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은 수정된 결선투표제로 선출되며, 1차 투표에서 50% 이상 득표 시 당선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1, 2위 득표자가 2차 투표를 진행하며, 2차 투표는 투표율 40% 이상을 충족해야 유효하다. 북마케도니아는 과거 집단 대통령제를 거쳐 1991년 독립 후 대통령 단임제를 채택했으며, 초대 대통령은 키로 글리고로프이다. 현재 대통령은 고르다나 실리아노프스카다프코바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정치 - 북마케도니아 의회
북마케도니아 의회는 북마케도니아의 입법부로서, 2024년 총선 결과 너의 마케도니아 연합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의회 의장은 정당 간 협상을 통해 선출되어 의회의 운영과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며, 현재 아프림 가시가 의장직을 맡고 있다. - 북마케도니아의 정치 - 북마케도니아의 총리
북마케도니아의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되는 정부수반으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최고 장관 등의 직책으로 존재했으며, 1991년 공화국 수립 후 니콜라 클류세프가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고, 현재는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가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다. -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스테보 펜다로프스키는 북마케도니아의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스코페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대통령 국가 안보 고문을 지낸 후 2019년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2024년 재선에 실패했다. -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는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마케도니아 정치인으로, 법학을 전공하고 대통령 재임 중 알바니아계와의 갈등을 중재하며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을 지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직책 |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
원어 명칭 | Претседател на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마케도니아어) Presidenti i Republikës së Maqedonisë së Veriut (알바니아어) |
![]() | |
스타일 | 국가 원수 |
거주지 | 빌라 보드노 |
임명 방식 | 직접 선거 |
임기 | 5년, 1회 연임 가능 |
설립일 | 1991년 4월 16일 |
급여 | 연간 17,250 미국 달러 |
웹사이트 | pretsedatel.mk |
![]() | |
현직 | |
현직 대통령 | 고르다나 실야노프스카-다프코바 |
취임일 | 2024년 5월 12일 |
역대 대통령 | |
초대 대통령 | 키로 글리고로프 |
마지막 대통령 | (해당 정보 없음) |
권한 대행 | |
권한 대행 | (해당 정보 없음) |
권한 대행 취임일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후임 | (해당 정보 없음) |
의전 서열 | (해당 정보 없음) |
비공식 명칭 | (해당 정보 없음) |
부통령 | (해당 정보 없음) |
2. 대통령 선거
북마케도니아 대통령은 수정된 결선투표제로 선출된다. 후보자는 득표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만 1차 투표에서 바로 선출된다.[29] 아닌 경우 최고 득표자 2인이 2차 투표를 진행한다. 2차 투표는 총 투표율이 40%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한 경우로 인정된다.[30] 북마케도니아 헌법에 의거하여 대통령 후보자는 40세 이상이어야 하며, 선거일 전까지 최근 15년 중 10년간 북마케도니아 내에 거주해야 한다.[31]
2009년 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이전까지는 2차 투표 득표율 50% 이상을 요구했으나, 마케도니아 31차 개헌을 통해 현재의 40%로 하향되었다.[32] 마케도니아 정부는 개정된 헌법으로 치르는 2009년 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투표율이 저조한 상황이 발생할 것을 우려했으나, 해당 선거 2차 투표의 총 투표율은 42.6%였다.[33][11]
2. 1. 선거 제도
북마케도니아 대통령은 수정된 결선투표제로 선출된다. 후보자는 득표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만 1차 투표에서 바로 선출된다.[29] 아닌 경우 최고 득표자 2인이 2차 투표를 진행한다. 2차 투표는 총 투표율이 40% 이상인 경우에만 유효한 경우로 인정된다.[30] 북마케도니아 헌법에 의거하여 대통령 후보자는 40세 이상이어야 하며, 선거일 전까지 최근 15년 중 10년간 북마케도니아 내에 거주해야 한다.[31]2009년 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이전까지는 2차 투표 득표율 50% 이상을 요구했으나, 마케도니아 31차 개헌을 통해 현재의 40%로 하향되었다.[32] 마케도니아 정부는 개정된 헌법으로 치르는 2009년 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투표율이 저조한 상황이 발생할 것을 우려했으나, 해당 선거 2차 투표의 총 투표율은 42.6%였다.[33][11]
3. 역사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에는 1991년에 최종적으로 폐지된 집단 대통령제가 있었다. 제1차 본회의에서 선출된 초대 의회 대통령은 메토디야 안도노프 첸토이었고, 마지막 의회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미트코프이었다.[12]
1990년, 기존 일당제 사회주의 체제에서 의회 민주주의로 체제 변경을 한 이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북마케도니아로 독립되기 몇 달 전에 대통령 단임제로 정부 형태도 변경하였다. 이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초대 대통령으로 키로 글리고로프가 선출되었다.[13] 1991년 4월 16일, 의회는 국호에서 '사회주의'를 없앤 새로운 헌법 개정안을 채택했다.[14] 같은 해 6월 7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14] 국호 변경 후에도 기존에 선출된 키로 글리고로프가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가 시작된 후,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991년 9월 8일에 실시된 국민투표로 완전한 독립을 선언했다.
키로 글리고로프는 1995년 암살 시도 이후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스토얀 안도프는 글리고로프가 회복되는 동안 98일 동안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다. 독립 국가 원수로서 두 번째 임기를 마친 글리고로프의 뒤를 이어 1999년 보리스 트라코프스키가 대통령이 되었다. 트라코프스키가 2004년에 사망한 후, 그의 뒤를 이어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가 대통령이 되었다. 게오르게 이바노프는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2009년 5월 12일에 취임했다. 그는 2014년에 재선되었다.
현직 대통령은 제5대 대통령으로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소속 스테보 펜다로프스키이며, 2019년 5월 12일 취임했다.
3. 1.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3-1991)
1943년 10월 1일, 메토디야 안도노프첸토가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즘 의회 초기 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즘 의회 의장을 거쳐 1945년 1월 1일 인민의회 상임 간부회 회장이 되었다. 1946년 3월 15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이후 디미타르 네스토로프가 권한대행을 맡았다.1947년, 블라고야 포테프가 인민의회 상임 간부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1951년 1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 비도 스마일프스키가 그의 권한대행을 맡았다.
1953년 딤체 스토야노프가 인민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같은 해 12월 19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라자르 콜리셰프스키가 1953년 12월 19일부터 1962년 6월 26일까지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류프초 아르소프는 1962년 6월 26일부터 1963년 6월 24일까지, 비도에 스밀레프스키는 1963년 6월 25일부터 1967년 5월 12일까지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미토 하지바실레프는 1967년 5월 12일부터 1968년 8월 1일까지, 니콜라 민체프는 1968년 12월 23일부터 1974년 5월 6일까지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1974년 5월 6일, 비도에 스밀레프스키가 의회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79년 10월 31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류프초 아르소프가 1979년 10월 31일부터 1982년 4월 29일까지, 앙겔 체메르스키가 1982년 4월 29일부터 1983년 4월 29일까지 의회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블라고야 탈레스키는 1983년 4월 29일부터 1984년 4월 29일까지, 토메 부클레스키는 1984년 4월 29일부터 1985년 4월 26일까지, 반초 아포스톨스키는 1985년 4월 26일부터 1986년 4월 28일까지 의회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마테야 마테브스키가 1986년 4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권한대행을 맡았다.
드라골류브 스타브레프는 1986년 4월 30일부터 1988년 5월까지, 예즈디미르 보그단스키는 1988년 5월부터 1990년 4월 28일까지, 블라디미르 미트코프는 1990년 4월 28일부터 1991년 1월 27일까지 의회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1991년 1월 27일, 키로 글리고로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91년 9월 18일까지 재임하였다.
3. 2. 마케도니아 및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1991-현재)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마케도니아 공화국 및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대통령 목록이다.대 | 대통령 | 임기 | 소속 정당 | 선거 | 비고 | ||
---|---|---|---|---|---|---|---|
이름 | 초상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1 | 키로 글리고로프 | 100px | 1991년 9월 18일 | 1995년 10월 4일 | 무소속 | - | |
스토얀 안도프 권한대행 (1995년 10월 4일 ~ 1995년 11월 17일) | |||||||
(1) | 키로 글리고로프 | 100px | 1995년 11월 17일 | 1999년 11월 19일 | 무소속 | 1994 | |
사보 클리모프스키 권한대행 (1999년 11월 19일 ~ 1999년 12월 15일) | |||||||
2 |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 ![]() | 1999년 12월 15일 | 2004년 2월 26일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1999 | 임기 중 사망 |
류프초 요르단롭스키 권한대행 (2004년 2월 26일 ~ 2004년 5월 12일) | |||||||
3 |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 2004년 5월 12일 | 2009년 5월 12일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2004 | ||
4 | 조르게 이바노프 | ![]() | 2009년 5월 12일 | 2014년 5월 12일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2009 | rowspan="2" | |
2014년 5월 12일 | 2019년 5월 12일 | 2014 | |||||
5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 ![]() | 2019년 5월 12일 | 2024년 5월 12일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2019 | |
6 | 고르다나 실리아노프스카다프코바 | ![]() | 2024년 5월 12일 | 현직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2024 |
4. 역대 대통령 목록
4. 1.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3-1991)
1943년 10월 1일, 메토디야 안도노프첸토가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즘 의회 초기 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즘 의회 의장이 되었고, 1945년 1월 1일 인민의회 상임 간부회 회장이 되었다. 1946년 3월 15일까지 인민의회 상임 간부회 회장직을 맡았다.1946년 3월 16일부터 1946년 12월 30일까지 디미타르 네스토로프가 권한대행을 맡았다. 1947년 블라고야 포테프가 인민의회 상임 간부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1951년 1월 4일까지 재임했다. 1951년 1월 4일부터 1953년까지 비도 스마일프스키가 권한대행을 맡았다.
1953년 딤체 스토야노프가 인민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19일 라자르 콜리셰프스키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콜리셰프스키는 1962년 6월 26일까지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이후 륩초 아르소프가 1963년 6월 24일까지, 비도에 스밀레프스키가 1967년 5월 12일까지, 미토 하지바실레프가 1968년 8월 1일까지, 니콜라 민체프가 1974년 5월 6일까지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1974년 5월 6일, 비도에 스밀레프스키가 의회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79년 10월 31일까지 재임했다. 이후 륩코 아르소프가 1982년 4월 29일까지, 안겔 체메르스키가 1983년 4월 29일까지, 블라고야 탈레스키가 1984년 4월 29일까지, 토메 부클레스키가 1985년 4월 26일까지, 반초 아포스톨스키가 1986년 4월 28일까지 의회 대통령을 역임했다.
1986년 4월 28일부터 1986년 4월 30일까지 마테야 마테브스키가 권한대행을 맡았다. 이후 드라골류프 스타브레프가 1988년 5월까지, 예즈디미르 보그단스키가 1990년 4월 28일까지, 블라디미르 미트코프가 1991년 1월 27일까지 의회 대통령을 역임했다.
1991년 1월 27일, 키로 글리고로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91년 9월 18일까지 재임했다.
4. 2. 마케도니아 및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1991-현재)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북마케도니아는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대 | 대통령 | 임기 | 소속 정당 | 선거 | 비고 | ||
---|---|---|---|---|---|---|---|
이름 | 초상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1 | 키로 글리고로프 | 100px | 1991년 9월 18일 | 1995년 10월 4일 | 무소속 | - | |
스토얀 안도프 권한대행 (1995년 10월 4일 ~ 1995년 11월 17일) | |||||||
(1) | 키로 글리고로프 | 100px | 1995년 11월 17일 | 1999년 11월 19일 | 무소속 | 1994 | |
사보 클리모프스키 권한대행 (1999년 11월 19일 ~ 1999년 12월 15일) | |||||||
2 |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 |100px]] | 1999년 12월 15일 | 2004년 2월 26일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1999 | 임기 중 사망 |
류프초 요르단롭스키 권한대행 (2004년 2월 26일 ~ 2004년 5월 12일) | |||||||
3 |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 |100px]] | 2004년 5월 12일 | 2009년 5월 12일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2004 | |
4 | 조르게 이바노프 | |100px]] | 2009년 5월 12일 | 2014년 5월 12일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2009 | rowspan="2" | |
2014년 5월 12일 | 2019년 5월 12일 | 2014 | |||||
5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 |100px]] | 2019년 5월 12일 | 2024년 5월 12일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2019 | |
6 | 고르다나 실리아노프스카다프코바 | |100px]] | 2024년 5월 12일 | 현직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2024 |
초대 대통령 키로 글리고로프는 1991년 9월 18일부터 1999년 11월 19일까지 재임하였다. 그는 1995년 10월 4일 암살 시도로 스토얀 안도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18][19] 1999년 키로 글리고로프의 임기가 끝난후 사보 클리모프스키가 잠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20]
2대 대통령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는 1999년 12월 15일에 취임하였으나, 2004년 2월 26일 임기 중 사망하였다.[20] 이에 류프초 요르단롭스키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20]
3대 대통령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는 2004년 5월 12일에 취임하여 2009년 5월 12일까지 재임하였다.[20]
4대 대통령 조르게 이바노프는 2009년 5월 12일에 취임하여 2019년 5월 12일까지 두 번의 임기를 역임하였다.[20]
5대 대통령 스테보 펜다로프스키는 2019년 5월 12일에 취임하여 2024년 5월 12일까지 재임하였다.
6대 대통령 고르다나 실리아노프스카다프코바는 2024년 5월 12일에 취임하여 현재 재임 중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ww.dnevnik.com.mk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Infographic: What are the Monthly Salaries of Presidents in the Region
http://www.sarajevot[...]
2018-02-25
[3]
문서
[4]
웹사이트
Eleven years since the death of President Kiro Gligorov
https://www.sloboden[...]
2023-01
[5]
뉴스
Macedonian President Urges Boycott Of Name Referendum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2022-03-12
[6]
뉴스
Stevo Pendarovski wins North Macedonia's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2-03-12
[7]
문서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sobranie.[...]
[8]
뉴스
Polls Open in Macedonia Presidential Elections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4-04-13
[9]
문서
AMENDMENT XXXI
https://www.sobranie[...]
Constitution of North Macedonia
[1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s://www.sobranie[...]
[11]
서적
Constitutional Politic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From Post-Socialist Transition to the Reform of Political Syste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0-12
[12]
웹사이트
Prof. Dr. Vladimir Mitkov -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Skopje
https://archive.toda[...]
[13]
웹사이트
http://www.president[...]
[14]
뉴스
"On This Day"
http://www.mia.com.m[...]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 MIA
1991
[15]
서적
The Foreign Policies of Post-Yugoslav States: From Yugoslavia to Europe
https://books.google[...]
2014-12-17
[16]
뉴스
Profile: Branko Crvenkovski
http://news.bbc.co.u[...]
2004-05-04
[17]
웹사이트
North Macedonia's First Female President Sworn In, Declines To Use 'North'
https://www.rferl.or[...]
2024-05-13
[18]
웹사이트
ДОСИЕ Киро Глигоров: државник кој преживеа атентат, љубовна афера и замина како голем човек!
https://faktor.mk/do[...]
2014-10-03
[19]
웹사이트
Кој сакал да го киднапира штотуку родениот внук на Андов
https://novamakedoni[...]
2012-12-07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Macedonia
Rowman & Littlefield
2019
[21]
웹사이트
www.dnevnik.com.mk
https://web.archive.[...]
2023-11-07
[22]
웹사이트
Infographic: What are the Monthly Salaries of Presidents in the Region
http://www.sarajevot[...]
2023-08-12
[23]
문서
Prof. Dr. Vladimir Mitkov -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Skopje
http://www.pf.ukim.e[...]
[24]
문서
[25]
뉴스
"On This Day"
http://www.mia.com.m[...]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 MIA
1991
[26]
뉴스
「北マケドニア」への国名変更、国連に通知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9-02-14
[27]
문서
http://www.terra.es/[...]
[28]
문서
[29]
웹인용
Polls Open in Macedonia Presidential Elections
https://balkaninsigh[...]
2022-02-11
[30]
웹인용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s://www.sobranie[...]
2022-02-11
[31]
웹인용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s://www.sobranie[...]
2022-02-11
[32]
웹인용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s://www.sobranie[...]
2022-02-11
[33]
서적
Constitutional Politic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From Post-Socialist Transition to the Reform of Political Syste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