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딩고는 호주에 서식하는 개과 동물로, 으르렁거리지만 짖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털 색깔은 연한 붉은색, 검정색과 황갈색, 크림색 흰색 등 다양하며, 사회적 행동은 코요테나 회색늑대와 유사하다. 딩고는 주로 야행성이며, 사냥, 영역 표시, 의사소통을 위해 다양한 소리를 낸다. 딩고는 4,000년 전 호주에 도착했으며, 가축을 공격하여 경제적 피해를 입히기도 하지만, 호주 원주민에게는 사냥 도구, 애완동물 등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딩고는 현재 개와의 잡종화로 인해 순수 혈통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법적 지위는 호주 주와 준주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3년 기재된 포유류 -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는 몸길이 6.5~8cm의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활공 포유류로, 호주 동부 해안에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꿀, 꽃가루, 곤충 등을 먹고, 야행성으로 나무 구멍에서 생활하며, 사회적인 생활을 한다. - 1793년 기재된 포유류 - 붓꼬리파스코갈레
붓꼬리파스코갈레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와 남부 지역에 서식하는 꼬리에 털이 많은 작은 육식성 유대류로, 수컷은 짝짓기 후 수명이 짧아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야생화된 동물 - 머스탱
머스탱은 스페인 가축의 후손으로 북미에서 야생화된 말이며, 험준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나, 현재는 미국 토지관리국의 보호 아래 관리 및 보존 노력이 필요한 동물이다. - 야생화된 동물 - 아프리카화꿀벌
아프리카화꿀벌은 아프리카 꿀벌과 서양 꿀벌의 잡종으로, 일반 꿀벌보다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1957년 브라질에서 탄생하여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고, 강한 방어 본능으로 인해 양봉업과 인간, 반려동물 및 가축에게 영향을 미쳐 관리 및 대처 노력이 필요하다. - 회색늑대의 아종 - 개
개는 회색늑대의 가축화된 아종으로, 오랜 가축화 과정을 거쳐 다양한 견종으로 분화되었으며, 반려동물과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인간과 함께 생활하며 여러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다. - 회색늑대의 아종 - 일본늑대
일본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에 서식했던 개과의 멸종 동물로, 회색늑대의 아종 또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며, 일본 민속에서 신성시되었으나 광견병 유행과 서식지 감소로 1905년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이후 목격담과 복원 시도에 대한 논의가 있다.
딩고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nis lupus dingo Meyer, 1793 |
이명 | Canis familiaris Linnaeus, 1758 Canis familiaris dingo Meyer, 1793 |
멸종위기등급 | 취약종 |
서식 범위 | 오스트레일리아 |
![]() |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네코목(식육목) |
아목 | 이누아목 |
하목 | 이누하목 |
과 | 이누과 |
아과 | 이누아과 |
족 | 이누족 |
속 | 이누속 |
종 | 타이리크오오카미 |
아종 | 딩고 |
로마자 표기 | Dingo |
기타 | |
화석 범위 | 홀로세 (3,450년 BP – 최근) |
2. 특징
딩고는 개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가장 잘 알려진 특징 중 하나는 개처럼 짖지 않고 주로 으르렁거리거나 울부짖는다는 점이다.[12] 신체적으로는 개보다 두개골과 턱뼈가 크고, 어금니와 송곳니도 더 발달했다. 털 색깔은 주로 황갈색이지만, 검은색과 황갈색이 섞이거나 크림색 흰색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딩고는 뛰어난 신체 능력을 지녔다. 손목을 회전시킬 수 있어 문손잡이를 돌리는 등의 행동이 가능하며, 어깨 관절이 유연하여 울타리나 나무, 바위 등을 잘 오른다. 이러한 능력은 험한 지형에서의 생활에 적합하다.
사회적 행동 면에서는 코요테나 회색늑대와 유사한 유연성을 보인다.[19] 주로 한 마리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환경 조건에 따라 무리의 크기나 영역 행동이 달라진다.[2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과거 붉은늑대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으며, 타즈메이니아데빌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사라진 데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딩고가 무리 지어 사냥하는 등 생존에 유리한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일부 딩고는 아보리지니의 캠프에서 길러지기도 했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거나 추운 밤에 사람을 따뜻하게 해주는 담요 대용으로 활용되었다고 전해진다.
2. 1. 형태


딩고는 중형 개과 동물로, 속도, 민첩성, 그리고 지구력에 적합한 날씬하고 강인한 몸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몸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쐐기 모양이고 몸에 비해 크다. 딩고는 과도한 지방을 거의 지니지 않으며, 야생 딩고는 보통 갈비뼈가 드러나 보인다. 털은 대부분 황갈색이다.
사육되는 딩고는 더 나은 음식과 수의학적 관리를 받기 때문에 야생 딩고보다 더 길고 무거운 경향이 있다. 각 개체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성별 | 평균 체중 | 평균 몸길이 (머리-몸통) | 평균 어깨 높이 |
---|---|---|---|---|
야생 | 수컷 | 15.8kg | 125cm | 59cm |
야생 | 암컷 | 14.1kg | 122cm | 56cm |
사육 | 수컷 | 18.9kg | 136cm | 56cm |
사육 | 암컷 | 16.2kg | 133cm | 53cm |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북서부의 딩고는 중부와 남부의 딩고보다 종종 더 크다. 딩고는 견갑골 높이를 제외하고는 뉴기니 싱잉독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하다. 평균적인 딩고는 최대 시속 60km까지 달릴 수 있다.[7]
딩고의 눈은 삼각형(또는 아몬드 모양)이며, 어두운 테두리가 있는 헤이즐색에서 어두운 색을 띤다. 귀는 직립되어 있으며 두개골 위쪽에 위치한다. 꼬리는 다소 납작하고, 중간 길이를 지나면서 가늘어지며, 등 위로 휘어지지 않고 낮게 놓여 있다.
개와 비교했을 때, 딩고는 손목을 회전시킬 수 있어 문손잡이를 돌리거나 걸쇠를 들어올려 감금된 곳에서 탈출할 수 있다. 또한, 어깨 관절이 비정상적으로 유연하여 울타리, 절벽, 나무, 바위를 오를 수 있다. 이러한 적응은 딩고가 높은 곳을 선호하는 험한 지형에서 등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비슷한 적응은 절벽과 암석 지역에서 사냥하도록 고립된 노르웨이 섬에서 발달한 노르웨이 룬데훈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늑대는 이러한 능력이 없다.
두개골을 개와 비교했을 때, 딩고는 더 긴 주둥이, 더 긴 카르나시알 치아(열육치), 더 길고 가는 송곳니, 더 큰 고실(귀의 일부), 더 납작한 두개골, 더 큰 시상봉합, 그리고 더 큰 항인대(목덜미 인대)를 가지고 있다. 20세기 이전에 수집되어 이후의 잡종화 영향을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은 딩고 표본 연구에 따르면, 딩고의 두개골은 개보다 더 넓은 구개 폭, 더 긴 주둥이, 더 짧은 두개골 높이, 그리고 더 넓은 시상봉합을 가진다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이 개의 측정 범위 내에 포함되며 각 견종마다 두개골 측정치가 다르다는 반론도 있다. Fromme's Landing에서 발견된 딩고 유해와의 비교를 통해, 딩고의 두개골과 골격은 지난 3,000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음이 밝혀졌다. 늑대와 비교하면, 딩고는 집개와 유사한 유형성숙(어린 형질 유지)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같은 체중의 개에 비해서는 더 큰 뇌 크기를 가지며, 이는 늑대와 더 유사한 특징이다.
2. 2. 생태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개과 동물이다. 서식지는 호주 대부분을 포함하지만, 남동부와 타즈메이니아, 그리고 남서부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주로 사막, 초원, 온대림, 숲 가장자리 등에서 발견된다.
딩고는 환경 온도에 따라 활동 양상이 달라진다. 더운 지역에서는 주로 야행성 생활을 하지만, 추운 지역에서는 야행성 경향이 덜하다. 일반적으로 해질녘과 새벽 무렵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박명성 동물의 특징을 보인다. 활동 시간은 비교적 짧으며(대개 1시간 미만), 중간중간 짧은 휴식을 취한다. 딩고의 이동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먹이를 찾는 것과 관련된 '탐색 이동'과 다른 개체와의 소통을 위한 '탐험 이동'이다.[16][17] 일부 딩고는 도시 지역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밤에 돌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18] 다른 들개와는 달리 딩고는 잘 짖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딩고는 기회주의적인 포식자로 매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호주 전역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딩고의 먹이는 포유류(71종)가 약 72.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조류(53종) 18.8%, 식물(씨앗 등) 3.3%, 파충류(23종) 1.8%, 그리고 곤충, 물고기, 게, 개구리 등 기타 동물이 3.8%를 구성한다. 전체 먹이의 약 80%는 붉은캥거루, 늪왈라비, 소, 검은쥐, 큰기러기, 주머니쥐, 긴털쥐, 민첩왈라비, 유럽토끼, 일반웜뱃 등 10종의 동물이 차지한다.
먹이의 종류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북부 열대 해안: 민첩왈라비, 검은쥐, 큰기러기가 주식이다.
- 중앙 호주: 유럽토끼가 주요 먹이이며, 가뭄 시에는 소 사체가 중요한 식량원이 된다.
- 벌클리 고원: 특정 우점종 없이 다양한 동물을 먹으며, 때때로 긴털쥐가 대량 발생하면 이를 주로 사냥한다.
- 포티스큐 강 지역: 작은 포유류가 적어 큰 붉은캥거루와 일반왈라루를 주로 사냥한다.
- 널러보 평원: 유럽토끼와 붉은캥거루가 주식이며, 토끼를 더 많이 사냥한다.
- 동부 온대 산악: 낮은 고도에서는 늪왈라비와 붉은목왈라비, 높은 고도에서는 웜뱃과 주머니쥐를 주로 먹는다.
- 해안 지역: 해변을 순찰하며 떠밀려 온 물고기, 물개, 펭귄 등을 먹기도 한다.
딩고는 물 섭취에도 환경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여름에는 하루 약 1L의 물을, 겨울에는 0.5L를 마신다. 먹이가 풍부한 겨울철 건조 지역에서는 먹이의 수분만으로 생존하기도 한다. 특히 건조한 중앙 호주에서는 어미가 새끼에게 물을 토해 먹이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젖먹이 기간 동안 어미는 새끼의 배설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재활용하기도 한다. 스트젤레츠키 사막에서는 딩고가 물 없이 22일간 생존한 기록도 있다.
딩고는 주로 먹이의 뒤쪽에서 접근하여 목의 기관이나 주요 혈관을 물어뜯어 사냥한다. 사냥 방식은 먹이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큰 먹이를 사냥할 때는 무리를 짓는 경우가 많다. 큰 먹이로는 캥거루, 소, 물소, 야생마 등이 있다.
- 캥거루 사냥: 딩고가 가장 흔하게 사냥하는 먹이 중 하나이다. 무리를 지어 캥거루를 발견하면 포위하고, 선두 그룹이 캥거루를 다른 무리원이 있는 쪽으로 몰아넣는다. 추격 시에는 코너를 효과적으로 자르며, 릴레이 방식으로 쫓아가 캥거루가 지칠 때까지 추격한다. 이러한 전술은 늑대나 아프리카들개 등 다른 사회적 포식자들에게서도 나타난다. 무리 사냥은 단독 사냥보다 성공률이 3배나 높다. 캥거루를 거의 잡았을 때는 뒷다리의 힘줄(햄스트링)을 물어 속도를 늦춘 뒤 목을 공격하거나, 옆에서 달려들며 목이나 등을 문다. 때로는 캥거루를 철조망 쪽으로 몰아 움직임을 제한시킨 후 사냥하기도 한다.
- 소 및 물소 사냥: 건강한 성체는 거의 공격하지 않으며, 주로 어리거나 병들거나 부상당한 개체를 노린다. 어미와 새끼를 떼어놓거나, 무리 전체를 몰아 흩어지게 하는 전술을 사용한다. 어미 소는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딩고에게 공격적으로 돌진하기도 한다.
- 양 사냥: 딩고는 양보다 빠르지만, 양을 적극적으로 죽이려는 동기는 부족해 보인다. 여러 마리의 양을 쫓다가도 죽이지 않고 다른 양으로 목표를 바꾸는 경우가 많다. 양을 잡아먹는 경우에도 여전히 캥거루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 기타 먹이 사냥: 유럽토끼는 단독으로도 잡을 수 있지만, 굴 근처의 새끼를 노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날지 못하는 새나 둥지의 새끼 새도 잡아먹는다. 프레이저 섬에서는 파도를 이용해 늪왈라비나 바늘두더지를 지치게 하여 사냥하는 지능적인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북부 호주에서는 흰배흰꼬리수리가 사냥한 큰기러기를 빼앗거나, 수리의 둥지에서 떨어진 먹이를 먹기도 한다. 작은 설치류나 메뚜기 등은 후각과 청각을 이용해 찾아낸 뒤 앞발로 덮쳐 잡는다.
딩고는 주머니고양이와 같은 토착 포식자와 공존한다. 또한 붉은여우나 들고양이와 같은 유입종과 서식지를 공유하기도 하지만, 이들 간의 정확한 상호작용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딩고가 여우를 물가에서 쫓아내거나 가끔 들고양이를 잡아먹는다는 보고가 있다. 반대로 딩고는 물소나 소에게 받히거나 차여 죽기도 하며, 뱀에게 물리거나 새끼(때로는 성체)가 웨지테일 독수리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8]
딩고는 호주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먹이 동물의 개체 수를 조절하고 다른 포식자와의 경쟁을 통해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늘고 있다.[35] 딩고는 야생 염소나 야생 돼지와 같은 유입된 가축뿐만 아니라, 붉은여우나 들고양이 같은 다른 침입종의 개체 수를 억제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딩고가 있는 지역에서 여우의 개체 수가 낮게 유지되어 토착 동물에 대한 포식 압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제안한다.[37]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은 지역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 마운틴 지역 연구에서는 딩고와 여우 간의 경쟁이 광범위하기보다는 지역적인 수준에서만 확인되었다.[38]
딩고가 사라질 경우, 캥거루, 유럽토끼, 오스트레일리아브러시칠면조[40], 에뮤[39] 등 특정 동물의 개체 수가 증가할 수 있다는 관찰 결과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한 토착종을 보호하고 생태계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딩고 개체 수를 관리하거나 특정 지역에 재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한편, 딩고가 호주 본토에서 주머니늑대, 태즈메이니아데빌, 태즈메이니아 토종닭 등의 멸종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과거에 제기되었으나, 최근 연구들은 기후 변화나 호주 원주민의 인구 증가 등 다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30] 딩고의 사냥 방식이나 선호하는 먹이 크기, 그리고 유럽인 정착 이전의 상대적으로 적었던 개체 수를 고려할 때, 딩고가 붉은여우와 같은 후대의 침입종만큼 극적인 생태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31]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딩고 개체군은 약 4,000~6,000년 전부터 확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딩고의 호주 도착 시기 또는 주머니늑대가 멸종하기 시작하면서 그 빈자리를 차지하며 확장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2. 3. 번식
딩고는 암컷의 발정 주기에 따라 보통 일 년에 한 번 번식한다.[24][25] 대부분의 자료에 따르면 암컷은 일 년에 한 번만 발정기가 온다. 암컷 딩고가 일 년에 두 번 발정기가 올 수도 있지만, 실제 임신은 한 번만 가능하며 두 번째 발정기는 가성 임신처럼 보일 수 있다.[24][25] 수컷은 대부분 지역에서 일 년 내내 번식 능력이 있지만, 여름에는 정자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26] 사육 상태의 수컷은 연중 번식 능력을 보이며 번식은 암컷의 발정기에 의해 조절되지만,[26] 중앙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포획된 야생 수컷 딩고는 뚜렷한 번식 주기를 보여, 번식기가 아닐 때는 발정기 암컷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26]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번식기는 보통 3월에서 5월 사이에 해당한다 (일부 자료는 4월에서 6월 사이로 보기도 한다).[13] 이 시기 딩고는 소리, 우점 행동, 으르렁거림 등을 통해 자신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방어한다.[13] 다만, 열대 지방에서는 일 년 중 어느 때나 번식이 일어날 수 있다.[10]
야생 암컷은 보통 2살이 되면 번식을 시작하며, 수컷은 1살에서 3살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0] 번식 시작 시기는 나이, 사회적 지위, 지리적 범위, 계절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0] 암컷의 발정 전 기간은 사육 상태에서는 10~12일 정도지만, 야생에서는 최대 60일까지 길어질 수 있다.[10]

일반적으로 무리 내에서는 우두머리인 알파 짝(alpha pair)만이 성공적으로 번식하며, 다른 구성원들은 새끼를 기르는 것을 돕는다.[27] 특히 알파 암컷은 다른 암컷들이 번식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는데, 다른 암컷의 교미 시도를 방해하거나 태어난 새끼를 죽이기도 한다.[10][27] 이 때문에 일부 하위 암컷은 가성 임신(false pregnancy) 상태를 보이기도 한다.[27] 이러한 행동은 변동성이 큰 오스트레일리아의 환경 조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달했을 가능성이 있다.[10] 무리의 사회 구조가 무너지면 하위 개체나 무리에서 떨어져 나온 개체도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다.[27]
임신 기간(gestation)은 61일에서 69일 사이이며, 한 배에 1마리에서 10마리(보통 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0] 태어나는 새끼는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많은 경향이 있다.[10] 새끼는 주로 5월에서 8월 사이, 즉 겨울철에 태어난다.[10]
새끼들은 태어난 지 3주 정도 지나면 처음으로 굴 밖으로 나오며, 8주가 되면 굴을 완전히 떠난다.[28] 딩고의 굴은 주로 땅속에 있으며, 버려진 토끼 굴이나 바위틈, 마른 개울 바닥, 큰 세잎골풀(spinifex) 아래, 속이 빈 통나무 속 등에 자리를 잡는다.[28] 새끼들은 보통 굴 주변 3km 반경 내에서 활동하며, 더 멀리 이동할 때는 어른 딩고가 동행한다.[28] 생후 9주에서 12주가 되면 무리의 다른 구성원들처럼 고형 사료를 먹기 시작하며,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다른 개체들을 관찰하며 배우기도 한다.[28] 어린 딩고는 보통 생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독립하거나, 다음 번식기가 시작되는 10개월령에 무리를 떠나 흩어진다.[28]
3. 분포
딩고는 주로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며, 뉴기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발견된다.[79][92]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는 프레이저 섬에 서식하는 개체들이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에서 가장 순수한 혈통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80] 프레이저 섬에는 약 30개의 딩고 집단이 서식하며, 한 무리는 많게는 12마리로 구성된다.[81]
3. 1. 이동 경로 (추정)
딩고의 기원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산과 함께 호주로 들어온 개로 여겨진다.[80]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딩고는 중국 남부의 황하 및 양쯔강 유역에서 발견된 고대 개 유해(A1b 해플로그룹)와 관련이 깊다. 특히 저장성 허무두 문화의 톈뤄산 유적지에서 발견된 7,000년 전 표본은 이 계통의 기저에 해당한다. 이 개들은 한때 중국 남부에 널리 퍼져 동남아시아를 거쳐 뉴기니와 오세아니아로 확산되었으나, 약 2,000년 전 중국 본토에서는 다른 계통의 개들에게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개 유해는 베트남에서 발견된 4,000년 전의 것이며, 섬 동남아시아에서는 동티모르에서 발견된 3,000년 전의 유해가 가장 오래되었다. 뉴기니에서는 포트모르즈비 근처 코션 베이에서 2,500~2,300년 전의 개 유해가 발견되었고, 토레스 해협에서는 2,100년 전의 딩고 유해가 확인되었다.딩고가 호주에 도착한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추정이 있다. 과거에는 약 4,000년 전에 인간과 함께 도착했다는 설이 유력했다.[100][101][102] 최후 빙하기 말기 해수면 상승으로 태즈메이니아는 약 12,000년 전에, 뉴기니는 약 6,500~8,500년 전에 호주 본토와 분리되었다. 태즈메이니아에서는 딩고 유해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딩고는 최소 3,500년 전에서 최대 12,000년 전 사이에 호주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호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딩고 유해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동부 널러보 평원의 만두라 동굴에서 발견된 것으로, 처음에는 3,450년 전으로 추정되었다. 뉴사우스웨일스주 웜바 유적(3,320년 전)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프롬즈 랜딩 유적(3,170년 전)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마운트 버의 암석 보호소에서는 7,000~8,500년 전 지층에서 딩고 뼈 조각이 발견되기도 했으나, 이후 지층 교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18년, 만두라 동굴 유해에 대한 직접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연대가 3,348년에서 3,081년 전 사이로 확인되어 딩고의 도착 시기가 기존 추정보다 다소 늦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딩고는 섬 동남아시아와 사훌 사이의 최소 50km의 바다를 건너야 했으므로, 배를 타고 인간과 함께 호주에 도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호주에 도착한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에게 받아들여졌고, 원주민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대륙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확산 과정은 약 70년밖에 걸리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호주에 정착한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에게 가축으로 길러지기도 했으나 점차 야생화되었다.[80] 유럽 정착민이 도착하기 전까지 다른 개들과 격리된 채 야생에서 번식하고 자연선택을 거치면서 독특한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발견된 유해들을 비교했을 때, 딩고의 형태는 수천 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는데, 이는 인위적인 선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딩고는 유전적으로 동남아시아의 재래견과 매우 가깝다.[80]
4. 계통 분류
딩고의 분류학적 위치는 학계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주제이다. 일반적으로 회색늑대의 한 아종인 ''Canis lupus dingo''로 분류되지만,[82] 개(''Canis familiaris'')의 아종인 ''Canis familiaris dingo''로 보거나,[84][87] 심지어 늑대나 개와는 별개의 독립된 종인 ''Canis dingo''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도 존재한다.[85][86]
최초로 딩고를 학술적으로 기술한 것은 1793년 프리드리히 알브레히트 안톤 마이어로, 아서 필립 총독의 기록과 그림을 바탕으로 "뉴사우스웨일스의 개"를 ''Canis dingo''로 명명했다. 이후 딩고의 학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9년, 미토콘드리아 DNA(mDNA)를 이용한 연구는 딩고와 뉴기니 싱잉독이 과거 개체군이 서로 고립되었던 시기에 유래했음을 시사했다. 2005년 발간된 ''세계의 포유류 종'' 제3판에서 W. 크리스토퍼 우젠크래프트는 늑대(''Canis lupus'') 아래에 집개(''familiaris'')와 딩고(''dingo'')를 아종으로 포함시켰으며, 뉴기니 싱잉독(''hallstromi'')은 딩고의 동의어로 처리했다. 이러한 분류는 mDNA 연구 결과를 참고한 것이지만,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2019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SSC 갯과 동물 전문가 그룹 워크숍에서는 뉴기니 싱잉독과 딩고를 들개(''Canis familiaris'')로 간주하여 IUCN 적색 목록 평가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론 내렸다. 2020년 미국 포유류 학회 역시 딩고를 집개의 동의어로 보았다.[2]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딩고의 독자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남호주 야생 딩고의 DNA 시퀀싱 결과, 저먼 셰퍼드와는 다른 DNA 메틸화 패턴을 보였다.[3] 또한 2024년 연구에 따르면, 딩고와 뉴기니 싱잉독은 멸종된 일본늑대의 조상으로부터 약 5.5%의 유전자를 물려받았으며, 이는 일본늑대 조상이 일본 열도에 도착하기 전에 발생한 유전자 교류로 추정된다.[4] 딩고는 유전적으로 동남아시아의 재래견과 매우 가깝다.
딩고는 오스트로네시아족의 확산과 함께 호주로 유입된 개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최종 빙하기 이후 호주 대륙에 정착했으며, 해수면 상승으로 타스마니아섬이 분리된 이후에 유입되었기 때문에 타스마니아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초기에는 호주 원주민에 의해 사육되기도 했으나 점차 야생화되었다.
딩고는 같은 회색늑대의 아종인 집개와 교배하여 번식 가능한 잡종을 낳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재 호주 대륙의 야생견 개체군 상당수가 딩고와 개의 딩고-개 잡종이며, 순수 혈통 딩고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80] 2011년 호주 전역의 야생견 3,941마리를 대상으로 한 DNA 연구에서는 46%만이 순수 딩고였으며, 특히 호주 남동부에서는 99%가 잡종 또는 야생화된 개로 나타났다. 순수 딩고는 노던 준주에 가장 많이 분포(88%)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잡종화 정도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으며, 순수 딩고가 생각보다 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23년, 402마리의 야생 및 사육 딩고를 대상으로 한 게놈 연구 결과, 과거 잡종화 연구가 순수 딩고의 비율을 낮게 추정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0][71] 2021년 5,000마리 이상의 야생견 DNA 검사에서도 순수 야생화된 집개나 1세대 잡종은 매우 드물게 발견되어, 딩고가 거의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기존 인식에 도전했다.
잡종은 털 색깔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렵고, 개와 유사한 짖음, 번식 주기의 차이,[72] 두개골 특징,[73] 유전자 분석[74] 등을 통해 구별하지만, 어떤 특징도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다.[75] 2016년 두개골 형태 분석 연구에서는 잡종의 두개골 형태가 개보다는 딩고에 더 가깝게 나타나, 두개골 형태만으로는 잡종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딩고 보존을 둘러싸고 두 가지 주요 관점이 대립한다. 하나는 야생견 개체군을 강력히 통제하여 "순수" 딩고를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이고,[76] 다른 하나는 딩고가 이미 변화했음을 받아들이고 유전적 순수성보다는 생태적, 문화적 역할에 기반하여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77] 잡종화로 인해 현대 야생견 개체군은 털 색깔, 두개골 모양, 몸집 등이 과거보다 다양해졌으며, 지난 40년 동안(2014년 5월 기준) 야생견의 평균 몸집이 약 20% 증가했다.[78] 이러한 변화가 생태계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다.[13] 프레이저섬에 서식하는 딩고 집단은 호주 동부에서 유전적으로 가장 순수한 개체군으로 여겨진다.[80]
다음은 딩고에 부여되었던 여러 학명(동물 이름) 목록이다. '''굵은 글씨'''는 현재(2000년대 후반 기준)에도 사용되는 학명이다.[93]
학명 | 명명자 | 연도 |
---|---|---|
Canis antarcticus | 커 | 1792 |
Canis australiae | 존 에드워드 그레이 | 1826 |
'Canis dingo' | 블루멘바흐 | 1780 |
Canis dingoides | 마치 | 1915 |
Canis familiaris australasiae | 데마레 | 1820 |
Canis familiaris dingo | 마이어 | 1793 |
Canis familiaris novaehollandiae | 포이크트 | 1831 |
Canis hallstromi | 트로턴 | 1957 |
Canis macdonnellensis | 마치 | 1915 |
Canis papuensis | 램지 | 1879 |
Canis tenggerana | 콜브뤼게 | 1896 |
Canis tanggerana harappensis | 프라샤드 | 1936 |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ITIS)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딩고를 회색늑대의 아종(''Canis lupus dingo'' Meyer, 1793)과 별개의 종(''Canis dingo'' Blumenbach, 1780) 양쪽으로 등록하고 있다.
5. 어원
"딩고"(dingo)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이다.[82][83] 이 이름은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유럽인이 처음 정착했을 시기, 시드니항 부근에 살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기르던 개를 가리키던 다라그어 단어 'tingo'에서 유래했다.[88] 1788년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착한 영국 식민 개척자들은 포트 잭슨에 정착지를 세우고 원주민들과 함께 사는 "딩고"들을 발견했으며, 이 이름은 1789년 왓킨 텐치(Watkin Tench)가 그의 저서 ''보타니 만 원정기(Narrative of the Expedition to Botany Bay)''에서 처음 기록했다. 텐치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일한 사육 동물은 개인데, 그들의 언어로는 딩고(Dingo)라고 하며 영국의 여우 사냥개와 매우 흡사하다. 이 동물들은 우리를 똑같이 피하고 원주민들에게 친근하다. 그중 하나는 현재 주지사가 소유하고 있으며 새로운 주인에게 상당히 잘 적응하고 있다.
관련된 다라그어 단어로는 "암캐"를 뜻하는 "ting-ko"와 "큰 개"를 뜻하는 "tun-go-wo-re-gal"이 있다.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일부는 다음과 같다.
언어/부족 | 이름 | 비고 |
---|---|---|
다라그어 | tingo[88] | 시드니 지역 원주민이 기르던 개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다양) | Joogong, Mirigung, Noggum, Boolomo, Papa-Inura, Wantibirri, Maliki, Kal, Dwer-da, Kurpany, Aringka, Palangamwari, Repeti, Warrigal 등[82] | 부족별 다양한 명칭 |
노던 테리토리 Yarralin 부족 | Walaku[89] | 사육 딩고 또는 일반적인 개 |
노던 테리토리 Yarralin 부족 | Ngurakin[89] | 야생 딩고 |
일부 저자들은 야영지 딩고와 야생 딩고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원주민 부족마다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뉴사우스웨일스의 초기 식민 개척자들은 주로 원주민과 함께 사는 야영지 개를 '딩고'라고 불렀던 것으로 기록된다.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는 딩고를 ''wild dog''(야생 개)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흔하며,[82][83] 이는 순수 딩고뿐만 아니라 들개나 그 잡종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서식지에 따라서는 고산 딩고(alpine dingoes), 사막 딩고(desert dingoes), 북부 딩고(northern dingoes), 케이프요크 딩고(Cape York dingoes), 열대 딩고(tropical dingoes) 등으로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 최근에는 오스트레일리아 토종견(Australian native dog)이나,[90] 학명(Canis lupus dingo)에 근거하여 오스트레일리아 늑대(Australian wolf)라고 부르기도 한다.[91]
6. 역사
딩고의 기원은 오스트로네시아족의 확산과 함께 호주로 들어온 개로 여겨진다.[80] 딩고는 약 4,000년 전에 인간과 함께 호주에 도착했다고 추측된다.[100][101][102] 중국 남부 황하 및 양쯔강 유역의 고대 개 유해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mDNA) 연구에 따르면, 이들 대부분은 호주 딩고 및 식민지 이전 태평양 개들과 같은 A1b 해플로그룹에 속한다. 절강성 톈뤄산 유적지에서 발견된 7,000년 전 표본은 전체 A1b 계통의 기저에 해당하며, 이 계통의 개들은 한때 중국 남부에 널리 퍼져 동남아시아를 거쳐 뉴기니와 오세아니아로 확산되었으나, 약 2,000년 전 다른 계통의 개들에게 대체되었다.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개 유해는 베트남에서 발견된 4,000년 전의 것이며, 섬 동남아시아에서는 동티모르에서 발견된 3,000년 전의 것이다. 뉴기니에서는 포트모르즈비 근처에서 2,500~2,300년 전의 가장 오래된 개 유해가 발견되었다.
최후 빙하기 말기 해수면 상승으로 타즈마니아는 12,000년 전, 뉴기니는 6,500~8,500년 전에 호주 본토와 분리되었다. 호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딩고 화석 유해가 약 3,500년 전의 것이고 타즈마니아에서는 딩고 유해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딩고는 3,500년에서 12,000년 전 사이에 호주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순다와 사훌 사이에는 최소 50km의 바다가 있었으므로, 딩고는 배를 타고 인간과 함께 왔을 것이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딩고 골격 유해는 서호주 남동부 널러보 평원의 만두라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2018년 직접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3,348년에서 3,081년 전 사이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3,450년 전 추정치보다 늦은 시기이며, 딩고의 도착 시점에 대한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뉴사우스웨일스주 웜바 미든에서 3,320년 전, 남호주 매넘 근처 머레이강의 프롬즈 랜딩에서 3,170년 전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남호주 마운트 버의 암석 보호소에서 발견된 딩고 뼈 조각은 원래 7,000~8,500년 전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나, 이후 지층 교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현대 딩고와 초기 유해 비교 결과, 딩고의 형태는 수천 년간 변하지 않았는데, 이는 인위적 선택이 없었으며 딩고가 개의 초기 형태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딩고가 처음 도착했을 때, 호주 원주민들에게 받아들여졌고, 원주민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대륙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타즈마니아의 개와 호주의 고양이 분포 기록을 바탕으로, 딩고가 상륙 지점에서 호주 대륙 전체로 퍼지는 데 약 70년밖에 걸리지 않았을 수 있다. 붉은 여우 역시 60~80년 만에 대륙 전역으로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 정착민이 도착할 때까지 딩고는 다른 개들과 격리된 채 야생에서 살아가며 자연 선택을 거쳐 독특한 특성을 갖게 되었다.
유럽인에 의한 딩고의 첫 기록은 1623년 얀 카르스텐손이 케이프 요크 반도 지역에서 원주민과 관련된 개를 언급한 것이다. 1699년 윌리엄 댐피어는 현재의 서호주 해안에서 "마치 굶주린 늑대와 같은 두세 마리의 짐승"을 보았다고 기록했다. 1788년, 제1함대를 이끌고 보타니 베이에 도착한 호주 초대 총독 아서 필립은 딩고를 소유했으며, 그의 일지에는 "뉴사우스웨일스의 개"에 대한 설명과 그림이 실려 있다. 이를 바탕으로 1793년 프리드리히 마이어는 이 개를 ''Canis dingo''로 명명하고 분류했다.
1999년 mDNA 연구는 딩고와 뉴기니 싱잉독이 각기 다른 시기에 고립되어 발달했음을 시사했다. 2005년 ''세계 포유류 종'' 제3판에서는 딩고(''dingo'')와 집개(''familiaris'')를 늑대(''Canis lupus'')의 아종으로 분류했으나,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2019년 IUCN/SSC 갯과 동물 전문가 그룹 워크숍에서는 딩고와 뉴기니 싱잉독을 들개(''Canis familiaris'')로 간주했다. 2020년 미국 포유류 학회도 딩고를 집개의 동의어로 보았다.[2] 그러나 같은 해 남호주 '순수' 야생 딩고의 DNA 시퀀싱 결과, 저먼 셰퍼드와 다른 DNA 메틸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딩고의 독자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3] 2024년 연구에서는 딩고와 뉴기니 싱잉독이 멸종된 일본늑대 조상으로부터 5.5%의 유전체 유입을 보였으며, 이는 일본늑대 조상이 일본에 도착하기 전에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4]
현재 호주 본토에서는 집개와의 잡종화가 진행되어 순혈 딩고는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레이저 섬에 서식하는 개체군이 호주 동부에서 가장 순수한 혈통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80] 프레이저 섬에는 약 30개의 딩고 무리가 있으며, 한 무리는 최대 12마리로 구성된다.[81] 유전적으로 동남아시아의 재래견과 매우 가까워 넓은 의미에서는 이들도 딩고에 포함되기도 한다.[80]
7. 인간과의 관계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에서 딩고는 단순한 야생 동물이 아닌, 삶의 동반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사냥을 도왔고, 밤에는 추위를 막는 난방 도구 역할을 했으며, 캠프 주변을 지키는 존재이기도 했다. 때로는 식량 자원으로 활용되기도 했으며,[52] 원주민들은 굴에서 어린 딩고를 데려와 기르다가 성체가 되면 자연으로 돌려보내기도 했다.[32] 딩고의 신체 일부는 화폐나 장식품, 전통 의복 제작에 사용되기도 했다.[52]
1788년 영국 정착민들이 포트 잭슨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원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는 딩고를 목격했다. 그러나 19세기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으로 목축업이 확장되면서, 딩고가 양이나 소와 같은 가축을 공격하기 시작하자 유럽 정착민들과 딩고 사이에는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딩고에 대한 대대적인 통제와 박해가 시작되었고, 딩고 펜스 건설, 현상금 지급, 독극물(1080) 살포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딩고 개체 수를 완전히 통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10]
딩고는 일반적으로 사람을 피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사람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특히 관광객들이 야생 딩고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는 딩고가 사람에게 익숙해지게 만들어 공격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대부분의 공격은 경미하지만,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진 사례도 보고되었다.
인간에 대한 딩고 공격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사건은 1980년 노던 준주의 울룰루(당시 에어스록) 근처 캠핑장에서 생후 9주 된 아기 아자리아 챔벌레인이 실종된 아자리아 챔벌레인의 죽음 사건이다. 초기 수사에서는 어머니 린디 챔벌레인이 살해 용의자로 지목되어 1982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린디는 일관되게 딩고가 아기를 물어갔다고 주장했고, 이후 아기의 옷가지가 딩고 서식지 근처에서 발견되는 등 새로운 증거들이 나타나면서 재심이 이루어졌다. 오랜 법정 공방과 사회적 논란 끝에, 2012년 6월 12일 다윈의 검시관은 아자리아가 딩고의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다.[95] 이 사건은 딩고의 위험성을 알리는 동시에, 초기 수사의 미흡함과 당시 사회에 존재했던 편견이 억울한 옥살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프레이저 섬에서는 2001년 9세 소년이 딩고 무리의 공격을 받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섬 내 딩고에 대한 관리가 강화되어 상당수의 딩고가 살처분되었으나,[81] 여전히 관광객과의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딩고 개체 수 관리 정책의 효과와 방향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81]
딩고는 어릴 때부터 사람과 접촉하면 어느 정도 길들여질 수 있어,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나 초기 유럽 정착민들은 딩고를 애완동물처럼 기르기도 했다.[12][32] 그러나 딩고는 개와 달리 완전히 가축화되지 않은 야생 동물로서의 본능이 강하게 남아있어 일반적인 애완견처럼 다루기 어렵다. 현대에 와서 순종 딩고를 사육하거나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것은 유전적 순수성 문제, 생태계 교란 가능성 등 여러 복잡한 문제와 논쟁을 동반한다.[33]
7. 1. 경제적 영향

1800년대 초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으로 가축 사육이 확대되면서 들개(딩고 및 딩고 잡종 포함)와 목축업자 간의 갈등이 발생했다. 양과 소는 들개의 쉬운 먹잇감이 되었고, 이로 인해 목축업자와 정부 기관은 들개를 사살하고, 함정을 설치하고, 독극물을 사용하는 등 강경한 통제 정책을 시행해왔다.
들개로 인한 가축 피해의 실제 규모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복잡하다. 가축은 다양한 원인으로 죽을 수 있으며, 사체가 발견되더라도 들개의 공격이 직접적인 사인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들개는 썩은 고기도 먹기 때문에, 배설물에서 가축의 잔해가 발견된다고 해서 반드시 해당 개체가 가축을 직접 사냥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48] 공격 여부를 확실히 판단하는 유일한 방법은 직접 관찰뿐이다.
산업별로 들개로 인한 피해 양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소 사육 산업은 야생 개의 수가 어느 정도 존재하더라도 비교적 감내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소의 방어 능력, 건강 상태, 그리고 캥거루나 토끼와 같은 다른 먹이의 풍부함 등이 피해 규모에 영향을 미친다.[13][27] 일부 소 사육자들은 들개가 캥거루나 토끼 등을 포식하여 목초 경쟁을 줄여주는 이점도 있다고 보기도 한다.[28][49] 반면, 양과 염소 사육 산업에서는 들개에 대해 거의 무관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양은 위험에 직면했을 때 도망치거나 무리를 짓는 습성이 있어 들개의 사냥에 더 취약하다.[48]
들개로 인한 경제적 손실 추정치는 다양하다.
- 퀸즐랜드주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야생 개는 가축 손실, 질병 확산, 방제 조치 등으로 인해 매년 주에 약 3000만호주 달러의 비용을 초래하며, 이 중 가축 산업 자체의 손실은 최대 1800만호주 달러로 추산된다.[27]
- 바칼딘 지역에서는 매년 양의 최대 5분의 1이 들개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0]
- 2006년 노던 준주 방목 지역의 소 손실은 최대 30%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었다.[27]
- 1995년 공원 및 야생 동물 관리국의 설문 조사에서 소 사육자들은 야생 개로 인한 연간 손실을 지역에 따라 1.6%에서 7.1%로 추정했다.[51]
- 그러나 2018년 남호주 북부에서 실시된 연구에서는 송아지 손실(평균 18.6%)이 들개 활동 증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페스티바이러스나 렙토스피라증과 같은 소 질병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들개가 주로 사체를 청소하는 역할을 하지만, 일부 송아지를 포식하는 증거도 발견되었다.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에서 사냥 보조 도구, 추위를 막는 물품(핫 워터 보틀(hot water bottle)), 캠프 개 등으로 활용되었다. 딩고의 두피는 일종의 화폐(currency)로, 이빨은 장식용으로, 털은 전통 의상 제작에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일부 지역, 특히 프레이저 섬에서 "순종" 딩고가 관광(tourism) 자원으로 활용되어 관광객 유치에 기여하기도 한다.[52]
가축 피해를 막기 위해 딩고 펜스 건설, 현상금 제도 운영, 1080 독극물 사용 등 다양한 관리 및 통제 조치가 시행되어 왔다.[13][94][10][55]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의 비용 대비 효과, 인도주의적 문제, 다른 야생 동물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13][60][29]
7. 2. 문화적 영향
딩고에 대한 문화적 인식은 종종 그 '교활함'과 문명과 야생 사이의 중간 존재라는 인식에 기반한다.[43]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문화에서 딩고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케이프요크반도의 특정 애도 의식[28]과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오는 꿈의 시대 이야기에서 딩고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록 멸종된 주머니늑대에 비해 동굴 벽화에 묘사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야랄린 지역의 한 부족 장로는 꿈의 시대 딩고가 인간과 딩고 모두의 조상이며, "우리가 지금의 모습이 아니라면 우리가 되었을 모습"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서부 사막 문화권에서 유래한 신화들은 특히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데, 딩고가 이야기의 중심인물이 되기도 하고 조연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 신화들은 꿈의 시대 조상이 인간과 딩고를 창조하거나 현재의 모습을 부여한 이야기,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동 규범, 특정 사물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또한 인간과 딩고 사이의 변신, "딩고 사람들"의 존재, 특정 지형지물의 창조에 관한 이야기도 전해진다.
반면, 초기 유럽인 정착민들의 딩고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크게 변했다. 처음에는 딩고를 사냥개나 늑대와 비슷하게 여겼지만, 딩고가 양과 같은 가축을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유럽인들은 딩고가 정면으로 맞서 싸우지 않고 수풀 속으로 사라지는 모습을 보고 교활하고 비겁한 동물로 여기게 되었다.[44]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더욱 심화되어, 딩고를 난교를 일삼거나 악마와 같은 존재, 심지어 독이 있는 침을 가졌다고 여기며 무분별하게 살해하는 근거가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잡기 어려운 딩고를 사냥하는 것은 사냥꾼에게 명성을 안겨주기도 했다.[44] 딩고는 점차 도둑, 부랑자, 부시레인저, 심지어 의회 반대자들과 같은 부정적인 대상과 연관 지어졌다.[45]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는 현대에도 이어져, 1960년대부터 호주 정치인들은 정치적 상대를 비겁하고 배신적인 존재로 비난하기 위해 "딩고"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사용되는 공격적인 수사법이 되었다.[45] 현재 "딩고"라는 단어는 일상적으로 "겁쟁이"나 "사기꾼"을 의미하는 말로 쓰이며, 동사나 형용사 형태로도 활용된다.[43] 이처럼 딩고의 이미지는 일부 집단에서는 교육적인 대상으로,[46] 다른 집단에서는 악마적인 대상으로[47] 극명하게 갈리기도 한다.
한편, 유럽인들의 정착 이후 원주민들은 유럽 이민자들로부터 개를 매우 빠르게 받아들였다. 1802년 프랜시스 바랄리에는 자신이 탐험한 지역에 이미 유럽산 개 5마리가 원주민과 함께 살고 있음을 발견하기도 했다.[45] 일부에서는 다른 사냥개들이 기존의 "순수한" 딩고의 역할을 대체하게 되었다는 이론도 제기한다.[46] 물소나 고양이와 같이 새롭게 도입된 동물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원주민들의 의식, 전통 회화, 꿈의 시대 이야기 속에 통합되었다.[43]
8. 보존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에서 딩고는 2004년까지 "관심대상 최소"로 분류되었으나, 집개와의 잡종화로 인해 순수 혈통의 개체 수가 약 30%까지 감소하자 2008년에는 "취약" 등급으로 재분류되었다.[63] 그러나 2018년 IUCN은 딩고를 들개로 간주하고 적색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부분 지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다른 개들과의 지속적인 교잡으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순수 혈통이 위협받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63] 뉴사우스웨일스주, 노던준주, 빅토리아주, 아넘랜드 및 기타 원주민 지역,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등 보호 지역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보호를 받는다. 반면 일부 주에서는 딩고를 해충으로 지정하여 토지 소유주가 개체 수를 관리하도록 허용하기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에서 딩고 외 다른 모든 야생 개는 해충으로 간주된다.
프레이저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에 위치한 1840km2 면적의 세계유산 지역으로, 약 120마리로 추정되는 유전적으로 독특한 딩고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다. 이 섬의 딩고는 다른 지역 개들의 유전자 침입이 없어 보존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이들은 남동부 딩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뉴기니 노래개와 일부 유전자를 공유하고 북서부 딩고와의 혼합 증거도 보여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보존 가치 때문에 2013년 프레이저 섬 딩고 관리 전략 보고서가 발표되었으며, 딩고에 대한 위협 종식, 표지 관행 변경, 정기적인 수의사 검진, 섬 전체를 영구적인 딩고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64] 2004년 DNA 검사 결과 프레이저 섬의 딩고는 "순수" 혈통으로 밝혀졌으나,[65] 1990년대 중반의 두개골 측정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66] 2013년 연구에 따르면 타나미 사막에 서식하는 딩고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순수한" 딩고 중 하나로 여겨진다.[67]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개 보존 협회'''와 '''오스트레일리아 딩고 보존 협회''' 등 여러 단체들이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순수" 딩고 보존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들이 유전적 검사를 받지 않았거나 이미 잡종으로 알려져 있어, 현재의 보존 노력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도 있다.[10]
딩고 보존 노력은 주로 순수 딩고 개체군을 지키기 위해 다른 집개와의 교잡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는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 얼마나 많은 순수 딩고가 남아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도 보존 노력을 어렵게 만든다. 순수 딩고와 다른 집개를 확실하게 구별하는 방법이 있어야 보존 조치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보존 노력은 종종 해충 관리 조치와 충돌하기도 한다.
인간 및 다른 집개와의 접촉이 드문 외딴 지역에서는 순수하고 생존 가능한 딩고 개체군 보존이 비교적 유망하다.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공원, 보호구역 등 농업에 사용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딩고가 다른 토착종의 생존을 위협하는 경우에만 관리된다. 순수 딩고 서식지 주변에 "개 없는" 완충 지역을 설정하는 것이 교잡을 막는 현실적인 방법으로 제안되기도 하지만, 2007년 연구에서는 핵심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조차도 교잡 과정을 완전히 막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68] 한편, 딩고 디스커버리 생츄어리 앤 리서치 센터와 같은 일부 기관에서는 "규제되지 않고 무지한 농업 관행"으로 인해 훼손된 지역의 생태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딩고를 재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69]
딩고 밀도는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가이 폭스 강 지역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서 토끼 재앙이 절정에 달했을 때 1km2당 최대 3마리로 측정되었다.[13]
최근 연구들은 과거 잡종화 정도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23년, 딩고 게놈 19만 5천 개 지점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순수 딩고가 기존 생각보다 더 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70][71] 2021년 호주 전역의 야생견 5,000마리 이상을 대상으로 한 DNA 검사에서도 실제 들개화된 집개는 31마리, 1세대 잡종은 27마리에 불과했다. 이는 딩고가 거의 멸종 위기이며 들개화된 집개로 대체되었다는 기존 인식에 도전하는 결과이다.
털 색깔만으로는 잡종을 구별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딩고와 잡종은 잡종에게서 나타나는 개와 유사한 짖는 소리, 번식 주기의 차이,[72] 특정 두개골 특징,[73] 유전자 분석[74] 등을 통해 구별하지만, 어떤 개를 "순수" 딩고로 볼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75] 어떤 구별 특징도 완벽하게 신뢰할 수는 없다. 자연 선택 조건 하에서 어떤 특징이 영구적으로 남을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교잡 과정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요 의견이 있다. 첫 번째이자 가장 일반적인 견해는 야생견 개체군을 강력하게 통제하여 "순수" 딩고를 보존해야 하며, "순수" 또는 "거의 순수"한 딩고만 보호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76] 두 번째 견해는 비교적 새로운 것으로, 사람들은 딩고가 변화했으며 "순수" 딩고를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들의 보존은 정확한 정의나 "유전적 순수성"에 대한 우려에 집중하는 대신, 그들이 서식하는 곳과 방법, 그리고 문화적, 생태적 역할에 기반해야 한다는 것이다.[77] 두 가지 견해 모두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교잡으로 인해 현대 야생견 개체군의 털 색깔, 두개골 모양, 몸집이 유럽인이 도착하기 전보다 더 다양해졌다. 지난 수십 년간 야생견의 평균 몸집은 약 20%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78] "순수" 딩고가 사라질 경우 남은 잡종이 다른 동물에 대한 포식 압력을 어떻게 바꿀지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잡종이 호주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도 불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다양한 생태계의 역학이 과도하게 교란될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13]
2011년, 야생견에 대한 최초의 대륙 규모 DNA 연구에는 총 3,941개의 샘플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46%가 개 대립유전자(유전자 발현)를 전혀 나타내지 않는 순수 딩고였다. 모든 표본 지역에서 잡종화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중앙 호주에서는 13%만이 잡종이었지만, 호주 남동부에서는 99%가 잡종 또는 야생화된 개였다. 순수 딩고 분포는 노던 준주에서 88%, 서호주, 남호주, 퀸즐랜드에서 중간 수준,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에서는 1%였다. 거의 모든 야생견은 어느 정도 딩고 조상을 보였으며, 80% 미만의 딩고 조상을 보인 개는 3%에 불과했다. 이는 집개의 야생 생존율이 낮거나, 대부분의 잡종화가 주인이 있는 배회하는 개들에 의해 발생함을 시사한다. 호주에서는 안정적인 들개화된 개(feral dog) 개체군은 발견되지 않았다.
2016년, 딩고, 개 및 그 잡종의 두개골에 대한 3차원 기하 형태 측정 분석 결과, 딩고-개 잡종은 부모 집단인 개보다 딩고에 더 가까운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종화는 독특한 ''Canis dingo'' 두개골 형태를 늑대 표현형으로 밀어붙이지 않았으므로, 두개골 측정치를 기반으로 잡종을 딩고와 구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야생 딩고 형태가 열성 개 품종 형태에 비해 우성임을 시사하며, 잡종화가 딩고 개체군에 개 DNA를 도입하지만, 원래 두개골 형태는 변화에 저항력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8. 1. 법적 지위
딩고는 모든 오스트레일리아 관할 구역의 법률에 따라 토착 동물로 인정받고 있다. 1999년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법(Environment Prote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ct 1999) 528조는 토착종을 1400년 이전에 오스트레일리아에 존재했던 종으로 정의하며, 딩고는 이 기준에 부합한다. 이에 따라 딩고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관리하는 모든 국립공원과 보호구역, 세계유산 지역 및 기타 보호 지역에서 보호받는다.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내 500개가 넘는 국립공원 중 대부분을 관리하는 각 주와 준주별 법적 지위는 다르며,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성 토착종[75] 또는 해충으로 간주되어 관리 대상이 되기도 한다. 각 주와 준주별 딩고의 법적 지위는 아래 표와 같다.
관할 구역 | 법적 지위 및 주요 규제 내용 |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 1999년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법에 따라 토착종으로 인정. 연방 관리 국립공원, 보호구역, 세계유산 지역 등에서 보호. |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 2005년 해충 식물 및 동물법에 따라 국립공원 및 보호구역 외부에서는 "해충 동물"로 분류 및 관리 대상. 국립공원 및 보호구역 내에서는 2014년 자연보전법에 따라 보호되나, "해충 동물" 지정 시 보호 제외. |
뉴사우스웨일스주 | 1974년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법상 "야생동물"이지만 "보호받지 않는 동물". 서부 지역에서는 1921년 들개 박멸법에 따라 "들개"로 박멸 대상이며 허가 없는 소유 금지. 그 외 지역에서는 1998년 반려동물법에 따라 "개"로 정의되어 애완동물로 사육 가능. |
노던준주 | 2014년 준주 공원 및 야생동물 보전법에 따라 "보호 야생동물". 관련 행위(사육, 포획 등) 시 허가 필요. |
퀸즐랜드주 | 1992년 자연보전법(Nature Conservation Act 1992)에 따라 국립공원 및 보전 지역에서는 "관심대상 최소 야생동물"로 보호. 2002년 토지 보호법에 따라 그 외 지역에서는 "해충"으로 분류되어 토지 소유주에게 관리 의무 부과. |
남호주 | 1972년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법(National Parks and Wildlife Act 1972)상 토착 동물이지만 "보호받지 않는 종". 1946년 개 울타리법에 따라 울타리 남쪽 목축/농업 지역 진입 방지 대상("들개")이며 울타리 인근 제거 의무. 2004년 자연자원 관리법에 따라 개 울타리 북쪽에서도 통제 대상. |
타즈메이니아주 | 토착 딩고 개체군 없음. 2002년 자연보전법상 "제한된 동물"로 허가 없이 수입 불가. 수입된 딩고는 2000년 개 관리법에 따라 "개"로 분류. |
빅토리아주 | 1975년 야생동물법상 "야생동물"로 보호. 사육 시 허가 필요 및 개와의 교잡 금지. 특정 지역(극북서부, 멜버른 북동쪽 등)에서는 사유지 가축 보호를 위해 보호 해제되어 포획/사살/미끼 사용 가능 (주 소유지에서는 보호 유지). |
서호주 | 서호주 야생동물 보전법상 "보호받지 않는" 토착 동물. 2007년 생물안보 및 농업 관리법에 따라 "선포된 해충"으로 지정되어 관리 대상. 가축 방목 지역에서는 근절, 그 외 지역에서는 방해하지 않는 정책. |
참조
[1]
논문
Taxonomy of the Dingo: It's an ancient dog
https://meridian.all[...]
2021-10-28
[2]
BioRef
Canis familiaris
2021-09-20
[3]
논문
The Australian dingo is an early offshoot of modern breed dogs
2022-04-22
[4]
논문
Japanese wolve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dogs and share DNA with East Eurasian dogs
2024-02-01
[5]
논문
The Australasian dingo archetype: de novo chromosome-length genome assembly, DNA methylome, and cranial morphology
[6]
논문
New Guinea highland wild dogs are the original New Guinea singing dogs
[7]
웹사이트
Facts
https://www.dingoden[...]
2023-02-07
[8]
서적
Wedge-tailed Eagle
CSIRO Publishing
[9]
서적
Man and Wolf
Dr. W. Junk
[10]
서적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09-05-16
[11]
서적
Brehms Tierleben
Bibliographisches Institut
[12]
서적
Ausdrucksverhalten beim Hund
Franckh-Kosmos Verlags-GmbH & Co. KG
[13]
서적
Managing the Impacts of Dingoes and Other Wild Dogs
Bureau of Rural Sciences
[14]
간행물
A comparative study of larynx anatomy and howling vocalizations in five canids
[15]
논문
Dingoes skilled at Reading Human Gestures
http://www.australia[...]
2013-01-13
[16]
논문
The Ecology of the Dingo in North-Eastern New South Wales I. Movements and Home Range
[17]
논문
The behavioural ecology of dingoes in north-western Australia. II. Activity patterns, breeding season and pup rearing
[18]
웹사이트
South East Queensland's urban wild dog project
http://www.daff.qld.[...]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Water
2006-09-01
[19]
백과사전
Other Dog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Publishing
[21]
논문
The behavioural ecology of dingoes in north-western Australia. IV. Social and spatial organisation, and movements
[22]
서적
Dogs, Zoonoses, and Public Health
CABI Publishing
[23]
서적
Dog Behaviour, Evolution, and Cogn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Das Jahr des Hundes – Ein Jahr im Leben einer Hundefamilie
Kynos Verlag
[25]
논문
Reproduction in Wild Canids, Canis-Familiaris, From the Eastern Highlands of Victoria
[26]
논문
Seasonal variation in plasma testosterone and the testis in captive male dingoes, Canis familiaries dingo
[27]
웹사이트
A Management Program for the Dingo (Canis lupus dingo) in the Northern Territory of Australia, 2006–2011
http://www.nt.gov.au[...]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8]
서적
Der Australische Busch
Time-Life Books
[29]
웹사이트
A changing approach to Dingo control in Western Australia – Proceedings of the Twelfth Vertebrate Pest Conference
http://digitalcommon[...]
University of Nebraska
[30]
웹사이트
Dingoes cleared of mainland extinctions
http://www.australia[...]
2013-09-09
[31]
논문
Surplus killing by introduced predators in Australia—evidence for ineffective anti-predator adaptations in native prey species?
[32]
서적
Dogs: A Startling New Understanding of Canine Origin, Behavior, & Evolution
Scribner
[33]
웹사이트
Genetic dilution dogs dingoes
http://www.canberrat[...]
2007-02-07
[34]
웹사이트
Breeding Lethal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anctioned
http://www.sosnews.o[...]
Save Our Snowy
[35]
간행물
Ecologically functional landscapes and the role of dingoes as trophic regulators in south-eastern Australia and other habitats
[36]
논문
Does Dingo Predation or Buffalo Competition Regulate Feral Pig Populations in the Australian Wet-Dry Tropics? An Experimental Study
[37]
논문
Evaluating the role of the dingo as a trophic regulator in Australian ecosystems
[38]
논문
Do wild dogs exclude foxes? Evidence for competition from dietary and spatial overlaps
[39]
논문
Trends in the numbers of red kangaroos and emus on either side of the South Australian dingo fence: evidence for predator regulation?
http://espace.librar[...]
2018-12-27
[40]
뉴스
Stuff the turkeys, dingoes need a break
http://www.courierma[...]
2013-04-05
[41]
웹사이트
Dingo dinners: what's on the menu for Australia's top predator?
https://theconversat[...]
2021-07-26
[42]
웹사이트
Canis lupus dingo (Dingo)
https://animaldivers[...]
2023-01-20
[43]
논문
Ecological restoration, cultural preferences and the negotiation of 'nativeness' in Australia
[44]
웹사이트
The Cunning Dingo
http://www.animalsan[...]
Animals & Society Institute
2009-05-09
[45]
웹사이트
The Dingo in Australia
http://www.abc.net.a[...]
The Science Show
2001-06-23
[46]
PhD thesis
Bringing the dingo home: Discursive representations of the dingo by aboriginal, colonial and contemporary Australians
https://eprints.utas[...]
University of Tasmania
2006-04-01
[47]
PhD thesis
The beast within: An exploration on Australian constructions of wildlife
https://research-rep[...]
Griffith University
2006-11-22
[48]
논문
Review of Canid Management in Australia for the Protection of Livestock and Wildlife – Potential Application to Coyote Management
http://digitalcommon[...]
[49]
웹사이트
Dingo expert says it's better for the environment to let them live
http://www.news.com.[...]
2015-06-01
[50]
뉴스
Dingo 'epidemic' on farm
http://www.stuff.co.[...]
2013-06-07
[51]
웹사이트
Animals – Dingo Wild Dog (canis lupus familiaris, canis lupus dingo and hybrids)
http://www.nt.gov.au[...]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52]
웹사이트
Behavioural Responses of Dingoes to Tourist on Fraser Island
http://www.crctouris[...]
Sustainable Tourism Cooperative Research Centre
[53]
웹사이트
Wild dogs/dingo Canis familiaris/Canis familiaris (dingo)
http://www.dpi.qld.g[...]
Queensland Government
2002-09-01
[54]
뉴스
Pest of the past, dingo's star in the ascendancy
http://www.theage.co[...]
2007-07-22
[55]
서적
Indigenous participation in Australian economies: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2010-01-01
[56]
서적
Acts of the Parliament of South Australia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er, South Africa
[57]
웹사이트
Ejector research update
http://www.dpi.qld.g[...]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Mines
2003-08-01
[58]
웹사이트
Livestock protection collars to be tested in Queensland
http://www.dpi.qld.g[...]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Mines
2004-04-01
[59]
웹사이트
Death-row dingoes plan blocked
https://www.australi[...]
Australian Geographic
2016-08-19
[60]
논문
The Effect of Dingo Control on Sheep and Beef Cattle in Queensland
[61]
논문
The longevity and efficacy of 1080 meat baits used for dingo control in central Australia
[62]
웹사이트
Culling is no danger to the future of dingoes on Fraser Island
http://theconversati[...]
2015-04-27
[63]
IUCN
Canis lupus ssp. dingo
https://www.iucnredl[...]
[64]
뉴스
Dingo sanctuary considered for Fraser Island
http://www.nzherald.[...]
2013-02-27
[65]
웹사이트
Last of the Dingoe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5-03-31
[66]
논문
Dingoes in Queensland, Australia: skull dimensions and the indenity of wild canids
[67]
뉴스
Tanami dingoes among purest in Australia
http://www.abc.net.a[...]
2013-06-04
[68]
웹사이트
Predation and Hybridisation by Feral Dogs (Canis lupus familiaris) – proposed key threatening process listing
http://www.environme[...]
New South Wales Government
2008-08-29
[69]
웹사이트
Dingo Discovery Research Centre
http://www.dingofoun[...]
2018-05-31
[70]
논문
Genome-wide variant analyses reveal new patterns of admixture and population structure in Australian dingoes
[71]
뉴스
Purebred dingoes more common than researchers thought, genetic study finds
https://www.abc.net.[...]
2023-05-30
[72]
저널
Reproduction in captive and wild dingoes (''Canis familiaris dingo'') in temperate and arid environments of Australia
[73]
저널
The Identity of the Dingo I. Morphological Discriminants of Dingo and Dog Skulls
[74]
웹사이트
Genetic Diversity in the Dingo
http://www.dingosanc[...]
dingo sanctuary
2009-05-14
[75]
웹사이트
Genetic characterisation of dingoes in the Blue Mountains world heritage area
http://www.invasivea[...]
Invasive Animals CRC
2009-05-13
[76]
웹사이트
A Draft Dingo Management Strategy for Fraser Island
http://www.fido.org.[...]
Fraser Island Defenders Organization
2009-05-14
[77]
저널
Redefining introgressed protected mammals: when is a wildcat a wild cat and a dingo a wild dog?
[78]
웹사이트
Bringing out the Mongrel in Australian Dingoes: The Evolution of Wild Dog Body Size
http://www.invasivea[...]
Inavisive Animals CRC
2009-04-10
[79]
IUCN
Canis lupus ssp. dingo
2006-05-11
[80]
웹사이트
Fraser Island - World heritage - more information
http://www.environme[...]
2009-04-22
[81]
웹사이트
野生犬が乳児くわえ逃走、父親が格闘し取り戻す 豪州
https://www.cnn.co.j[...]
CNN
2020-07-13
[82]
웹사이트
Dingo
http://www.carnivor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09-04-08
[83]
일반
[84]
서적
Order Carnivora (pp. 532-628)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11-16
[85]
서적
Enzyklopedie der Säugetiere
Verlag Werner Dansien
[86]
서적
Die große Enzyklopädie der Säugetiere
Könemann in der Tandem Verlag GmbH
[87]
웹사이트
Dingo
http://www.brockhaus[...]
Brockhaus
2009-05-17
[88]
서적
Managing the Impacts of Dingoes and Other Wild Dogs
Bureau of Rural Sciences
[89]
서적
Dingo makes us Human, life and land in an Aboriginal Australian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웹사이트
Dingo
http://www.dogbreedi[...]
Dog Breed Info Center
2009-05-17
[91]
웹사이트
CANIS LUPIS DINGO-THE AUSTRALIAN WOLF
http://www.wadingo.c[...]
Western Australian Dingo Association
2009-05-17
[92]
서적
動物大百科1 食肉類
平凡社
[93]
웹사이트
Canis lupus dingo
https://www.departme[...]
2009-05-17
[94]
웹사이트
Dingo fence
http://dingofence.co[...]
[95]
뉴스
女児失踪は野犬が連れ去り 豪、32年前の事件で結論
https://web.archive.[...]
2012-06-12
[96]
한국외래생물정보시스템
딩고 ''Canis lupus dingo''
[97]
저널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98]
저널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http://www.biomedcen[...]
[99]
저널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100]
웹인용
Dingo
https://australian.m[...]
2023-05-13
[101]
웹인용
과학을읽다...'딩고'와 '캥거루'의 호주 생태계 쟁탈전
https://hub.zum.com/[...]
2023-05-13
[102]
웹인용
[과학을읽다]'딩고'와 '캥거루'의 호주 생태계 쟁탈전
https://www.asiae.co[...]
2023-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