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오 바디스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오 바디스》는 헨리크 시엔키에비치가 쓴 소설로, 네로 황제 시대의 로마를 배경으로 기독교 박해 속에서 벌어지는 사랑과 갈등을 그린다. 소설은 로마 귀족 비니키우스가 리기아라는 기독교 여인과 사랑에 빠지면서 겪는 변화, 로마 대화재와 기독교인 박해, 베드로의 순교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 소설은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연극, 영화, 오페라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51년 할리우드 영화 《쿼 바디스》가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쿠오 바디스 (소설) | |
---|---|
![]() | |
작가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국가 | 폴란드 |
언어 | 폴란드어 |
장르 | 역사 소설 |
출판사 | 폴란드 일간지 (연재), 리틀, 브라운 (영문 번역판 단행본) |
출판일 | 1895–1896년 |
미디어 유형 | 인쇄물 (신문, 양장본 및 페이퍼백) |
번역가 | |
번역가 | 제레미아 커틴 W. S. 쿠니차크 새뮤얼 어거스터스 바이니언 |
2. 등장인물
wiki
- '''리기아'''(본명: 칼리나): 루기족 출신의 기독교인. 로마 귀족 아울루스 부부의 수양딸이며,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와 서로 사랑한다.
- '''아크테''': 리기아의 친구이자 네로의 전 애인. 그리스도인이다.
- '''베드로''': 사도. 박해받는 기독교인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다 네로 황제 시대에 순교한다.
- '''바울''': 사도. 서신으로 그리스도인들과 교류하며, 킬로의 회심 후 세례성사를 집전했다. 네로 황제 시대에 순교한다.
- '''비니키우스''': 리기아와 사랑하며 기독교로 개종, 이타적인 인물로 변화한다.
- '''페트로니우스''': 로마 제국 귀족, 비티니아 총독 출신, 네로의 측근. 해방 노비 에우니케와 사랑했으나, 네로의 숙청으로 자살한다.
- '''에우니케''': 페트로니우스의 애인 (해방 노비).
- '''키케로''': 철학자.
- '''네로''': 향락을 추구하다 몰락한 황제.
- '''우르수스''': 리기아의 충직한 노비.
- '''킬로''': 사기꾼.
- '''라자루스''': 갈릴래아 출신 기독교인으로, 베드로를 따른다.
- '''티겔리누스''': 근위대 대장. 페트로니우스와 네로의 총애를 두고 경쟁하며, 네로의 잔혹 행위를 부추긴다.
- '''포파이아 사비나''': 네로의 아내. 리기아를 질투하고 증오한다.
- '''클라우디아 악테''': 네로의 전 애인이자 황제의 노예. 기독교 신앙을 연구하나, 완전한 개종은 주저한다.
- '''세네카''': 네로의 조언자.
-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 브리타니아 정복을 이끈 로마 장군.
- '''폼포니아 그라이키나''': 기독교 개종자. 아울루스와 함께 리기아의 양부모이다.
- '''갈바''': 네로 이후 로마 황제.
- '''에파프로디투스''': 네로의 자살을 돕는 궁정 신하.
2. 1. 가상 인물

- '''리기아''' (본명: 칼리나) - 가상 인물. 루기족 왕의 딸로, 로마 원로원과 로마 인민의 인질이다. 수년 전 고향 사람들에게 잊혀졌으나, 뛰어난 미모 덕분에 기독교로 개종했다. 로마 귀족 아울루스 부부의 수양딸로, 그리스어 교사에게 고대 그리스 문학을 배웠다.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와 서로 사랑한다.
- '''마르쿠스 비니키우스''' - 가상 인물 (역사적 인물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의 아들). 로마 파트리키우스이자 군사 호민관. 리기아와 사랑에 빠져 그녀를 차지하기 위해 삼촌 페트로니우스에게 조언을 구한다.[15] 비니키우스는 리기아와 사랑하면서 기독교 신자가 되고, 이기적인 사람에서 사랑과 배려를 실천하는 사람으로 변화한다. 순교하는 교우를 위해 성 베드로를 가리켜 평화롭게 죽음을 맞이하도록 돕고, 페트로니우스의 조언에 따라 시칠리아 섬으로 가족과 함께 피난하여 평화롭게 살아간다.
- '''에우니케''' - 가상 인물. 페트로니우스의 애인이자 해방 노예. 아름다운 그리스 여성으로, 처음에는 페트로니우스의 헌신을 몰랐지만, 결국 그와 사랑에 빠진다.
- '''킬론 킬로니데스''' - 사기꾼이자 사설 탐정. 마르쿠스에게 고용되어 리기아를 찾지만, 배신과 이중 첩자 행위로 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의 최후는 디스마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 '''우르수스''' - 가상 인물. 리기아의 경호원. 같은 부족 출신으로 리기아의 어머니를 섬겼고 리기아에게 헌신한다. 엄청난 힘을 가진 기독교인이지만, 평화로운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 '''크리스푸스''' - 가상 인물. 광신에 가까운 기독교 열심당원.
- '''킬로''' - 사기꾼.
2. 2. 실존 인물
- 베드로 - 실존 인물. 박해받는 기독교인들을 위로하고 격려했다. 교우들의 간청으로 피난하다가 예수를 뵙고, 네로 황제 시대에 순교했다.[29] 사도 중 한 명으로, 노년에 로마를 기독교화하는 임무를 맡았다. 네로의 권세에 경악하여 그를 "짐승"이라 불렀으나, 박해의 희생자가 되어 십자가형을 당했다.
- 바울 - 실존 인물. 서신으로 그리스도인들과 교류했다. 사기꾼 킬로가 회심하자 세례성사를 성 삼위일체 하느님의 이름으로 주었다. 네로 황제 시대에 순교했다.[29] 타르수스의 바울은 마르쿠스의 개종에 개인적인 관심을 가졌다.
- 페트로니우스 - 실존 인물. 네로 시대에 숙청되었다.[29] 로마 제국의 귀족이자 비티니아 속주의 총독을 지낸 유능한 행정가였다. 네로 황제가 매우 신뢰했으며, 호메로스의 글을 리기아와 주고받을 만큼 고전에 밝은 지식인이었다. 낙천주의자였던 페트로니우스는 네로 황제의 숙청으로 자살에 내몰릴 때에도 손님들을 모셔다가 잔치를 즐기면서 애인 에우니케와 서로 안아주면서 조용히 죽었다. 영화에서도 "기독교인들의 말로는 영원한 생명이 있다고 하더구나"라고 말하면서 평안하게 죽었다. 가이우스 페트로니우스la는 "우아함의 심판자"라는 칭호를 가졌으며, 네로의 궁정에 속해 재치를 이용하여 네로를 아첨하고 동시에 조롱했다.
- 키케로 - 실존 인물. 철학자.
- 네로 - 실존 인물. 향락을 즐기다 망하였다. 로마 황제로, 무능하고, 옹졸하며, 잔인하고, 궁정 신하들의 조종을 받는 인물로 묘사된다.
- 가이우스 오포니우스 티겔리누스 - 실존 인물. 프라이토리안 근위대의 대장이었다. 그는 네로의 총애를 두고 페트로니우스와 경쟁하며, 네로가 잔혹한 행위를 저지르도록 부추겼다.
- 포파이아 사비나 - 실존 인물. 네로의 아내로, 리기아를 열렬히 질투하고 증오했다.
- 클라우디아 악테영어 - 실존 인물. 해방 노예이자 네로의 전 애인이었다. 그녀는 아직도 네로를 사랑하지만, 이제 네로는 그녀에게 싫증을 느껴 무시하고 있다. 기독교 신앙을 배우고 있지만, 완전히 개종하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1951년 영화에서는 네로의 자살을 돕는 인물로 등장한다.
-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영어 - 실존 인물. 한때 브리타니아 원정을 지휘하여 존경을 받는 로마의 장군이었다. 아울루스는 폼포니아와 리기아가 기독교를 믿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혹은 신경 쓰지 않았다).
- 폼포니아 그라이키나영어 - 실존 인물. 기독교 개종자였다. 폼포니아와 아울루스는 리기아의 양부모이지만, 법적으로 공식적으로 그녀를 양자로 삼을 수 없었다. 이는 법적으로 리기아가 로마(즉 황제)의 인질이기 때문이다.
- 갈바 - 실존 인물. 네로 이후의 로마 황제.
- 에파프로디투스 - 실존 인물. 네로의 자살을 돕는 궁정 신하.
- 세네카 - 실존 인물. 네로의 조언자.
3. 줄거리
64년 로마 제국, 네로 황제가 통치하던 시절, 그의 측근 페트로니우스의 조카 비니키우스는 전쟁터에서 돌아온 용맹한 군인이자 호민관이었다. 비니키우스는 궁궐 잔치에서 리기아 왕국의 공주이자 포로인 리기아에게 사랑을 느끼고,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리기아의 영향으로 사도 베드로에게서 세례성사를 받고 기독교에 입교한다.
비니키우스는 리기아와 사랑에 빠지지만, 리기아는 네로 황제의 위협을 피해 동료 기독교인들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페트로니우스는 비니키우스를 돕기 위해 킬로 킬로니스라는 그리스 철학자를 고용하여 리기아를 찾게 하지만, 킬로는 리기아를 찾기 위해 로마의 기독교 공동체에 잠입한다.
비니키우스는 리기아를 찾기 위해 기독교 모임에 참석했다가 리기아를 납치하려다 부상을 입는다. 리기아와 기독교 친구들은 비니키우스를 치료해주고, 리기아는 비니키우스와 사랑에 빠지지만, 바울은 비기독교인과의 결혼을 반대하여 리기아는 다시 사라진다. 이후 비니키우스는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킬로의 배신에도 불구하고 리기아를 찾아가 베드로와 바울에게 개종을 약속하고 리기아와 약혼한다.
로마 대화재가 발생하고, 비니키우스는 리기아를 구하기 위해 로마로 돌아간다. 네로는 기독교인들을 희생양으로 삼아 리기아를 포함한 많은 기독교인들을 체포한다. 네로는 원형경기장에서 기독교인들을 학살하는 경기를 계획하고, 킬로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며 네로를 고발하지만, 결국 순교한다. 리기아와 우르수스는 마지막 경기를 위해 남겨지지만, 우르수스가 들소의 목을 부러뜨리자 군중은 감동하여 네로에게 두 사람을 살려달라고 요구한다.
이후 리기아와 비니키우스는 결혼하여 시칠리아에서 기독교인으로 살아간다. 소설은 베드로의 순교(Quo vadis, Domine?la), 페트로니우스의 자살, 네로의 최후를 다룬다.
3. 1. 비니키우스와 리기아의 만남과 사랑
64년 로마제국, 호민관이자 군인인 마르쿠스 비니키우스는 전쟁터에서 돌아와 궁궐 잔치에 참여했다가 리기왕국의 포로이자 공주인 리기아에게 사랑을 느낀다. 독실한 기독교인인 리기아의 영향을 받아 비니키우스는 사도 베드로에게 세례성사를 받고 기독교에 입교한다.등장인물 | 설명 |
---|---|
마르쿠스 비니키우스 | 로마 군단 대장으로, 리기아를 만나 사랑에 빠져 그녀를 얻기 위해 삼촌인 가이우스 페트로니우스에게 조언을 구한다. |
리기아 (카리나) | 본명은 카리나(Karina)로, 꽃을 의미하는 서슬라브어에서 유래했다. 폐위된 왕의 딸로, 슬라브계 여성이며, "리기아"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공식적으로는 로마의 인질이지만, 고향 사람들에게 잊힌 지 오래된 아름다운 기독교인이다. 마르쿠스는 그녀가 기독교도인 줄 모르고 사랑에 빠진다. |
가이우스 페트로니우스 | "우아함의 심판자"로 불리는 네로의 궁정 신하로, 조카 마르쿠스를 위해 계략을 꾸미지만 리기아의 친구들에게 좌절된다. |
우르수스 | 리기아의 호위무사로, 라틴어로 "곰"을 의미하는 "우르수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리기아 부족의 남자로, 기독교로 개종한 후 자신의 힘을 억누르고 신앙을 따르기 위해 고뇌하는 인물이다. |
성 베드로 |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로마를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사명을 맡고 있다. |
타르수스의 바울 | 마르쿠스를 개종시키는 데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진다. |
3. 2. 로마 대화재와 기독교 박해
네로 황제는 로마 대화재의 책임을 소수 종교인 기독교인들에게 돌려, 많은 기독교인들이 화형 등으로 학살당하거나 감옥에서 열병으로 죽었다. 리기아도 우르수스와 함께 감옥에 갇혔고, 비니키우스는 그녀를 구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리기아가 들소의 뿔에 묶인 채 경기장에 끌려나오는 비참한 사건도 벌어졌다.
64년 로마 대화재는 작품 속에서 네로의 명령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묘사된다.[3] 하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당시 로마에서는 화재가 매우 일상적이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3]
3. 3. 리기아의 구출과 도피
하지만 장사 우르수스가 들소를 죽이고 리기아를 구하는 기적이 벌어지고, 무관 출신의 비니키우스가 전쟁에서 입은 상처를 보여주며 애국심에 호소하자 이에 감동받은 시민들의 요구로 리기아는 풀려난다. 의사의 치료와 휴식으로 리기아가 건강해지자, 비니키우스는 '이번에는 자네가 믿는 그리스도가 자네와 리기아를 보살펴주셨지만, 다음에는 어떤 변고가 생길지 모르네'라는 삼촌 가이우스 페트로니우스의 현실적인 충고에 따라, 리기아와 우르수스를 데리고 시칠리아로 피신하여 소박하고 평화로운 삶을 산다.3. 4. 페트로니우스의 죽음과 네로의 몰락
페트로니우스는 조카 내외를 피신시킨 후, 자신을 숙청하려는 네로 황제의 자살 명령에 따라[30] 애인 에우니케와 함께 연회석상에서 자살한다. 한편, 갈리아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쫓겨다니던 폭군 네로도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이처럼 권력자들의 허망한 최후와는 대조적으로, 네로에 의해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한 성 베드로는 "Quo Vadis, Domine?(쿠오 바디스, 도미네? 주님, 어디로 가십니까?)"라는 말을 남겨 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깊은 존경을 받는다. 이탈리아의 한 시골 성당에는 성 베드로가 예수를 만나 이 말을 했다는 이야기가 실제로 새겨져 있다고 전해진다.3. 5. 베드로의 순교와 기독교의 승리
네로의 박해를 피해 로마를 떠나 아피아 가도를 걷던 베드로는 자신을 향해 오는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다. 놀라 무릎을 꿇고 "Quo vadis, Domine?la" (주님, 어디로 가십니까?)라고 묻자,[16] 예수는 "네가 나의 백성을 버린다면, 나는 로마로 가서 다시 한번 십자가에 못 박힐 것이다."라고 답한다. 이 말에 베드로는 순교를 각오하고 로마로 돌아가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한다.[30]"Quo vadisla"는 라틴어로 "어디로 가십니까?"라는 뜻으로, 요한복음서 13장 36절에 나오는 구절이다.[27] 베드로의 이 질문은 그의 운명뿐 아니라, 이후 기독교가 겪을 고난과 영광의 역사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베드로는 죽었지만, 이는 기독교 발전의 계기가 되었고, 그는 가톨릭에서 초대 교황으로 추앙받는다. "쿠오 바디스, 도미네?"라는 말이 새겨진 성당은 실제로 이탈리아에 존재한다고 한다.
4. 역사적 배경
『쿠오 바디스』는 1세기 네로 황제 통치 시기 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젊은 기독교도 처녀 리기아와 로마 군인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당시 로마 제국의 타락한 상류층 사회와 기독교도에 대한 잔혹한 박해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작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는 소설 집필에 앞서 로마 제국의 역사를 면밀히 연구하여, 작품 속에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등장시켜 기독교 이전 로마 사회의 모습을 상세히 그려냈다.
소설에는 여러 역사적 사건들이 언급되고 융합되어 있지만, 그중 일부는 진위 여부가 불확실하다. 예를 들어, 57년 폼포니아 그라에키나가 "이방 종교" 혐의로 재판을 받은 사건[17], 네로의 노래 도중 베스파시아누스가 잠이 들었다는 소문[18], 63년 네로의 외동딸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의 죽음[19] 등이 있다. 특히 64년의 로마 대화재는 소설에서 네로의 명령으로 시작된 것으로 묘사되지만,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는 없다.[20]
페트로니우스의 자살은 플리니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4. 1. 네로 황제 시대의 로마 제국
센키에비치는 소설에서 몇몇 역사적 사건들을 인용하고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 67년 폼포니아 그라에키나는 "외국의 미신"을 행했다는 죄목으로 고발되었다. 이는 그녀가 기독교로 개종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고대 로마의 관습에 따라 남편 아울루스에 의해 가정 내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고 (가부장권 참조), 석방되었다. 그러나 로마에 있는 성 칼리스투스의 묘비명은 그라에키나의 가족이 기독교인이었음을 보여준다.
- 네로의 유일한 자녀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는 64년에 사망했다.[1]
- 64년의 로마 대화재는 작품에서 네로의 명령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당시 로마에서는 화재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2]
4. 2. 초기 기독교의 확산과 박해
로마 대화재의 책임을 소수종교인들인 기독교인들에게 돌린 네로황제의 기독교 탄압으로 많은 기독교인들이 화형등으로 학살당하거나 감옥에서 열병으로 죽었다.[1] 비니키우스는 리기아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실패하고, 리기아가 들소의 뿔에 묶인 채 경기장에 끌려나오는 비참한 사건이 벌어진다.[1]센키에비치는 몇몇 역사적 사건들을 인용하여 이 작품에 담고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정확성 측면에서 의문이 남는다.[2]
- 실제로 67년, Pomponia Graecina|폼포니아 그라에키나영어는 “외국의 미신”을 행했다는 죄목으로 고발되었다.[2] 이것은 그녀의 기독교 개종을 가리킨다고 여겨진다.[2] 그녀는 고대 로마의 관습에 따라 가정 내 법정에서 남편 아울루스에 의해 재판을 받았고 (가부장권 항목 참조), 결과적으로 석방된다.[2] 하지만 로마에 있는 성 칼리스투스의 묘비명은 그라에키나의 가족이 기독교인이었음을 시사한다.[2]
- 네로의 유일한 자녀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는 64년에 죽었다.[3]
- 64년의 로마 대화재는 작품 속에서는 네로의 명령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묘사된다.[4] 하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당시 로마에서는 화재가 매우 일상적인 일이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4]
4. 3. 로마 대화재
로마 대화재는 서기 64년에 발생했으며, 소설에서는 네로 황제의 명령으로 시작된 것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역사적 증거는 없으며, 당시 로마에서는 화재가 빈번했다.[20] 소설에서 유대인 지도자들은 네로에게 화재의 책임을 기독교인들에게 돌릴 것을 조언하지만, 이 역시 역사적 기록은 없다.[20]화재 이후, 네로는 자신의 웅장한 궁전 단지를 건설할 공간을 확보했다. 이 궁전은 거대한 인공 경관과 30미터 높이의 황제 조각상을 포함한 호화로운 건축물이었다. 또한, 네로는 장식적인 현관으로 꾸며진 건물 건설과 거리 확장을 포함하는 야심찬 도시 계획을 추진했지만, 이는 네로 사후에야 실행되었다.
소설에서 묘사된 것처럼, 네로 황제는 대화재의 책임을 기독교인들에게 돌리고 대대적인 기독교 탄압을 시작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화형 등 잔혹한 방법으로 학살당하거나 감옥에서 열병으로 죽었다.[20]
5. 《쿠오 바디스》의 영향
《쿠오 바디스》는 출판 이후 시엔키에비치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1905년 노벨 문학상 수상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소설은 한국어를 포함한 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28]
소설의 인기와 더불어 연극, 영화, 오페라, 오라토리오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특히, 1951년 할리우드에서 제작된 영화 《쿼 바디스》는 아카데미상 8개 부문에 후보로 오르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소설의 배경과 등장인물은 다른 작품에도 영향을 주었다. 윌슨 배렛의 연극 『십자가의 징표』는 《쿠오 바디스》와의 유사성 때문에 비공식적인 각색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여러 번역본이 출간되었는데, 폴란드어 원전에서 직접 번역한 것은 기무라 쇼이치, 요시우에 쇼조, 고노 요이치의 번역본이다.[28]
다음은 한국어 번역본 목록이다.
번역자 |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마쓰모토 다케시(마쓰모토 운슈) | 어디로 가는가 | 쇼분도 | 1907-1908년, 합본판 1911년 | 영역본 재번역 |
오마치 게이게쓰 | 쿼 바디스 | 삼양당/삼성사/우치타케서원 | 1915년 | |
기무라 다케시 | 어디로 가는가 → 쿼 바디스 | 춘추사, 신초사(세계문학전집), 각화서점(각화문고) | 1924년, 1928년, 1952년 | 영역본 재번역 |
다니구치 다케시 | 쿼 바디스 이야기 | 이데아서원 | 1927년 | |
고노 요이치 | 쿼 바디스 | 이와나미쇼텐(이와나미문고) | 1954년 | |
우메다 요시타다 | 쿼 바디스 | 헤이본샤(세계명작전집), 신초문고 | 1959년, 1964년 | |
기무라 쇼이치 | 쿼 바디스 | 슈후노토모샤(노벨상 문학전집), 고단샤(세계문학전집), 이와나미쇼텐(이와나미문고) | 1972년, 1977년, 1995년, 2007년 | 쓰지 구니오 해설 |
요시우에 쇼조 | 쿼 바디스 | 오우분샤(오우분샤문고), 복음관서점(복음관고전동화시리즈) | 1980년, 2000년 | 쓰다 로토 그림 |
5. 1. 각색 작품
스태니슬라우스 스탠지는 소설 《쿼 바디스》를 같은 이름의 희곡으로 각색했으며, 이 희곡은 1899년 12월 13일 시카고의 맥비커스 극장에서 초연되었다.[22] 1900년에는 F. C. 휘트니가 작곡가 줄리안 에드워즈의 음악을 사용한 공연으로 브로드웨이에서 제작했다.[23] 이 희곡은 같은 해 웨스트엔드의 애들피 극장에서도 상연되었다.[22]장네트 레오나드 길더 또한 소설을 같은 이름의 희곡으로 각색했으며, 이 희곡은 1900년 헤럴드 스퀘어 극장에서 브로드웨이에서 상연되었다.[24]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다음과 같다.
- 1901년
- 1910년 안드레 칼메트 감독의 "Au temps des premiers chrétiens"
- 1913년
- 1924년[25]
- 머빈 르로이 감독의 1951년판은 아카데미상 8개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
이 소설은 클라우스 마리아 브란다우어가 네로 역을 맡은 1985년 미니시리즈와 예르지 카발레로비치가 감독한 2001년 폴란드 미니시리즈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1930년 할 로치가 제작한 헐리우드 단편영화 ''떨리는 셰익스피어(Shivering Shakespeare)''에서는 끔찍하게 망한 전형적인 학교 연극으로 풍자되었다.
장 누게는 앙리 캉의 대본을 바탕으로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1909년에 초연되었다.[26] 펠릭스 노보비에프스키는 이 소설을 바탕으로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는데, 1907년에 처음 공연되었고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 되었다.
5. 2. 기타
도미네 쿠오 바디스라는 작은 교회에는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청동 흉상이 있다. 헨리크 시엔키에비치가 이 교회에 앉아 있는 동안 그의 소설 『쿠오 바디스』를 쓰는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6.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쿠오 바디스》는 급변하는 한국 사회에 권력, 종교, 사랑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하는 메시지를 던진다.
6. 1. 권력의 허망함과 몰락
페트로니우스는 조카 내외를 피신시킨 후, 자신을 숙청하려는 네로 황제의 자살 명령에 따라 애인 에우니케와 함께 연회석상에서 자살한다.[30] 폭군 네로 또한 갈리아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쫓겨다니다가 자살한다. 하지만 네로에 의해 십자가에서 거꾸로 달려 순교했다는 성 베드로는 "Quo Vadis, Domine(쿠오 바디스, 도미네? 주님, 어디로 가십니까?)"라는 그의 말이 성당에 새겨질 정도로 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추앙받는다. 한국교부학연구회에서 저술한 《내가 사랑한 교부들》(분도출판사)에 따르면, 성 베드로가 예수를 뵙고 "쿠오 바디스, 도미네"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새겨진 성당은 실제 이탈리아 시골에 있다고 한다.참조
[1]
뉴스
Historians of Nero's Time
https://timesmachine[...]
2009-01-02
[2]
뉴스
The Man Behind Quo Vadis
http://culture.pl/en[...]
2018-02-16
[3]
서적
The Edge of the Precipice: Why Read Literature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3-09-01
[4]
서적
Art, Popular Culture, and The Classical Ideal in the 1930s: Two Classic Films – A Study of Roman Scandals and Christopher Strong
https://books.google[...]
Midnight Marquee & BearManor Media
2010
[5]
웹사이트
Gazeta Polska 26 March 1895
https://polona.pl/it[...]
2018-11-08
[6]
간행물
Serialization and structure in the novels of Henryk Sienkiewicz
https://www.jstor.or[...]
1964
[7]
웹사이트
Czas 28 March 1895
https://polona.pl/it[...]
2018-11-08
[8]
웹사이트
Dziennik Poznański 29 March 1895
http://www.wbc.pozna[...]
2018-11-08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Quo vadis": inspirations, contexts, reception. Henryk Sienkiewicz and his vision of Ancient Rome Miejsce "Quo vadis?" w kulturze włoskiej. Przekłady, adaptacje, kultura popularna
http://www.quovadisi[...]
2018-02-16
[10]
뉴스
Palace of the Commonwealth open to visitors
https://bn.org.pl/en[...]
National Library of Poland
2024-06-11
[11]
서적
The Palace of the Commonwealth. Three times opened. Treasures from the National Library of Poland at the Palace of the Commonwealth
National Library of Poland
2024
[12]
웹사이트
Chilón Chilonides - charakterystyka – Quo vadis - opracowanie – Zinterpretuj.pl
https://zinterpretuj[...]
2022-08-02
[13]
웹사이트
Marek Winicjusz - charakterystyka – Quo vadis - opracowanie – Zinterpretuj.pl
https://zinterpretuj[...]
2022-07-30
[14]
웹사이트
Ligia (Quo vadis) - charakterystyka – Quo vadis - opracowanie – Zinterpretuj.pl
https://zinterpretuj[...]
2022-07-30
[15]
웹사이트
Marek Winicjusz - charakterystyka - Quo vadis - Henryk Sienkiewicz
https://poezja.org/w[...]
[16]
웹사이트
Quo Vadis: A Narrative of the Time of Nero
http://www.gutenberg[...]
1896-06
[17]
서적
Annals
[18]
서적
The Twelve Caesars
[19]
웹사이트
Neron (Quo vadis) - charakterystyka - Henryk Sienkiewicz
https://poezja.org/w[...]
[20]
웹사이트
Quo vadis - streszczenie - Henryk Sienkiewicz
https://poezja.org/w[...]
[21]
뉴스
Wilson Barrett's New Play
http://chroniclingam[...]
1895-03-29
[22]
서적
The London Stage 1900-1909: A Calendar of Productions, Performers, and Personnel
Scarecrow Press
[23]
서적
A History of the New York Stage from the First Performance in 1732 to 1901, Volume 3
Dodd, Mead
[24]
뉴스
DRAMATIC AND MUSICAL; Two Melodramatic Plays Founded on "Quo Vadis."
https://www.nytimes.[...]
1900-04-10
[25]
서적
Big Screen Rome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6]
서적
Nero in Opera: Librettos as Transformations of Ancient Sources
De Gruyter
[27]
웹사이트
EVANGELIUM SECUNDUM IOANNEM - Nova Vulgata, Novum Testamentum
http://www.vatican.v[...]
La Santa Sede
[28]
서적
ポーランド語の風景
現代書館
[29]
서적
이야기세계사
청아출판사
[30]
문서
네로 암살 미수 사건 및 숙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