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변연부림프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장변연부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SMZL)은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림프종의 한 형태이다. 비장, 골수, 말초 혈액에서 종양 세포가 발견되며, 비장 비대가 진단에 필수적이다.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재배열, 7q21-32 결손 등의 유전적 특징을 보이며, CD20, CD79a 양성, CD5, CD10, CD23, CD43, 사이클린 D1 음성 면역표현형을 나타낸다. SMZL은 모든 림프종의 1% 미만을 차지하며, 50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한다. 환자의 75%가 5년 이상 생존하며, 과거에는 고분화림프구림프종, 소림프구림프종 등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프종 - 림프절 변연부 B세포 림프종
제공된 텍스트는 위키백과 문서의 개요가 아니라 문서 작성 과정에 대한 설명이므로, 림프절 변연부 B세포 림프종에 대한 요약문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림프종 - 성인 T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은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 1형에 의해 유발되는 고위험성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종으로, 고칼슘혈증, 피부 질환, 용해성 골병변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급성형, 림프종형, 만성형, 연성형으로 분류된다.
| 비장변연부림프종 | |
|---|---|
| 비장변연부림프종 | |
| 분야 | 혈액학, 종양학 |
2. 원인
C형 간염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5] 종양세포는 배중심 후위에 위치한 B세포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분화 과정 중 언제부터 종양이 시작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4]
(원본 소스에 '분자적 증거'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분자적 증거
3. 1. 유전학적 특징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중쇄 및 경쇄)의 클론 재배열이 자주 관찰된다.[5] 환자의 40%에서 7q21-32 결실이 관찰되며, 7q21에 위치한 CDK6 유전자 전좌도 보고되었다.[25]
3. 2. 면역표현형
비장변연부림프종의 면역표현형은 다음 표와 같다.[21][22]
| 항원 | 상태 |
|---|---|
| CD20 | 양성 |
| CD79a | 양성 |
| CD5 | 음성 |
| CD10 | 음성 |
| CD23 | 음성 |
| CD43 | 음성 |
| 사이클린 D1 | 음성 |
CD5 음성 반응은 비장변연부림프종과 만성 림프모구 백혈병/소림프구 림프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며, CD10 음성 반응은 소포성림프종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CD5와 사이클린 D1에서 모두 음성 반응이 나타나므로 외투세포림프종과도 구분된다.[23]
4. 진단
비장의 임파선염(비종)이 극히 일부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게서 관찰되기 때문에, 이를 진단의 필요조건으로 삼는다.[14] 골수 침윤은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림프절과 그 주변부에서도 가끔씩 종양이 나타나지만 흔한 경우는 아니다.[14]
말초혈액을 타고 순환하는 림프종 세포가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 세포들은 형질세포와 모양이 비슷하며, 양 극에 짧은 융모가 돌출되어 있어 융모성 림프구라고 불린다.[16]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과 빈혈이 관찰되기도 한다.[14] 환자의 1/3에서는 단일클론성 골수종단백질이 검출되지만, 고감마글로불린혈증과 과점조증후군은 보이지 않는다.[27][17]
백비수의 반응성 배중심이 종양성 림프구로 대체되면서 외투구역이 상실되고, 결국에는 림프모구를 닮은 커다란 세포들까지 종양에 참여하여 변연부를 흐릿하게 덮어버린다.[17][18] 모든 경우에서 크고 작은 림프구들로 구성된 결절성 침윤이 적비수에 발생한다. 이외에는 정맥굴(sinus)에 침투, 상피 조직구, 종양세포의 형질세포 분화가 특징이다.
비장에 붙어있는 비장문 림프절에서는 변연부 구조가 사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4] 또한 결절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골수에 침윤한 SMZL에서도 볼 수 있는 형태다.[19] 비장 비대는 SMZL의 진단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SMZL에 걸린 거의 모든 사람에게서 나타난다(종종 림프절병증 없이).[1] 비장의 균일한 침범 외에도, SMZL 환자에게서는 골수가 자주 양성으로 나타나며, 비장 문 림프절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형태의 결절성 패턴을 보인다.[7] 림프절과 림프절 외 침범은 드물지만,[1] 비장에 인접한 문 림프절이 침범된 경우, 비장에서 보이는 변연부의 구조는 보존되지 않고 구조가 소실된다.[1]
순환 림프종 세포가 때때로 말초 혈액에 존재하며, 세포 극에 짧은 융모와 형질 세포양 분화를 보이기도 한다.[1][8]
자가면역성 혈소판 감소증과 빈혈이 SMZL 환자에게서 때때로 관찰된다. 단클론 paraprotein은 고감마글로불린혈증이나 과점성이 없는 환자의 3분의 1에서 검출된다.[13][9]
비장 백색 수질의 반응성 배 중심은 외투대를 소실시키고 결국에는 변연부와 융합되는 작은 종양성 림프구로 대체되며, 때때로 모세포를 닮은 더 큰 종양성 세포가 관찰된다.[9][10] 적색 수질은 항상 침범되며, 더 큰 종양성 세포의 결절과 작은 종양성 림프구의 덩어리가 모두 나타난다. 관찰될 수 있는 다른 특징으로는 동 침범, 상피성 조직구, 종양성 세포의 형질 세포 분화 등이 있다.
5. 예후
환자의 75%가 5년 이상 생존하며, 절반 이상의 환자가 10년 이상 생존한다.[20]
헤모글로빈 수치가 12g/dL보다 낮은 경우, 젖산 탈수소효소 농도가 정상 이하인 경우, 혈장 알부민 농도가 3.5g/dL인 경우 다른 환자에 비해 높은 치사율을 보이지만 절반 정도는 5년 이상 생존한다.[20]
''NOTCH2'' 등의 유전자 좌위에 변이가 생긴 경우, 생존률은 더 하락한다. 환자의 4분의 3이 5년 이상 생존하며, 변연부 림프종(SMZL) 환자의 절반 이상이 진단 후 10년 이상 생존한다.[11]
헤모글로빈 수치가 12g/dL 미만, 젖산 탈수소 효소 수치가 정상보다 높거나, 혈청 알부민 수치가 3.5g/dL 미만인 환자는 질병의 진행이 더 공격적이고 생존 기간이 짧을 가능성이 높다.[11] 그러나 고위험군 환자조차 진단 후 5년 생존 확률이 50%이다.[11]
6. 유행병
비장변연부림프종(SMZL)은 전체 림프종의 1% 미만을 차지하지만, CD5 분류 불가능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상당 부분이 SMZL일 것으로 추정된다.[1] 전형적으로 50세 이상에서 발병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도 보고된 바 있다.[27]
7. 동의어
| 분류법 | 이름 |
|---|---|
| Rappaport | 고분화림프구림프종 |
| Lukes-Collins | 소림프구림프종 |
| Working Formulation | 소림프구림프종 |
| FAB | 융모성림프구순환동반 비장림프종 |
과거 분류 체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름이 사용되었다.[1]
| 분류 체계 | 이름 |
|---|---|
| 래포포트 | 분화가 잘된 림프구성 림프종 |
| 루크스-콜린스 | 소 림프구성 림프종 |
| 워킹 포뮬레이션 | 소 림프구성 림프종 |
| FAB | 순환하는 융모 림프구가 있는 비장 림프종 |
참조
[1]
서적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https://books.google[...]
IARC Press
[2]
논문
The histopathology of splenic lymphoma with villous lymphocytes
http://www.bloodjour[...]
1994-12-01
[3]
논문
The immunophenotype of splenic lymphoma with villous lymphocytes and its relevanc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with other B-cell disorders
http://www.bloodjour[...]
1994-03-15
[4]
논문
Absence of cyclin D1 protein expression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1998-07
[5]
논문
Analysis of immunoglobulin genes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suggests ongoing mutation
1998-06
[6]
논문
Dysregulation of cyclin dependent kinase 6 expression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through chromosome 7q translocations
1999-11
[7]
논문
Intrasinusoidal bone marrow infiltration: a possible hallmark of splenic lymphoma
1996-12
[8]
논문
Splenic B cell lymphoma with circulating villous lymphocytes: differential diagnosis of B cell leukaemias with large spleens
1987-06
[9]
논문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a distinctive type of low-grade B-cell lymphoma.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3 cases
1995-10
[10]
논문
Malignant lymphoma and erythrophagocytosis simulating malignant histiocytosis
1983-11
[11]
논문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a prognostic model for clinical use
https://iris.unimore[...]
[12]
논문
New approach to classifying non-Hodgkin's lymphomas: clinical features of the major histologic subtypes. Non-Hodgkin's Lymphoma Classification Project
http://www.jco.org/c[...]
1998-08
[13]
논문
Non-MALT marginal zone B-cell lymphomas: a description of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in 124 patients
2000-03
[14]
서적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https://books.google[...]
IARC Press
[15]
논문
http://www.nature.co[...]
[16]
논문
Splenic B cell lymphoma with circulating villous lymphocytes: differential diagnosis of B cell leukaemias with large spleens
1987-06
[17]
논문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a distinctive type of low-grade B-cell lymphoma.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3 cases
null
1995-10
[18]
논문
Malignant lymphoma and erythrophagocytosis simulating malignant histiocytosis
1983-11
[19]
논문
Intrasinusoidal bone marrow infiltration: a possible hallmark of splenic lymphoma
1996-12
[20]
논문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a prognostic model for clinical use
https://iris.unimore[...]
[21]
논문
The histopathology of splenic lymphoma with villous lymphocytes
http://www.bloodjour[...]
1994-12-01
[22]
논문
The immunophenotype of splenic lymphoma with villous lymphocytes and its relevanc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with other B-cell disorders
http://www.bloodjour[...]
1994-03-15
[23]
논문
Absence of cyclin D1 protein expression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1998-07
[24]
논문
Analysis of immunoglobulin genes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suggests ongoing mutation
1998-06
[25]
논문
Dysregulation of cyclin dependent kinase 6 expression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through chromosome 7q translocations
1999-11
[26]
논문
New approach to classifying non-Hodgkin's lymphomas: clinical features of the major histologic subtypes. Non-Hodgkin's Lymphoma Classification Project
http://www.jco.org/c[...]
1998-08
[27]
논문
Non-MALT marginal zone B-cell lymphomas: a description of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in 124 patients
200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