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목왈라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목왈라비는 3종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호주와 태즈메이니아, 배스 해협 섬 등에 분포하는 왈라비의 일종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검은 코와 발, 윗입술의 흰 줄무늬, 어깨에 붉은 기운이 도는 털을 가지고 있다. 붉은목왈라비는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풀, 뿌리, 나뭇잎 등을 먹고 야행성을 띤다. 딩고, 여우, 맹금류가 천적이며,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아 육아낭에서 약 280일 동안 키운다. 붉은목왈라비는 뉴질랜드, 영국, 아일랜드 등 여러 지역에 도입되어 야생에서 서식하기도 한다.

2. 아종

붉은목왈라비는 일반적으로 2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지만, 3개의 아종으로 나누어 보는 견해도 있다.


  • ''Macropus rufogriseus'' banksianus (Quoy & Gaimard, 1825): 붉은목왈라비라고도 불리며,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 서식하는 아종이다. 연중 번식이 가능하다.
  • ''Macropus rufogriseus'' rufogriseus (Desmarest, 1817): 베넷왈라비라고도 불리며, 태즈메이니아와 배스 해협의 킹 섬에 분포하는 아종이다.
  • 일부 분류에서는 태즈메이니아에 서식하는 개체군을 ''M. r. fruticus'' (Ogilby, 1838)로, 킹 섬에 서식하는 개체군을 ''M. r. rufogriseus'' (Desmarest, 1817)로 세분화하여 3아종 체계를 따르기도 한다.
  • 태즈메이니아 아종(베넷왈라비)은 본토 아종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섬 왜소화의 영향으로 추정), 털이 더 길고 어두우며[5] 텁수룩한 외형을 가진다. 번식기는 주로 늦여름인 2월에서 4월 사이이다. 이들은 인간과의 근접 생활에 비교적 잘 적응하여, 호바트와 같은 도시 외곽 지역에서 풀을 뜯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 사육 환경에서 태즈메이니아 아종 암컷이 정상적인 번식기 외에 임신하면, 출산을 여름까지 최대 8개월까지 늦출 수 있다.

3. 형태

붉은목왈라비는 검은 코와 발, 윗입술의 흰 줄무늬, 어깨 주변에 붉은 기운이 도는 잿빛 털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몸무게는 13.8kg에서 18.6kg 사이이며, 머리부터 몸까지의 길이는 약 90cm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크며, 아종 및 성별에 따른 상세한 크기와 무게는 아래 표와 같다.

'''붉은목왈라비 아종별 크기 및 무게'''
구분성별머리-몸 길이꼬리 길이체중
본토 아종
(Notamacropus rufogriseus banksianus)
수컷770mm ~ 888mm703mm ~ 876mm15kg ~ 23.7kg
암컷708mm ~ 837mm664mm ~ 790mm12kg ~ 15.5kg
타스마니아 아종
(Notamacropus rufogriseus rufogriseus)
수컷712mm ~ 923mm691mm ~ 862mm15kg ~ 26.8kg
암컷659mm ~ 741mm623mm ~ 778mm11kg ~ 15.5kg



전체적인 털 색깔은 붉은 갈색에서 회갈색이며, 목 주변은 몸통보다 붉은 기운이 더 강하다. 털 사이사이에 흰 털이 섞여 있기도 하다. 배 부분과 목 아랫부분은 흰색이다.

외형상 검은줄왈라비(''Notamacropus dorsalis'')와 매우 비슷하지만, 붉은목왈라비가 더 크고 등에는 검은 줄무늬가 없으며 털이 더 부드럽다는 차이점이 있다.[5] 타스마니아에 서식하는 아종(''N. r. rufogriseus'')은 호주 본토 아종(''N. r. banksianus'')보다 털 색깔이 더 어둡고, 목 주변의 붉은색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4. 분포 및 서식지

붉은목왈라비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 및 고지대에 걸쳐 분포하며, 구체적으로는 퀸즐랜드주 번다버그에서 남호주 경계까지 이르는 지역, 퀸즐랜드 주 록햄프턴 이남, 뉴사우스웨일스 주 동부, 빅토리아 주에서 발견된다.[6] 또한 태즈메이니아와 배스 해협의 여러 섬에도 서식하는데, 이 섬들 중 어떤 곳이 원래 서식지이고 어떤 곳이 도입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서식지는 주로 유칼립투스 등이 자라는 경엽수림의 소림이나 관목 지대, 해안 지대의 황야이다. 태즈메이니아에서는 삼림 지대에서도 서식한다.

태즈메이니아와 해안 퀸즐랜드에서는 지난 30년 동안 개체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사냥 압력이 줄어들고 숲이 부분적으로 개간되면서, 밤에 먹이를 구할 수 있는 목초지와 낮에 숨을 수 있는 덤불이 혼합된 서식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빅토리아 주에서는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견된다.

5. 생태

두 성체 수컷의 싸움


붉은목왈라비는 주로 혼자 생활하지만, 먹이, 물, 은신처 등이 풍부한 곳에서는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무리를 지을 때는 다른 왈라비 종들처럼 사회적 계층 구조를 형성한다. 싸움이 일어난 후에는 서로 친밀한 접촉을 통해 화해하는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다른 사회성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갈등을 관리하는 방식이다.[7] 주로 야행성이며, 아침이나 저녁 무렵에 활동이 활발해지는 황혼 박명성 동물이다. 낮 시간에는 대부분 휴식을 취한다.[6]

초식성으로 풀, 뿌리, 나뭇잎, 잡초, 열매 등을 먹는다.[6] 주로 숲이나 삼림 가장자리의 풀밭에서 먹이를 찾는다.

번식기는 서식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륙에 사는 아종은 일 년 내내 번식하지만 주로 여름에 집중되며, 태즈메이니아 아종은 12월부터 7월까지 번식한다. 암컷의 발정 주기는 33일이다.[6] 구애 과정에서 암컷이 먼저 수컷의 목을 핥으면, 수컷은 암컷의 뺨에 자신의 뺨을 비빈다. 그 후 잠시 서로 싸우는 듯한 행동을 보이다가 교미한다. 짝은 교미 후 하루 정도 함께 지내다 헤어진다.

임신 기간은 약 30일이며,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는 스스로 어미의 육아낭으로 기어가 젖꼭지를 찾는다. 새끼는 약 280일 동안 육아낭 속에서 자라며,[8] 육아낭에서 나온 후에는 서서히 풀을 먹기 시작하여 12~17개월 사이에 젖을 뗀다. 수컷 새끼는 약 2살(24개월)이 되면 어미의 생활권을 떠나지만, 암컷 새끼는 평생 어미의 영역에 머무는 경우도 많다. 또한, 붉은목왈라비는 다른 개체의 새끼를 돌보는 육아 돕기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는 늑대, 코끼리 등 다른 여러 동물에게서도 관찰되는 행동이다.[9]

주요 천적으로는 딩고, 여우, 맹금류 등이 있으며, 특히 어미 곁에 있는 어린 새끼들이 공격 대상이 되기 쉽다.

6. 번식

암컷의 발정 주기는 33일이다.[6] 구애 행동은 암컷이 먼저 수컷의 목을 핥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수컷은 암컷의 뺨에 자신의 뺨을 비비며, 그 다음에는 마치 두 수컷이 싸우듯 잠시 서로 똑바로 서서 짧게 싸움을 벌인다. 이 과정이 끝나면 교미를 하며, 교미 후 암수 한 쌍은 하루 정도 함께 지낸다.

임신 기간은 약 30일이며,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태어난 새끼는 스스로 어미의 육아낭까지 기어가 젖꼭지를 찾는다. 새끼는 약 280일 동안 육아낭에서 지내며,[8] 이후 육아낭 밖으로 나오게 된다. 육아낭에서 나온 새끼는 어미와 한 달가량 더 함께 지내며 서서히 풀을 먹기 시작하고, 12~17개월 사이에 젖을 뗀다. 암컷 새끼는 평생 어미의 생활권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지만, 수컷 새끼는 보통 두 살(24개월) 즈음에 어미 곁을 떠난다.

붉은목왈라비는 육아 보살핌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다른 개체의 새끼를 입양하는 경우가 관찰된다. 이는 늑대, 코끼리, 인간 등 다른 여러 동물에게서도 나타나는 행동이다.[9]

호주 본토에 서식하는 아종은 연중 번식이 가능하지만 주로 여름에 번식하며, 태즈메이니아 아종은 번식기가 12월부터 7월까지로, 특히 늦여름(2월~4월)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7. 도입 및 외래종 문제

알비노 붉은목왈라비


붉은목왈라비는 원 서식지인 오스트레일리아 외에도 여러 국가에 도입되어 야생 개체군을 형성하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성 외래종으로 간주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뉴질랜드''': 캔터베리 남부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개체군이 서식한다. 1870년, 태즈메이니아에서 크라이스트처치로 여러 마리가 옮겨졌고, 이 중 암수 세 마리가 와이메이트의 초기 유럽 정착민이었던 마이클 스터드홀름의 사유지에서 풀려났다. 1874년에는 헌터스 힐스(Hunter's Hills)에서도 방사되었으며, 이후 수년에 걸쳐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현재 붉은목왈라비는 헌터스 힐스를 중심으로 투 섬 레인지(Two Thumb Range), 커크리스톤 레인지(Kirkliston Range), 그래피언스(The Grampians) 등을 포함하는 약 350000ha 면적에 걸쳐 분포한다. 캔터베리 지방에서는 해로운 동물로 지정되었으며, 토지 소유자는 지정된 구역 내에 왈라비를 가두어야 한다.[10][24] 현재 붉은목왈라비는 와이메이트 지역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영국''':
  • '''잉글랜드''': 피크 디스트릭트와 더비셔 지역에 1900년경 정착한 작은 개체군이 있었으나 현재는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 이스트 서섹스의 애쉬다운 숲에도 작은 개체군이 존재했으나 현재 상태는 불명확하다. 하지만 웨스트 서섹스와 햄프셔 등지에서 목격담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에 알려진 서식지와 무관한 지역에서 번식 중인 개체군(새끼를 가진 어미 포함)이 발견되어 영국 내 번식이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11] 워릭셔의 케닐워스에서는 알비노 개체가 발견되기도 했다.[12]
  • '''스코틀랜드''': 아길 앤드 뷰트의 로흐 로몬드 호수 내 인치코나찬 섬에 작은 개체군이 서식한다. 이들은 1975년 윕스네이드 동물원에서 들여온 두 쌍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1993년에는 26마리까지 늘어났다.[13][22]

  • '''맨 섬''':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섬의 야생 동물 공원에서 탈출한 개체들의 후손들이 상당수 야생 상태로 서식하고 있다.[14] 2017년 연구에서는 공원 인근에 약 83마리(소수의 파르마왈라비 포함)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15] 2023년 맨스 야생동물 신탁(Manx Wildlife Trust)이 드론과 열화상 기술을 이용해 실시한 조사에서는 특별 과학적 관심 지역(SSSI)이자 람사르 습지인 볼러 커러그(Ballaugh Curragh) 습지 400ha에서 평균 568마리의 왈라비가 확인되었으며, 서식 밀도는 1km²당 140마리에 달했다. 이 조사는 주변 농경지를 포함했기 때문에, 왈라비들이 낮 동안 숨어드는 습한 삼림 지역의 실제 밀도는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붉은목왈라비는 맨 섬 북부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다.[14] 이들 개체군은 근친 교배로 인한 실명이나 신경계 질환 발생 가능성과 더불어 섬 고유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맨 섬 정부는 1990년 야생동물법에 따라 붉은목왈라비를 침입성 비토착 종으로 지정했다.[16]

  • '''아일랜드''': 더블린 근해의 램베이 섬에 서식한다. 섬 소유주인 배링 가문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처음 도입했으며, 1980년대에는 개체수 조절에 어려움을 겪던 더블린 동물원으로부터 7마리를 추가로 기증받았다. 이 왈라비들은 섬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여 현재 30~50마리 규모의 개체군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7]

  • '''프랑스''': 파리 서쪽 약 50km 거리에 있는 랑부예 숲 남부에 50~100마리 규모의 야생 개체군이 존재한다. 이들은 1970년대 에망세(Émancé)에 위치한 동물원에서 폭풍으로 인해 울타리가 파손되면서 탈출한 개체들의 후손이다.[18][23]

  •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에 동물원에서 탈출한 개체들로부터 유래한 야생 개체군이 있다.[19]

  • '''오스트리아''': 2014년 10월, 사육 중이던 3마리가 오스트리아 북부에서 탈출했다. 이 중 한 마리는 혹독한 겨울을 나고 3개월 동안 생존하며 지역을 배회하여 "오스트리아에는 캥거루가 없다"는 유명 문구를 이용한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20]

8.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MSW3 Diprotodontia
[2] 간행물 Macropus rufogriseus 2024-04-16
[3] 웹사이트 Australian Faunal Directory: Notamacropus rufogriseus https://biodiversity[...] 2021-10-26
[4] 뉴스 The curious mystery of the wild wallabies living on the Isle of Man https://www.telegrap[...] 2018-09-20
[5]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Care of Macropods https://books.google[...] Lynda Staker 2006
[6] 서적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2003
[7] 학술 Peace-Making in Marsupials: The First Study in the Red-Necked Wallaby (Macropus rufogriseus) 2014
[8] 웹사이트 Bennett's Wallaby http://www.eol.org/p[...] Encyclopedia of Life
[9] 학술 The Evolution of Alloparental Care in Mammals and Birds 1982-12
[10] 뉴스 Big bounce in South Island wallaby numbers http://www.stuff.co.[...] Stuff 2014-03-28
[11] Youtube You Would NOT Expect To Find THIS In England | (Animal Anomalies) https://www.youtube.[...] YouTube 2022-01-20
[12] Youtube I Found Albino Wallabies WILD In The UK! https://www.youtube.[...] YouTube 2022-02-07
[13] 웹사이트 The Colquhoun's Island http://www.loch-lomo[...] Inchconnachan Island – Loch Lomond 2010-10-17
[14] 웹사이트 Red-Necked Wallaby - Position Statement https://www.mwt.im/n[...] Manx Wildlife Trust 2022-03-30
[15] 학술 The distribution and trophic ecology of an introduced, insular population of red-necked wallabies (Notamacropus rufogriseus) https://arcaravaggi.[...]
[16] 웹사이트 Wildlife Act 1990 https://legislation.[...] Isle of Man Government/Reiltys Ellan Vannin
[17] 웹사이트 What the Heck Are Wallabies Doing in Ireland? http://www.smithsoni[...] 2014-11-12
[18] 웹사이트 Enquête sur le Wallaby de Bennett en Forêt d'Yvelines http://www.cerf78.fr[...] 2019
[19] 뉴스 Die Kängurus von Mecklenburg https://www.br.de/br[...] 2021-06-05
[20] 뉴스 Runaway 'kangaroo' spotted in garden http://www.thelocal.[...] 2015-01-28
[21] 간행물 Macropus rufogriseus
[22] URL http://www.loch-lomo[...]
[23]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cerf78.fr[...]
[24] 웹사이트 Waimate District Council http://www.waimatedc[...]
[25] 간행물 MSW3 Diprotodontia
[26] 간행물 Macropus rufogris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