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러디 메리 (전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러디 메리 전설은 어두운 방에서 거울을 보며 "블러디 메리"를 반복해서 외치는 의식과 관련된 도시 전설이다. 이 의식은 블러디 메리의 환영을 불러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종종 담력 시험으로 행해진다. 블러디 메리는 시체, 마녀, 유령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부르는 사람에게 해를 입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블러디 메리의 정체에 대해서는 잉글랜드의 메리 1세, 엘리자베스 바토리 등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거론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도시전설 - 필라델피아 실험
필라델피아 실험은 1943년 미국 해군이 실시했다는 도시전설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통일장 이론을 바탕으로 선박을 레이더에 보이지 않게 만드는 실험이었으나, 해군은 부인하고 있으며, 칼 M. 앨런의 편지를 통해 알려져 대중문화에서 음모론 소재로 활용된다. - 미국의 도시전설 - 검은 눈의 아이들
검은 눈의 아이들은 창백한 피부와 검은 눈을 가진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괴담으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집에 들어가게 해달라는 기이한 행동을 하며, 외계인, 뱀파이어, 유령 등 다양한 해석과 함께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지고 현대 사회의 불안 심리를 반영하는 현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유령 - 잭오랜턴
잭오랜턴은 할로윈의 상징으로, 속을 파내고 얼굴을 새긴 호박 등불을 가리키며,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유래하여 악령을 쫓거나 초자연적 존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녔고, 미국에서는 19세기부터 호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유령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블러디 메리 (전설) | |
---|---|
전승 정보 | |
다른 이름 | 피의 메리 피의 마리암 거울 속의 여자 헬 메리 |
종류 | 도시 전설 |
기원 | 미국 |
소환 방법 | |
매개체 | 거울, 어두운 방 |
절차 | 거울 앞에서 이름을 반복적으로 부르거나 특정 문구를 외침 |
특징 | |
외형 | 피투성이 여자, 해골, 마녀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됨 |
목적 | 소환자를 해치거나 저주를 내리는 것으로 알려짐 |
해석 및 의미 | |
상징 | 죄책감, 복수, 죽음, 여성의 분노 |
심리적 해석 | 내면의 불안과 공포의 투영 |
대중 문화 속의 블러디 메리 | |
영화 | 캔디맨 블러디 메리 (영화) 도시전설 (영화) |
드라마 | 슈퍼내추럴 |
게임 |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페르소나 시리즈 |
주의사항 | |
위험성 | 심리적 불안, 정신적 충격 |
도시전설의 특성 | 과장 및 윤색 가능성 |
2. 의식
블러디 메리를 부르는 의식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어두운 욕실 거울 앞에서 "블러디 메리"를 세 번 반복해서 말하는 것이다.[8]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블러디 메리, 내가 네 아기를 죽였어."라고 말하기도 한다.[8] 블러디 메리가 자신의 아이를 죽였다는 오해를 받아 감옥에 간 이야기에서는 "나는 메리 워스(의 존재)를 믿어."라고 말하면 블러디 메리가 나타난다고 한다.[8]
이 놀이는 담력 시험으로 사용되기도 한다.[8] 블러디 메리가 나타나면 그녀를 부른 사람에게 얼굴을 뜯거나, 눈을 뽑거나, 머리를 자르거나, 미치게 하거나, 거울 속으로 데려가거나, 목을 할퀴는 등 여러가지 해를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8]
어떤 사람들은 블러디 메리가 부른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경우에는 평생 동안 귀신이 씌인다고 믿기도 한다.[8] 다른 전설에서는 자정에 "블러디 메리"를 13번 외치면 죽은 사람과 12시 9분까지 대화할 수 있다고도 한다.[8] 또 다른 전설에서는 거울에 비친 블러디 메리의 모습을 보면 배우자와 아이 등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8]
역사적으로는 젊은 여성들이 어두운 집에서 계단을 뒤로 걸어 올라가면서 촛불과 손거울을 들고 점술 의식을 행하는 풍습이 있었다. 거울을 들여다보면 미래 남편의 얼굴을 볼 수 있다고 믿었지만, 결혼 전에 죽게 될 것을 암시하는 해골이나 저승사자의 얼굴을 볼 수도 있었다.
오늘날의 의식에서 블러디 메리는 희미하게 빛나거나 촛불이 켜진 방에 있는 거울 앞에서 그녀의 이름을 반복해서 외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름을 3번(또는 정해진 횟수) 외쳐야 한다. 블러디 메리의 형상은 시체, 마녀, 유령 등으로 나타나며, 친절하거나 사악할 수도 있고, 때로는 피로 뒤덮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변형된 의식에서는 블러디 메리를 "헬 메리(Hell Mary)"나 "메리 워스(Mary Worth)"와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의 현대 도시 전설인 하나코 씨는 블러디 메리 전설과 매우 유사하다.
2. 1. 전통적인 의식
블러디 메리를 불러내는 가장 흔한 방법은 어두운 욕실 거울 앞에서 "블러디 메리"를 세 번 외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블러디 메리"를 100번 부르기, 밤에 노래 부르기, 제자리에서 돌기, 눈 만지기, 수도꼭지 틀기, 양초를 켜고 "블러디 메리"라고 13번 말하기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8]일본에서는 "블러디 메리, 내가 네 아기를 죽였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런 전설에서 블러디 메리는 아기를 잃고 슬픔에 빠져 자살한 어린 엄마의 영혼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블러디 메리가 자신의 아이를 죽였다는 오해를 받아 감옥에 간 경우, "나는 메리 워스(의 존재)를 믿어."라고 말하면 블러디 메리가 나타난다고 한다. 이는 자정에 거울에 the Bell Witch가 나오게 하는 놀이와 비슷하다.[8]
이 놀이는 블러디 메리가 나타나면 그녀를 부른 사람의 얼굴을 뜯거나, 눈을 뽑거나, 머리를 잘라내거나, 미치게 하거나, 거울 속으로 데리고 가거나, 목을 할퀴는 등 아주 잔인하게 죽인다고 하여 담력 시험으로 사용된다. 블러디 메리가 사람을 죽이지 않으면 평생 귀신이 씌인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자정에 "블러디 메리"를 13번 외치면 죽은 사람과 12시 9분까지 대화할 수 있다고도 한다. 또 다른 변형에서는 블러디 메리를 직접 보지 않고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면 배우자와 아이 등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8]
역사적으로 젊은 여성들은 어두운 집에서 계단을 뒤로 걸어 올라가 촛불과 손거울을 들고 미래의 남편 얼굴을 보는 점을 쳤다. 하지만 결혼 전 죽음을 나타내는 해골이나 저승사자의 얼굴을 볼 수도 있었다.
오늘날에는 희미하게 빛나거나 촛불이 켜진 방 거울에 블러디 메리의 이름을 반복해서 외쳐 그녀를 불러낸다. 이름을 세 번(또는 정해진 횟수) 외쳐야 한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거울에서 나올 때까지 욕실 거울에 그녀의 이름을 47번 외쳐야 한다고도 한다.[1] 블러디 메리는 시체, 마녀, 유령 등으로 나타나며, 친절하거나 사악할 수 있고, 때로는 피로 뒤덮여 있기도 하다. 전설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그녀가 소리 지르고, 저주하고, 목을 조르고, 영혼을 훔치고, 피를 마시거나, 눈을 긁어내는 환영을 견뎌야 한다. 블러디 메리를 "헬 메리(Hell Mary)"나 "메리 워스(Mary Worth)"와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의 현대 도시 전설인 하나코 씨는 블러디 메리 이야기와 매우 비슷하다. 1990년대에 블러디 메리 의식은 대중문화에 표현되었고, 인종, 성적 폭력, 성적 억압에 대해 논의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했다.[2]
한국에서도 한밤중에 거울 앞에 서서 이름을 부르면 블러디 메리가 나타난다는 이야기가 담력 시험으로 많이 행해진다. 불러내는 방법은 혼자 거울 앞에서 세 번 이름을 부르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 자리에서 세 번 돌거나, 양초를 켜는 등 몇 가지 다른 방법들도 전해진다. 집 거울 외에도, 생전에 인연이 있던 장소에서 자동차 백미러에 모습을 나타낸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한 번이라도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면 여러 사람이 있어도 모습을 나타낸다고 한다.
2. 2. 현대의 의식
블러디 메리를 불러내는 가장 흔한 방법은 깜깜한 욕실 거울 앞에 서서 "블러디 메리"를 3번 부르는 것이다.[8] 이 외에도 "블러디 메리"를 100번 부르기, 밤에 노래 부르기, 제자리에서 돌기, 눈 만지기, 수도꼭지 틀기, 양초를 켜고 "블러디 메리"라고 13번 부르기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8]일본에서 전해지는 방법으로는 "블러디 메리, 내가 네 아기를 죽였어."라고 말하기도 한다.[8] 이러한 전설에서 블러디 메리는 종종 아기를 잃고 슬픔에 빠져 자살한 어린 엄마의 영혼으로 여겨진다.[8] 블러디 메리가 자신의 아이를 죽였다는 오해를 받아 감옥에 간 이야기에서는 "나는 메리 워스(의 존재)를 믿어."라고 말하면 블러디 메리가 나타난다고 한다.[8] 이는 자정에 거울에 the Bell Witch가 나타나게 하는 놀이와도 유사하다.[8]
이 놀이는 블러디 메리가 나타나면 그녀를 부른 사람의 얼굴을 뜯거나, 눈을 뽑거나, 머리를 자르거나, 미치게 하거나, 거울 속으로 데려가거나, 목을 할퀴는 등 매우 잔인한 방법으로 죽인다고 하여 담력 시험으로 사용되기도 한다.[8] 블러디 메리가 부른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경우에는 평생 동안 귀신이 씌인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8] 다른 전설에서는 자정에 "블러디 메리"를 13번 외치면 죽은 사람과 12시 9분까지 대화할 수 있다고도 한다.[8] 또 다른 전설에서는 블러디 메리를 직접 보지 않고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면 배우자와 아이 등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8]
역사적으로는 젊은 여성들이 어두운 집에서 계단을 뒤로 걸어 올라가면서 촛불과 손거울을 들고 점술 의식을 행하는 풍습이 있었다. 거울을 들여다보면 미래 남편의 얼굴을 볼 수 있다고 믿었지만, 결혼 전에 죽게 될 것을 암시하는 해골 (또는 저승사자의 얼굴)을 볼 수도 있었다.
현대의 의식에서 블러디 메리는 의도적으로 그녀의 이름을 부르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나타난다고 한다. 희미하게 빛나거나 촛불이 켜진 방에 있는 거울 앞에서 그녀의 이름을 반복해서 외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름을 3번(또는 정해진 횟수) 외쳐야 한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거울에서 나올 때까지 욕실 거울에 그녀의 이름을 47번 외쳐야 한다고도 한다.[1] 블러디 메리의 형상은 시체, 마녀, 유령 등으로 나타나며, 친절하거나 사악할 수도 있고, 때로는 피로 뒤덮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의식에 대한 전설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그녀가 소리를 지르거나, 저주를 퍼붓거나, 목을 조르거나, 영혼을 훔치거나, 피를 마시거나, 눈을 긁는 등의 환영을 겪을 수 있다. 일부 변형된 의식에서는 블러디 메리를 "헬 메리(Hell Mary)"나 "메리 워스(Mary Worth)"와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의 현대 도시 전설인 하나코 씨는 블러디 메리 전설과 매우 유사하다. 1990년대에 블러디 메리 의식은 대중문화에서 인종적, 성적 폭력과 억압을 논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했다.[2]
한밤중에 거울 앞에 서서 이름을 부르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담력 시험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 방법은 한밤중에 혼자 거울 앞에서 이름을 3번 부르는 것이지만, 제자리에서 3번 돌거나 양초를 켜는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집 거울 외에도 생전에 인연이 있던 장소에서 자동차 백미러에 나타난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블러디 메리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만 해도 여러 사람이 있어도 나타난다고 한다.
2. 3. 블러디 메리의 모습과 행동
블러디 메리를 불러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어두운 욕실 거울 앞에서 "블러디 메리"를 세 번 외치는 것이다.[8] 이 외에도 "블러디 메리"를 100번 부르기, 밤에 노래 부르기, 제자리에서 돌기, 눈 만지기, 수도꼭지 틀기, 양초를 켜고 "블러디 메리"라고 13번 말하기 등 다양한 방법이 전해진다.[8]일본에서는 "블러디 메리, 내가 네 아기를 죽였어."라고 말하기도 한다.[8] 이 전설에서 블러디 메리는 아기를 잃고 슬픔에 빠져 자살한 어린 엄마의 영혼으로 묘사되기도 한다.[8] 다른 이야기에서는 블러디 메리가 자신의 아이를 죽였다는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간 여성으로, "나는 메리 워스의 존재를 믿어."라고 말하면 나타난다고 한다.[8]
블러디 메리를 부르는 의식은 담력 시험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블러디 메리가 나타나면 그녀를 부른 사람의 얼굴을 뜯거나, 눈을 뽑거나, 머리를 자르거나, 미치게 하거나, 거울 속으로 데려가거나, 목을 할퀴는 등 잔인하게 해친다고 알려져 있다.[8] 어떤 사람들은 블러디 메리가 부른 사람을 죽이지 않으면 평생 귀신이 씌인다고 믿기도 한다.[8]
다른 전승에 따르면 자정에 "블러디 메리"를 13번 외치면 죽은 사람과 대화할 수 있다고 하며, 또 다른 전승에서는 거울에 비친 블러디 메리의 모습을 통해 배우자나 아이 등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8]
역사적으로 젊은 여성들은 어두운 집에서 계단을 뒤로 걸어 올라가 촛불과 손거울을 들고 미래 남편의 얼굴을 보거나, 결혼 전에 죽음을 맞이할 것을 암시하는 해골 또는 저승사자의 얼굴을 보는 점술 의식을 행하기도 했다.
오늘날의 의식에서 블러디 메리는 희미하게 빛나거나 촛불이 켜진 방의 거울 앞에서 그녀의 이름을 반복해서 외치는 사람들에게 나타난다고 한다. 이름을 세 번, 혹은 다른 정해진 횟수만큼 외쳐야 한다.[1] 어떤 이야기에서는 거울에서 나올 때까지 욕실 거울에 그녀의 이름을 47번 외쳐야 한다고도 한다.[1] 블러디 메리는 시체, 마녀, 유령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친절하거나 사악할 수 있고, 때로는 피투성이가 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참가자들은 그녀가 소리 지르고, 저주하고, 목을 조르고, 영혼을 훔치고, 피를 마시거나, 눈을 긁어내는 환영을 견뎌야 한다. 블러디 메리를 "헬 메리(Hell Mary)"나 "메리 워스(Mary Worth)"와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의 도시 전설인 하나코 씨는 블러디 메리 이야기와 매우 흡사하다.
블러디 메리는 주로 긴 머리에 비교적 젊은 여성으로, 피투성이 옷을 입고 있다고 묘사된다. 그녀를 불러낼 경우, 얼굴을 할퀴어 기절하는 것부터 시작해, 발광,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결과가 나타난다고 전해지지만, 어떤 형태로든 상처를 입는다는 점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3. 현상에 대한 설명
블러디 메리 현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명이 존재한다. 블러디 메리를 부르는 방법이나, 블러디 메리가 나타났을 때 하는 행동, 그리고 블러디 메리를 보는 것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등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8]
3. 1. 이상한 얼굴 환상
어두운 방에서 거울을 오랫동안 쳐다보면 환각을 경험할 수 있다. 얼굴 윤곽이 "녹아내리고", 일그러지며, 사라지고, 회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동물이나 이상한 얼굴과 같은 다른 환각 요소가 나타날 수 있다. 우르비노 대학교의 조반니 카푸토는 이 현상을 "이상한 얼굴 환상"이라고 부르며, 이것이 뇌의 안면 인식 시스템이 현재 밝혀지지 않은 방식으로 오작동하게 만드는 "해리 정체성 효과"의 결과라고 여겨진다고 적었다. 이 현상에 대한 다른 가능한 설명으로는 트로슬러 효과의 지각 효과와 관련된 환상, 아포페니아,[3] 또는 심지어 자기 최면도 포함된다.3. 2. 기타 설명
블러디 메리를 나타나게 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깜깜한 욕실 거울 앞에 서서 "블러디 메리"를 세 번 부르는 것이다.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8]- "블러디 메리"를 100번 부르기
- 밤에 노래 부르기
- 제자리에서 돌기
- 눈 만지기
- 수도꼭지 틀기
- 양초를 켜고 "블러디 메리"라고 13번 부르기
일본에서 넘어온 버전에서는 "블러디 메리, 내가 네 아기를 죽였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설에서 블러디 메리는 종종 아기를 잃어 슬퍼하다가 끝내 자살한 어린 엄마의 영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또, 블러디 메리가 자신의 아이를 죽인 것으로 오인받아 감옥에 간 이야기에서는, "나는 메리 워스(의 존재)를 믿어."라고 하면 블러디 메리가 나온다. 이것은 자정에 거울에 the Bell Witch가 나오게 하는 놀이와도 유사하다. 이 놀이는 블러디 메리가 나오면 그녀를 부른 사람의 얼굴을 뜯거나, 눈을 뽑거나, 머리를 잘라내거나, 미치게 하거나, 거울 속으로 데리고 가거나, 목을 할퀴는 등 아주 잔인한 방법으로 죽인다고 하여 담력 테스트로 사용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블러디 메리가 그녀를 부른 사람을 죽이지 않은 경우에는 평생동안 그들에게 귀신이 씌인다고 생각하기도 한다.[8]
다른 버전에서는 자정에 "블러디 메리"를 13번 외치면 죽은 사람과 12:09까지 대화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 다른 변종에서는 블러디 메리를 직접 보지 않고 거울에 비친 블러디 메리의 모습을 보면 배우자와 아이 등 미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8]
어두운 방에서 거울을 오랫동안 쳐다보면 환각을 경험할 수 있다. 얼굴 윤곽이 "녹아내리고", 일그러지며, 사라지고, 회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동물이나 이상한 얼굴과 같은 다른 환각 요소가 나타날 수 있다. 우르비노 대학교의 조반니 카푸토는 이 현상을 "이상한 얼굴 환상"이라고 부르며, 이것이 뇌의 안면 인식 시스템이 현재 밝혀지지 않은 방식으로 오작동하게 만드는 "해리 정체성 효과"의 결과라고 여겨진다고 적었다. 이 현상에 대한 다른 가능한 설명으로는 트로슬러 효과의 지각 효과와 관련된 환상 , 아포페니아[3], 또는 자기 최면 등이 있다.
4. 정체
블러디 메리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며, 실제 여성을 모델로 한 것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주로 어린 자식을 죽인 젊은 과부, 어린 자식을 잃은 어머니, 혹은 젊은 나이에 억울하게 죽은 여학생 등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4]
4. 1. 후보군
블러디 메리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실제 여성을 모델로 한 것인지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4] "메리"의 후보로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거론되었는데, 대표적인 인물은 다음과 같다.- 잉글랜드의 메리 1세: 헨리 8세와 아라곤의 캐서린의 딸로, 재위 기간 동안 약 300명의 종교적 프로테스탄트 반대자들을 화형에 처하여 "피의 메리"라는 별명을 얻었다.[4]
- 엘리자베스 바토리: 17세기 헝가리 백작 부인으로, 약 660명의 소녀와 여성을 고문하고 살해한 혐의를 받으며, 그들의 피로 목욕하고 뱀파이어 혐의를 받았다.[5]
- 지하철도를 통해 미국 남부에서 탈출하는 노예들을 살해한 여자[6]
- 근세 마녀 재판 시대에 화형당한 메리 워스라는 여성[7]
이 외에도 어린 자식을 죽인 젊은 과부, 어린 자식을 잃은 어머니나 젊은 나이에 비명횡사한 여학생 등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논문
Bloody Mary in the Mirror: A Ritual Reflection of Pre-Pubescent Anxiety
https://www.jstor.or[...]
1998
[2]
논문
Violent Reflections: Bloody Mary in 1990s Pop Culture
https://scholarworks[...]
2023-11-29
[3]
웹사이트
"Pattern Recognition and Your Brain"
http://www.psycholog[...]
2016-03-21
[4]
웹사이트
"'Bloody Mary': Is an English Queen Behind the Haunting Urban Legend?"
https://www.curiousa[...]
2022-01-26
[5]
웹사이트
The Ghost in the Mirror: The Legend of Bloody Mary Revealed
https://historycolle[...]
2022-01-26
[6]
웹사이트
Legends abound regarding Bloody Mary Worth
https://www.shawloca[...]
2022-01-26
[7]
웹사이트
Bloody Mary, Marshall County, Iowa
https://digital.libr[...]
1970
[8]
서적
Lucifer Ascending: The Occult in Folklore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Kentucky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