1990년 10월 5일 송파, 노원경찰서가 설치되었고, 태릉경찰서는 중랑경찰서로 개칭되었다. 1991년 8월 1일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으로 개칭되었고, 신정경찰서는 양천경찰서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11월 1일 은평, 방배, 도봉경찰서가 설치되었다. 1998년 2월 19일 수서경찰서가 설치되었다.
2001년 11월 27일, 경찰서 명칭 앞에 지역명을 추가하여 '서울○○경찰서'로 변경되었다(○○에는 지명). 2006년 3월 1일에는 관할구역이 조정(일부 제외 1구 1경찰서)되고, 행정구역명과 일치하도록 명칭이 변경되었다. 단, 동대문구의 경우 동대문경찰서가 이미 존재하여 서울혜화경찰서로 변경되었다.
- 서울동부경찰서 → 서울광진경찰서
- 서울북부경찰서 → 서울강북경찰서
- 서울청량리경찰서 → 서울동대문경찰서
- 서울동대문경찰서 → 서울혜화경찰서
- 서울남부경찰서 → 서울금천경찰서
- 서울노량진경찰서 → 서울동작경찰서
2008년 7월 30일 기동본부가 발대되었고,[18] 2010년 4월 20일 55개 지구대가 폐지되고 110개 파출소가 설치되면서 관할구역이 개편되었다.[18] 2021년 1월 4일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정식 명칭을 서울특별시경찰청으로 개칭하였다.
2. 3. 주요 사건 (1993년 이후)
1993년, 서울지방경찰청(SMPA)은 방한 중인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에 대한 폭탄 위협 가능성에 대한 수사를 맡았다. 당시 그가 숙박할 예정이었던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가스관 폭발로 추정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 1999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통일을 지지하는 시위대 수백 명이 서울지방경찰청의 진압대와 최루탄, 물대포로 대치했다. 경찰을 향해 돌이 던져졌지만 경찰은 대응하지 않았고 심각한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5]2002년에는 주한미군 소속 병사 2명이 10대 소녀 2명을 과실치사한 혐의로 기소되었고, 서울지방경찰청이 이들의 신병을 인계받았다.[6] 2006년에는 서울지방경찰청이 서울에서 가짜 최음제를 거래한 혐의로 김정일의 전 경호원인 북한 탈북자를 포함한 4명을 체포했다.[7]
2007년에는 서울지방경찰청 홍영기 청장이 보복 공격 의혹으로 사퇴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서울지방경찰청이 한국 최고 부호 중 한 명을 향한 청장의 공격을 간과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9][10]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압사 사고 이후, 2024년 1월 20일 김광호 서울지방경찰청장이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김 청장은 사건 당일 현장에 충분한 경찰 병력을 배치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11]
3. 조직
서울경찰청은 청장 아래 여러 부서와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공안전차장 산하에는 경무부, 경비부, 공공안녕정보외사부가 있고, 수사차장 산하에는 수사부와 안보수사부가 있으며, 자치경찰차장 산하에는 생활안전부와 교통지도부가 있다.
3. 1. 지휘부
- 청장 (치안정감)
- * 홍보담당관 (총경)
- 차장 (치안감)
- * 청문감사담당관 (총경)
- * 112치안종합상황실장
- 공공안전차장 (치안감)
- * 경무부
- ** 경무기획과
- ** 인사교육과
- ** 정보화장비과
- * 경비부
- ** 경비과
- ** 테러대응과
- * 공공안녕정보외사부
- ** 정보상황과
- ** 정보분석과
- ** 외사과
- 수사차장 (치안감)
- * 수사심사담당관
- * 수사부
- ** 수사과
- ** 형사과
- ** 사이버안전과
- ** 과학수사과
- **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
- ** 금융범죄수사대
- ** 강력범죄수사대
- ** 마약범죄수사대
- * 안보수사부
- ** 안보수사지원과
- ** 안보수사과
- 자치경찰차장 (치안감)
- * 생활안전부
- ** 생활안전과
- ** 생활질서과
- ** 여성청소년과
- ** 지하철경찰대
- * 교통지도부
- ** 교통관리과
- ** 교통안전과
서울경찰청은 청장의 지휘 아래 운영되며, 청장은 대변인실장, 감찰실장, 그리고 차장과 함께 경찰력을 감독한다. 경찰은 크게 두 부서로 나뉘는데, 하나는 모든 경찰관, SWAT 부대, 경비대 및 항공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정보, 공보, 보안, 교통 부서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자 전문 경찰 부서를 관리한다.[13]
3. 2. 직속기관
4. 관할 경찰서
2006년 3월에 경찰서 관할구역 및 명칭 변경이 시행됨에 따라 소속 경찰서는 다음과 같다.
관할구 | 경찰서 |
---|---|
강남 | 강남, 수서 |
서초 | 방배, 서초 |
성북 | 성북, 종암 |
은평 | 서부, 은평 |
종로 | 종로, 혜화 |
중 | 남대문, 중부 |
강동 | 강동 |
강북 | 강북 |
강서 | 강서 |
관악 | 관악 |
광진 | 광진 |
구로 | 구로 |
금천 | 금천 |
노원 | 노원 |
도봉 | 도봉 |
동대문 | 동대문 |
동작 | 동작 |
마포 | 마포 |
서대문 | 서대문 |
성동 | 성동 |
송파 | 송파 |
양천 | 양천 |
영등포 | 영등포 |
용산 | 용산 |
중랑 | 중랑 |
5. 역대 청장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모리스 A. 스털링(Maurice A. Sterling) | 1945년 9월 2일 ~ 1946년 9월 2일 | 미군정 수도경찰국장 |
2대 | 장택상 | 1946년 9월 17일 ~ 1948년 8월 4일 | 수도관구경찰청장, 경기도경찰부장 겸임 |
1대 | 김태선 | 1948년 9월 3일 ~ 1950년 8월 11일 | 서울시 경찰국장 |
2대 | 이익흥 | 1950년 8월 11일 ~ 1951년 6월 24일 | |
3대 | 윤우경 | 1951년 6월 24일 ~ 1952년 5월 25일 | |
4대 | 윤명운 | 1952년 9월 8일 ~ 1953년 10월 5일 | |
5대 | 윤기병 | 1953년 10월 6일 ~ 1955년 4월 27일 | |
6대 | 변종헌 | 1955년 4월 27일 ~ 1956년 5월 26일 | |
7대 | 박병배 | 1956년 5월 26일 ~ 1956년 8월 19일 | |
8대 | 서정학 | 1956년 8월 19일 ~ 1957년 3월 11일 | |
9대 | 길경복 | 1957년 3월 11일 ~ 1957년 7월 8일 | |
10대 | 최치환 | 1957년 7월 8일 ~ 1958년 9월 1일 | |
11대 | 이성우 | 1958년 9월 1일 ~ 1958년 10월 29일 | |
12대 | 이강학 | 1958년 10월 30일 ~ 1959년 3월 27일 | |
13대 | 유충렬 | 1959년 3월 27일 ~ 1960년 5월 3일 | |
14대 | 정태섭 | 1960년 5월 6일 ~ 1960년 11월 22일 | |
15대 | 이귀영 | 1960년 11월 22일 ~ 1961년 5월 16일 | |
16대 | 이광선 | 1961년 5월 16일 ~ 1961년 8월 21일 | |
17대 | 정우식 | 1961년 8월 26일 ~ 1964년 6월 18일 | |
18대 | 박영수 | 1964년 6월 18일 ~ 1964년 7월 8일 | |
19대 | 구자춘 | 1964년 7월 8일 ~ 1966년 5월 1일 | |
20대 | 채원식 | 1966년 5월 3일 ~ 1967년 10월 10일 | |
21대 | 안명수 | 1967년 10월 10일 ~ 1968년 2월 23일 | |
22대 | 최두열 | 1968년 2월 23일 ~ 1969년 4월 15일 | |
23대 | 정상천 | 1969년 4월 15일 ~ 1970년 3월 6일 | |
24대 | 장동식 | 1970년 3월 6일 ~ 1971년 6월 12일 | |
25대 | 최정환 | 1971년 6월 12일 ~ 1971년 12월 13일 | |
26대 | 이건개 | 1971년 12월 13일 ~ 1973년 1월 16일 | |
27대 | 고동철 | 1973년 1월 16일 ~ 1974년 8월 22일 | |
28대 | 이종학 | 1974년 8월 22일 ~ 1975년 5월 26일 | |
29대 | 손달용 | 1975년 5월 26일 ~ 1978년 12월 26일 | |
30대 | 이순구 | 1978년 12월 26일 ~ 1980년 1월 14일 | |
31대 | 염보현 | 1980년 1월 14일 ~ 1980년 5월 26일 | |
32대 | 유흥수 | 1980년 5월 26일 ~ 1980년 9월 9일 | |
33대 | 박종관 | 1980년 9월 9일 ~ 1981년 3월 9일 | |
34대 | 박재식 | 1981년 3월 9일 ~ 1982년 1월 5일 | |
35대 | 이해구 | 1982년 1월 5일 ~ 1983년 4월 7일 | |
36대 | 박배근 | 1983년 4월 7일 ~ 1984년 10월 10일 | |
37대 | 강민창 | 1984년 10월 10일 ~ 1986년 1월 10일 | |
38대 | 이영창 | 1986년 1월 10일 ~ 1987년 1월 22일 | |
39대 | 권복경 | 1987년 1월 22일 ~ 1987년 5월 27일 | |
40대 | 조종석 | 1987년 5월 27일 ~ 1988년 5월 20일 | |
41대 | 김우현 | 1988년 5월 20일 ~ 1989년 5월 4일 | |
42대 | 이종국 | 1989년 5월 4일 ~ 1990년 6월 22일 | |
43대 | 김원환 | 1990년 6월 23일 ~ 1991년 7월 31일 |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1대 | 이인섭 | 1991년 8월 1일 ~ 1992년 7월 15일 |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장 |
2대 | 김효은 | 1992년 7월 15일 ~ 1993년 3월 4일 | |
3대 | 여관구 | 1993년 3월 4일 ~ 1993년 9월 21일 | |
4대 | 이기태 | 1993년 9월 21일 ~ 1994년 7월 29일 | |
5대 | 박일용 | 1994년 7월 19일 ~ 1994년 12월 26일 | |
6대 | 안병욱 | 1994년 12월 27일 ~ 1995년 12월 11일 | |
7대 | 황용하 | 1995년 12월 12일 ~ 1996년 12월 20일 | |
8대 | 이필우 | 1996년 12월 23일 ~ 1998년 3월 14일 | |
9대 | 김광식 | 1998년 3월 15일 ~ 1999년 1월 11일 | |
10대 | 이무영 | 1999년 1월 12일 ~ 1999년 11월 15일 | |
11대 | 윤웅섭 | 1999년 7월 19일 ~ 2000년 12월 6일 | |
12대 | 박금성 | 2000년 12월 7일 ~ 2000년 12월 9일 | |
13대 | 이팔호 | 2000년 12월 12일 ~ 2001년 11월 9일 | |
14대 | 이대길 | 2001년 11월 12일 ~ 2003년 3월 28일 | |
15대 | 이근표 | 2003년 3월 29일 ~ 2004년 1월 12일 | |
16대 | 허준영 | 2004년 1월 12일 ~ 2005년 1월 19일 | |
17대 | 이기묵 | 2005년 1월 21일 ~ 2005년 12월 30일 | |
18대 | 한진호 | 2006년 2월 15일 ~ 2006년 11월 27일 | |
19대 | 홍영기 | 2006년 12월 14일 ~ 2007년 5월 25일 | |
20대 | 어청수 | 2007년 6월 1일 ~ 2008년 2월 21일 | |
21대 | 한진희 | 2008년 3월 7일 ~ 2008년 7월 24일 | |
22대 | 김석기 | 2008년 7월 24일 ~ 2009년 2월 12일 | |
23대 | 주상용 | 2009년 2월 13일 ~ 2010년 1월 7일 | |
24대 | 조현오 | 2010년 1월 8일 ~ 2010년 8월 30일 | |
25대 | 이성규 | 2010년 9월 8일 ~ 2011년 11월 10일 | |
26대 | 이강덕 | 2011년 11월 11일 ~ 2012년 5월 8일 | |
27대 | 김용판 | 2012년 5월 10일 ~ 2013년 4월 1일 | |
28대 | 김정석 | 2013년 4월 2일 ~ 2013년 12월 9일 | |
29대 | 강신명 | 2013년 12월 10일 ~ 2014년 8월 22일 | |
30대 | 구은수 | 2014년 9월 12일 ~ 2015년 12월 28일 | |
31대 | 이상원 | 2015년 12월 28일 ~ 2016년 9월 23일 | |
32대 | 김정훈 | 2016년 9월 24일 ~ 2017년 12월 11일 | |
33대 | 이주민 | 2017년 12월 12일 ~ 2018년 12월 3일 | |
34대 | 원경환 | 2018년 12월 4일 ~ 2019년 7월 4일 | |
35대 | 이용표 | 2019년 7월 4일 ~ 2020년 8월 7일 | |
36대 | 장하연 | 2020년 8월 7일 ~ 2021년 7월 8일 | |
37대 | 최관호 | 2021년 7월 9일 ~ 2022년 6월 9일 | |
38대 | 김광호 | 2022년 6월 10일 ~ 2024년 1월 26일 | |
39대 | 조지호 | 2024년 1월 27일 ~ |
6. 장비
서울지방경찰청(SMPA)은 한국 경찰 전체에서 표준화된 장비를 많이 운용한다. 수도권 지역에서는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SMPA의 컴퓨터 지령 시스템, 자동차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동형 데이터 단말기는 전국적으로 표준 기능이며, 각 경찰관에게 발포 무기를 지급하는 대신 전문 무장 경찰을 사용하는 정책도 마찬가지다.[1]
SMPA는 경찰차, 경찰 픽업트럭, 경찰 트럭, 특수 임무 차량, 경찰 오토바이 등 경찰청 차량을 운용한다.[1] 서울지방경찰청은 인구가 많아 2007년 7월 세푸라와 계약하여 경찰관 5,000명에게 테트라 무전기 및 통신 장비를 공급했다. 세푸라 SRH3800 sGPS 휴대용 무전기와 SRM3500 및 SRG3500 차량용 무전기가 제공되었다.[14]
6. 1. 일반 장비
서울특별시경찰청(SMPA)은 한국 경찰 전체에서 표준화된 장비를 많이 운용한다. 특히 수도권 지역에서는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SMPA의 컴퓨터 지령 시스템, 자동차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동형 데이터 단말기는 전국적으로 표준 기능이며, 각 경찰관에게 발포 무기를 지급하는 대신 전문 무장 경찰을 사용하는 정책도 마찬가지다.[1]SMPA는 경찰차 4,891대, 경찰 픽업트럭 1,685대, 경찰 트럭 765대, 특수 임무 차량 865대, 경찰 오토바이 9,181대 등 경찰청 차량의 상당수를 운용한다.[1] 그러나 SMPA는 자체 부대에 고유한 특정 기술도 활용한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인구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2007년 7월 세푸라(Sepura)와 계약하여 경찰관 5,000명에게 테트라(TETRA) 무전기 및 통신 장비를 공급했다. 세푸라 SRH3800 sGPS 휴대용 무전기와 SRM3500 및 SRG3500 차량용 무전기가 제공되었으며, SMPA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새로운 기술도 함께 제공되었다.[14]
SMPA는 또한 서울 도로망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도로 속도 측정 시스템을 GPS를 통해 활용하여 SMPA 도로 순찰대와 일반 시민에게 제공한다.[15]
6. 2. 차량
서울특별시경찰청(SMPA)은 경찰차 4,891대, 경찰 픽업트럭 1,685대, 경찰 트럭 765대, 특수 임무 차량 865대, 경찰 오토바이 9,181대 등 상당수의 경찰청 차량을 운용한다.[1]2007년 7월 서울지방경찰청은 세푸라(Sepura)와 계약하여 경찰관 5,000명에게 테트라(TETRA) 무전기 및 통신 장비를 공급했다. 세푸라 SRH3800 sGPS 휴대용 무전기와 SRM3500 및 SRG3500 차량용 무전기가 제공되었다.[14] 또한, 서울특별시경찰청은 서울 도로망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GPS를 이용한 도로 속도 측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울특별시경찰청 도로 순찰대와 일반 시민에게 제공한다.[15]
6. 3. 교통 정보 시스템
서울지방경찰청은 GPS를 활용하여 서울 도로망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도로 속도 측정 시스템을 운영하며, 이 정보를 서울지방경찰청 도로 순찰대와 일반 시민에게 제공한다.[15]7. 비판
2011년 6월 12일, 서울특별시경찰청 교통정보센터는 TV 기자들에게 대학생 주도 촛불집회를 "불법 집회"로 보도할 것을 요청했다.[16]
8. 계급
계급 (한국어) | 계급 (영어) | 약칭 | 코드 |
---|---|---|---|
치안정감|치안정감한국어 | Chief Superintendent General | Ch. Supt. Gen | CSG |
치안감|치안감한국어 | Senior Superintendent General | Sen. Supt. Gen | SCG |
경무관|경무관한국어 | Superintendent General | Supt. Gen. | SG |
총경|총경한국어 | Senior Superintendent | Sen. Supt. | SS |
경정|경정한국어 | Superintendent | Supt. | S |
경감|경감한국어 | Senior Inspector | Sen. Ins. | SI |
경위|경위한국어 | Inspector | Ins. | I |
경사|경사한국어 | Assistant Inspector | Ass. Ins. | AI |
경장|경장한국어 | Senior Policeman | Sen. Pol. | SP |
순경|순경한국어 | Policeman | Pol. | P |
의무경찰|의무경찰한국어 | Auxiliary Police | Aux. | AP |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www.ojp.gov/b[...]
2007-08-04
[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mpa.go.k[...]
2007-08-04
[3]
웹사이트
The Period of National Police Agency
http://www.police.go[...]
2007-08-04
[4]
뉴스
Seoul Police Rule Out Bomb At Hotel Clinton Was to Use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2007-08-04
[5]
뉴스
Seoul Police Block March to the North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2007-08-04
[6]
뉴스
US soldiers charged for Korean death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8-04
[7]
뉴스
"Kim Jong-il" Aphrodisiac Gang Busted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7-08-04
[8]
뉴스
Seoul Police Chief Out Over Tycoon Probe
http://www.ibtimes.c[...]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07-08-04
[9]
뉴스
Seoul police chief resigns amid allegations over an arrest of a tycoon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8-04
[10]
뉴스
Former S. Korean police officer arrested for alleged cover-up of tycoon's crime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7-08-04
[11]
뉴스
South Korea: Police chief charged over Seoul Halloween crush
https://www.bbc.com/[...]
BBC News
2024-01-22
[12]
웹사이트
Ranks and Uniforms
http://www.smpa.go.k[...]
2007-08-04
[13]
웹사이트
Organization and Duties
http://www.smpa.go.k[...]
2007-08-04
[14]
뉴스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select Sepura
http://www.sepura.co[...]
Sepura
2007-08-04
[15]
뉴스
WaveMarket and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Introduce Traffic and Road Speed Determination
http://www.wavemarke[...]
WaveMarket Press Release
2007-08-04
[16]
뉴스
“촛불집회 말고 불법집회라 말하라”…경찰이 리포터에 지시
http://news.kukinews[...]
Kuki News
2011-07-08
[17]
뉴스
首長もないまま…警察捜査機構「国捜本」が発足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3-01-01
[18]
웹사이트
서울地方警察庁の歴史
http://www.smpa.go.k[...]
[19]
웹인용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1
http://www.law.go.kr[...]
2014-10-09
[20]
법률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https://www.law.go.k[...]
[21]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서울 시내 게임장 돌며 “밥값 없다” 행패…1억 뜯어낸 40여명 검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