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항만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산하의 시장형 공기업이다. 주요 사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전용부두, 일반부두, 부산항여객터미널 등을 관리한다. 조직은 경영본부, 운영본부, 건설본부, 국제물류사업단, 재개발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항 - 돌아와요 부산항에
    1971년 김해일의 "돌아와요 충무항에"를 원곡으로 하는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황선우 작곡, 김성술 작사의 부산과 한국을 대표하는 노래로, 조용필 리메이크와 일본 번안을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가사 내용 차이 및 저작권 표절 소송 등의 이슈도 있다.
  • 부산항 - 북항 재개발
    북항 재개발은 1994년부터 구상되어 2007년 구체화된 부산 북항 일대의 재개발 사업으로, 2015년 부산항여객터미널 이전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며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등 주요 시설이 들어섰으나 계획 변경 및 매립지 관할 구역 문제 등으로 난개발 논란과 행정구역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 항만공사 -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도 지방공기업으로, 시설 관리, 물류 시스템 구축, 활성화 사업 개발, 배후단지 개발,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며 평택항을 무역항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항만공사 - 울산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는 울산항의 개발, 관리, 운영을 담당하는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의 관리 운영과 더불어 항만 이용자 편의 시설 건설 및 외국 항만 조성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해양수산부가 주무부처이다.
  • 대한민국의 시장형 공기업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장형 공기업 - 강원랜드
    강원랜드는 폐광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 및 복합 리조트이며, 카지노,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을 운영하지만 도박 중독, 범죄 증가, 비리 등 사회적 문제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부산항만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부산항만공사
원어Busan Port Authority
로마자 표기Busan Hangman Gongsa
형태시장형 공기업
창립2004년 1월
장소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로 122 (중앙동6가)
국가대한민국
CEO강준석
산업서비스
서비스부산항 개발, 관리, 운영
자본금3조1233억원 (2007)
매출액1809억992만원 (2007)
자산 총액3조5449억원 (2007)
주주대한민국 정부
종업원155명
웹사이트부산항만공사 BPA
영어 명칭
영어Busan Port Authority, BPA

2. 주요 사업

부산항만공사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1]


  • '''항만 시설 관리 운영'''
  • * 시설 총괄
  • ** 접안 시설: 안벽 26,159m, 동시접안능력: 184척
  • ** 보관 시설: 야적장 동시 1,162톤 야적, 컨테이너 CY 동시 257천 TEU 장치
  • * '''컨테이너 전용부두'''
  • ** '''한국 허치슨 터미널(1982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1만 톤급 컨테이너선 1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하역능력: 120만TEU, 안벽 1,447m, C/C[2] 14기, T/C[3] 32기
  • **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1991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120만TEU, 안벽 1,200m, C/C 13기, T/C 32기
  • ** '''감만 부두(1997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120만TEU, 안벽 1,400m, C/C 15기, T/C 40기
  • ** '''신감만 부두(2002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2척, 5천톤급(DWT) 컨테이너선 1척 동시접안가능
    연간하역능력: 65만TEU, 안벽 826m, C/C 7기, T/C 16기
  • ** '''우암 부두(1996년 완공, 중소형 컨테이너부두)'''
    2만톤급(DWT) 1기, 5천 톤급 2기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27만TEU, 안벽 500m, C/C 5기, T/C 13기
  • * '''일반부두'''
  • ** 제1부두(1944년 완공)는 공용부두로, 1만 톤급(DWT) 선박 2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12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2부두(1944년 완공)는 공용부두로, 1만 5천 톤급(DWT) 1척, 1만 톤급 3척, 4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8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중앙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중앙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톤급 선박 3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18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3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삼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 5백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26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4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사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26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5부두는 양곡부두로, 5만 톤급 선박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121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7부두(1978년 완공)는 TOC (동국통운, 삼주항운)에서 운영한다. 7-1부두는 5만 톤급 1척, 5천 톤급 2척이, 7-2부두는 1만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374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8부두(1980년 완공)는 국방부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 1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91만 8천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용호부두
  • ** 감천항
  • ** 다대포항
  • * 부산항여객터미널
  • ** 국제여객터미널
  • ** 연안여객터미널
  • '''부산항 개발 사업'''
  • ** 부산신항 개발 사업과 북항 재개발 사업이 있다.

2. 1. 항만 시설 관리 운영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1만 톤급 컨테이너선 1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하역능력: 120만TEU, 안벽 1,447m, C/C[2] 14기, T/C[3] 32기

  • *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1991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120만TEU, 안벽 1,200m, C/C 13기, T/C 32기
  • * '''감만 부두(1997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120만TEU, 안벽 1,400m, C/C 15기, T/C 40기
  • * '''신감만 부두(2002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2척, 5천톤급(DWT) 컨테이너선 1척 동시접안가능
    연간하역능력: 65만TEU, 안벽 826m, C/C 7기, T/C 16기
  • * '''우암 부두(1996년 완공, 중소형 컨테이너부두)'''
    2만톤급(DWT) 1기, 5천 톤급 2기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27만TEU, 안벽 500m, C/C 5기, T/C 13기
  • 일반부두
  • * 제1부두(1944년 완공)는 공용부두로, 1만 톤급(DWT) 선박 2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12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2부두(1944년 완공)는 공용부두로, 1만 5천 톤급(DWT) 1척, 1만 톤급 3척, 4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8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중앙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중앙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톤급 선박 3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18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3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삼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 5백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26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4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사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26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5부두는 양곡부두로, 5만 톤급 선박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121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7부두(1978년 완공)는 TOC (동국통운, 삼주항운)에서 운영한다. 7-1부두는 5만 톤급 1척, 5천 톤급 2척이, 7-2부두는 1만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374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제8부두(1980년 완공)는 국방부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 1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91만 8천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용호부두
  • * 감천항
  • * 다대포항
  • 부산항여객터미널
  • * 국제여객터미널
  • * 연안여객터미널

2. 1. 1. 컨테이너 전용부두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1만 톤급 컨테이너선 1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하역능력: 120만TEU, 안벽 1,447m, C/C[2] 14기, T/C[3] 32기

  •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1991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120만TEU, 안벽 1,200m, C/C 13기, T/C 32기
  • 감만 부두(1997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4척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120만TEU, 안벽 1,400m, C/C 15기, T/C 40기
  • 신감만 부두(2002년 완공)
    접안 능력: 5만 톤급(DWT) 컨테이너선 2척, 5천톤급(DWT) 컨테이너선 1척 동시접안가능
    연간하역능력: 65만TEU, 안벽 826m, C/C 7기, T/C 16기
  • 우암 부두(1996년 완공, 중소형 컨테이너부두)
    2만톤급(DWT) 1기, 5천 톤급 2기 동시 접안 가능
    연간 하역 능력: 27만TEU, 안벽 500m, C/C 5기, T/C 13기

2. 1. 2. 일반부두


  • 제1부두(1944년 완공)는 공용부두로, 1만 톤급(DWT) 선박 2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12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제2부두(1944년 완공)는 공용부두로, 1만 5천 톤급(DWT) 1척, 1만 톤급 3척, 4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8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중앙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중앙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톤급 선박 3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18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제3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삼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 5백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26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제4부두(1944년 완공)는 부산항사부두운영(주)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26만 TEU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제5부두는 양곡부두로, 5만 톤급 선박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121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제7-1, 2부두(1978년 완공)는 TOC (동국통운, 삼주항운)에서 운영한다. 7-1부두는 5만 톤급 1척, 5천 톤급 2척이, 7-2부두는 1만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며, 연간 374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제8부두(1980년 완공)는 국방부에서 운영하며, 1만 5천 톤급 1척, 1만 톤급 1척, 5천 톤급 1척, 1천 톤급 1척이 접안 가능하고, 연간 91만 8천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2. 1. 3. 부산항여객터미널

부산항여객터미널은 국제여객터미널과 연안여객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2. 2. 부산항 개발 사업

부산신항 개발 사업과 북항 재개발 사업이 있다.

3. 연혁

4. 조직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의 관리를 받는 시장형 공기업이다. 3본부, 1단, 1지사, 2사업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원을 포함하여 155명이 근무하고 있다.


  • 경영본부
  • 기획조정실
  • 정책기획부
  • 경영지원부
  • 투자예산부
  • 회계자금부
  • 홍보부
  • 혁신평가부
  • 운영본부

운영본부


  • 건설본부
  • 건설기획부
  • 항만건설부
  • 항만시설부
  • 첨단항만부
  • 해외개발부
  • 국제물류사업단
  • 물류정책실
  • 항만물류부
  • 부가물류촉진부
  • 국제·전략사업부
  • 정보 보안부
  • 서울사무소
  • 재개발사업단
  • 개발사업실
  • 투자유치부
  • 해양산업클러스터부

4. 1. 경영본부

경영본부는 기획조정실, 정책기획부, 경영지원부, 투자예산부, 회계자금부, 홍보부, 혁신평가부로 구성되어 있다.

4. 2. 운영본부

wikitable

운영본부


4. 3. 건설본부

건설본부는 건설기획부, 항만건설부, 항만시설부, 첨단항만부, 해외개발부로 구성되어 있다.

4. 4. 국제물류사업단

wikitext

부산항만공사의 국제물류사업단에는 물류정책실, 항만물류부, 부가물류촉진부, 국제·전략사업부, 정보 보안부, 그리고 서울사무소가 있다.

4. 5. 재개발사업단

개발사업실 아래 투자유치부와 해양산업클러스터부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부산항만공사 http://www.busanpa.c[...]
[2] 문서 C/C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3] 문서 T/C 트렌스퍼 크레인(Container Transfer Cra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