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자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자드는 16-17세기 잉글랜드에서 여성들이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신분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 마스크를 의미한다. 1554년 잉글랜드 메리 1세와 스페인 펠리페 2세의 결혼식에 참석한 한 스페인 관찰자는 런던 여성들이 야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했다고 기록했다. 1570년대에는 마스크 착용이 더욱 흔해졌으며, 1590년대에는 덴마크의 앤이 승마 시 햇볕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했다. 엘리자베스 1세 또한 향수 처리된 가죽으로 안감을 댄 마스크를 소유했다. 1660년대에는 비자드가 다시 유행하여, 연극 관람 시에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유럽 - 네덜란드 독립 전쟁
    네덜란드 독립 전쟁은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맞선 네덜란드 17개 주의 반란으로, 펠리페 2세의 탄압과 과세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위트레흐트 동맹 결성, 네덜란드 공화국 독립 선언, 그리고 뮌스터 조약을 통해 최종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다.
  • 16세기 유럽 - 코냐크 동맹 전쟁
    코냐크 동맹 전쟁은 1526년부터 153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서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주도한 코냐크 동맹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이탈리아의 분열 심화, 교황권 쇠퇴,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간접적 원인이 되었다.
  • 17세기 유럽 - 네덜란드 독립 전쟁
    네덜란드 독립 전쟁은 합스부르크 스페인에 맞선 네덜란드 17개 주의 반란으로, 펠리페 2세의 탄압과 과세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위트레흐트 동맹 결성, 네덜란드 공화국 독립 선언, 그리고 뮌스터 조약을 통해 최종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았다.
  • 17세기 유럽 - 헨젤과 그레텔
    헨젤과 그레텔은 그림 형제의 민담으로, 가난한 아이들이 숲에서 마녀를 만나 위기를 겪지만 지혜롭게 극복하고 행복하게 된다는 내용이며, 다양한 판본과 각색으로 존재한다.
  • 탈 - 투탕카멘의 가면
    투탕카멘의 가면은 하워드 카터 발굴팀이 발견한,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투탕카멘 파라오의 미라 마스크로, 복원 과정에서의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이전이 계획 중이다.
  • 탈 - 가면무도회
    가면무도회는 카니발 축제에서 시작되어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 발전한 의상 축제로, 상류층에서 유행하여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오늘날에는 파티 분위기를 즐기는 행사로 문학과 음악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비자드
개요
종류여성용 얼굴 가리개
용도얼굴 보호
신분 숨김
상세 정보
시대16세기
특징말을 탈 때 착용
눈 부분에 구멍 존재
벨벳 재질
착용 목적햇빛으로부터 얼굴 보호
얼굴을 가려 신분을 숨김
관련 인물필립 스텁스
설명당시 사람들이 괴물이나 악마를 만났다고 생각할 정도로 얼굴을 완전히 가리는 형태였다.

2. 16-17세기 잉글랜드의 마스크 착용

16세기 중반 잉글랜드에서는 여성들이 외출 시 마스크나 베일을 착용하는 모습이 관찰되기 시작했다. 1554년 잉글랜드의 메리 1세와 스페인 펠리페 2세의 결혼식에 참석한 한 스페인 관찰자는 런던 여성들이 antifaces|안티파체스es라 불리는 마스크나 베일을 쓰고 다녔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마스크 착용은 1570년대에 더욱 보편화되어, 에마뉘엘 판 메테렌은 당시 명망 있는 여성들이 실크 마스크, 비자드, 깃털 등으로 얼굴을 가리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이후 덴마크의 앤, 엘리자베스 1세 등 왕족과 귀족 여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사용되었으며, 17세기 후반에는 연극 관람 시 비자드를 착용하는 것이 다시 유행하기도 했다.

2. 1. 상류층 여성의 마스크 착용

1570년대 잉글랜드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더욱 흔해졌는데, 에마뉘엘 판 메테렌은 "명망 있는 여성들은 최근 실크 마스크와 비자드, 깃털로 얼굴을 가리는 것을 배웠다"고 기록했다.

1620년에는 변호사이자 궁정 신하였던 존 코크가 아내에게 옷과 의상을 보내면서 새틴 마스크와 아이들을 위한 녹색 마스크 두 개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비자드는 1660년대에 다시 유행했다. 1663년, 로열 극장, 드루리 레인에서 연극을 관람한 사무엘 페피스는 일기에 극장이 채워지기 시작하자 메리 크롬웰이 "비자드를 쓰고 연극 내내 그것을 착용했는데, 이것은 최근 숙녀들 사이에서 유행이 되어 얼굴 전체를 가리고 있다"고 적었다. 페피스는 그날 늦게 아내를 위해 비자드를 구입했다.

2. 1. 1. 잉글랜드 메리 1세

1554년 잉글랜드의 메리 1세와 스페인 펠리페 2세의 결혼식에 참석했던 한 스페인 관찰자는 런던 여성들이 야외에서 걸을 때 마스크, antifaces|안티파체스es, 또는 베일을 착용했다고 언급했다.

2. 1. 2. 덴마크의 앤

1590년대 스코틀랜드에서 덴마크의 앤은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승마할 때 마스크를 착용했다. 이 마스크는 검은색 새틴으로 덮여 있었고, 태피터로 안감을 댔으며, 끈과 장식을 위해 피렌체 리본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후 몇몇 공식 석상에서는 야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1603년 6월, 그녀가 왕관 연합을 위해 잉글랜드로 여행을 떠난 후, 존 체임벌린은 그녀가 "이 여행 동안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며 그녀의 피부에 "어떤 잘못"을 했다고 언급했다. 같은 해 9월, 아벨라 스튜어트는 뉴버리에서 앤이 "국내 및 외국인들에게 큰 만족을 주는 감사한 모습으로 맨 얼굴"로 대중을 맞이했다고 칭찬했다.

이듬해인 1604년, 스페인 대사 후안 페르난데스 데 벨라스코 이 토바르, 프리아스 공작 5세가 런던 조약 협상을 위해 배를 타고 도착했을 때, 앤은 템스 강에서 바지선을 타고 이를 지켜보면서 검은 마스크를 착용했다.

2. 1. 3.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1세는 향수가 첨가된 가죽으로 안감을 댄 마스크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밥티스트 힉스가 공급한 새틴으로 제작되었다. 1602년 9월, 그녀가 오트랜즈 궁전의 정원을 산책할 때 이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 목격되었다.

2. 2. 마스크의 유행과 부활

1554년 잉글랜드의 메리 1세와 스페인 펠리페 2세의 결혼식에 참석했던 한 스페인 관찰자는 런던의 여성들이 야외에서 걸을 때 마스크, 즉 antifaces|안티파체스es 또는 베일을 착용했다고 기록했다. 마스크는 1570년대에 잉글랜드에서 더욱 흔하게 사용되었으며, 에마뉘엘 판 메테렌은 "명망 있는 여성들이 최근 실크 마스크와 비자드, 깃털로 얼굴을 가리는 것을 배웠다"고 언급했다.

1590년대 스코틀랜드에서는 덴마크의 앤이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말을 탈 때 마스크를 착용했다. 이 마스크는 검은색 새틴으로 덮고 태피터로 안감을 댔으며, 끈과 장식을 위해 피렌체 리본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후 몇몇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모습도 보였다. 1603년 6월, 그녀가 왕관 연합으로 잉글랜드로 향한 후, 존 체임벌린은 그녀가 "이 여행 동안 마스크를 쓰지 않아" 피부가 상했다고 언급했다. 같은 해 9월, 아벨라 스튜어트는 뉴버리에서 앤 왕비가 "맨 얼굴"로 대중을 맞이하여 국내외 사람들에게 큰 만족감을 주었다고 칭찬했다. 이듬해인 1604년, 스페인 대사 후안 페르난데스 데 벨라스코 이 토바르, 프리아스 공작 5세가 런던 조약 협상을 위해 배를 타고 도착했을 때, 앤 왕비는 템스 강에서 바지선을 타고 그를 지켜보며 검은 마스크를 착용했다.

엘리자베스 1세 여왕 또한 향수를 입힌 가죽으로 안감을 댄 마스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밥티스트 힉스가 공급한 새틴으로 만들어졌다. 1602년 9월, 여왕이 오트랜즈 궁전 정원에서 산책할 때 마스크를 쓴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1620년에는 변호사이자 궁정 신하였던 존 코크가 아내에게 옷과 의상을 보내면서 새틴 마스크와 함께 아이들을 위한 녹색 마스크 두 개를 포함시켰다.

2. 2. 1. 연극 관람과 비자드

비자드는 1660년대에 다시 유행했다. 1663년, 로열 극장, 드루리 레인에서 연극을 관람한 사무엘 페피스는 자신의 일기에 극장이 관객으로 채워지기 시작하자 메리 크롬웰이 "비자드를 쓰고 연극 내내 그것을 착용했는데, 이것은 최근 숙녀들 사이에서 유행이 되어 얼굴 전체를 가리고 있다"고 기록했다. 그는 그날 늦게 아내를 위해 비자드를 구입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Dressing a Queen: The Wardrobe of Anna of Denmark at the Scottish Court https://www.tandfonl[...] 2019-08
[2] 서적 Dudley Carleton to John Chamberlain, 1603-1624 Rutgers UP 1972
[3] 간행물 HMC 12th report part I, Earl Cowper, Coke London 18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