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자 매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자 매듭은 분자 내부에 형성된 매듭 구조를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분자 매듭과 화학적으로 합성된 분자 매듭으로 분류된다. 자연 발생 분자 매듭은 DNA, RNA, 단백질에서 발견되며, 단백질의 경우 3차 구조 접힘 과정에서 형성된다. 화학 합성 분자 매듭은 3₁ 매듭, 4₁ 매듭, 5₁ 매듭, 8₁₉ 매듭 등이 보고되었으며, 금속 이온 리간드의 도움을 받아 합성되기도 한다. 분자 매듭 연구는 1977년 제인 리처드슨의 단백질 매듭 제안을 시작으로, 1981년 Liu 등에 의한 DNA 매듭 발견, 1989년 소바주 등의 합성 매듭 보고를 거쳐 발전해 왔다. 분자 매듭은 나노기술 분야에서 잠재적인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대 고리 화합물 - 18-크라운-6
    18-크라운-6은 여섯 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18원자 고리 구조의 고리 모양 에터로, 알칼리 금속 양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화학 반응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되며 윌리엄슨 에테르 합성법이나 에틸렌 옥사이드 올리고머화 반응으로 제조된다.
  • 거대 고리 화합물 - 포르피린
    포르피린은 사각형 평면의 MN₄ 코어를 가진 고리형 화합물로, 엽록소, 헴, 비타민 B12 등 생체 내 다양한 분자의 구성 성분이며, 다양한 형태로 왜곡되어 분광학적 특성, 산화 환원 전위, 금속 결합 능력에 영향을 주고, 광역학 치료, 분자 전자 공학, 센서, 생물학적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생체 내 8단계 생합성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 분자 위상수학 - 초나선
  • 분자 위상수학 -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는 공유 결합 없이 물리적으로 얽혀 분자 간 얽힘을 통해 특이한 성질을 보이는 카테네인, 로탁세인, 분자 매듭 등의 구조체이며, 분자 반응성, 비공유 결합에 영향을 주어 분자 스위치, 분자 머신, 신소재 개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 초분자화학 - 이온 결합
    이온 결합은 금속 양이온과 비금속 음이온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형성되며,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생성되어 결정 격자 구조를 가지며, 전기 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이온성이 강해진다.
  • 초분자화학 - 수소 결합
    수소 결합은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와 다른 원자 사이의 인력으로, 분자 간 또는 분자 내에서 형성되는 화학 결합이며, 물의 특이한 성질, DNA 구조, 단백질 접힘 등 다양한 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자 매듭
분자 매듭
3₁ 매듭
가장 간단한 비자명 매듭인 3₁ 매듭의 예
개요
정의분자 구조가 매듭과 유사한 분자
참고 문헌"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22505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704147"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1088/0953-8984/27/35/354101"
관련 연구"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634951830859X"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8927022.2019.1644542"
"https://pubs.rsc.org/en/content/articlehtml/2021/sc/d1sc02889a"
추가 정보
관련 용어매듭 이론
분자
화학

2. 자연 발생 분자 매듭

매듭을 포함하는 유기 분자는 슬립 매듭 또는 의사 매듭 범주에 속할 수 있다.[2] 이들은 닫힌 곡선이 아니라 선형 사슬 내부에 존재하는 매듭이며 각 끝에 종결점을 갖기 때문에 수학적 매듭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매듭 단백질은 3차 구조 접힘 과정에서 분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매듭 핵산은 일반적으로 유전체 복제 및 전사 중에 분자 매듭을 형성하지만,[6] 매듭 메커니즘에 대한 세부 사항은 계속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모호하다. 분자 시뮬레이션은 분자 매듭 메커니즘 연구에 근본적이다.

==== DNA 매듭 ====

DNA 매듭은 1981년 Liu 등이 단일 가닥, 원형, 박테리아 DNA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중 가닥 원형 DNA도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7]

==== RNA 매듭 ====

자연 매듭 RNA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7]

==== 단백질 매듭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여러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단백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진 매듭 유형은 KnotProt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매듭 단백질의 +3_1, -3_1, 4_1, -5_2, +6_1 매듭이다.[8]

2. 1. DNA 매듭

DNA 매듭은 1981년 Liu 등이 단일 가닥, 원형, 박테리아 DNA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중 가닥 원형 DNA도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연 매듭 RNA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7] 매듭을 포함하는 유기 분자는 슬립 매듭 또는 의사 매듭 범주에 속할 수 있다.[2] 이들은 닫힌 곡선이 아니라 선형 사슬 내부에 존재하는 매듭이며 각 끝에 종결점을 갖기 때문에 수학적 매듭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매듭 단백질은 3차 구조 접힘 과정에서 분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매듭 핵산은 일반적으로 유전체 복제 및 전사 중에 분자 매듭을 형성하지만,[6] 매듭 메커니즘에 대한 세부 사항은 계속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모호하다. 분자 시뮬레이션은 분자 매듭 메커니즘 연구에 근본적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여러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단백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진 매듭 유형은 KnotProt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매듭 단백질의 +3_1, -3_1, 4_1, -5_2, +6_1 매듭이다.[8]

2. 2. RNA 매듭

RNA 매듭은 아직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지 않았다.[7] 매듭을 포함하는 유기 분자는 슬립 매듭 또는 의사 매듭 범주에 속할 수 있는데,[2] 이들은 닫힌 곡선이 아닌 선형 사슬 내부에 존재하는 매듭이며 각 끝에 종결점을 가지므로 수학적 매듭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매듭 단백질은 3차 구조 접힘 과정에서 분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매듭 핵산은 일반적으로 유전체 복제 및 전사 중에 분자 매듭을 형성하지만,[6] 매듭 메커니즘에 대한 세부 사항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모호하다. 분자 시뮬레이션은 분자 매듭 메커니즘 연구에 근본적이다. DNA 매듭은 1981년 Liu 등이 단일 가닥, 원형, 박테리아 DNA에서 처음 발견하였고, 이중 가닥 원형 DNA도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여러 단백질이 확인되었으며, KnotProt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매듭 단백질의 +3_1, -3_1, 4_1, -5_2, +6_1 매듭이 이에 해당한다.[8]

2. 3. 단백질 매듭

단백질 매듭을 포함하는 유기 분자는 슬립 매듭 또는 의사 매듭 범주에 속할 수 있다.[2] 이들은 닫힌 곡선이 아니라 선형 사슬 내부에 존재하는 매듭이며 각 끝에 종결점을 갖기 때문에 수학적 매듭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매듭 단백질은 3차 구조 접힘 과정에서 분자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매듭 핵산은 일반적으로 유전체 복제 및 전사 중에 분자 매듭을 형성하지만,[6] 매듭 메커니즘에 대한 세부 사항은 계속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모호하다. 분자 시뮬레이션은 분자 매듭 메커니즘 연구에 근본적이다.

매듭 DNA는 1981년 Liu 등이 단일 가닥, 원형, 박테리아 DNA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중 가닥 원형 DNA도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연 매듭 RNA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7]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분자 매듭을 포함하는 여러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단백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진 매듭 유형은 KnotProt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매듭 단백질의 +3_1, -3_1, 4_1, -5_2, +6_1 매듭이다.[8]

3. 화학 합성 분자 매듭

여러 합성 분자 매듭이 보고되었다.[9][10][11][12][13][14][15] 분자에서 성공적으로 합성된 매듭 유형은 31, 41, 51 및 819 매듭이다. -5_2+6_1 매듭은 분자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성공적으로 합성되지는 않았다. 작은 분자 복합 매듭 또한 아직 합성되지 않았다.[7]



인공 DNA, RNA 및 단백질 매듭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DNA는 자연적으로 서로 얽힌 구조를 형성하고 매듭을 형성하도록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합성 매듭 합성에 특히 유용한 모델이다.[16] 매듭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풀림을 정확하게 제어한다. 분자 매듭은 종종 중요한 금속 이온 리간드의 도움으로 합성된다.[7]

매듭연도참고 문헌
311989[29][17]
412014[18][17]
512012[32][17][19]
522020[20][17][21]
712020[22][17]
742021[23][24]
8182018[25][17]
8192017[34][17][26]


3. 1. 합성 방법

여러 개의 합성 분자 매듭이 보고되었다.[9][10][11][12][13][14][15] 분자에서 성공적으로 합성된 매듭 유형은 31, 41, 51 및 819 매듭이다.

인공 DNA, RNA 및 단백질 매듭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DNA는 자연적으로 서로 얽힌 구조를 형성하고 매듭을 형성하도록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합성 매듭 합성에 특히 유용한 모델이다.[16] 분자 매듭은 종종 중요한 금속 이온 리간드의 도움으로 합성된다.[7]

매듭연도참고 문헌
311989[29][17]
412014[18][17]
512012[32][17][19]
522020[20][17][21]
712020[22][17]
742021[23][24]
8182018[25][17]
8192017[34][17][26]


3. 2. 합성된 매듭의 종류

여러 개의 합성 분자 매듭이 보고되었다.[9][10][11][12][13][14][15] 분자에서 성공적으로 합성된 매듭 유형은 31, 41, 51 및 819 매듭이다. -5_2+6_1 매듭은 분자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성공적으로 합성되지는 않았다. 작은 분자 복합 매듭 또한 아직 합성되지 않았다.[7]

인공 DNA, RNA 및 단백질 매듭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DNA는 자연적으로 서로 얽힌 구조를 형성하고 매듭을 형성하도록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합성 매듭 합성에 특히 유용한 모델이다.[16] 분자 매듭은 종종 중요한 금속 이온 리간드의 도움으로 합성된다.[7]

매듭연도참고 문헌
311989[29][17]
412014[18][17]
512012[32][17][19]
522020[20][17][21]
712020[22][17]
742021[23][24]
8182018[25][17]
8192017[34][17][26]


4. 분자 매듭 연구의 역사

1977년, 제인 리처드슨은 탄산 탈수 효소 B(CAB)가 다양한 단백질의 위상학적 행동을 조사하는 동안 겉보기 매듭을 나타낸다고 보고하며 단백질에서 분자 매듭의 존재를 처음으로 제안했다.[27] 그러나 1994년 마크 L. 맨스필드는 단백질에서 매듭의 발생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CAB에서 트레포일 매듭의 존재를 처음으로 확인하여 최초의 매듭 단백질 발견자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27] 매듭 DNA는 1981년 Liu 등에 의해 단일 가닥, 원형, 세균 DNA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이중 가닥 원형 DNA도 매듭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8]

1989년, 소바주와 그의 동료들은 Cu+ 이온의 도움을 받아 이중 나선 복합체를 통해 합성된 최초의 합성 매듭 분자인 트레포일을 보고했다.[29]

2000년, Vogtle 등은 분자 매듭을 "노테인"으로 처음 묘사했다.[1] 같은 해, 윌리엄 테일러는 분자의 매듭 성분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고정된 지점에서 종결점을 설정하여 매듭 유형을 잘 정의할 수 있는 단백질 매듭을 분석하는 대체 계산 방법을 개발했다. 이 연구에서 테일러는 단백질에서 깊은 4_1 매듭을 발견했으며,[30] 깊이 매듭진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했다.

2007년, 에릭 예이츠는 분자 슬립 매듭의 식별을 보고했는데, 이는 분자의 전체 골격 사슬이 매듭이 없고 계산 모델로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완전히 매듭진 구조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분자가 매듭진 하위 사슬을 포함하는 경우를 말한다.[31] 수학적으로 슬립 매듭은 완전한 구조의 검사에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분석하기 어렵다.

2012년, Ayme 등은 동적 공유 결합 화학을 사용하여 제조한 오각 매듭을 합성했는데, 이는 당시까지 제조된 가장 복잡한 비-DNA 분자 매듭이었다.[32] 이후 2016년에는 완전히 유기적인 오각 매듭이 보고되었으며, 분자 매듭을 사용하여 알로스테릭 방식으로 촉매 작용을 조절한 최초의 사례가 포함되었다.[33] 2017년 1월, 데이비드 리 그룹에 의해 819 매듭이 합성되었으며, 이로써 819 매듭은 합성된 가장 복잡한 분자 매듭이 되었다.[34]

매듭 이론의 중요한 발전은 얽힌 분자 사슬 내의 사슬 내 접촉을 허용하는 것이다. 회로 위상학은 접촉의 배열과 접힌 선형 사슬의 사슬 교차를 공식화하는 위상학적 프레임워크로 부상했다. 보완적인 접근 방식으로, 콜린 아담스 등은 분자 내 상호 작용이 있는 접힌 선형 사슬에 적용할 수 있는 특이 매듭 이론을 개발했다.[35]

5. 응용 분야

많은 합성 분자 매듭은 독특한 구상 모양과 치수를 가지고 있어 나노기술의 잠재적인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6. 한국의 분자 매듭 연구

참조

[1] 논문 Knotting and Threading of Molecules: Chemistry and Chirality of Molecular Knots and Their Assemblies 2005-02-25
[2] 논문 Molecular knots in biology and chemistry 2015-08-20
[3] 논문 Stabilizing Effect of Inherent Knots on Proteins Revealed by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2018-11-06
[4] 논문 A Molecular Knot with Twelve Amide Groups - One-Step Synthesis, Crystal Structure, Chirality
[5] 논문 Dicopper (I) trefoil knots: Demetallation kinetic studies and molecular structures 2010-09-02
[6] 논문 Programming molecular topologies from single-stranded nucleic acids 2018-11-02
[7] 논문 Molecular Knots 2017-09-04
[8] 논문 KnotProt: a database of proteins with knots and slipknots 2015-01-28
[9] 논문 Molecular Meccano, 27. A Template-directed Synthesis of a Molecular Trefoil Knot 1997-12
[10] 논문 Copper(I)- or Iron(II)-Templated Synthesis of Molecular Knots Containing Two Tetrahedral or Octahedral Coordination Sites 1999-02
[11] 논문 A Trefoil Knot Made of Amino Acids and Steroids 2006-08-25
[12] 논문 Synthesis of a molecular trefoil knot by folding and closing on an octahedral coordination template 2010-02-07
[13] 논문 Active-Metal Template Synthesis of a Molecular Trefoil Knot 2011-12-16
[14] 논문 Molecular Composite Knots 1996-01
[15] 논문 Synthesis of contra-helical trefoil knots with mechanically tuneable spin-crossover properties
[16] 서적 Templated Synthesis of Knots and Ravels American Cancer Society 2012
[17] 논문 Open questions in functional molecular topology 2020-12-04
[18] 논문 Homochiral and meso Figure Eight Knots and a Solomon Link https://pubs.acs.org[...] 2014-06-11
[19] 웹사이트 Tying Molecules in Knots https://www.catenane[...] 2023-12-03
[20] 논문 Tying different knots in a molecular strand https://www.nature.c[...] 2020-08-27
[21] 웹사이트 Molecular 5-2 Knot https://www.catenane[...] 2023-12-03
[22] 논문 Metal-Peptide Torus Knots from Flexible Short Peptides https://linkinghub.e[...] 2020-01
[23] 논문 A molecular endless (74) knot https://www.nature.c[...] 2021-02
[24] 웹사이트 Endless Knot https://www.catenane[...] 2023-12-03
[25] 논문 Coordination‐Driven Self‐Assembly of a Molecular Knot Comprising Sixteen Crossings https://onlinelibrar[...] 2018-05-14
[26] 웹사이트 A Synthetic Molecular 819 Knot https://www.catenane[...] 2023-12-03
[27] 논문 β-Sheet topology and the relatedness of proteins 1977-08
[28] 논문 Novel topologically knotted DNA from bacteriophage P4 capsids: studies with DNA topoisomerases. 1981-08-25
[29] 논문 A Synthetic Molecular Trefoil Knot 1989
[30] 논문 Knotted proteins: A tangled tale of Structural Biology 2015-01-01
[31] 논문 Identification of Rare Slipknots in Protei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tability and Folding 2007-10-12
[32] 논문 A synthetic molecular pentafoil knot 2011-11-06
[33] 논문 Allosteric initiation and regulation of catalysis with a molecular knot https://www.research[...] 2016-06-24
[34] 논문 Braiding a molecular knot with eight crossings https://www.research[...] 2017-01-13
[35] 논문 Knot theory for proteins: Gauss codes, quandles and bondles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