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피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피린은 사각형 평면의 MN₄ 코어를 가진 고리형 화합물로, 엽록소, 헴, 비타민 B12 등 생체 내 다양한 분자의 구성 성분이다. 포르피린은 다양한 형태로 왜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왜곡은 분광학적 특성, 산화 환원 전위, 금속과의 결합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포르피린은 광역학 치료, 분자 전자 공학, 센서, 생물학적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생체 내에서는 8단계의 생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여러 효소가 관여하며, 효소 결핍은 포르피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피린 - 프로토포르피린 IX
프로토포르피린 IX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분자들의 전구체이며, 특정 조건에서 붉은색 형광을 내는 특징을 가진 포르핀 유도체이다. - 포르피린 - 헴
헴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의 조효소로, 헴 B, 헴 A, 헴 C, 헴 O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포르피린 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되고 헴 단백질의 기능은 단백질 내 헴 거대고리의 환경에 의해 조절되며 과다 섭취 시 건강 위험이 있을 수 있다. - 거대 고리 화합물 - 18-크라운-6
18-크라운-6은 여섯 개의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18원자 고리 구조의 고리 모양 에터로, 알칼리 금속 양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화학 반응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되며 윌리엄슨 에테르 합성법이나 에틸렌 옥사이드 올리고머화 반응으로 제조된다. - 거대 고리 화합물 - 거대고리 화합물
거대고리 화합물은 고리 내에 다수의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 형태 분자로, 다양한 입체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분자 인식, 이온 수송, 약물 전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의약품 및 금속 보조 인자로 사용된다. - 생체분자 - 효소
효소는 생체 내에서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생체촉매로서, 기질 선택성과 반응 선택성을 가지며 활성이 조절되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며,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인공 효소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생체분자 - 핵산
핵산은 DNA와 RNA를 포함하는 생체 고분자로, 유전 정보 저장 및 단백질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뉴클레오타이드의 중합체로 DNA는 이중 나선, RNA는 단일 나선 구조를 가진다.
| 포르피린 |
|---|
2. 구조
포르피린은 착체 화학에서 중심적인 연구 과제 중 하나로 다뤄지는 다양한 화합물군이다. 포르피린류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지 ''Porphyrin and Phthalocyanine''이 발행되었으며, 백과사전적인 내용을 담은 ''Porphyrin Handbook''이 간행되었다.
2. 1. 포르피린 복합체의 코어 구조
포르피린 복합체는 사각형 평면 MN4 코어로 구성된다. 포르피린의 주변부는 sp2 혼성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약간 벗어난 형태를 보인다. "주름진" 또는 안장 모양의 포르피린은 시스템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한다.[5] 또한 금속은 종종 N4 평면의 중심에 있지 않다.[6] 자유 포르피린의 경우, 두 개의 피롤 양성자는 서로 트랜스이며 N4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7] 이러한 비평면 왜곡은 변경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엽록소 고리는 더욱 뚜렷하게 비평면적이지만, 포르피린보다 더 포화되어 있다.[8]2. 2. 포르피린 주변부 구조
포르피린의 주변부는 sp2 혼성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약간 벗어난 형태를 보인다. "주름진" 또는 안장 모양의 포르피린은 시스템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나타난다.[5] 또한 금속은 종종 N4 평면의 중심에 있지 않다.[6] 자유 포르피린의 경우, 두 개의 피롤 양성자는 서로 트랜스(trans)이며 N4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7] 이러한 비평면 왜곡은 변화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엽록소 고리는 더욱 뚜렷하게 비평면적이지만, 포르피린보다 더 포화되어 있다.[8]2. 3. 포르피린의 형태
포르피린 복합체는 사각형 평면 MN4 코어로 구성된다. 포르피린의 주변부는 sp2 혼성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약간 벗어난 형태를 보인다. "주름진" 또는 안장 모양의 포르피린은 시스템과 환경 간의 상호 작용에 기인한다.[5] 금속은 종종 N4 평면의 중심에 있지 않다.[6] 자유 포르피린의 경우, 두 개의 피롤 양성자는 서로 트랜스이며 N4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7] 이러한 비평면 왜곡은 변경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엽록소 고리는 포르피린보다 더 포화되어 있으며, 더욱 뚜렷하게 비평면적이다.[8]2. 4. 금속 이온의 위치
포르피린 복합체는 사각형 평면 MN4 코어로 구성된다. 포르피린 주변부는 sp2 혼성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약간 벗어난 형태를 보인다. "주름진" 또는 안장 모양의 포르피린은 시스템과 환경 간의 상호 작용에 기인한다.[5] 금속은 종종 N4 평면 중심에 있지 않다.[6] 자유 포르피린의 경우, 두 개의 피롤 양성자는 서로 트랜스이며 N4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7] 이러한 비평면 왜곡은 변경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엽록소 고리는 포르피린보다 더 포화되어 있으며, 더욱 뚜렷하게 비평면적이다.[8]2. 5. 자유 포르피린의 특징
포르피린 복합체는 사각형 평면 MN4 코어로 구성된다. 자유 포르피린의 경우, 두 개의 피롤 양성자는 서로 트랜스(trans)이며 N4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7] 이러한 비평면 왜곡은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2. 6. 비평면 왜곡
포르피린 복합체는 사각형 평면 MN4 코어로 구성된다. 포르피린 주변부는 sp2 혼성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약간 벗어난 형태를 보인다. "주름진" 또는 안장 모양의 포르피린은 시스템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나타난다.[5] 또한 금속은 종종 N4 평면 중심에 있지 않다.[6] 자유 포르피린의 경우, 두 개의 피롤 양성자는 서로 트랜스(trans)이며 N4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7] 이러한 비평면 왜곡은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엽록소 고리는 포르피린보다 더 포화되어 있으며, 더 뚜렷하게 비평면적이다.[8]2. 7. 엽록소 고리
엽록소 고리는 포르피린보다 더 포화되어 있으며, 뚜렷하게 비평면적이다.[8]3. 포르피린 복합체
포르피린은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다양한 복합체를 형성하며, 이는 착체 화학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포르피린은 두 개의 N-''H'' 양성자가 치환되면서 금속 이온(일반적으로 2+ 또는 3+ 전하)과 결합한다.
포르피린류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지 ''Porphyrin and Phthalocyanine''이 발행되었으며, 백과사전적인 내용을 담은 ''Porphyrin Handbook''이 간행되었다.
3. 1. 전이 금속 포르피린 착물
포르피린은 두 개의 N-''H'' 양성자가 치환됨과 동시에 N4 "포켓"에 금속 이온을 결합한다. 금속 이온은 일반적으로 2+ 또는 3+ 전하를 띤다. 이러한 합성에 대한 개략적인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 = 금속 이온, L = 리간드):
3. 2. 대표적인 포르피린 및 유도체
프로토포르피린 IX의 유도체는 자연계에서 흔히 발견되며, 헴의 전구체이다.[1]옥타에틸포르피린(H2OEP)은 프로토포르피린 IX의 합성 유사체이다.[1] 자연 포르피린 리간드와 달리 OEP2−는 매우 대칭적이다.[1]
테트라페닐포르피린(H2TPP)은 프로토포르피린 IX의 또 다른 합성 유사체이다.[1] 자연 포르피린 리간드와 달리 TPP2−는 매우 대칭적이다.[1] 또 다른 차이점은 메틴 중심이 페닐기로 채워져 있다는 것이다.[1]
헴의 단순화된 보기, 프로토포르피린 IX의 착물.[1]
40개의 포르피린 분자로 이루어진 거대 고리 모델[1]
40개의 포르피린 분자로 이루어진 거대 고리, 주사 터널링 현미경 (STM) 이미지[1]
4. 고대 포르피린
지질 포르피린(geoporphyrin)은 석유 포르피린이라고도 하며, 지질학적 기원을 가진다.[9] 원유, 셰일 오일, 석탄, 퇴적암 등에서 발견될 수 있다.[9][10] 아벨소나이트는 희귀한 지질 포르피린 광물이다.[11]
4. 1. 지질 포르피린의 정의 및 발생
지질 포르피린(geoporphyrin)은 석유 포르피린이라고도 하며, 지질학적 기원을 가진 포르피린이다.[9] 이는 원유, 셰일 오일, 석탄 또는 퇴적암에서 발생할 수 있다.[9][10] 아벨소나이트는 아마도 유일한 지질 포르피린 광물일 것이다. 왜냐하면 포르피린이 단독으로 존재하여 결정을 형성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11]유기 지구화학 분야는 석유에서 포르피린을 분리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이 발견은 석유의 생물학적 기원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석유는 미량의 니켈 및 바나딜 포르피린 분석을 통해 때때로 "지문"이 찍힌다.
4. 2. 아벨소나이트
아벨소나이트는 아마도 유일한 지질 포르피린 광물일 것이다. 왜냐하면 포르피린이 단독으로 존재하여 결정을 형성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11]4. 3. 유기 지구화학
유기 지구화학 분야는 석유에서 포르피린을 분리하는 데서 시작되었다.[9] 이 발견은 석유의 생물학적 기원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석유는 미량의 니켈 및 바나딜 포르피린 분석을 통해 때때로 "지문"이 찍힌다.[9]5. 생합성
포르피린 생합성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나뉜다. 비광합성 진핵생물(동물, 곤충, 곰팡이, 원생동물)과 세균의 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에서는 글리신과 시트르산 회로에서 유래된 숙시닐-CoA를 사용하여 δ-아미노레불린산(δ-ALA)을 합성하는 셰민 경로를 이용한다. 반면, 식물, 조류, 세균(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 제외), 그리고 고세균에서는 글루탐산을 이용하여 δ-아미노레불린산을 합성하는 C5 경로를 이용한다.
δ-아미노레불린산 2분자는 포르포빌리노겐 생성효소에 의해 포르포빌리노겐으로 전환되고, 4분자의 포르포빌리노겐은 포르포빌리노겐 탈아미노효소에 의해 히드록시메틸 빌레인으로 중합된다. 히드록시메틸 빌레인은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합성효소에 의해 유로포르피리노겐 III으로 고리화된다. 유로포르피리노겐 III는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프로토포르피린 IX로 전환되며, 여기에 페로킬라타제가 철 이온을 결합시켜 헴을 생성한다.
포르피린 생합성 과정과 관련된 효소, 기질, 생성물, 그리고 관련 질환은 아래 표와 같다.
| 효소 | 위치 | 기질 | 생성물 | 관련 질환 |
|---|---|---|---|---|
| ALA 합성효소 | 미토콘드리아 | 글리신, 숙시닐 CoA | δ-아미노레불린산 | X-연관 우성 프로토포르피린증, X-연관 철아구성 빈혈 |
| ALA 탈수소효소 | 세포질 | δ-아미노레불린산 | 포르포빌리노겐 | 아미노레불린산 탈수소효소 결핍 포르피린증 |
| PBG 탈아미노효소 | 세포질 | 포르포빌리노겐 | 히드록시메틸빌레인 |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생성효소 | 세포질 | 히드록시메틸빌레인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선천성 적혈구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탈카복실화효소 | 세포질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지연성 피부 포르피린증, 간적혈구포르피린증 |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 |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프로토포르피린 IX | 다형성 포르피린증 |
| 철 킬레이트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린 IX | 헴 |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증 |
5. 1. 생합성의 전환 단계
비광합성 진핵생물(동물, 곤충, 곰팡이, 원생동물)과 세균의 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에서 포르피린 생합성의 첫 단계는 δ-아미노레불린산(δ-ALA, 5-ALA 또는 dALA)의 형성이다. 이 반응은 아미노산 글리신과 시트르산 회로에서 유래된 숙시닐-CoA를 사용한다. 식물, 조류, 세균(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 제외), 그리고 고세균에서는 글루탐산에서 글루타밀-tRNA와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를 통해 생성된다. 이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는 글루타밀-tRNA 합성효소, 글루타밀-tRNA 환원효소, 그리고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 2,1-아미노뮤테이스이다. 이 경로는 C5 또는 Beale 경로로 알려져 있다.δ-아미노레불린산 2분자는 포르포빌리노겐 생성효소에 의해 결합되어 포르포빌리노겐(PBG)을 생성하며, 이 분자는 피롤 고리를 포함한다. 4개의 포르포빌리노겐은 탈아미노화를 통해 결합되어 히드록시메틸 빌레인(HMB)을 생성하며, 이는 고리형 테트라피롤인 유로포르피리노겐 III을 형성하기 위해 가수분해된다. 이 분자는 여러 번의 추가적인 변형을 겪는다. 중간체는 다양한 종에서 특정 물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지만, 인간에서는 주요 최종 생성물인 프로토포르피린 IX가 철과 결합하여 헴을 형성한다. 담즙 색소는 헴의 분해 산물이다.
생체 내에서 δ-아미노레불린산 합성(제1단계)부터 프로토포르피린 IX 합성까지는 헴 합성과 클로로필 합성이 공통적인 합성 경로를 따른다.[1]
D-아미노레불린산 2분자가 아미노레불린산 탈수 효소에 의해 탈수 축합되면, 피롤 고리 구조를 가진 포르포빌리노겐(PBG)이 된다.[1]
포르포빌리노겐 4분자가 포르포빌리노겐 탈아미노효소(별명: 히드록시메틸빌란 합성효소)에 의해 암모니아를 탈리하여 결합하면 피롤이 4개 직선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히드록시메틸빌란이 생성된다.[1]
5. 2. C5 또는 Beale 경로
식물, 조류, 세균 (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 제외), 그리고 고세균에서는 글루탐산에서 글루타밀-tRNA와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를 통해 δ-아미노레불린산이 생성된다. 이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는 글루타밀-tRNA 합성효소, 글루타밀-tRNA 환원효소,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 2,1-아미노뮤테이스이다. 이 경로는 C5 또는 Beale 경로로 알려져 있다.5. 3. 포르포빌리노겐 생성
두 개의 d-아미노레불린산 (dALA) 분자가 포르포빌리노겐 생성효소에 의해 결합되어 피롤 고리 구조를 가진 포르포빌리노겐 (PBG)을 생성한다.5. 4. 히드록시메틸 빌레인 생성
포르포빌리노겐 탈아미노효소(히드록시메틸빌란 합성효소)는 4분자의 포르포빌리노겐(PBG)을 암모니아를 탈리하며 결합시켜, 피롤 4개가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히드록시메틸 빌레인을 생성한다.4
: 포르포빌리노겐 히드록시메틸 빌레인
5. 5.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형성
포르포빌리노겐 4분자는 탈아미노화 반응을 통해 결합하여 히드록시메틸빌란(HMB)을 생성한다. 히드록시메틸빌란은 가수분해되어 고리형 테트라피롤인 유로포르피리노겐 III을 형성한다.[34] 이 반응은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합성효소에 의해 촉매되며, 히드록시메틸빌란에 있는 4개의 피롤 고리 중 한쪽 끝에 있는 피롤 고리 하나만 반전되어 축합, 고리형성 반응이 일어난다.[34] 만약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합성효소가 없다면 히드록시메틸빌란은 자발적으로 고리화되어 우로포르피리노겐 I을 생성하는데, 이는 프로토포르피린 합성에 사용될 수 없다.[34]⇒--
5. 6. 헴 합성의 최종 단계
인간을 포함한 비광합성 진핵생물과 세균의 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에서, 프로토포르피린 IX는 여러 단계를 거쳐 생성된 유로포르피리노겐 III로부터 합성된다. 유로포르피리노겐 III는 여러 번의 변형을 거치는데, 인간에서는 주로 프로토포르피린 IX가 만들어진다. 이후 페로킬라타제 효소에 의해 철과 결합하여 헴을 형성한다.- - → --
프로토포르피리노젠 IX 프로토포르피린 IX
페로킬라타제는 프로토포르피린 IX에 철 이온(Fe2+)을 배위시켜 헴을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헴은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시토크롬 등 다양한 단백질의 보결 분자단으로 기능하며, 산소 운반, 전자 전달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5. 7. 포르피린 생합성 관련 효소 및 질환
| 효소 | 위치 | 기질 | 생성물 | 염색체 | EC 번호 | OMIM | 질환 |
|---|---|---|---|---|---|---|---|
| ALA 합성효소 | 미토콘드리아 | 글리신, 숙시닐 CoA | δ-아미노레불린산 | 3p21.1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2.3.1.37 2.3.1.37]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5290 125290] | X-연관 우성 프로토포르피린증, X-연관 철아구성 빈혈 |
| ALA 탈수소효소 | 세포질 | δ-아미노레불린산 | 포르포빌리노겐 | 9q34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2.1.24 4.2.1.24]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5270 125270] | 아미노레불린산 탈수소효소 결핍 포르피린증 |
| PBG 데아미네이스 | 세포질 | 포르포빌리노겐 | 히드록시메틸 빌레인 | 11q23.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2.5.1.61 2.5.1.61]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6000 176000] |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합성효소 | 세포질 | 히드록시메틸 빌레인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10q25.2-q26.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2.1.75 4.2.1.75]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606938 606938] | 선천성 적혈구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탈카르복실화효소 | 세포질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1p34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1.1.37 4.1.1.37]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6100 176100] | 지연성 피부 포르피린증, 간적혈구포르피린증 |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3q12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1.3.3.3 1.3.3.3]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1300 121300] |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 |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프로토포르피린 IX | 1q22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1.3.3.4 1.3.3.4]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600923 600923] | 다형성 포르피린증 |
| 페로킬라타제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린 IX | 헴 | 18q21.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99.1.1 4.99.1.1]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7000 177000] |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증 |
5. 8. 포르피린 생합성의 8단계 반응과 관련 사항
| 효소 | 위치 | 기질 | 생성물 | 염색체 | EC 번호 | OMIM | 질환 |
|---|---|---|---|---|---|---|---|
| ALA 합성효소 | 미토콘드리아 | 글리신, 숙시닐 CoA | δ-아미노레불린산 | 3p21.1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2.3.1.37 2.3.1.37]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5290 125290] | X-연관 우성 프로토포르피린증, X-연관 철아구성 빈혈 |
| ALA 탈수효소 | 세포질 | δ-아미노레불린산 | 포르포빌리노겐 | 9q34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2.1.24 4.2.1.24]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5270 125270] | 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 결핍 포르피린증 |
| PBG 탈아미노효소 | 세포질 | 포르포빌리노겐 | 히드록시메틸빌레인 | 11q23.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2.5.1.61 2.5.1.61]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6000 176000] |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생성효소 | 세포질 | 히드록시메틸빌레인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10q25.2-q26.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2.1.75 4.2.1.75]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606938 606938] | 선천성 적혈구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탈카복실화효소 | 세포질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1p34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1.1.37 4.1.1.37]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6100 176100] | 지연성 피부 포르피린증, 간적혈구포르피린증 |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3q12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1.3.3.3 1.3.3.3]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1300 121300] |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 |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프로토포르피린 IX | 1q22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1.3.3.4 1.3.3.4]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600923 600923] | 다형성 포르피린증 |
| 철 킬레이트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린 IX | 헴 | 18q21.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99.1.1 4.99.1.1]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7000 177000] |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증 |
6. 실험실 합성

포르피린의 실험실 합성은 피롤과 알데하이드를 산성 조건에서 축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개발자의 이름을 따서 로젠문트 합성이라고 불린다.
6. 1. 로템문트 반응
포르피린의 일반적인 합성은 1936년에 처음 보고된 로템문트 반응이며,[12][13] 애들러와 롱고가 설명한 최신 방법의 기초이기도 하다.[14] 일반적인 반응식은 피롤과 알데하이드를 시작 물질로 하는 축합 반응 및 유기 산화 반응 과정이다.
6. 2. 비대칭 포르피린 화합물 합성
피롤과 알데히드를 산성 조건에서 축합시키는 로젠문트 합성을 통해 포르피린을 합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알데히드를 변화시켜 피롤 사이의 탄소(메소위)에, 피롤 유도체를 사용하여 피롤(베타위)에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른 피롤 중합체가 많이 생성되어 수율이 높지 않다.[1]피롤로부터 다단계 합성을 통해 비대칭적인 포르피린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포르피린을 단위 구조로 하는 폴리머(포르피린 어레이)의 합성도 가능하다.[1]
6. 3. 포르피린 어레이 합성
포르피린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포르피린 어레이)의 합성도 이루어지고 있다.[1]6. 4. 금속 착체 형성
포르피린을 적당한 금속 염과 함께 가열하면 금속 착물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금속의 산화수에 따라 반응이 전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계(系) 내가 산성이 되면 피롤의 질소에 프로톤이 배위되어 반응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약간의 염기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7. 성질
포르피린은 다양한 특징을 가진 화합물군이며, 착체 화학의 중심적인 연구 과제 중 하나이다. 포르피린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지 ''Porphyrin and Phthalocyanine''이 발행되었으며, 백과사전적인 내용을 담은 ''Porphyrin Handbook''이 간행될 정도로 그 내용이 매우 광범위하다.
7. 1. 광학적 특성
일반적인 포르피린은 소레 띠라고 불리는 400-500 nm 부근의 날카로운 흡수 띠와, Q 띠라고 불리는 500-700 nm 부근의 흡수 띠를 가진다. 소레 띠의 몰 흡광 계수는 종류에 따라 106 M/cm의 오더에 달하며, 이론치의 100%에 가까운 양자 수율을 나타낸다. Q 띠는 포르피린 단독의 경우 4개로 분열되어 있지만, 착체로 만들면 대칭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분열 수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착체의 흡수 스펙트럼은 중심 금속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분석 시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7. 2. 산화 환원 특성
포르피린 및 그 금속 착체는 안정한 산화 환원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호흡의 전자전달계에서 기능하는 사이토크롬에서는 중심의 철이 2가와 3가 사이를 왕복하며 산화 환원을 통해 전자를 운반한다. 이러한 특성은 전기화학적 접근을 통해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유기 합성 등의 촉매로도 활용되고 있다.[4]7. 3. 초분자
포르피린은 π 공액에 기인하는 상호작용, 또는 축 배위자에 의한 착체 형성을 통해 다채로운 초분자를 형성한다. 포르피린만 고농도로 존재할 경우, 위아래로 연결된 1차원 착체를 형성한다. 또한, DNA와도 강하게 스태킹하기 때문에, 광역동 치료용 증감제로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도, 풀러렌 등 π 공액계를 갖는 물질과의 상호작용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5]7. 4. 확장 포르피린
5개 이상의 피롤 고리가 연결된 환상 분자는 확장 포르피린(expanded porphyrin)이라고 불린다.[35] 오스카 등은 자신들이 합성한 헥사필린, 옥타필린의 금속 착체가 4nπ 전자 공액계와 뒤틀린 환상 구조로 인해 뫼비우스 방향족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35]8. 잠재적 응용 분야
포르피린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분자 전자 공학 및 센서:포르피린 기반 화합물은 분자 전자 공학 및 광학 분야에서 유망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19] 특히, 합성 포르피린 염료는 시제품 염료 감응 태양 전지에 사용된다.[20][21] 포르피린은 400–500 nm 부근의 소레 띠와 500–700 nm 부근의 Q 띠에서 강한 흡수 특성을 보인다. 소레 띠의 몰 흡광 계수는 매우 높아, 이론치의 100%에 가까운 양자 수율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흡수 스펙트럼은 중심 금속에 따라 달라지므로 분석 시약으로 활용된다.
클로로필이나 포르피린 아연 착체는 흡수한 빛 에너지를 광전자 이동에 사용한다. 이 현상은 광합성의 빛 포집 과정과 유사하며, 태양 전지 응용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일부 포르피린은 발광성을 띠는데, 백금 포르피린 착체의 발광 특성은 산소분압에 따라 변한다. 이를 이용하여 풍동 실험에서 압력 감지 페인트로 사용하거나 유기 EL의 발광 재료로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물학적 응용:포르피린은 항염증제,[22] 항암 및 항산화 활성 연구가 진행 중이다.[23] 일부 포르피린-펩타이드 접합체는 시험관 내(in vitro)에서 HI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이기도 한다.[24]
독성학:헴 생합성은 환경 독성 연구에서 생체 지표로 활용된다. 포르피린의 과도한 생산은 유기염소 노출을, 납은 ALA 탈수소효소 효소 억제를 나타낸다.[25]
8. 1. 광역학 치료법 (PDT)
포르피린은 빛을 강하게 흡수하여 조사된 부위에서 열로 변환되기 때문에 광역학 치료법(PDT)에서 사용되어 왔다.[15] 이 기술은 황반 변성 치료에 베르테포르핀을 사용하여 적용되었다.[16]PDT는 결정된 주파수의 빛, 광감작제 및 산소 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비침습적 암 치료법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일반적으로 일중항 산소와 과산화물 음이온, 자유 히드록실 라디칼 또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고반응성 활성 산소 종(ROS)의 형성을 생성한다.[17] 이러한 고반응성 활성 산소 종은 지질, 방향족 아미노산 및 핵산 헤테로고리 염기와 같은 민감한 세포 유기 생체 분자와 반응하여 세포를 손상시키고, 아마도 세포 자멸사 또는 심지어 괴사를 유도하는 산화 라디칼을 생성한다.[18]
8. 2. 분자 전자 공학 및 센서
포르피린 기반 화합물은 분자 전자 공학 및 광학 분야의 가능한 구성 요소로 관심을 받고 있다.[19] 합성 포르피린 염료는 시제품 염료 감응 태양 전지에 통합되었다.[20][21]일반적인 포르피린은 소레 띠라고 불리는 400–500 nm 부근의 날카로운 흡수 띠와, Q 띠라고 불리는 500–700 nm 부근의 흡수 띠를 가진다. 소레 띠의 몰 흡광 계수는 종류에 따라 106 M/cm의 오더에 달하며, 이론치의 100%에 가까운 양자 수율을 나타낸다. Q 띠는 포르피린 단독의 경우 4개로 분열되어 있지만, 착체로 만들면 대칭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분열 수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착체의 흡수 스펙트럼은 중심 금속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분석 시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클로로필이나 포르피린 아연 착체 등에서는 흡수한 빛은 완화되지 않고 광전자 이동을 일으킨다. 이 과정은 광합성에서의 빛 포집 부위에서 진행되는 반응이며, 생화학적인 관심 외에도 태양 전지로의 응용 등이 검토되고 있다.
포르피린은 발광성을 띄는 것도 많다. 백금 포르피린 착체의 발광 특성은 산소분압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풍동 실험을 할 때 압력 감지 페인트로서 기체에 도포하면 압력 센서로서 기능한다. 또한, 유기 EL의 발광 재료로서도 검토되고 있다.
8. 3. 생물학적 응용
포르피린은 항염증제로서의 가능성이 연구되었으며,[22] 항암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평가되었다.[23] 여러 포르피린-펩타이드 접합체가 시험관 내(in vitro)에서 HI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24]8. 4. 독성학
헴 생합성은 환경 독성 연구에서 생체 지표로 사용된다. 포르피린의 과도한 생산은 유기염소 노출을 나타내며, 납은 ALA 탈수소효소 효소를 억제한다.[25]9. 관련 물질
포르피린과 관련된 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것들과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들로 나눌 수 있다.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포르피린 관련 물질들은 대부분 금속 이온과 결합된 형태이다. 엽록소의 기본 구조인 클로린, 박테리오클로로필의 기본 구조인 박테리오클로린, 시로헴의 기본 구조이자 비타민 B12 합성 과정의 중간체인 시로하이드로클로린, 비타민 B12의 보조 인자에서 발견되는 핵심 고리 구조인 코린, 보조 인자 F430의 기본 구조인 코르핀 등이 대표적이다.[1]
| N4-매크로사이클 | 보조 인자 이름 | 금속 | 설명 |
|---|---|---|---|
| 클로린 | 엽록소, 박테리오클로로필 (일부) | 마그네슘 | |
| 박테리오클로린 | 박테리오클로로필 (일부) | 마그네슘 | |
| 시로하이드로클로린 (아이소박테리오클로린) | 시로헴 | 철 | 황 동화 작용의 중요한 보조 인자, 보조 인자 F430 및 B12로 가는 생합성 중간체 |
| 코린 | 비타민 B12 | 코발트 | |
| 코르핀 | 보조 인자 F430 | 니켈 | 매우 환원된 매크로사이클 |
합성 물질로는 벤젠 고리가 융합된 벤조포르피린과 그 유도체인 베르테포르핀이 있다.[26] 1986년 최초의 합성 포르피린 이성질체인 '''포르피센'''이 보고된 이후, '''코르피센''', '''이소포르피센''', '''N-혼합 포르피린''' 등 다양한 포르피린 이성질체들이 보고되었다.[27][31][32][33]
9. 1. 자연계
자연계에서 포르피린과 관련된 몇몇 헤테로사이클이 발견되며, 거의 항상 금속 이온과 결합되어 있다. 주요 N4-매크로사이클 및 관련 보조 인자는 다음과 같다.[1]| N4-매크로사이클 | 보조 인자 이름 | 금속 | 설명 |
|---|---|---|---|
| 클로린 | 엽록소, 박테리오클로로필 (일부) | 마그네슘 | |
| 박테리오클로린 | 박테리오클로로필 (일부) | 마그네슘 | |
| 시로하이드로클로린 (아이소박테리오클로린) | 시로헴 | 철 | 황 동화 작용의 중요한 보조 인자, 보조 인자 F430 및 B12로 가는 생합성 중간체 |
| 코린 | 비타민 B12 | 코발트 | |
| 코르핀 | 보조 인자 F430 | 니켈 | 매우 환원된 매크로사이클 |
9. 1. 1. 클로린
클로린은 엽록소의 기본 구조이다. 클로린은 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엽록소가 존재한다(사이드체; 엽록소 c는 예외).| 보조 인자 이름 | 금속 | 설명 |
|---|---|---|
| 엽록소 | 마그네슘 | 여러 종류의 엽록소가 존재함(사이드체; 엽록소 c는 예외) |
| 박테리오클로로필 (일부) | 마그네슘 | 여러 종류의 박테리오클로로필이 존재함 (사이드체; 일부는 일반적인 클로린 고리 사용) |
9. 1. 2. 박테리오클로린
박테리오클로로필의 기본 구조는 박테리오클로린이다. 일부 박테리오클로로필은 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일부 박테리오클로로필은 일반적인 클로린 고리를 사용하기도 한다.[1]9. 1. 3. 시로하이드로클로린
시로헴의 기본 구조이다. 황 동화 작용의 중요한 보조 인자이며, 보조 인자 F430 및 비타민 B12로 가는 생합성 중간체이기도 하다.[1]| N4-매크로사이클 | 보조 인자 이름 | 금속 | 설명 |
|---|---|---|---|
| 시로하이드로클로린 (아이소박테리오클로린) | 시로헴 | 철 | 황 동화 작용의 중요한 보조 인자 |
| | 보조 인자 F430 및 B12로 가는 생합성 중간체 |
9. 1. 4. 코린
코린은 비타민 B12의 보조 인자에서 발견되는 핵심적인 고리 구조이다. 비타민 B12에는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1]
9. 1. 5. 코르핀
코르핀은 보조 인자 F430의 기본 구조로, 매우 환원된 매크로사이클 구조를 가지고 있다.[1]| N4-매크로사이클 | 보조 인자 이름 | 금속 | 설명 |
|---|---|---|---|
| 코르핀 | 보조 인자 F430 | 니켈 | 매우 환원된 매크로사이클 |
9. 2. 합성 물질
'''벤조포르피린'''은 피롤 단위체 중 하나에 벤젠 고리가 융합된 포르피린이다.[26]9. 2. 1. 벤조포르피린
베르테포르핀은 벤젠 고리가 융합된 포르피린인 벤조포르피린 유도체이다.[26]9. 2. 2. 비천연 포르피린 이성질체
최초의 합성 포르피린 이성질체는 1986년 에마누엘 포겔과 동료들에 의해 보고되었다.[27] 이 이성질체 [18]포르피린-(2.0.2.0)은 '''포르피센'''으로 명명되었으며, 중심 N4 캐비티는10. 생합성 상세 과정
δ-아미노레불린산(ALA) 합성을 시작으로 프로토포르피린 IX가 합성되기까지, 헴 합성과 클로로필 합성은 공통적인 합성 경로를 거친다.
포르피린 생합성의 각 단계별 반응, 관련 효소, 위치, 기질, 생성물, 염색체, EC 번호, OMIM, 관련 질환은 아래 표와 같다.
| 효소 | 위치 | 기질 | 생성물 | 염색체 | EC 번호 | OMIM | 질환 |
|---|---|---|---|---|---|---|---|
| ALA 합성효소 | 미토콘드리아 | 글리신, 숙시닐 CoA | δ-아미노레불린산 | 3p21.1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2.3.1.37 2.3.1.37]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5290 125290] | X-연관 우성 프로토포르피린증, X-연관 철아구성 빈혈 |
| ALA 탈수소효소 | 세포질 | δ-아미노레불린산 | 포르포빌리노겐 | 9q34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2.1.24 4.2.1.24]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5270 125270] | 아미노레불린산 탈수소효소 결핍 포르피린증 |
| PBG 데아미네이스 | 세포질 | 포르포빌리노겐 | 히드록시메틸 빌레인 | 11q23.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2.5.1.61 2.5.1.61]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6000 176000] |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합성효소 | 세포질 | 히드록시메틸 빌레인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10q25.2-q26.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2.1.75 4.2.1.75]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606938 606938] | 선천성 적혈구 포르피린증 |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탈카르복실화효소 | 세포질 | 유로포르피리노겐 III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1p34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1.1.37 4.1.1.37]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6100 176100] | 지연성 피부 포르피린증, 간적혈구포르피린증 |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3q12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1.3.3.3 1.3.3.3]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21300 121300] |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 |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효소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 | 프로토포르피린 IX | 1q22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1.3.3.4 1.3.3.4]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600923 600923] | 다형성 포르피린증 |
| 페로킬라타제 | 미토콘드리아 | 프로토포르피린 IX | 헴 | 18q21.3 | [http://www.expasy.org/cgi-bin/nicezyme.pl?4.99.1.1 4.99.1.1] | [https://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77000 177000] |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증 |
최종적으로 프로토포르피리노젠 산화효소에 의해 프로토포르피리노젠 IX가 산화되어 공액된 포르피린 고리를 가지는 프로토포르피린 IX가 생성된다.[1]
- - ---> width=200px
프로토포르피리노젠 IX 프로토포르피린 IX
우로포르피리노젠 III에서 탈탄산 및 산화 반응을 거쳐 프로토포르피린 IX가 합성된다.[1]
- 프로토포르피린 IX에 철 이온이 배위되면 헴이 생성되며, 이는 헤모글로빈, 시토크롬 등의 보결 분자단으로 기능한다.
- 프로토포르피린 IX에 마그네슘 이온이 배위되고 여러 단계를 거쳐 측쇄가 부가되면 광합성 색소인 클로로필이 생성된다.
- 우로포르피리노젠 III에서 메틸화, 코발트 배위, 측쇄 부가 등의 과정을 거치면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이 합성된다.
포르피린 생합성 경로는 일부 기생성 생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출발 물질인 ALA 합성 경로는 생물 계통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δ-아미노레불린산(ALA) 합성 경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존재한다.
| 구분 | 셰민 경로 | C5 경로 |
|---|---|---|
| 기질 | 글리신, 숙시닐 CoA | 글루탐산 (tRNA에 결합된 형태) |
| 반응 과정 | 축합 | 환원적 절단, 아미노기 전이 |
| 관여 효소 | ALA 합성효소 | 글루타밀-tRNA 합성효소, 글루타밀-tRNA 환원효소,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 2,1-아미노뮤테이스 |
| 사용 생물 | α프로테오박테리아, 비광합성 진핵생물(동물, 곤충, 곰팡이, 원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 대부분의 원핵생물, 식물, 조류, 세균(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 제외), 고세균 등 진핵생물의 색소체 |
10. 1. 제2단계
아미노레불린산 탈수 효소에 의해 2개의 δ-아미노레불린산 분자가 탈수 축합 반응을 통해 피롤 고리 구조를 가진 포르포빌리노겐(PBG)이 생성된다.10. 2. 제3단계
포르포빌리노겐 탈아미노효소(히드록시메틸빌란 합성효소라고도 함)는 4개의 포르포빌리노겐 분자가 암모니아를 잃고 결합하여 피롤 4개가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히드록시메틸빌란을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4 + H2O → + 4 NH3
: 포르포빌리노겐 히드록시메틸빌란
10. 3. 제4단계
포르포빌리노겐 4분자가 직쇄상으로 중합되어 생성된 히드록시메틸빌란이 우로포르피리노겐 III 신타제에 의해 축합되어 고리를 형성하면 우로포르피리노겐 III이 된다.[34] 이때, 우로포르피리노겐 III 신타제는 4개의 피롤 고리가 정연하게 배열된 히드록시메틸빌란의 한쪽 끝에 있는 피롤 고리 하나만 반전시켜 축합하여 고리를 형성한다.[34]⇒--
만약 우로포르피리노겐 III 신타제가 작동하지 않으면 피롤 고리가 정연하게 배열된 채로 히드록시메틸빌란이 자발적으로 고리화되어 우로포르피리노겐 I이 생성된다.[34] 우로포르피리노겐 I은 우로포르피리노겐 III 탈카복실화효소의 기질이 되어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으로 변환될 수는 있지만,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산화효소의 기질이 되지 못하므로 프로토포르피린까지 합성되지 못한다.[34]
이처럼 우로포르피리노겐 I이나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은 포르피린증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34]
10. 4. 제5단계
우로포르피리노젠 III는 우로포르피리노겐 탈탄산 효소에 의해 4개의 아세트산기가 탈탄산되어 메틸기로 전환되면서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가 된다.- - → -- + 4 CO2
: 우로포르피리노겐 III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
10. 5. 제6단계
코프로포르피리노겐 III의 두 개의 프로피온산 곁사슬이 코프로포르피리노겐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적 탈카복실화를 통해 비닐기로 전환되면 프로토포르피리노겐 IX가 생성된다. 이 반응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10. 6. 제7단계
프로토포르피리노젠 산화효소에 의해 프로토포르피리노젠 IX가 산화되면 공액된 포르피린 고리가 형성되어 프로토포르피린 IX가 만들어진다.[1]- - → --
프로토포르피리노젠 IX 프로토포르피린 IX
우로포르피리노젠 III로부터 탈탄산 및 산화 반응을 거쳐 프로토포르피린 IX가 합성된다.[1]
10. 7. 헴과 클로로필의 합성
δ-아미노레불린산(ALA) 2분자는 포르포빌리노겐 생성효소에 의해 결합되어 피롤 고리를 포함하는 포르포빌리노겐(PBG)을 생성한다. 이후 4개의 포르포빌리노겐이 탈아미노화 반응을 통해 결합하여 히드록시메틸 빌레인(HMB)을 생성하고, 이는 가수분해를 거쳐 고리형 테트라피롤인 유로포르피리노겐 III을 형성한다. 유로포르피리노겐 III는 여러 번의 추가적인 변형을 거친다. 중간체는 다양한 종에서 특정 물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지만, 인간에서는 주요 최종 생성물인 프로토포르피린 IX가 철과 결합하여 헴을 형성한다. 담즙 색소는 헴의 분해 산물이다.
생체 내에서는 먼저 δ-아미노레불린산(ALA)이 합성되고, ALA 2분자를 탈수 축합하여 피롤인 포르포빌리노겐이 합성된다. 이어서 포르포빌리노겐 4분자를 직쇄상으로 중합시켜 히드록시메틸빌란을 합성하고, 이것을 닫아 포르피린 중 하나인 우로포르피리노겐 III가 합성된다. 우로포르피리노겐 III는 생체 내의 다양한 포르피린 및 관련 화합물을 합성하는 기점이 된다. δ-아미노레불린산의 합성을 '''제1단계'''로 하면, 프로토포르피린 IX의 합성까지 헴 합성 및 클로로필 합성은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합성 경로를 따른다. 최종적으로 프로토포르피리노젠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면 공액된 포르피린 고리가 형성되어 프로토포르피린 IX가 만들어진다.
- - ---> width=200px
프로토포르피리노젠 IX 프로토포르피린 IX
- 우로포르피리노젠 III로부터 탈탄산・산화를 거쳐 프로토포르피린 IX가 합성된다.
- * 프로토포르피린 IX에 철이 배위된 것이 헴이며, 헤모글로빈이나 시토크롬 등의 보결 분자단으로 기능한다.
- * 프로토포르피린 IX에 마그네슘이 배위되고 여러 단계를 거쳐 측쇄가 붙으면, 광합성 색소로 필수적인 클로로필이 만들어진다.
10. 8.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의 합성
우로포르피리노젠 III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포르피린 및 관련 화합물을 합성하는 기점이 된다. 우로포르피리노젠 III로부터 메틸화, 코발트 배위, 측쇄 부가 등의 과정을 거쳐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이 합성된다.10. 9. ALA 합성 경로
ALA(δ-아미노레불린산)는 포르피린 생합성의 첫 번째 전환 단계 물질이다. ALA 합성 경로는 생물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셰민 경로
: 글리신과 숙시닐 CoA를 축합하여 ALA를 합성한다. α프로테오박테리아와 비광합성 진핵생물(동물, 곤충, 곰팡이, 원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이 경로를 이용한다.
; C5 경로
: tRNA에 결합된 글루탐산을 환원적으로 절단하고, 아미노기 전이를 거쳐 ALA를 합성한다. 대부분의 원핵생물과 식물, 조류, 세균(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 제외), 고세균 등 진핵생물의 색소체에서 이 경로를 이용한다. 이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는 글루타밀-tRNA 합성효소, 글루타밀-tRNA 환원효소,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 2,1-아미노뮤테이스이다.
두 경로를 모두 가진 생물은 드물다. 색소체를 가진 진핵생물은 미토콘드리아도 가지고 있지만, 보통 한쪽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녹색 식물, 홍조류, 규조류에서는 색소체의 C5 경로만 이용하며 셰민 경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두 경로를 모두 이용하는 생물로는 유글레나가 있다.
| 구분 | 셰민 경로 | C5 경로 |
|---|---|---|
| 기질 | 글리신, 숙시닐 CoA | 글루탐산 (tRNA에 결합된 형태) |
| 반응 과정 | 축합 | 환원적 절단, 아미노기 전이 |
| 관여 효소 | ALA 합성효소 | 글루타밀-tRNA 합성효소, 글루타밀-tRNA 환원효소, 글루탐산-1-세미알데히드 2,1-아미노뮤테이스 |
| 사용 생물 | α프로테오박테리아, 비광합성 진핵생물(동물, 곤충, 곰팡이, 원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 대부분의 원핵생물, 식물, 조류, 세균(α-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 제외), 고세균 등 진핵생물의 색소체 |
참조
[1]
논문
Catalytic activity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supported manganese (III) porphyrin: an efficient, selective and reusable catalyst for oxidation of alkenes and alkanes with urea–hydrogen peroxide
2016
[2]
논문
Deciphering aromaticity in porphyrinoids via adaptive natural density partitioning
2014-08
[3]
논문
Origin of aromatic character in porphyrinoid systems
[4]
웹사이트
porphyria (n.)
http://www.etymonlin[...]
2014-09-14
[5]
논문
Conformational control of cofactors in nature - the influence of protein-induced macrocycle distortion on the biological function of tetrapyrroles
2015-12
[6]
서적
Encyclopedia of Inorganic and Bioinorganic Chemistry
[7]
논문
Conservation of the conformation of the porphyrin macrocycle in hemoproteins
1998-02
[8]
논문
Chlorophylls, Symmetry, Chirality, and Photosynthesis
[9]
서적
The Porphyrin Hand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1999
[10]
논문
Total synthesis of the porphyrin mineral abelsonite and related petroporphyrins with five-membered exocyclic rings
2003-09
[11]
논문
Review of the stratigraphic distribution and diagenetic history of abelsonite
[12]
논문
A New Porphyrin Synthesis. The Synthesis of Porphin
[13]
논문
Formation of Porphyrins from Pyrrole and Aldehydes
[14]
논문
A simplified synthesis for meso-tetraphenylporphine
[15]
간행물
Porphyrin conjugates for cancer therapy
[16]
논문
Photodynamic therapy for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https://researchonli[...]
2007-07
[17]
논문
A role for hydrogen peroxide in the pro-apoptotic effects of photodynamic therapy
[18]
논문
Glycosylated Porphyrins, Phthalocyanines, and Other Porphyrinoids for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2015-09
[19]
논문
Synthesis of π-extended porphyrins via intramolecular oxidative coupling
2012-10
[20]
논문
Porphyrins and phthalocyanines in solar photovoltaic cells
[21]
논문
Porphyrin-sensitized solar cells with cobalt (II/III)-based redox electrolyte exceed 12 percent efficiency
2011-11
[22]
논문
Synthesis,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rphyrins
2015-05
[23]
논문
Synthesis and bioactivity of oxovanadium(IV)tetra(4-methoxyphenyl)porphyrinsalicylates
2019-12
[24]
논문
Penetrating the Blood-Brain Barrier with New Peptide-Porphyrin Conjugates Having anti-HIV Activity
2021-06
[25]
서적
Principles of Ecotoxicology
CRC Press
[26]
논문
Verteporfin
2000-02
[27]
논문
Porphycene—a Novel Porphin Isomer
1986-03
[28]
논문
3,6,13,16-Tetrapropylporphycene: Rational Synthesis, Complexation, and Halogenation
2022-03
[29]
논문
Basic principles of photodynamic therapy
2001
[30]
논문
New Porphycene Ligands: Octaethyl‐ and Etioporphycene (OEPc and EtioPc)—Tetra‐ and Pentacoordinated Zinc Complexes of OEPc
1993-11
[31]
논문
Isoporphycene: The Fourth Constitutional Isomer of Porphyrin with an N(4) Core-Occurrence of E/Z Isomerism
1999-10
[32]
논문
"N-Confused Porphyrin": A New Isomer of Tetraphenylporphyrin
[33]
논문
Tetra‐p‐tolylporphyrin with an Inverted Pyrrole Ring: A Novel Isomer of Porphyrin
1994-04-18
[34]
웹사이트
はじめに: ポルフィリン症
https://www.msdmanua[...]
[35]
논문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