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4년 8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일부로 설립된 국가이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으로 편입되었으며, 이후 마케도니아는 자체 헌법, 정부, 의회, 공용어 등을 갖추었다. 1990년 다원주의 선거를 통해 정부 형태가 사회주의에서 의원 내각제로 바뀌었고, 1991년 1월 25일 주권 선언, 9월 8일 국민투표를 거쳐 독립을 선포했다.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마케도니아인과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장했으며, 종교의 자유를 어느 정도 허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역사 -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유고슬라비아의 붕괴는 복잡한 민족 구성,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위기, 민족주의 부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여러 국가로 분리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진 20세기 후반의 해체 과정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역사 - 통일 마케도니아
통일 마케도니아는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의 개념으로, 북마케도니아, 그리스의 에게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의 피린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남동부 지역을 통합하려는 주장이지만 주변국 영토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내포하여 민감한 사안이다. - 유고슬라비아의 행정 구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으로, 194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국에서 시작하여 196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군수 산업 중심지이자 다민족 사회의 공존을 추구했으나 1992년 독립을 선언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개칭되었다. - 유고슬라비아의 행정 구역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은 1963년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하는 공화국이었으며, 1991년 사회주의 명칭이 삭제되고, 1992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합류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해방을 위해 탄생한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임시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가 페타르 2세 국왕 폐위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해체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국가 표어 | (없음) |
국가 | 마케도니아 혁명가들의 행진 (1944년) |
![]()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민주 연방 마케도니아 (1944–1946) 인민 공화국 마케도니아 (1946–1963)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 (1963–1991) 마케도니아 공화국 (1991) |
마케도니아어 명칭 | 민주적 연방 마케도니아 (Демократска Федерална Македонија) 인민 공화국 마케도니아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마케도니아 공화국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
수도 | 스코페 |
공용어 |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종교 | (법률상) 세속 국가 (사실상) 국가 무신론 |
정치 체제 | 1946–1990: 티토주의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국 1990–1991: 의회 공화국 |
역사 | |
주요 사건 | ASNOM (1944년 8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945년 5월 8일) 유고슬라비아 해체 (1991년) |
종결 | 독립 국민투표 선언 (1991년 9월 8일) |
이전 국가 | 불가리아 왕국 |
계승 국가 | 마케도니아 공화국 |
인구 | |
관련 항목 | 북마케도니아의 인구 통계 |
경제 | |
통화 | 알바니아 레크 (1944년) 불가리아 레프 (1944–1945년)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945–1991년) |
2. 역사적 배경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회의(ASNOM) 제1차 본회의에서 마케도니아 최초의 국가인 '''민주 연방 마케도니아'''(Демократска Федерална Македонија|Demokratska Federalna Makedonijamk)가 공식 선포되었다.[14] 이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불가리아 점령 지역 (현재 세르비아에 있는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서 비밀리에 수립되었다.[15][16] 이 날짜는 1903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일리덴 봉기와 같은 날로, 현재 북마케도니아에서 공화국의 날로 기념된다.
바르다르 바노비나는 1944년 11월 말 독일군과 그 협력자들로부터 ''사실상'' 해방되었고, 12월에 ASNOM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1945년, 국호는 '''인민 공화국 마케도니아'''로 변경되었고,[39] 1946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 공화국이 되었다.
새로운 국가에 대한 반대도 있었다. 친불가리아 성향(대부분 독립 지향적이고 반유고슬라비아적)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은 숙청되었고, 1945년 피의 크리스마스와 같이 집단 처형되기도 하였다. 희생자 수는 불분명하며, 학술 자료에서는 1,200명으로 추정하지만,[23] 불가리아 측 추산으로는 처형, 투옥, 추방, 강제 노동 등을 포함하여 약 50,000명이다.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추가 숙청이 있었다. 연방에 반대하거나 더 큰 독립을 요구하다 박해받은 대표적인 인물은 초대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 메토디야 안도노프-첸토였다.
1945년 마케도니아어가 정형화되었고, 첫 출판사 "Prosvetno Delo"가 설립되었다. 공화국 일부 정치인들은 에게해 마케도니아와 피린 마케도니아를 포함하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옹호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불가리아 친화 감정을 없애기 위해 마케도니아화와 국가 건설 과정을 시작했다.[24][25]
2. 1. 국가 수립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회의(ASNOM)의 제1차 본회의에서 마케도니아 최초의 국가인 '''민주 연방 마케도니아'''(Демократска Федерална Македонија|Demokratska Federalna Makedonijamk)가 공식 선포되었다.[14] 이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불가리아 점령 지역 (현재 세르비아에 있는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서 비밀리에 수립되었다.[15][16] 이 날짜는 1903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일리덴 봉기의 날짜였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선택되었으며, 현재 북마케도니아에서 공화국의 날로 기념된다.그러나 불가리아군이 소련의 압력으로 해당 지역에서 철수한 후, 9월 8일에 우익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민족주의자들은 친독일 마케도니아 괴뢰 국가를 선포했다.[17] 10월 초, 새로운 친소련 불가리아 정부의 지도 아래 불가리아군은 그리스에서 철수하는 독일군을 막기 위해 유고슬라비아로 재진입했다.[18][19] 마케도니아에서는 불가리아군이 마케도니아 인민해방군의 병사들과 함께 싸웠다.[20]
바르다르 바노비나는 1944년 11월 말 독일군과 그 협력자들로부터 ''사실상'' 해방되었고, 그 직후인 12월에 ASNOM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2월에 서부 마케도니아의 반공산주의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승리를 선언한 후 해당 지역을 통제하려 했다.[21] 그들은 해당 지역이 공산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는 것에 저항했으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산악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할 수 있었던 것은 1945년 초였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성격은 전쟁 직후 불분명했다. 파르티잔은 유고슬라비아를 6개의 연방 국가를 포함하는 "민주 연방"으로 구상했다.[22] 티토가 1945년 11월 29일에 총리 후보로 지명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선포되었고, 1946년에 헌법이 발효되었다. 그 결과, 마케도니아는 이름을 '''인민 공화국 마케도니아'''로 변경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 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친불가리아 성향 (대부분 독립 지향적이고 반유고슬라비아적)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사람들은 직위에서 숙청된 후 고립, 체포, 조작된 혐의로 투옥되었다. 많은 경우, 1945년 피의 크리스마스와 같이 집단 처형되었다. 희생자 수는 불분명하며, 많은 학술 자료에서는 그 수가 1,200명으로 추정하지만[23] 불가리아 추산에 따르면, 처형, 투옥, 추방, 강제 노동 등에 시달린 사람들을 포함하여 약 50,000명으로 추정된다.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몇 차례의 추가 숙청이 이어졌다.
국가 마케도니아어는 1945년에 정형화되었고, 첫 번째 출판사 "Prosvetno Delo"가 1945년 4월 16일에 설립되었다. 이 국가는 여러 국가로 분할된 더 넓은 지리적 마케도니아 지역의 일부인 바르다르 바노비나 영토에 형성되었다. 공화국의 일부 마케도니아 정치인들은 에게해 마케도니아와 피린 마케도니아를 포함하는 통일 마케도니아의 아이디어를 옹호했다. 이 아이디어는 때때로 연방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의해 다소 지원되거나, 지역 및 국제 정치 상황에 따라 억압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연방에 반대하여 연방 당국으로부터의 더 큰 독립을 요구했고, 이로 인해 박해를 받았다. 이러한 숙청의 주요 희생자 중 한 명은 초대 대통령인 메토디야 안도노프-첸토였다. 불가리아 친화 감정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마케도니아화와 국가 건설 과정을 시작했다.[24][25]
2. 2. 유고슬라비아 편입과 티토주의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회의(ASNOM) 제1차 본회의에서 마케도니아 최초의 국가가 '''민주 연방 마케도니아'''[14]라는 이름으로 공식 선포되었다. 이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불가리아 점령 지역(현재 세르비아의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서 비밀리에 수립되었다.[15][16] 이 날짜는 현재 북마케도니아에서 공화국의 날로 기념되는데, 1903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일리덴 봉기와 같은 날짜였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바르다르 바노비나는 1944년 11월 말 독일군과 그 협력자들로부터 사실상 해방되었고, 그 직후인 12월에 ASNOM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 서부 마케도니아의 반공산주의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승리 선언 후에도 해당 지역을 통제하려 했다.[21] 이들은 공산 유고슬라비아 편입에 저항했으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1945년 초가 되어서야 산악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할 수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45년 11월 29일에 선포되었고, 1946년에 헌법이 발효되었다. 마케도니아는 '''인민 공화국 마케도니아'''로 국명을 변경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 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친불가리아 성향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은 숙청, 고립, 체포, 조작된 혐의로 투옥되었다. 1945년 피의 크리스마스와 같이 집단 처형된 경우도 많았다. 희생자 수는 불분명하나, 많은 학술 자료에서는 1,200명으로 추정하고,[23] 불가리아 측 추산으로는 처형, 투옥, 추방, 강제 노동 등을 포함하여 약 50,000명에 달한다.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추가 숙청이 이어졌다.
1945년에는 국가 마케도니아어가 정형화되었고, 같은 해 4월 16일 첫 번째 출판사 "Prosvetno Delo"가 설립되었다. 공화국의 일부 마케도니아 정치인들은 에게해 마케도니아와 피린 마케도니아를 포함하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옹호했는데, 이 아이디어는 때때로 연방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의해 지원되거나 억압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연방에 반대하며 더 큰 독립을 요구하다 박해받았다. 초대 대통령 메토디야 안도노프-첸토가 대표적인 희생자 중 한 명이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불가리아 친화 감정을 없애기 위해 마케도니아화와 국가 건설 과정을 시작했다.[24][25]
마케도니아는 독립 국가는 아니었지만 국가로서의 지위를 가졌다. 자체 헌법을 비롯해 평의회, 정부, 의회, 공용어, 국장, 내무부, 마케도니아 정교회,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등 고유 조직이 생겨났다. 또한 자체 영토 방위군 (Територијална одбрана|Teritorijalna odbranamk)[40]와 외무국[41]도 갖추었다.
소수 민족의 권리는 헌법으로 보장되었다. 마케도니아를 통치하는 정당은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동맹(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Sojuz na komunistite na Makedonijamk)이었다.
2. 3. 마케도니아 민족 정체성 확립
1944년 8월 2일, 마케도니아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회의(ASNOM) 제1차 본회의에서 마케도니아 최초의 국가인 '''민주 연방 마케도니아'''[14]가 공식 선포되었다. 이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불가리아 점령 지역 (현재 세르비아에 있는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서 비밀리에 수립되었다.[15][16] 이 날짜는 1903년 오스만 제국 통치에 대항한 일리덴 봉기의 날짜였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선택되었으며, 현재 북마케도니아에서 공화국의 날로 기념된다.바르다르 바노비나는 1944년 11월 말에 독일군과 그 협력자들로부터 ''사실상'' 해방되었고, 직후인 12월에 ASNOM이 활동하기 시작했다. 1945년에는 국호를 '''인민 공화국 마케도니아'''로 변경했다.[39] 1946년에는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 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국가에 대한 반대도 있었다. 친불가리아 성향 (대부분 독립 지향적이고 반유고슬라비아적)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사람들은 숙청되었고, 1945년 피의 크리스마스와 같이 집단 처형되기도 하였다. 희생자 수는 불분명하며, 많은 학술 자료에서는 그 수가 1,200명으로 추정하지만[23] 불가리아 추산에 따르면, 처형, 투옥, 추방, 강제 노동 등에 시달린 사람들을 포함하여 약 50,000명으로 추정된다.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몇 차례의 추가 숙청이 이어졌다. 연방에 반대하거나 더 큰 독립을 요구하다가 박해받은 대표적인 인물은 초대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인 메토디야 안도노프-첸토였다.
1945년에는 마케도니아어가 정형화되었고, 첫 번째 출판사 "Prosvetno Delo"가 설립되었다. 공화국의 일부 정치인들은 에게해 마케도니아와 피린 마케도니아를 포함하는 통일 마케도니아의 아이디어를 옹호하기도 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불가리아 친화 감정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마케도니아화와 국가 건설 과정을 시작했다.[24][25]
이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는 독립 국가는 아니었지만 국가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자체 헌법, 평의회, 정부, 의회, 공용어, 국장, 내무부, 마케도니아 정교회,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등 마케도니아 고유의 조직이 잇따라 생겨났다. 또한 자체 영토 방위군(Територијална одбрана|Teritorijalna odbranamk)[40]와 외무국[41]도 갖추었다. 소수 민족의 권리는 헌법에 의해 보장되었으며,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동맹(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Sojuz na komunistite na Makedonijamk)이 통치 정당이었다.
2. 4. 민주화와 독립
1990년에 정부 형태가 평화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에서 의원 내각제로 바뀌었다. 최초의 다원주의 선거는 같은 해 11월 11일에 치러졌다. 한때 집권했던 공산당은 개혁 노선을 채택하여 페타르 고셰프가 이끄는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연맹 - 민주적 변화를 위한 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마지막 공산주의 대통령 블라디미르 미트코프[34]가 사임한 후, 키로 글리고로프는 1991년 1월 31일에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첫 번째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 되었다.[43]1991년 4월 16일, 의회는 법인의 공식 명칭에서 "사회주의"를 삭제하는 헌법 개정안을 채택했으며, 같은 해 6월 7일에는 새로운 명칭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제정되었다.[13]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이 시작된 후,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991년 1월 25일에 주권 선언을 발표했으며,[35] 이후 1991년 9월 8일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거쳐 완전한 독립 국가임을 선포했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법적 승계 국가이다. 이 나라는 2019년 2월까지 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알려졌으며, 2018년 6월 그리스와의 프레스파 협정에 따라 공식적인 국명 변경을 거쳐 오랜 국명 분쟁을 해결했다.
3. 정치 체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마케도니아인의 민족 국가이자 소수 민족의 국가로 정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독립 국가와 관련된 몇 가지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헌법은 자결권과 분리주의를 인정했다.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경은 공화국 의회의 결정에 의해서만 변경될 수 있었다. 주민들은 유고슬라비아 시민권과 국가 업무를 위한 내부 마케도니아 시민권을 모두 보유했다.[26]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자체적인 헌법, 대통령직, 정부, 의회, 공용어, 국가 상징,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내무부, 외무부 및 기타 국가 특권을 가졌다. 또한, 자체적인 영토 방위군 군대 (마케도니아어: Територијална одбрана, Teritorijalna odbrana)를 가지고 있었다.[27]
3. 1. 일당제 사회주의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연맹 (마케도니아어: ''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 Sojuz na Komunistite na Makedonija'', 약칭: ''СКМ, SKM'')이 집권한 일당제 공산주의 국가였다. 유고슬라비아의 구성국이자 비동맹 운동의 주요 창립 회원국]]으로서, 중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했으며 다른 공산주의 국가에 비해 더 자유로운 공산주의 체제를 유지했다. 지배 이념은 티토주의와 노동자 자주 관리 (마케도니아어: самоуправување|samoupravuvanjemk)에 기반을 두었다.이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는 독립 국가는 아니었지만 국가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마케도니아는 자체 헌법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의회, 정부, 의회, 공용어, 국장, 내무부, 마케도니아 정교회,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등 마케도니아 고유의 조직이 잇따라 생겨났다. 또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자체 영토 방위군 (Територијална одбрана|Teritorijalna odbranamk)[40]와 외무국[41]도 갖추었다.
소수 민족의 권리는 헌법에 의해 보장되었다. 마케도니아를 통치하는 정당은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동맹(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Sojuz na komunistite na Makedonijamk)이었다.
3. 2. 제한적 자치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마케도니아인의 민족 국가이자 소수 민족의 국가로 정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독립 국가와 관련된 몇 가지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헌법은 자결권과 분리주의를 인정했다.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경은 공화국 의회의 결정에 의해서만 변경될 수 있었다. 주민들은 유고슬라비아 시민권과 국가 업무를 위한 내부 마케도니아 시민권을 모두 보유했다.[26]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자체적인 헌법, 대통령직, 정부, 의회, 공용어, 국가 상징,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내무부, 외무부 및 기타 국가 특권을 가졌다. 또한, 자체적인 영토 방위군 군대(Територијална одбрана|Teritorijalna odbranamk)를 가지고 있었다.[27]
소수 민족의 권리는 헌법에 의해 보장되었다. 마케도니아를 통치하는 정당은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동맹(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Sojuz na komunistite na Makedonijamk)이었다.
4. 소수 민족
마케도니아인들은 다수를 차지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Yugoslavia)의 구성 민족(공식 용어: ''narod'') 중 하나였으며, 소수 민족(공식 용어: ''narodnosti'')의 권리는 헌법에 의해 보장되었다.[28]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였지만,[28] 마케도니아 알바니아인과 마케도니아 튀르크인은 학교 시스템과 미디어에서 자신의 언어를 사용할 권리가 있었다.[29]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헌법은 국가를 마케도니아 민족의 민족 국가이자, 알바니아인과 튀르크인의 국가로 정의했다.[29]
5. 종교
비록 집권 공산주의자들이 종교를 억제했지만, 종교의 자유는 어느 정도 허용되었다. 당국은 1967년에 자동 수장을 선포한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존재를 허용했다. 1972년에는 수도 스코페에 있는 가장 큰 정교회인 ''성 클레멘트 교회''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무슬림, 가톨릭, 개신교 및 기타 종교 공동체 또한 자체 조직과 예배 장소를 유지할 수 있었다.
6. 지리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면적과 인구 면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4번째로 큰 구성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북쪽으로는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그 하위 행정 구역인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었고, 서쪽으로는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 남쪽으로는 그리스, 동쪽으로는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과 국제적인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7. 유산
북마케도니아는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법적 승계 국가이다. 이 나라는 2019년 2월까지 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알려졌으며, 2018년 6월 그리스와의 프레스파 협정에 따라 공식적인 국명 변경을 거쳐 오랜 국명 분쟁을 해결했다.
참조
[1]
서적
Neighbors at Wa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Yugoslav Ethnicity, Cul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
웹사이트
Understanding Secularism in a Post-Communist State: Case of Serbia
https://www.iclrs.or[...]
[3]
문서
Веднаш штом е завршено штембилувањето на бугарските левови и албанските лекови, со цел упростување на валутното прашање во Македонија, лековите се заменети со левови. За тоа повереникот за финансии при Президиумот на АСНОМ реферира пред претставниците на народноослободителните одбори на конференцијата што е одржана во ослободено Скопје во врска со финансиските проблеми. На тој начин, штембилуваниот лев остана единствена валута на подрачјето на Македонија... Види и Закон за курсевите за повлекување на окупационите банкноти и за регулирање на обврските (Сл. лист на ДФЈ“, број 23 од 19 април 1945). For more see: ASNOM vo sozdavanjeto na državata na makedonskiot narod. Referati od naučen sobir održan od 29 do 31 oktomvri 1984 godina vo Skopje (1987) Makedonska akademija na naukite i umetnostite, str. 380.
[4]
서적
World Monetary Units. An Historical Dictionary, Country by Country
McFarland Incorporated
[5]
문서
Bulgarian currency had been used by the short-lived [[Independent Macedonia (1944)|pro-German puppet government]] in the autкmn of 1944. After the [[Capture of Skopje (1944)|capture of Skopje]] in November 1944, the new Macedonian authorities confiscated [[Bulgarian lev|лв.]]430 million, stamps, and other securities from the former [[Bulgarian National Bank]] building. They refused to give the funds to Sofia, and General [[Damyan Velchev]] ordered a Bulgarian artillery regiment to return from South Serbia to shell Skopje and confiscate the funds. The order was rescinded after the intervention of [[Marshal of the Soviet Union]] [[Fyodor Tolbukhin]], preventing an armed conflict. For more see: Добрин Мичев, Македонският въпрос и българо-югославските отношения: 9 септември 1944-1949, Унив. изд-во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1994, {{ISBN|9540701821}}, стр. 119.
[6]
문서
According to the article, the author of which is a Bulgarian banking expert and doctor of finance, the used Bulgarian banknotes were stamped with the inscription: ''Democratic Federative Yugoslavia Finance Commission for Macedonia.'' When withdrawing at the beginning of September 1944, the Bulgarian authorities took the available banknotes to the headquarters of the Bulgarian National Bank in Skopje. However, the Bulgarian currency remained in circulation under German occupation. By order of [[Adolf-Heinz Beckerle]], additional quantities [[Bulgarian lev|lev]] were printed at the [[German Reich]] printing house in Berlin, where the Bulgarian banknotes were printed, and were sent to Macedonia. For more: Костадин Христов, За първите македонски банкноти. [https://www.risk-guidance.eu/publications/84-macedonia-bank Управление на риска ООД, 20.09.2017 г.]
[7]
문서
"In April 1945 war - time and pre - war currencies were called in and replaced by a new dinar with an exchange rate of one new to ten old dinars."
[8]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Annual Report 1993
http://www.nbrm.mk/W[...]
[9]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문서
Constitution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Macedonia, 1974 –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slvesnik.[...]
[11]
Wikisource
[12]
Wikisource
[13]
뉴스
"On This Day” –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 MIA
http://www.mia.com.m[...]
2008-01-25
[14]
웹사이트
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web.archive.[...]
2008-03-27
[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6]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7]
서적
Das makedonische Jahrhundert: von den Anfängen der nationalrevolutionären Bewegung zum Abkommen von Ohrid 1893–2001
Oldenbourg Verlag
[18]
서적
"Axis Forces in Yugoslavia 1941–4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9]
서적
"World War II: The Mediterranean 1940–1945, World War II: Essential Histories"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Zemra Shqiptare
https://web.archive.[...]
2015-10-31
[22]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23]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4
[24]
서적
Essence of political manipulation: emotion, institutions, & Greek foreign policy
Peter Lang (publisher)
[25]
문서
Yugoslav Communists recognized the existence of a Macedonian nationality during WWII to quiet fears of the Macedonian population that a communist Yugoslavia would continue to follow the former Yugoslav policy of forced Serbianization. Hence, for them to recognize the inhabitants of Macedonia as Bulgarians would be tantamount to admitting that they should be part of the Bulgarian state. For that the Yugoslav Communists were most anxious to mold Macedonian history to fit their conception of Macedonian consciousness. The treatment of Macedonian history in Communist Yugoslavia had the same primary goal as the creation of the Macedonian language: to de-Bulgarize the Macedonian Slavs, and to create an national consciousness that would inspire identification with Yugoslavia. For more see: Stephen E. Palmer, Robert R. King, Yugoslav communism and the Macedonian question, Archon Books, 1971, {{ISBN|0208008217}}, Chapter 9: The encouragement of Macedonian culture.
[2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Official Site
http://www.mfa.gov.m[...]
2008-11-16
[27]
웹사이트
Ministry of Defence of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morm.gov.[...]
2007-10-10
[28]
문서
РЕШЕНИЕ на Антифашиското собрание на народното ослободуене на Македонија за заведуене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како службен јазик во македонската држава
[29]
문서
Spasov, Ljudmil; Arizankovska, Lidija. ''Hierarhizacija jezikov v Republiki Makedoniji in Republiki Sloveniji glede na jezikovno politiko Evropske unije'',
http://www.centerslo[...]
2010-09-18
[30]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C. Hurst & Co. Publishers
[31]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I.B. Tauris (publisher)
[32]
웹사이트
http://www.newbalkan[...]
2007-09-24
[33]
간행물
Antiquity musing: reflections on the Greco-Macedonian symbolic contest over the narratives of the ancient past
Central European University, Budapest
[34]
웹사이트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Skopje
http://www.pf.ukim.e[...]
2012-06-30
[35]
문서
Sovereignty Declaration – Parliament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sobranie.[...]
[36]
문서
Устав Федеративне Народ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1946)
http://sr.wikisource[...]
2007-10-19
[37]
문서
Устав Социјалистичке Федератив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1963)
http://sr.wikisource[...]
2007-10-19
[38]
뉴스
"''On This Day'' -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 MIA"
http://www.mia.com.m[...]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 MIA
1991
[39]
간행물
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cecl.gr/R[...]
Centre for European Constitutional Law
[40]
웹사이트
Ministry of Defence of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morm.gov.[...]
2007-10-10
[4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Official Site
http://www.mfa.gov.m[...]
[42]
웹사이트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Skopje
http://www.pf.ukim.e[...]
[43]
웹사이트
マケドニア共和国大統領公式サイト
http://www.president[...]
1991-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