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관대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관대첩은 임진왜란 중 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일본군이 함경도를 점령한 후, 함경도 지역에서 일어난 조선 의병들의 활약을 통칭하는 전투이다. 함경도 주민들의 불만과 반란, 그리고 정문부의 의병 봉기로 시작되었으며, 경성 전투, 회령-명천 전투, 길주성 포위전, 석성령 전투, 길주 전투 등 주요 전투를 통해 일본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결국 가토 기요마사는 병력 손실을 입고 함경도에서 철수했다. 그러나 정문부의 공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윤탁연의 모함으로 인해 제대로 된 포상을 받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진왜란 의병 - 청주 전투 (1592년)
    청주 전투 (1592년)는 임진왜란 초기에 의병장 조헌과 승병장 영규가 이끄는 연합군이 일본군을 물리치고 청주성을 탈환한 전투이다.
  • 임진왜란 의병 - 우척현 전투
    우척현 전투는 임진왜란 중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이끄는 일본군의 전라도 진격을 김면이 이끄는 조선 의병이 우척현에서 저지하여 실패로 돌아간 전투로, 이 승리로 일본군은 전라도 진입에 실패하였다.
  • 1592년 일본 - 상주 전투 (1592년)
    상주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의 기습으로 조선군이 참패하여 왜군의 한양 진격을 용이하게 하고 조선의 국방 체계의 취약성을 드러낸 전투이다.
  • 1592년 일본 - 율포 해전
  • 1592년 한국 - 상주 전투 (1592년)
    상주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의 기습으로 조선군이 참패하여 왜군의 한양 진격을 용이하게 하고 조선의 국방 체계의 취약성을 드러낸 전투이다.
  • 1592년 한국 - 율포 해전
북관대첩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임진왜란
날짜1592년 10월 20일 (음력 9월 16일) ~ 1593년 2월 28일 (음력 1월 28일)
장소함경도 길주군(백탑교), 경성군, 명천군
결과조선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조선
교전국 2일본
함경도 반군 및 여진족
지휘관
조선 지휘관정문부 의병 총대장
정현룡 종성 부사
이붕수 창의별장
강문우 척후장
유경천 고령 첨사
오응태 경원 부사
원충서 안의 의병장
이희당 우을온만호
신세준
오윤적
구황 오촌권관
일본 지휘관가토 기요마사
가토 우마노조
나베시마 나오시게
정말수
국경인
국세필
병력 규모
조선 병력5,000명
일본 병력22,000명
피해 규모
조선 피해불명
일본 피해8,864명
이미지
창의토왜도, 북관대첩 묘사
창의토왜도, 북관대첩 묘사

2. 배경

임진왜란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일본군 제2군 2만 2천 명은 한양을 함락시키고 곧바로 함경도로 진격했다. 당시 함경도는 조선 정부로부터 차별받아 주민들의 불만이 컸고, 이는 일본군 점령에 대한 저항 의지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왕자 임해군순화군이 일본군에 포로로 잡히고, 국경인 등 함경도 토호들의 반란까지 일어나며 혼란이 가중되었다.[2]

만주의 여진족 또한 준동하며 조선의 안보를 위협하는 상황이었다.

2. 1. 정문부의 거병

1592년 10월 20일,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북평사였던 정문부는 이붕수, 지달원, 강문우, 최배천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반란군에 맞서 싸울 것을 결심했다.[2] 정문부는 먼저 강문우에게 기병 몇을 주어 국세필 반란군이 있는 경성과 길주 간의 소식통이 끊기게 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거병하여 정문부는 창의대장, 종성 부사 정현룡은 부장, 이붕수는 창의별장, 강문우는 척후장이 되었다.[3]

3. 주요 전투

1592년 10월 20일(음력 9월 16일) 정문부는 이붕수, 지달원, 강문우, 최배천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정문부는 창의대장, 종성 부사 정현룡은 부장, 이붕수는 창의별장, 강문우는 척후장이 되어 본격적으로 거병하였다.

3. 1. 경성 전투

1592년 10월 20일(음력 9월 16일), 정문부는 이붕수, 지달원, 강문우, 최배천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정문부는 먼저 강문우에게 기병 몇 명을 주어 반란군 대장 국세필이 있는 경성과 길주 사이의 소식을 끊었다.

정문부는 의병 300명을 이끌고 국세필이 있는 경성으로 갔다. 국세필을 회유하여 경성에 입성한 후, 밤낮으로 의병들을 훈련시켰다. 그러나 국세필정문부를 의심하며 죽이려 했지만, 정문부는 흔들리지 않고 의병 활동을 이어갔다. 강문우의 기병대는 경성 근처의 일본군 순찰병 40명을 모두 죽여 의병의 사기를 높였다.[3]

경성과의 연락이 끊긴 것을 눈치챈 길주의 가토 우마노조는 휘하 장수에게 군사 92명을 주어 경성으로 보냈다. 그러나 국세필과 그의 아들 국생이 일본군 장수를 죽였고, 김범과 이희당이 화살을 쏘아 일본군 다수를 사살했다. 도망가던 일본군은 강문우의 기병대가 모두 쓸어버렸다.

3. 2. 회령-명천 전투

1592년 10월 회령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국경인이 신세준과 유생들에게 살해당하자, 정문부는 남은 반란자인 정말수를 공격하기 위해 명천으로 군사를 이끌었다. 명천에서는 정말수를 몰아내려는 농민 봉기가 일어났으나, 정말수가 화포를 동원해 막아 실패하였다.[4][5]

정문부는 오촌권관 구황과 강문우에게 각각 30명의 기병과 몇몇 제장들을 주어 총 60명의 기병대로 명천을 습격하게 했다. 갑작스러운 공격에 정말수는 성을 빠져나와 산에 숨었으나, 경성 토병 진덕인에게 붙잡혀 부장과 함께 처형당했다.[6]

3. 3. 길주성 포위

정문부는 왜군이 지키는 길주성으로 가기 위해 군사 1000명을 이끌고 명천성으로 나아갔다. 몇몇 사람들이 말렸으나 정문부는 왜군과의 전면전을 주장하며 진격했다. 이 무렵 길주성에는 약 1000명, 성 남쪽 영동에는 300명이 주둔하며 서로 의지하고 있었다.[5]

정문부는 군사를 3개로 나누었다.

  • 경성 이북 출신 군사 1000명은 자신과 정현룡이 맡았다.
  • 길주 출신 군사 1000명은 고령 첨사 유경천에게 주어 갯마을에 진을 쳐 왜군을 감시하게 했다.
  • 경원 부사 오응태에게 길주 양리와 서북보의 토병을 관리하게 하고 정병을 징병해 복병을 두었다.[5]


정문부는 인의지방 사람 원충서에게 군사 200명을 주어 길주 북쪽 야간창에 진을 치게 하고, 또한 명천에서 400명의 군사를 중요 고참 지방에 배치시켰다.[5]

정문부는 군사를 셋으로 나누어 길주를 포위했다. 1592년(선조 25년) 10월 말, 정문부는 인근 마을을 약탈하고 주민들을 학살하고 돌아오는 일본군을 매복 공격했다. 길주에 있던 일본군은 성문을 닫고 방비를 강화했다. 정문부는 그들을 포위하고 땔감을 얻지 못하게 했다. 12월경, 정문부는 쌍포에서 일본군 지원군을 격파했다.[5]

3. 4. 석성령 전투

1592년 12월 3일(음력 10월 30일) 석성령에서 원충서의 군대가 일본군과 교전했다. 처음에는 일본군 1000명이 명천 갯마을 가파리를 약탈하고 돌아오던 중이었고, 원충서의 군대는 200명으로 수적으로 열세였다. 일본군이 후퇴하자 원충서는 추격했지만, 병력을 잠시 물리고 방어해야 했다. 이때 고참에 매복하고 있던 방원 만호 한인제의 기병 300명이 원충서와 합류했다.[1]

한인제 외에도 여러 복병들이 합류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일본군 장수 5명이 정예 군사 400명을 이끌고 돌격했지만, 조선군은 기병을 중심으로 평지에서 돌격전을 펼쳐 일본군을 퇴각시켰다. 퇴각하던 일본군은 곳곳에서 나타나는 조선군 복병에 의해 장덕산 위에서 괴멸되었다.[1]

정문부는 남은 잔당을 소탕하기 위해 산에 불을 질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깃발 20개, 갑옷 50벌, 투구 8벌, 창 16자루, 조총 26자루, 탄환 646개, 화약통 15개, 말 118필, 수많은 일본도 등을 전리품으로 획득했다.[1]

3. 5. 길주 전투

1592년 12월 4일(음력 11월 1일), 정문부가 이끄는 조선군과 加藤清正일본어가 이끄는 일본군이 길주에서 전투를 벌였다.[5] 정문부는 군사를 셋으로 나누어 길주를 포위하고, 주변 지역을 약탈하던 일본군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고립된 일본군은 1593년 1월 19일에 탈출을 시도했으나 매복에 걸려 실패했다. 1월 22일, 정문부와 그의 기병 200명은 길주 남쪽 단천에서 일본군을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 가토 기요마사는 길주가 위험하다는 보고를 받고 군사를 이끌고 북상했으나, 정문부는 단천에서 군사를 철수했다.[7] 정문부는 임명에서 가토와 그의 군대를 매복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철수했다. 가토는 고립된 군대와 합류하여 그날 밤 안변으로 후퇴했다.[8]

4. 결과 및 영향

가토 기요마사는 고립된 부대를 구출하여 2월 20일 함흥에 병력을 집결시킨 후 안변으로 후퇴했고,[8] 2월 29일 한양으로 철수했다. 가토는 한양에서 22,000명의 병력 중 8,864명을 잃은 것을 확인하고 후퇴를 결정했다. 일본군이 후퇴한 후, 의병은 해산되었고 윤탁연이 지휘를 맡았다. 정문부와 윤탁연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9]

4. 1. 윤탁연의 모함과 정문부의 말년

1593년 2월 1일(음력 1월 1일) 의병장으로 활약한 정문부는 순찰사 윤탁연이 그의 공을 조정에 반대로 보고했기 때문에 큰 포상을 받지 못하고 영흥부사에 제수되었다. 윤탁연은 조정에서 보낸 사신에게 뇌물을 주어 진상 조사를 무마시키기도 했다.[8] 1615년 부총관, 병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북인의 횡포에 실망하여 관직을 버리고 야인으로 돌아갔다.[9]

참조

[1] 웹사이트 Battle of Bukgwan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Guk Gyeong-in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revision) 25 September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Shin Se-jun https://terms.naver.[...]
[5]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revision) 25 October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Jeong Mun-bu https://terms.naver.[...]
[7]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revision) 26 January - 5 http://sillok.histor[...]
[8] 웹사이트 Battle of Bukgwan https://terms.naver.[...]
[9]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revision) 26 January - 6 http://sillok.histor[...]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