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꼬리메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꼬리메기(Phractocephalus hemioliopterus)는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민물고기이다. 아마존강, 오리노코강 등지에서 서식하며, 말레이시아에서도 침입종으로 발견된다. 화려한 외형과 큰 크기로 인해 낚시 대상이자 관상어로 인기가 높다. 붉은꼬리메기는 붉은색 꼬리지느러미와 다양한 색상의 지느러미를 가지며, 6개의 수염과 큰 입이 특징이다. 붉은꼬리메기는 튼튼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육되기도 하지만, 성체가 되면 대형 수조가 필요하며, 다른 어종과의 합사에 주의해야 한다. 미오세 후기에 속하는 화석 종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붉은꼬리메기과 - 줄무늬삽코메기속
    줄무늬삽코메기속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아시아메기과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고 강, 호수 등에서 야행성 포식자로 서식하며 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붉은꼬리메기과 - 얼룩메기
    얼룩메기는 은색 바탕에 검은 반점과 줄무늬가 있는 날씬한 몸, 세 쌍의 수염, 날카로운 지느러미 가시를 가진 야행성 잡식성 메기류로, 활동적인 수영을 하므로 넓은 수조가 필요하며 동족과 함께 사육할 수 있다.
  • 에콰도르의 물고기 - 붉은배피라냐
    붉은배피라냐는 남아메리카 강에 서식하며 붉은 배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잡식성 어류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관상어로 거래되기도 한다.
  • 에콰도르의 물고기 - 케톱시스과
    케톱시스과는 남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는 메기류 어류 과로, 긴 뒷지느러미와 코 수염의 부재가 특징이며 일부 종은 왕성한 식성을 가진다.
  • 콜롬비아의 물고기 - 네온테트라
    아마존 분지 서부 출신의 네온테트라는 무지개빛 파란색 가로줄과 붉은색 줄무늬가 있는 소형 열대어로, 아름다운 군영으로 관상어로서 인기가 높고, 사육이 용이하여 입문용 열대어로도 꼽힌다.
  • 콜롬비아의 물고기 - 붉은배피라냐
    붉은배피라냐는 남아메리카 강에 서식하며 붉은 배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잡식성 어류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관상어로 거래되기도 한다.
붉은꼬리메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레드테일캣피쉬
레드테일캣피쉬
상태관심 필요
학명Phractocephalus hemioliopterus
명명자Agassiz, 1829
이명Silurus hemioliopterus Bloch & Schneider, 1801
Pimelodus grunniens Humboldt, 1821
Rhamdia grunniens Humboldt, 1821
Phractocephalus bicolor Spix & Agassiz, 1829
한국어 이름레드테일캣피쉬
영어 이름redtail catfish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메기목
피멜로두스과
Phractocephalus
P. hemioliopterus
생태 및 특징
서식지남아메리카
몸길이최대 1.8m까지 성장 가능
식성육식 (잡식성)
수명15년 이상
특징붉은색 꼬리
넓적한 머리
긴 수염
기타 정보
분포남아메리카 아마존 강 및 오리노코 강 유역
사육 정보대형 어종으로 넓은 사육 공간 필요
수질 관리 중요
다른 어종과의 합사는 신중하게 고려
먹이생먹이, 냉동 먹이, 인공 사료 등
주의 사항성장 속도가 빠르므로 사육 환경을 미리 준비해야 함

2. 분포

붉은꼬리메기는 아마존강, 오리노코강, 에세키보강 유역과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콜롬비아, 페루, 수리남, 볼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이다.[5] 민물에서만 서식하며, 큰 강, 시내, 호수 등에 산다.[7][8] 말레이시아에서도 침입종으로 발견되며, 현재 주로 페락강과 파항강에서 발견된다.

3. 형태

붉은꼬리메기는 몸길이가 약 1.8m에 달하고, 무게는 약 80kg에 이를 수 있다.[6] 그러나 이는 극히 드문 경우이며, 대부분 이 크기에 미치지 못한다. 평균 몸길이는 약 106.68cm에서 약 137.16cm 사이이다. 이 화려한 대형 메기는 갈색 등, 노란색 옆구리, 특징적인 주황색-빨간색 등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이 때문에 일반적인 이름이 붙었다). 때로는 등지느러미, 골반 지느러미, 항문 지느러미도 붉은색을 띤다. 넓은 머리에 긴 수염, 어두운 검은색 몸통, 입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 뻗어 있는 흰색 밑면을 가지고 있다. 위턱에 한 쌍, 아래턱에 두 쌍의 수염이 있는데, 이 수염은 냄새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 수용 세포가 있어 매우 민감하다.[3]

1865년 자크 버크하르트가 그린 브라질 붉은꼬리메기 수채화
1865년 자크 버크하르트가 그린 브라질 붉은꼬리메기 수채화


붉은빛을 띠는 꼬리지느러미가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등 쪽은 검은색에서 회색이며, 머리에서 아가미 덮개 부근까지 검은 반점이 있다. 복부는 하얗지만 성장하면 배지느러미 주변이 검게 변하는 경우도 있다. 검은 부분과 흰 부분은 뚜렷하게 구분된다. 머리는 둥글고, 거대한 입과 6개의 수염이 특징이다. 또한, 기름지느러미가 있다.

4. 생태

붉은꼬리메기는 야행성으로, 주로 저녁과 밤에 먹이를 먹고 낮에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닥에 서식하며 매우 느리게 움직인다. 영역을 지키는 습성이 있다.[3] 외부 수정을 통해 번식하며, 잠재적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딸깍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인간과의 관계

붉은꼬리메기는 큰 크기 때문에 낚시꾼들에게 스포츠 피시로 인기가 있다. 2010년 브라질의 길베르토 페르난데스가 세운 세계 기록은 56kg이다.[9] 남아메리카 일부 원주민 부족들은 붉은꼬리메기의 살이 검은색을 띤다고 하여 먹지 않는다.[10]

태국, 대만, 홍콩, 플로리다 등지에서는 붉은꼬리메기가 플레코, 얼룩무늬틸라피아, 앨리게이터 가아와 같은 다른 대형 민물고기들과 함께 인간에 의해 방출되어 외래종으로 서식하고 있다.[11][12] 일부 지역에서는 붉은꼬리메기가 인명에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여겨지며, 침몰한 배 ''소브랄 산토스 II호'' 승객 익사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으나, 이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다.

5. 1. 사육

수족관의 ''Phractocephalus hemioliopterus''


붉은꼬리메기는 공공 수족관의 아마존 테마 전시에서 매우 인기 있는 물고기이며, 종종 파쿠와 같은 다른 대형 물고기와 함께 사육된다.

어린 붉은꼬리메기는 결국 커진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종종 수족관 물고기로 구할 수 있다. 수족관에서 이들은 먹이를 잘 먹으면 상당히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며,[10] 완전히 성숙하면 최소 10000L의 수조가 필요하다.[8] 이 메기는 일주일에 한 번 먹이를 주는 것이 적절하며, 과식은 이 종의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다.[13] 살아있는 물고기와 죽은 물고기, 기타 육류를 많이 먹는다. 길이가 불과 몇 인치에 불과한 어린 개체조차도 테트라 또는 구피와 같은 더 흔한 수족관 물고기를 삼킬 수 있으며, 이 물고기는 비교적 큰 크기의 다른 종과 함께 사육하는 것이 적절하다. 붉은꼬리메기는 수족관에서 먹을 수 없는 물건을 삼키는 습성도 있다. 이것들은 종종 역류되지만, 삼키는 것과 역류하는 것 모두 물고기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물건은 수족관에 넣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13]

붉은꼬리메기는 호르몬을 사용하여 식용 물고기를 만들기 위해 다른 물고기, 예를 들어 ''Pseudoplatystoma'' (타이거 쇼블노즈 메기)와 교배되어 왔다. 이러한 잡종 물고기는 때때로 다양한 일반적인 이름으로 수족관 취미에 들어온다.[13]

매우 튼튼한 성질과 귀여운 외모로 인해 애완동물로 인기가 많다. 사육 자체는 쉽지만, 성장 속도와 최종적인 크기를 고려하면 상당히 큰 설비가 필요하다. 공격성이 강하며, 자신과 비슷한 크기의 물고기라도 큰 입으로 삼켜 버린다. 붉은꼬리메기 스스로에게도 질식이나 소화기 폐색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른 물고기와의 합사는 신중해야 한다.

6. 화석 기록

붉은꼬리메기는 이 속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이지만, 미오세 후기에 속하며 화석 유해로만 알려진 다른 종들도 있다. ''P. nassi''는 2003년 베네수엘라 우루마코의 우루마코 층에서 발견되어 기술되었다. 또 다른 화석 종인 ''P. acreornatus''는 브라질 아크 주의 소리몽이스 층에서 알려져 있다.[4][5] 이 속은 최소 1350만 년 전부터 존재했다.[5]

참조

[1] 간행물 Phractocephalus hemioliopterus (Redtail Catfish) 2020-12-27
[2] 서적 Dicionário etimológico da língua portuguesa https://books.google[...] LEXIKON Editora 2010
[3] 웹사이트 Red-tailed catfish  the Dallas World Aquarium https://dwazoo.com/a[...] 2013-11-25
[4] 데이터베이스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5] 논문 The late Miocene Phractocephalus catfish (Siluriformes: Pimelodidae) from Urumaco, Venezuela: additional specimens and reinterpretation as a distinct species http://www.scielo.br[...]
[6] 웹사이트 Phractocephalus hemioliopterus http://www.fishing-w[...] Fishing. World Records 2013-05-09
[7] 웹사이트 FishBase
[8] 웹사이트 Seriously Fish http://www.seriously[...]
[9] 웹사이트 Catfish, redtail (pirarara) http://wrec.igfa.org[...] International Game Fish Association 2010-04-03
[10] 서적 Exotic Tropical Fishes T.F.H. Publications 1996
[11] 웹사이트 Observations • iNaturalist https://www.inatural[...] 2022-04-18
[12] 웹사이트 10 ปลาเอเลี่ยนในเมืองไทย ที่กำลังยึดแหล่งน้ำโดยคุณไม่รู้ตัว http://animals.spoke[...] spokedark 2014-08-13
[13] 웹사이트 PlanetCatfish::Catfish of the Month::January 2000 http://www.planetcat[...] PlanetCatfish.com 2006-05-11
[14] 웹사이트 レッドテールキャットフィッシュ https://kariyushi-aq[...]
[15] 뉴스 【水の生き物百科】レッドテールキャット https://www.asahi.co[...] 2017-07-18
[16] 웹사이트 http://www.trofish.n[...]
[17] 서적 Exotic Tropical Fishes T.F.H. Publications 1996
[18] 웹인용 "피라냐, 이젠 맘대로 수입 못한다..'위해 우려종' 7종 지정" 환경TV http://www.greenpost[...] 2016-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