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타니쿠스 (라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타니쿠스 (라신)는 프랑스의 극작가 장 라신이 1669년에 발표한 비극이다. 로마 제국 시대를 배경으로, 네로 황제와 브리타니쿠스, 아그리피나, 쥐니 등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암투를 그린다. 이 작품은 현대에도 꾸준히 공연되고 있으며, 다양한 번역과 각색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1999년 런던의 알메이다 극장, 2011년 샌디에이고의 컴퍼스 극장, 2018년 뉴욕시의 Theater for the New City, 2022년 런던의 리릭 해머스미스 극장 등에서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 라신의 희곡 - 앙드로마크
앙드로마크는 장 라신이 발표한 5막 비극으로, 트로이 전쟁 이후를 배경으로 포로가 된 안드로마케와 그녀를 둘러싼 인물들의 사랑과 복수심을 다루며, 라신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코미디 프랑세즈의 주요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장 라신의 희곡 - 이피제니
이피제니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가멤논의 딸로, 트로이 전쟁 출항을 위해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희생될 운명에 처한 비극적인 인물이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극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주제로 재탄생되었다. -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쿠오 바디스 (소설)
《쿠오 바디스》는 서기 64년 로마 제국에서 네로 황제의 폭정과 기독교 박해를 배경으로 젊은 귀족 마르쿠스와 기독교인 리기아의 사랑, 그리고 베드로와 바울 등의 인물을 통해 당시 로마 사회와 기독교 확산 과정을 그린 역사 소설로, 제목은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라는 뜻이며 소설의 갈등과 신앙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테르마이 로마이
야마자키 마리의 만화 《테르마이 로마이》는 고대 로마 욕장 설계 기사인 루시우스가 현대 일본 목욕탕으로 시간 여행하며 영감을 얻어 로마 테르마이를 혁신하는 이야기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인기를 끌었으나 과거 일본 제국주의 시대 향수를 자극한다는 비판도 있다.
브리타니쿠스 (라신) | |
---|---|
작품 정보 | |
원제 | Britannicus |
작가 | 장 라신 |
발표 연도 | 1669년 |
장르 | 비극 |
언어 | 프랑스어 |
막 수 | 5막 |
운율 | 알렉상드랭 |
등장인물 | |
네로 | 로마 황제 |
브리타니쿠스 | 황제의 경쟁자 |
아그리피나 | 네로의 어머니 |
포르시 | 브리타니쿠스의 연인 |
나르시스 | 네로의 가정교사 |
알비나 | 아그리피나의 심복 |
부루스 | 네로의 스승 |
배경 | |
시대적 배경 | 로마 제국 초기 |
장소적 배경 | 로마 |
주제 | |
주제 | 권력, 사랑, 질투, 복수 |
기타 정보 | |
특징 | 라신의 대표적인 고전 비극 작품 중 하나임. |
영향 | 후대 문학 및 예술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침. |
2. 등장인물
2. 1. 주요 등장인물
역할 이름과 설명은 초판을 기준으로 한다.[2]- 네로, "황제, 아그리피나의 아들"
- 브리타니쿠스,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아들"
- 아그리피나, "네로의 아버지인 도미티우스 에노바르부스의 미망인, 두 번째 결혼으로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미망인"
- 쥐니, "브리타니쿠스의 연인, 아우구스투스의 손녀"
- 부르, "네로의 가정교사"
- 나르시스, "브리타니쿠스의 가정교사"
- 알비네, "아그리피나의 측근"
- 경비병
2. 2. 조연
역할 이름과 설명은 초판을 기준으로 한다.[2]3. 현대적 공연
라신의 고전 비극 브리타니쿠스는 현대에도 여전히 활발하게 공연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극작가 하워드 루빈스타인[3]이나 영국의 팀버레이크 워텐베이커[4] 등 현대 작가들에 의해 새롭게 번역되고 각색되어 다양한 해석으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3. 1. 주요 공연
미국의 극작가 하워드 루빈스타인은 이 희곡을 현대적으로 번역하고 각색하여 출판 및 초연했다.[3]- 1999년: 런던 알메이다 극장에서 브루클린 음악 아카데미가 ''브리타니쿠스''를 공연했다. 다이애나 리그가 아그리피나 역을, 토비 스티븐스가 네로 역을 맡았다. 연출은 조나단 켄트가 맡았고, 로버트 데이비드 맥도날드의 번역본을 사용했다.
- 2011년: 샌디에이고 컴퍼스 극장에서 하워드 루빈스타인의 번역본이 초연되었다. 글린 베딩턴이 아그리피나 역을 맡았으며, 이 공연의 번역과 베딩턴의 연기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 2018년: Xoregos 공연단이 뉴욕시의 Theater for the New City에서 하워드 루빈스타인의 번역/각색본을 사용하여 공연했다.
- 2022년: 런던 리릭 해머스미스 극장에서 팀버레이크 워텐베이커가 번역하고 각색한 버전이 공연되었다.[4]
참조
[1]
서적
Jean Racine
[2]
웹사이트
Acteurs
http://commons.wikim[...]
1670
[3]
서적
Britannicus: A play in two acts, adapted from Jean Racine's Britannicus
Granite Hills Press
2009
[4]
웹사이트
Britannicus
https://lyric.co.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