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혈은 적혈구 수 또는 헤모글로빈 농도가 감소하여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빈혈은 4,000년 전부터 존재했으며, 적혈구 크기와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라 소구성, 정구성, 대구성 빈혈로 분류된다. 주요 원인으로는 적혈구 생성 장애, 적혈구 파괴 증가, 혈액 손실 등이 있으며,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등의 영양소 결핍, 만성 질환, 골수 질환, 유전적 요인, 자가면역 질환, 감염, 약물, 기계적 손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빈혈의 증상은 피로, 쇠약, 현기증, 호흡곤란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심한 경우 심계항진, 협심증,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철분 보충제, 비타민 보충제, 수혈,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된다. 빈혈은 전 세계 인구의 약 27%에 영향을 미치는 흔한 질환이며, 특히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혈 - 거대적혈모구빈혈
    거대적혈모구빈혈은 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으로 DNA 합성에 결함이 생겨 적혈구 핵 성숙이 지연되고 비정상적으로 큰 적혈구인 거대적혈모구가 생성되는 빈혈의 한 종류이다.
  • 빈혈 - 철결핍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은 철분 부족으로 발생하며 피로, 쇠약,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보이고 혈액 검사로 진단하여 철분 보충 등의 치료를 시행하며 여성과 어린이에게 발병률이 높다.
  • 질병 및 장애에 관한 - 야맹증
    야맹증은 어두운 곳에서 시력 저하를 보이는 증상으로, 유전 질환, 비타민 A 결핍, 망막 질환, 약물 복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비타민 A 보충 등으로 치료한다.
  • 질병 및 장애에 관한 - 중독
    중독은 유해 물질 노출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급성·만성, 외인성·내인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와 응급 처치가 중요하다.
  • 수혈의학 - 지혈제
    지혈제는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출혈을 멈추게 하는 물질로, 작용 기전과 성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의료 전문가와 상담 후 사용해야 하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새로운 지혈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수혈의학 - 무수혈 치료
    무수혈 치료는 수혈 없이 수술 및 의료 처치를 시행하는 의료 행위로, 환자 혈액 관리 개념 도입 후 발전을 거듭하며 수술 전 적혈구 생성 촉진, 출혈 최소화 기술, 혈액 대용제 등을 활용하여 감염 위험 감소, 빠른 회복, 낮은 합병증 발생률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혈액 성분 대체 치료법은 아직 개발 중이며 유아 및 아동의 경우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빈혈
개요
철 결핍성 빈혈 혈액 도말
철 결핍성 빈혈, 작고 창백한 적혈구를 보여주는 혈액 도말
분야혈액학
주요 증상피로, 창백한 피부, 무력감, 호흡곤란, 실신
원인출혈, 적혈구 생산 감소, 적혈구 파괴 증가
진단혈액 헤모글로빈 측정
빈도19억 2천만 명 / 24% (2021년)
용어
동의어빈혈, 적혈구감소증
임상적 측면
역학
빈도 (2015년)23억 6천만 명 / 33%
기타
ICD-10-
ICD-9-
메드라인플러스000560
eMedicine 주제med
eMedicine 토픽132
MeshIDD000740

2. 역사

빈혈의 증거는 4,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136] 실제로 약 4000년 전 태국의 인골에서 심각한 빈혈의 징후가 발견되기도 했다.[118] 빈혈을 뜻하는 영어 낱말 'anaemia'는 '피가 없음'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137]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 일본에서는 아침 식사를 거르는 초·중·고등학생들의 빈혈 문제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3. 원인

빈혈의 원인은 크게 적혈구 생성 장애, 적혈구 파괴 증가(용혈성 빈혈), 그리고 혈액 손실로 나눌 수 있다.[4][125] 드물게 체액 과다(과다혈량증)도 원인이 될 수 있다.[4] 이러한 원인들은 서로 영향을 주며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빈혈을 유발하기도 한다.[4]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혈액 손실이지만, 혈액 손실만으로는 지속적인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개 골수에서의 적혈구 생산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동반될 때 빈혈 증상이 뚜렷해진다.[4]



적혈구 생성 장애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그중 가장 흔한 것은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수적인 철분이 부족한 철 결핍 상태이다.[4] 이 외에도 비타민 B12엽산 부족으로 인한 거대적혈모구빈혈, 골수 기능 자체의 문제로 인한 재생불량성빈혈 등이 적혈구 생성 장애에 해당한다.[125] 또한 만성 질환이나 특정 약물 등도 적혈구 생성을 방해할 수 있다.

적혈구 파괴 증가는 주로 용혈성 빈혈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적혈구가 정상적인 수명보다 일찍 파괴되는 상태를 말하며, 유전적인 원인(예: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겸상 적혈구)이나 후천적인 원인(예: 자가면역 질환, 특정 감염)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125][36][37]

혈액 손실은 급성 출혈이나 만성적인 출혈로 인해 발생한다. 출혈 시 적혈구혈장이 함께 손실되는데, 수분은 비교적 빨리 보충되지만 적혈구는 회복에 시간이 걸려 빈혈 상태가 될 수 있다.[125] 위장관 출혈이나 여성의 월경과다 등이 흔한 원인이며, 만성 출혈은 철결핍성 빈혈로 이어지기 쉽다.[72][77]

3. 1. 적혈구 생성 장애

빈혈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골수에서 적혈구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는 경우이다.[125] 이는 크게 세 가지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조혈모세포 자체의 증식이나 분화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이다. 대표적으로 골수 기능 자체가 저하되는 재생불량성빈혈이나, 적혈구 계열만 선택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33]

둘째, 조혈모세포에서 분화된 적모구(적혈구 전구 세포)가 정상적으로 증식하거나 성숙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이다. 이는 다시 필요한 물질의 합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와 세포 분열 자체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로 나뉜다.

  • '''헤모글로빈 합성 장애''':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철분이 부족하거나(철결핍성빈혈), 헤모글로빈 구성 단백질인 글로빈 합성에 유전적 결함이 있는 경우(탈라세미아) 등이 있다.[33][125][126]
  • '''DNA 합성 장애''': 세포 분열에 필수적인 비타민 B12엽산이 부족하면 DNA 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크고 비정상적인 적혈구가 만들어지는 거대적아구성빈혈이 발생한다.[33][125][126]


셋째, 위 단계들 외에 다른 요인들이 적혈구 생성을 방해하는 경우이다. 신장 기능 저하로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에리스로포이에틴) 분비가 줄거나(신부전 빈혈),[33] 만성적인 염증 상태가 지속되거나,[33] 골수가 다른 세포(예: 종양 세포, 섬유 조직)로 대체되는 경우(골수섬유화, 백혈구적혈구성 빈혈),[33][35] 또는 골수 세포 자체에 이상이 생기는 골수이형성증후군[33]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일부 내분비 질환[34]이나 미숙아 상태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적혈구 생성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구체적인 종류와 원인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1. 영양소 결핍

영양소 결핍은 빈혈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부족은 각각 다른 종류의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철결핍성빈혈'''

철결핍성빈혈은 가장 흔한 유형의 빈혈으로[125][126], 체내 철분 부족으로 인해 헤모글로빈 합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다.[33] 이는 적혈구의 재료인 철분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조혈의 한 형태이며, 구체적으로는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헴(heme) 합성 장애에 해당한다.[125][126]

'''거대적혈모구빈혈'''

거대적혈모구빈혈 (eng)은 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33][79] 이들 비타민은 DNA 합성에 필수적이므로, 결핍 시 DNA 합성에 장애가 생겨 정상적인 적혈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게 된다.[125][126] 거대적혈모구빈혈은 거대적아구성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79]

  • '''비타민 B12 결핍 빈혈'''
  • * 악성빈혈 (eng)은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의 대표적인 형태로, 에서 비타민 B12 흡수에 필요한 내인성 인자가 부족하여 발생한다.[33] 주된 원인은 내인성 인자를 생산하는 위벽 세포나 내인성 인자 자체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79]
  • * 기타 원인으로는 위 절제술(위 우회술 등) 후 흡수 감소[79], 에서의 흡수 이상, 극단적인 채식주의로 인한 섭취 부족 등이 있다.[33][125][126]
  • * 비타민 B12 결핍은 빈혈 증상 외에도 말초 신경병증이나 아급성 복합성 척수 변성증과 같은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80], 혀가 매끄럽고 붉어지는 설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80]
  • *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치료법은 윌리엄 머피, 조지 미노트, 조지 휘플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들은 간 섭취를 통해 빈혈이 치료됨을 발견하고 비타민 B12를 분리하여 193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81]

  • '''엽산 결핍 빈혈'''
  • * 엽산 결핍 역시 거대적아구성 빈혈을 유발하며[33], 주로 엽산 섭취 부족이나 흡수장애로 인해 발생한다.[79]
  • * 비타민 B12 결핍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신경학적 증상은 동반하지 않는다.[79]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DNA 합성은 실패하지만 RNA 합성은 유지되어 전구 세포의 분열이 제한되는 '거대적모구성 빈혈'과, 알코올 중독 등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비거대적모구성 거대적아구성 빈혈'로 나눌 수 있다. 거대적모구성 빈혈은 종종 호중구의 과분절을 동반한다.[79]

3. 1. 2. 만성 질환

만성 질환, 특히 만성적인 염증이나 감염, 악성 종양 등이 있을 때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속발성 빈혈의 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33][35][40] 만성 질환과 관련된 빈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때로는 여러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원인 질환과 관련된 빈혈은 다음과 같다.

  • '''만성염증 빈혈''': 만성적인 염증 상태가 지속되면 체내 철분 이용 과정에 문제가 생겨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33] 이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이 철 대사 및 적혈구 생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신부전 빈혈''': 신장(콩팥) 기능이 저하되면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에리스로포이에틴 생산이 부족해져 빈혈이 발생한다.[33] 또한, 요독증(신부전으로 인해 혈액 내 노폐물이 축적되는 상태)은 적혈구의 수명을 단축시켜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25][126]
  • '''내분비 질환 빈혈''':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부신 기능 저하증 등 특정 내분비 질환도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34]
  • '''악성 종양 관련 빈혈''': 악성 종양(암)은 여러 기전으로 빈혈을 일으킨다. 종양이 골수를 직접 침범하여 정상적인 혈구 생성을 방해하거나(골수섬유화, 백혈구적혈구성 빈혈), 암 자체 또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 영양 결핍, 출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33][35] 또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과 같은 특정 혈액암은 면역 체계 이상을 유발하여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을 일으키기도 한다.[40]
  • '''감염 관련 빈혈''': 말라리아와 같은 만성 감염이나 ''트리파노소마 콘골렌세''와 같은 기생충 감염은 적혈구를 직접 파괴하거나 면역 반응을 통해 적혈구 파괴를 증가시켜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33][42]
  • '''자가면역 질환 관련 빈혈''': 전신 홍반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 질환에서는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40]
  • '''만성 간질환 관련 빈혈''': 만성 간질환에서는 영양 흡수 장애, 엽산 결핍, 출혈 경향 증가, 적혈구막 이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125][126]

3. 1. 3. 골수 질환

골수는 혈액 세포를 만드는 중요한 기관으로, 이곳에 문제가 생기면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조혈모세포의 기능 이상이나 수 감소로 인해 적혈구를 포함한 혈액 세포를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125]

  • 재생불량성빈혈: 골수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적혈구뿐만 아니라 백혈구, 혈소판 등 모든 종류의 혈구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심각한 질환이다.[33] 이는 골수 세포의 분화 과정에 문제가 생기거나 다른 질병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팬코니 빈혈은 이러한 재생불량성 빈혈과 함께 다른 여러 이상 증상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이다.[33]

  • 골수이형성증후군: 골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혈액 세포가 생성되어 발생하는 빈혈의 한 종류이다.[33]

  • 골수섬유화(골수섬유화성빈혈): 골수가 섬유 조직이나 악성 종양, 육아종 등으로 점차 대체되면서 정상적인 혈액 세포 생산 능력을 잃게 되는 심각한 유형의 빈혈이다.[33]

  • 기타 골수 관련 빈혈:
  •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 다른 혈구는 비교적 정상이지만 적혈구 계열 세포만 선택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경우이다.[33]
  • 백혈구적혈구성 빈혈: 골수 내에 종양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공간을 차지하는 병변이 생겨 정상적인 혈구 생성을 방해하여 발생하는 빈혈이다.[35]

3. 1. 4. 기타

빈혈은 주요 원인 외에도 다른 질병이나 특정 상태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신부전으로 인한 빈혈이 있다. 신장은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에리스로포이에틴을 만드는데,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이 호르몬 생성이 부족해져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33] 또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내분비 질환도 빈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34]

만성염증 상태가 지속될 경우에도 빈혈이 동반될 수 있으며,[33] 악성종양, 골수섬유화, 골수이형성증후군과 같은 질환 역시 골수의 정상적인 혈구 생성 기능을 방해하여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33][35]

3. 2. 적혈구 파괴 증가 (용혈성 빈혈)

용혈성 빈혈간장 또는 비장에서 적혈구가 정상보다 지나치게 많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 적혈구가 파괴되거나 쉽게 부서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크게 유전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 유전적 요인: 태어날 때부터 적혈구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적혈구 막의 이상(유전성 구상적혈구증), 헤모글로빈 구조의 이상(겸상 적혈구), 또는 적혈구 기능에 필요한 효소의 결핍(G6PD 결핍증, 피루브산 키나아제 결핍증) 등이 대표적이다.[125][126] 이러한 유전적 결함은 적혈구를 약하게 만들어 쉽게 파괴되게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 후천적 요인: 태어난 이후에 발생하는 요인들이다.
  • 자가면역질환: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항체를 만들어 적혈구를 파괴하는 경우이다.[125][126]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 감염, 물리적 파괴: 특정 감염이나, 발바닥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충격으로 모세혈관 내 적혈구가 깨지는 행군 헤모글로빈뇨증(운동성 빈혈)과 같은 물리적 손상도 원인이 될 수 있다.[125][126]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 기타 질환 및 상태: 간질환, 요독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등 다른 질병이나 상태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125][126] 또한, 여러 만성 염증성 질환이나 악성종양의 속발성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3. 2. 1. 유전적 요인

빈혈을 유발하는 유전적 요인은 주로 적혈구 자체의 문제와 관련이 깊으며, 이는 용혈성 빈혈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용혈성 빈혈은 간장 또는 비장에서 적혈구가 정상보다 과도하게 파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빈혈의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선천적 적혈구 이상''': 태어날 때부터 적혈구의 구조나 기능에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적혈구 막의 단백질 결함(적혈구막 이상)으로 인해 적혈구 모양이 비정상적인 구형(공 모양)을 띠고 쉽게 파괴되는 유전 질환이다.[125][126]
  • '''겸상 적혈구 관련 빈혈''': 헤모글로빈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특정 조건에서 적혈구가 낫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 '''적혈구 효소 이상''': 적혈구의 생존과 기능에 필수적인 특정 효소가 유전적으로 결핍된 경우이다.
  • G6PD 결핍증
  • 피루브산 키나아제 결핍증[125][126]


이러한 유전적 결함들은 적혈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쉽게 파괴되게 만들어 만성적인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된다.

3. 2. 2. 자가면역 질환

용혈성 빈혈의 한 종류로,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 때문에 생기는 빈혈이 있다. 이는 우리 몸의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공격하는 자가항체를 만들어 적혈구를 파괴(용혈)시키는 경우에 해당한다.[125][126]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외부 침입자로 잘못 인식하여 공격하는 것이다. 이렇게 적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파괴되면 빈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3. 2. 3. 기타

일부 감염적혈구를 파괴하여 용혈성 빈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125][126] 또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적혈구가 직접 파괴되어 빈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행군 헤모글로빈뇨증(운동성 빈혈)이 있는데, 이는 행군이나 달리기 등으로 발바닥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때 발바닥의 모세혈관 내 적혈구가 물리적으로 파괴되어 발생하는 용혈성 빈혈의 한 종류이다.[125][126]

3. 3. 혈액 손실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혈액 손실이다.[4]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의 구성 성분인 적혈구혈장(수분)이 동시에 손실된다. 혈장의 수분량은 비교적 단시간에 회복될 수 있지만, 적혈구 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혈액이 묽어지는 상태가 될 수 있다.[125][126] 만약 출혈이 장기간 지속되면 체내에 저장된 이 부족해져 철결핍성 빈혈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125][126]

혈액 손실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다. 미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위장관에서의 출혈이 철 결핍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위장관 출혈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잠혈 반응 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고령 인구에서는 대장 폴립이나 대장암과 같은 질환이 위장관 출혈의 원인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72] 또한, 여성의 경우 월경과다도 철 결핍 및 빈혈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72]

전 세계적으로 볼 때, 기생충 감염은 철결핍성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구충, 아메바증, 주혈흡충증, 편충과 같은 기생충들은 장 점막에 기생하면서 만성적인 소량 출혈을 유발하여 혈액 손실과 빈혈을 일으킬 수 있다.[77]

일반적으로 급성 또는 만성적인 혈액 손실이 있더라도, 신체의 조혈 기능, 즉 골수에서 적혈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충분하다면 빈혈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적혈구 생성 능력이 혈액 손실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빈혈로 이어지게 된다.[4]

3. 4. 기타 원인

빈혈을 일으키는 다양한 기타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 출혈: 출혈이 발생하면 적혈구와 혈장이 함께 손실된다. 혈장량은 비교적 빠르게 회복되지만 적혈구는 회복에 시간이 걸려 혈액이 일시적으로 묽어지게 된다. 출혈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체내 철분이 부족해져 철결핍성 빈혈이 동반될 수 있다.

  • 거대적아구성 빈혈 관련 원인: 비타민 B12엽산 결핍 외에도 다음과 같은 상태들이 거대적아구성 빈혈 또는 거대적혈구증을 유발할 수 있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알코올 중독: 직접적인 빈혈보다는 거대적혈구증을 흔히 유발하며, 다른 유형의 간 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약물 및 중금속: 메토트렉세이트, 지도부딘과 같은 특정 약물이나 중금속 등은 DNA 복제 과정을 방해하여 빈혈을 일으킬 수 있다.

  • 용혈성 빈혈 관련 원인: 적혈구가 정상보다 빨리 파괴되거나 쉽게 부서지는 용혈성 빈혈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25][126]
  • 적혈구막 이상: 유전적으로 적혈구막에 이상이 있는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이나, 간 질환, 요독증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적혈구 효소 이상: G6PD 결핍증, 피루브산 키나아제 결핍증과 같이 적혈구 내 특정 효소가 부족한 경우 발생한다.
  •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인체의 면역 체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 물리적 파괴 (행군 혈색소뇨증): 운동성 빈혈이라고도 하며, 주로 행군이나 달리기 등 발에 강한 충격이 반복되는 활동 중 발바닥의 모세혈관 내 적혈구가 압력에 의해 파괴되어 발생한다.
  •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PNH): 적혈구 세포막의 특정 단백질 결함으로 인해 적혈구가 쉽게 파괴되는 질환이다.

4. 증상



심한 빈혈 환자의 손(왼쪽, 반지 착용)과 빈혈이 없는 손(오른쪽) 비교


칼리아니 AIIMS 서벵골주 게시판에 벵골어, 힌디어, 영어로 적힌 빈혈 증상


빈혈의 증상은 원인과 중증도, 발생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전혀 없을 수도 있다.[23] 초기에는 빈혈이 경미하여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빈혈이 악화됨에 따라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빈혈이 서서히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신체가 변화에 적응하여 상당히 심해질 때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20][24] 반면 빈혈이 빠르게 발생하면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3]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피로감, 쇠약감, 현기증, 두통, 운동호흡곤란(운동불내성),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21][23] 또한 부정맥이나 빈맥(빠른 심장 박동), 손발이 차가움(냉감), 창백하거나 황달이 온 피부, 식욕부진, 쉽게 생기는 멍과 출혈, 근육 약화 등도 나타날 수 있다.[23]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비특이적이어서, 어떤 증상 하나만으로는 빈혈 유무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22]

빈혈이 빠르게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어지러움, 협심증, 발한, 갈증 증가, 혼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3][25][26][27] 더 심한 빈혈 상태에서는 신체가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 부족을 보상하기 위해 심박출량을 늘리는데, 이와 관련된 증상으로 심계항진, 협심증(특히 기존에 심장병이 있는 경우), 간헐적인 다리 파행, 심부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8]

검진 시에는 창백한 피부, 점막, 결막, 손톱 바닥 등이 관찰될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빈혈을 확진하기는 어렵다. 철결핍성 빈혈의 경우 드물게 공막(눈의 흰자위)이 푸르게 변색되기도 한다.[29]

빈혈의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기도 한다.[1]

  • 철결핍성 빈혈: 숟가락손톱(손톱이 숟가락처럼 움푹 들어감), 이상식욕(얼음, 종이, 흙 등 비식품성 물질을 먹고 싶어함) 등이 나타날 수 있다.[30] 이상식욕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인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불안한 다리 증후군이 철결핍성 빈혈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31]
  • 비타민 B12 결핍: 신경 세포 손상(예: 말초 신경병증, 균형 장애, 설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용혈성 빈혈: 적혈구가 비정상적으로 파괴되어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 지중해빈혈 중증: 골 기형이 나타날 수 있다.
  • 겸상적혈구질환: 다리 궤양이 관찰될 수 있다.


심한 빈혈은 항진성 순환의 징후(예: 빈맥, 맥압 증가, 기능성 잡음, 심장 심실 비대)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심부전의 징후가 나타날 수도 있다.

만성 빈혈은 특히 아동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영아의 신경 발달 장애를 유발하거나 학령기 아동의 학업 성취도 저하 및 행동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5. 분류

빈혈은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 등을 분석하고, 필요시 망상적혈구나 적혈모구 같은 미성숙 적혈구 수를 고려하여 진단한다. 빈혈은 발생 원인이나 적혈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원인에 따른 분류빈혈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철결핍성 빈혈: 가장 흔하며, 체내 부족으로 헤모글로빈 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한다.
  • 거대적혈모구빈혈: 비타민 B12엽산 결핍이 주된 원인이다.
  • 용혈성 빈혈: 이나 비장 등에서 적혈구가 정상보다 빨리 파괴되어 발생한다. 선천적 적혈구 이상이나 후천적 자가면역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 기능 저하로 적혈구를 포함한 혈액 세포 생산이 부족해져 발생한다.
  • 속발성 빈혈: 다른 질병(예: 만성 염증, 악성 종양)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형태에 따른 분류적혈구의 크기(평균 적혈구 용적, MCV)와 헤모글로빈 농도(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MCHC)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빈혈의 상태를 나타내며, 구체적인 진단명과는 구분된다.

형태에 따른 빈혈 분류 및 대표 질환
분류적혈구 크기헤모글로빈 농도대표 질환 예시
소구성 저색소성 빈혈작음 (소구성)낮음 (저색소성)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철모구성 빈혈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정상 (정구성)정상 (정색소성)용혈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급성 출혈, 만성 질환 빈혈
대구성 빈혈 (주로 정색소성)큼 (대구성)정상 (정색소성)거대적아구성 빈혈 (비타민 B12/엽산 결핍), 비-거대적아구성 빈혈 (알코올 중독, 간 질환)



이러한 형태학적 분류는 빈혈의 원인을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소구성 빈혈은 주로 헤모글로빈 생성 문제를, 대구성 빈혈은 세포 분열 과정의 문제를 시사할 수 있다.

5. 1. 소적혈구성 빈혈 (MCV < 80 fL)

소적혈구성 빈혈은 평균 적혈구 용적(MCV)이 80 fL 미만인 빈혈을 의미하며, 이는 적혈구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다는 것을 뜻한다. 주로 헤모글로빈 합성 장애나 부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헤모 합성 결함
  • 철결핍성 빈혈: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지만, 항상 소적혈구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 만성 질환성 빈혈: 주로 정적혈구성 빈혈로 나타나지만, 소적혈구성을 보일 수도 있다.
  • 글로빈 합성 결함
  • 알파- 및 베타-지중해성 빈혈
  • HbE 증후군
  • HbC 증후군
  • 기타 여러 가지 불안정한 헤모글로빈 질환
  • 철모구성 빈혈 (사이데로블라스트성 결함)
  • 유전성 철모구성 빈혈
  • 후천성 철모구성 빈혈 (납 중독 포함)[71]
  • 가역성 철모구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빈혈 유형이다.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적혈구는 종종 정상보다 창백하고(저색소성) 작게(소적혈구성) 나타난다.

  • 원인:
  • 섭취 또는 흡수 부족: 신체의 필요량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철을 섭취하거나 흡수하지 못해 발생한다. 특히 영유아와 임산부는 평균보다 철분 요구량이 높다. 소화기 문제, 빈번한 헌혈 또는 월경과다로 인한 혈액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철분 섭취량을 늘려야 한다.[72] 철은 헤모글로빈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며, 철분 수치가 낮으면 적혈구에 헤모글로빈 함량이 줄어든다. 미국에서는 임신 가능 연령 여성의 12%가 철 결핍 상태이며, 이는 성인 남성의 2%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멕시코계 미국인 여성의 경우 그 비율이 20%에 달한다.[73] 인도에서는 50%를 넘는 것으로 보고된다.[74] 일부 연구에서는 빈혈이 없는 철 결핍 상태도 십대 소녀의 학업 성취도 저하 및 IQ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지만, 이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될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75][76] 철 결핍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 결핍 상태이며, 때때로 입술 가장자리가 갈라지는 구각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출혈: 미국 등에서는 위장관에서의 출혈 또는 혈액 손실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출혈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대변 잠혈 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을 실시해야 한다. 특히 고령 남성과 여성의 경우, 위장관 출혈이 대장 폴립 또는 대장암 때문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기생충 감염: 전 세계적으로는 구충, 아메바증, 주혈흡충증 및 편충 감염이 철결핍성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77]

진단 보조 및 혈액 검사 소견:

  • 멘처 지수(평균 적혈구 용적을 적혈구 수로 나눈 값)는 소적혈구성 빈혈이 철 결핍 또는 지중해성 빈혈 때문일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78]
  • 말초혈액 도말 검사에서 이형성(dimorphic) 소견은 크기나 헤모글로빈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적혈구 집단이 동시에 존재할 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철결핍성 빈혈 환자가 최근 수혈을 받았다면, 작고 창백한 환자 본인의 적혈구와 정상적인 크기와 색깔의 공여자 적혈구가 함께 관찰될 수 있다. 철모구성 빈혈 환자에서도 이형성 도말 검사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적혈구 분포 폭(RDW)의 상승은 정상보다 넓은 범위의 적혈구 크기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형태학적으로 소적혈구성 빈혈은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라 소구성 저색소성 빈혈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철모구성 빈혈이 있다.

5. 2. 정적혈구성 빈혈 (80 fL ≤ MCV ≤ 100 fL)

정상세포성 빈혈이라고도 한다. 전체 헤모글로빈 수치는 감소하지만 적혈구 크기(평균적혈구용적, MCV)가 80~100 fL 범위로 정상 크기인 경우를 말한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급성 출혈

# 만성 질환성 빈혈

#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 기능 부전)

# 용혈성 빈혈

급성 출혈의 경우, 적혈구혈장(수분)을 동시에 잃게 된다. 혈장량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회복되지만, 적혈구 수가 회복되는 데는 시간이 걸려 혈액이 일시적으로 묽어지는 상태가 된다. 출혈이 장기간 지속되면 철분 부족으로 철결핍성 빈혈이 동반될 수 있다.

용혈성 빈혈적혈구가 정상보다 빨리 파괴되거나 쉽게 부서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125][126]

# 적혈구막 이상: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간질환, 요독증

# 적혈구 효소 이상: G6PD 결핍증, 피루브산 키나아제 결핍증 등

#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면역계가 자신의 적혈구를 공격하는 질환

# 물리적 파괴: 행군 혈색소뇨증(운동성 빈혈)과 같이 발바닥 모세혈관 내 적혈구가 반복적인 충격으로 파괴되는 경우

#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형태학적 분류상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에 해당하며, 앞서 언급된 재생불량성 빈혈, 용혈성 빈혈 외에도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등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5. 3. 대적혈구성 빈혈 (MCV > 100 fL)

적혈구의 크기가 정상보다 큰 경우(평균적혈구용적, MCV > 100 fL)를 대적혈구성 빈혈이라고 한다. 이는 적혈구의 분화 이상을 시사하며, 크게 거대적혈모구빈혈과 비-거대적혈모구 빈혈로 나눌 수 있다.

=== 거대적혈모구 빈혈 ===

거대적모구성 빈혈은 대적혈구성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주로 DNA 합성의 실패와 RNA 합성의 유지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전구 세포의 세포 분열 제한을 초래한다. 종종 호중구의 과분절(6~10개의 엽)을 동반한다.[79]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 불충분한 섭취나 흡수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79] 엽산 결핍은 일반적으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지 않지만, 비타민 B12 결핍은 말초 신경병증이나 아급성 복합성 척수 변성증(후주 신경로 척수 병리로 인한 균형 장애 동반)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80] 또한 매끄럽고 붉은 혀나 설염이 나타날 수 있다.[80]
  • 악성빈혈: 음식에서 비타민 B12를 흡수하는 데 필요한 내인성 인자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이는 내인성 인자를 생성하는 벽세포(위축성 위염)를 표적으로 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나 내인성 인자 자체에 대한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타민 B12 흡수 불량을 초래한다.
  • 위 절제술: 위 우회술과 같이 위의 기능적 부분을 절제하는 수술은 비타민 B12나 엽산의 흡수를 감소시켜 거대적모구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 후에는 빈혈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치료법은 윌리엄 머피, 조지 미노트, 조지 휘플에 의해 개발되었다. 머피는 개 실험을 통해 다량의 간 섭취가 빈혈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고, 이후 미노트와 휘플이 간에서 비타민 B12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이 공로로 1934년 노벨 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81]

=== 비-거대적혈모구 빈혈 ===

DNA 합성은 정상이지만 다른 원인으로 적혈구가 커지는 경우이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알코올 중독: 빈혈 자체보다는 거대적혈구증(적혈구 크기 증가)을 흔히 유발한다.
  • 간 질환: 다른 유형의 간 질환도 거대적혈구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약물 및 독성 물질: 메토트렉세이트, 지도부딘과 같은 약물이나 중금속 등은 DNA 복제를 억제하여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 진단 ===

말초혈액 도말 검사에서 이형성(dimorphic) 소견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크기와 헤모글로빈 함량이 다른 두 개의 적혈구 집단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심각한 엽산 또는 비타민 B12 결핍으로 수혈을 받은 환자는 크기가 큰 환자 자신의 적혈구와 정상 크기의 공여자 적혈구를 함께 가지게 된다. 적혈구 분포 폭(RDW)의 상승은 정상보다 넓은 범위의 적혈구 크기를 나타내며, 이는 거대적혈구성 빈혈을 포함한 영양 결핍성 빈혈에서 흔히 관찰된다.

6. 진단

빈혈은 일반적으로 말초혈액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를 통해 진단한다. 자동 분석기는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수치, 유세포 분석법을 이용한 적혈구 크기 등을 측정하며, 이는 빈혈의 원인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염색된 혈액 도말표본을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도 진단에 도움이 되며, 자동 분석기 보급이 적은 지역에서는 필수적인 검사 방법이기도 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헤모글로빈 기준치를 사용하여 빈혈을 정의한다.[67]

WHO의 빈혈 정의에 사용되는 헤모글로빈 기준[67]
연령 또는 성별 그룹Hb 기준 (g/dL)Hb 기준 (mmol/L)
영유아 (0.5–5.0세)11.06.8
아동 (5–12세)11.57.1
청소년 (12–15세)12.07.4
여성, 임신하지 않은 경우 (>15세)12.07.4
여성, 임신 중11.06.8
남성 (>15세)13.08.1



혈액 검사를 통해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를 확인한 후 빈혈이 진단되면, 빈혈의 종류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유전 병력과 신체 진찰 소견도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68] 추가 검사로는 혈청 페리틴, 철분 검사, 비타민 B12 수치 측정, 유전자 검사 등이 있으며, 필요한 경우 골수 검체 분석을 시행하기도 한다.[69][70]

최근 일부 의료 환경에서는 망상 적혈구 수치를 포함하는 자동 분석기가 보급되면서, 빈혈 진단에 "동역학적(kinetic)" 접근 방식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망상 적혈구는 새로 만들어진 젊은 적혈구를 의미하며, 이 수치는 골수의 적혈구 생산 능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망상 적혈구 생성 지수(RPI, Reticulocyte Production Index)는 빈혈의 중증도 대비 망상 적혈구 수치가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계산한 값이다. 빈혈이 심할 경우, 망상 적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더라도 실제로는 골수의 반응이 부적절함을 의미할 수 있다. 자동 계수가 불가능한 경우, 혈액 도말 표본을 특수 염색하여 수동으로 망상 적혈구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수동 검사에서는 현미경 관찰을 통해 어린 적혈구의 수와 형태 변화를 평가하여 골수 활동을 정성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새로 생성된 적혈구는 보통 오래된 적혈구보다 크기가 약간 크고 여러 색깔을 띠는(다색성) 특징을 보인다. 출혈과 같이 빈혈의 원인이 명확한 경우에도 적혈구 생성 능력을 평가하면 골수가 혈액 손실을 얼마나 잘 보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빈혈의 원인이 불분명할 때는 ESR, 혈청 철, 트랜스페린, 적혈구 엽산 수치, 헤모글로빈 전기영동법, 신장 기능 검사(예: 혈청 크레아티닌) 등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검사 항목은 의심되는 원인에 따라 선택된다. 진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골수 검사를 통해 적혈구 전구 세포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침습적이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심각한 질환이 의심될 때 제한적으로 시행된다.

빈혈은 주로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분류된다.

=== 형태학적 접근 ===

적혈구의 크기, 즉 평균 적혈구 용적(MCV)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MCV는 자동 분석기나 말초 혈액 도말 현미경 검사를 통해 측정된다.


  • 소적혈구성 빈혈: MCV가 80 fL 미만으로, 적혈구 크기가 정상보다 작은 경우이다. 주로 철 결핍증이 원인이다.
  • 정적혈구성 빈혈: MCV가 80~100 fL 사이로, 적혈구 크기가 정상인 경우이다.
  • 대적혈구성 빈혈: MCV가 100 fL 초과로, 적혈구 크기가 정상보다 큰 경우이다. 비타민 B12 결핍증이나 엽산 결핍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분류법은 빈혈의 흔한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MCV는 초기 검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이므로 여전히 중요한 진단 기준으로 사용된다. 다만, 철 결핍(소적혈구성)과 비타민 B12 결핍(대적혈구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처럼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MCV가 정상 범위(정적혈구성)로 나타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동역학적 접근 ===

빈혈의 원인을 망상 적혈구 수를 중심으로 평가하여 분류하는 방식이다. 이 접근법은 빈혈이 적혈구 생산 감소 때문인지, 아니면 적혈구 파괴(용혈) 또는 손실(출혈) 증가 때문인지를 구분한다.

  • 생산 감소: 망상 적혈구 생성 지수가 빈혈 정도에 비해 낮게 나타난다. 골수 기능 부전이나 만성 질환 빈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 파괴 또는 손실 증가: 망상 적혈구 생성 지수가 빈혈에 대해 적절히 증가한다. 이는 골수의 적혈구 생산 능력은 정상이지만, 출혈이나 용혈로 인해 적혈구가 빠르게 소실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용혈성 빈혈이나 급성/만성 출혈 등이 여기에 속한다. 임상적으로는 비정상적인 말초혈액 도말 소견, LDH 수치 상승(세포 파괴 시사), 잠혈 양성 대변, 영상 검사 소견 또는 명백한 출혈 등이 관찰될 수 있다.


급성 출혈이나 용혈 초기에는 골수가 충분히 보상할 시간이 없어 MCV가 정상이면서 망상 적혈구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만약 망상 적혈구 생성이 지속적으로 낮으면서 MCV가 정상이고 용혈이나 출혈의 증거가 있다면, 골수 부전이나 만성 질환 빈혈에 용혈/출혈이 동반된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 기타 검사 항목 ===

말초 혈액 도말 검사에서 관찰되는 다른 특징들도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백혈구의 존재는 골수 질환을 시사할 수 있다. 빈혈 진단 및 감별에 사용되는 주요 혈액 검사 항목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검사 항목설명 및 의의
적혈구 수혈액 내 적혈구의 총 개수. 빈혈의 정도를 파악하는 기본 지표.
헤모글로빈 농도혈액 내 헤모글로빈의 양. 빈혈 진단의 핵심 기준. (WHO 기준 참조)
철 농도혈청 내 철분의 양. 철 결핍성 빈혈 진단에 사용.
페리틴 농도체내 저장 철의 양을 반영. 소적혈구성 빈혈에서 페리틴이 낮으면 철 결핍성 빈혈, 높으면 만성 질환 빈혈 등을 의심.
망상 적혈구 수새로 생성된 젊은 적혈구의 수. 골수의 조혈 기능을 반영. 절대값(약 5만~10만/μL 정상)으로 평가하며, 낮으면 조혈 기능 저하, 높으면 출혈이나 용혈을 시사.
총철결합능(TIBC)혈액 내에서 철과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주로 트랜스페린)의 총량. 철 결핍 시 증가.
불포화철결합능(UIBC)TIBC 중 철과 결합하지 않은 부분. 철 결핍 시 증가.
평균 적혈구 용적(MCV)적혈구의 평균 크기. 헤마토크릿을 적혈구 수로 나누어 계산.
소적혈구성(80 fL 미만), 정적혈구성(80-100 fL), 대적혈구성(100 fL 초과) 빈혈 분류에 사용.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량(MCH)적혈구 하나당 평균 헤모글로빈 양. 헤모글로빈을 적혈구 수로 나누어 계산 (단위: pg).
정상치: 28-32 pg. 28 미만이면 저색소성 빈혈, 28 이상이면 정색소성 빈혈.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MCHC)적혈구 부피 대비 헤모글로빈 농도. 헤모글로빈을 헤마토크릿으로 나누어 계산 (단위: g/dL).
정상치: 31-36 g/dL. 31 미만이면 저색소성 빈혈, 31 이상이면 정색소성 빈혈.


7. 치료

빈혈 치료는 그 원인과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13] 가장 기본적인 접근은 빈혈을 유발하는 기저 질환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다.[127] 예를 들어 출혈이 원인이라면 출혈을 멈추는 것이 우선이며,[127] 철결핍성 빈혈과 같이 특정 영양소 부족이 원인이라면 해당 영양소를 보충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127] 비타민 B12엽산 결핍의 경우, 경구나 주사 형태의 비타민 보충제를 통해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한다.[1] 또한, 적혈구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식이요법도 치료의 중요한 부분이다.[127]

빈혈의 정도가 심각할 때는 원인 치료와 별개로 수혈을 통해 신속하게 적혈구를 보충해야 할 수 있다.[127] 특정 만성 질환 등에서는 적혈구 생성 촉진제(ESA) 사용이 고려되기도 한다.[97][107]

7. 1. 원인 치료

빈혈 치료는 원인과 중증도에 따라 다르며,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빈혈을 일으키는 기저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127] 예를 들어, 출혈이 원인이라면 신속히 출혈을 멈춰야 한다.[127] 원인 제거가 가능한 경우라도 빈혈의 정도가 심하면 수혈을 통해 적혈구를 보충해야 할 수 있다.[127] 또한, 적혈구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식이요법도 중요하다.[127]

특정 원인에 따른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철결핍성 빈혈: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로[13], 경도에서 중등도의 경우 황산제일철, 푸마르산제일철, 또는 글루콘산제일철과 같은 경구용 철분 보충제로 치료한다.[95] 비타민 C는 철분 흡수를 돕기 때문에 오렌지 주스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96] 철분 보충제 복용 시 위장 장애나 대변 색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위장 장애는 완화되지만 철분 흡수율은 다소 감소할 수 있다.[96] 임신 가능 연령 여성의 경우 매일 철분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빈혈 감소에 효과적이다.[95] 만성 신장 질환과 관련된 빈혈에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나 에포에틴 알파 같은 적혈구 생성 자극제와 함께 비경구 철분 투여가 권장된다.[97]
  •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비타민 B12 보충제를 경구로 복용하거나 근육 주사(비타민 B12) 형태로 투여하여 치료한다.[1]
  • 엽산 결핍성 빈혈: 경구용 엽산 보충제를 복용하여 치료한다.[1]
  • 기타 원인: 행군혈색소뇨증의 경우 운동량을 줄이거나 신발을 개선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127] 치료가 어려운 혈액 질환은 원인 질환 치료와 병행하여 수혈과 같은 대증 요법을 시행한다.[127]


전 세계 빈혈 치료제 시장은 연간 23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며, 빈혈 유병률 증가와 인식 개선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13] 주요 치료제로는 철분 보충제 외에도 항생제, 면역억제제, 골수 자극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유전자 치료제, 철 킬레이트제 등이 있다.[13] 특히 면역억제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시장 점유율의 약 58%를 차지하며, 최근에는 유전자 치료와 단클론 항체 치료법으로의 전환이 관찰되고 있다.[13] 철결핍성 빈혈과 겸상적혈구성 빈혈은 높은 유병률과 치료 비용으로 인해 전체 시장의 약 60%를 차지한다.[13]

7. 2. 대증 치료

빈혈의 근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빈혈 정도가 심하거나 원인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는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를 병행한다.

  • '''수혈''': 빈혈의 정도가 심한 경우, 원인이 제거 가능한 경우라도 신속하게 적혈구를 보충하기 위해 수혈이 필요할 수 있다.[127] 특히 치료가 어려운 혈액 질환의 경우, 원인 질환 치료와 함께 수혈을 대증 요법으로 시행한다.
  • '''적혈구 생성 촉진제 (ESA)''': 만성 신장 질환으로 인한 빈혈 등 특정 상황에서는 적혈구 생성을 자극하기 위해 재조합 에리스로포이에틴(EPO) 또는 에포에틴 알파와 같은 적혈구 생성 촉진제(ESA,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 사용이 권장된다.[97] ESA 투여의 목표는 수혈을 최소화하면서 환자 개인에게 필요한 최저 헤모글로빈 수치를 유지하는 것이다.[107] 그러나 경증 또는 중등도 빈혈에는 사용하지 않으며,[100] 만성 신장 질환 환자에게는 일반적으로 헤모글로빈 수치가 10 g/dL 미만이거나 빈혈 증상이 있을 때 고려된다. ESA 투여 시에는 비경구 철분 투여를 병행해야 한다.[107][108]

8. 합병증

증상이 없는 경우 헤모글로빈 수치가 60g/L~80g/L(6~8 g/dL) 이하일 때까지 수혈은 권장되지 않는다.[1] 능동적인 출혈이 없는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경우, 헤모글로빈 수치가 70g/L~80g/L(7~8 g/dL) 이하일 때만 수혈이 권장된다.[10] 더 일찍 수혈한다고 해서 생존율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100] 그 외의 경우에는 심혈관계 불안정이 있을 때만 수혈을 실시해야 한다.[101]

2012년 검토 결과에 따르면, 암 치료나 출혈과 관련 없이 피로와 숨가쁨을 경험하는 진행성 암 환자의 빈혈에 대해 수혈을 고려할 때, 수혈 전에 다른 대안 전략을 시도할 수 있는지 먼저 고려해야 한다.[102]

9. 예방

내인성 인자 결핍으로 인한 악성 빈혈은 예방할 수 없다.[103] 비타민 B12 수치가 낮은 다른 가역적인 원인이 있다면, 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104]

10. 기타


  • 사람의 유아기에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생리적 빈혈이 있다.
  • 에게만 발병하는 질병으로, 고열과 빈혈 증상을 일으켜 허약해져 죽는 말 전염성 빈혈이라는 병이 있다. 이는 바이러스를 매개로 하는 흡혈 곤충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질병으로, 증상은 빈혈과 유사하지만 발병 원인은 크게 다르다.
  • 극심한 혈액 손실(빈혈)의 치료를 위해 고압산소치료(HBO)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잠수 및 고압 의학회에서 인정하는 적응증이다.[110][111] 의료적 또는 종교적(예: 여호와의 증인) 이유로 수혈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게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부족할 때 HBO 사용이 권장된다. 혈액 제제의 부적합성 위험이나 감염병 전파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의학적 이유로 HBO를 사용할 수 있다.[110] 2005년 중증 빈혈에서 HBO 사용에 대한 검토 결과, 모든 관련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112]
  • 바이러스성 간염 등 일부 간염 치료에 빈혈 상태를 인위적으로 유발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간염 환자의 세포에는 분이 축적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손상된 간세포를 제거하려는 면역 반응의 일부이지만 과도해지면 간경변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식사 제한 등으로 철분 결핍 상태를 유도하거나, 이미 철분이 과잉 축적된 경우 사혈을 통해 인위적으로 빈혈 상태를 만들어 헤모글로빈 합성에 철분을 소모시키는 제철 요법 또는 철 킬레이트 요법을 시행한다.[131]
  • 1990년대 일본에서는 아침 식사를 거르는 초·중·고등학생의 빈혈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기도 했다.
  • 아동기에 빈혈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철 결핍 상태는 발달 지연이나 학습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132][133]

11. 역학

빈혈은 전 세계 인구의 약 27%에 영향을 미치는 흔한 질환이다.[115] 이 중 철 결핍성 빈혈이 6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흔한 유형으로 나타난다.[115]

중등도의 철 결핍성 빈혈은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1천만 명(인구의 8.8%)에게 영향을 미치며,[14] 여성(9.9%)이 남성(7.8%)보다 다소 더 흔하게 발생한다.[14] 경증 철 결핍성 빈혈은 추가로 3억 7천 5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친다.[14]

중증 빈혈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며,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유병률이 높다.[116] 이 지역에서의 중증 빈혈은 말라리아나 침습성 세균 감염과 같은 감염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117]

참조

[1] 논문 Anemi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valuation and treatment http://www.ebmedicin[...] 2013-11-01
[2] 논문 Prevalence, years lived with disability, and trends in anaemia burden by severity and cause, 1990–2021: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1
[3] 웹사이트 Anemia: Practice Essentials, Pathophysiology, Etiology https://emedicine.me[...] 2022-02-08
[4] 웹사이트 Anemia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2-08
[5] 웹사이트 anaemia http://dictionary.re[...] 2014-07-07
[6] 웹사이트 Anemia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04-01
[7] 논문 The clinical and economic burden of anemia 2010-03-01
[8] 서적 StatPearl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1-01
[9] 논문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of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what can be done and at what cost? 2013-08-01
[10] 논문 Treatment of anemia in patients with heart disease: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13-12-01
[1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1
[12] 논문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ron deficiency across indications: a systematic review 2015-12-01
[13] 보도자료 Anemia Treatment Drugs: 2019 Global Market Study; Analyzed by Type of Anemia, Type of Drug, and Geography https://www.globenew[...] 2019-04-26
[14] 논문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01
[15]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1-01
[16] 웹사이트 WHO Global Anaemia estimates, 2021 Edition https://www.who.int/[...] 2022-02-27
[17] 논문 Modeling the impact of campaign program on the prevalence of anemia in children under five: Anemia model https://www.sabapub.[...] 2021-12-06
[18] 웹사이트 WHO {{!}} Interventions by global targe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 웹사이트 The case for action on anemia https://www.devex.co[...] Devex 2016-06-14
[20] 웹사이트 eMedicineHealth > anemia article https://web.archive.[...] 2009-04-17
[21] 웹사이트 Exercising With Anemia: Prescription for Health http://www.medscape.[...] 2022-01-08
[22] 논문 Association of Anemia with Clinical Symptoms Commonly Attributed to Anemia - Analysis of Two Population-Based Cohorts 2023-01-24
[23] 웹사이트 What Are Symptoms of Anemia? https://www.nhlbi.ni[...] 2022-03-24
[24] 웹사이트 Anemia https://www.hematolo[...] 2022-01-08
[25]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trends in haemoglobin concentration and prevalence of total and severe anaemia in children and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for 1995–2011: a systematic analysis of population-representative data 2013-07-01
[26] 논문 Anaemia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1-12-01
[27] 논문 Iron Deficiency and Reduced Work Capacity: A Critical Review of the Research to Determine a Causal Relationship 2001-02-01
[28] 논문 Clinical management of iron deficiency anemia in adults: Systemic review on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2017-07-01
[29] 서적 Wintrobe's Atlas of Clinical Hemat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01-01
[30] 웹사이트 Mental Health and Pica https://www.webmd.co[...] 2022-04-26
[31] 논문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restless legs syndrome on patients with iron deficiency anemia 2013-04-01
[32] 웹사이트 Sickle Cell Disease https://www.nhlbi.ni[...] 2022-07-22
[33]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34] 서적 Williams Hermatology McGraw-Hill 2007-01-01
[35]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leukoerythroblastosis https://www.dictiona[...] 2018-12-02
[36] 웹사이트 Overview of hemolytic anemias in children https://www.lecturio[...] UpToDate 2021-06-28
[37] 서적 Pathophysiology : introductory concepts and clinical perspectives
[38]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39]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Saunders
[40] 웹사이트 Autoimmune Hemolytic Anemia (AIHA) http://www.trcc.org/[...] The Regional Cancer Center 2001
[41] 학술지 Primary chronic cold agglutinin disease: an update on pathogenesis, clinical features and therapy 2007-10
[42] 학술지 African trypanosomosis: From immune escape and immunopathology to immune intervention 2007-08
[43] 웹사이트 Do Hemorrhoids Cause Iron Deficiency Anemia? https://lacolon.com/[...] 2018-06-26
[44] 학술지 Hookworm-related anaemia among pregnant women: a systematic review 2008-09
[45] 학술지 Trichuris and hookworm infections associated with anaemia during pregnancy 2011-04
[46] 학술지 Interventions to prevent iatrogenic anemia: a Laboratory Medicine Best Practices systematic review 2019-12
[47] 학술지 Hospital-Acquired Anemia: A Contemporary Review of Etiologies and Prevention Strategies 2015-09
[48] 학술지 Anemia ed ischemia miocardica: relazioni ed interferenze 2006-03
[49] 학술지 Association of Fluid Retention With Anemia and Clinical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50] 서적 Portable Fluids and Electrolytes (Portable Serie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1] 웹사이트 ISBT: 8. Obstetric anaemia http://www.isbtweb.o[...] 2018-05-22
[52] Review Iron and inflammation - the gut reaction 2017-02
[53] Review Anemia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neglected issue with relevant effects 2014-04
[54] Review Anemia and iron deficiency in gastrointestinal and liver conditions 2016-09
[55] 학술지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of coeliac disease 2015-10
[56] Review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the new frontier of gluten related disorders 2013-09
[57] 학술지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on Celiac Disease, June 28–30, 2004 2005-04
[58] Review Dietary and nutritional considerations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2011-08
[59] Review The aetiology and impact of malnutrition in pa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2011-08
[60] 학술지 The definition of anemia: what is the lower limit of normal of the blood hemoglobin concentration? 2006-03
[61] EMedicine Anemia
[62] 서적 Hematology: Clinic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aunders 2007
[63] 서적 Pediatric Decision-Making Strategies Elsevier
[64] 서적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
[65] 서적 Understanding Anemia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09
[66] 서적 Haemoglobin concentrations for the diagnosis of anaemia and assessment of severit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67] 서적 Worldwide prevalence of anaemia 1993–2005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68] 웹사이트 Anemia https://www.radiolog[...]
[69] 웹사이트 How Anemia Is Diagnosed and Treated https://www.webmd.co[...]
[70] 웹사이트 Anemia Types, Treatment, Symptoms, Signs, Causes & Iron Deficiency https://www.emedicin[...]
[71] 논문 Lead – Its Effects on Environment and Health 2017
[72]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to Prevent and Control Iron Deficiency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cdc.gov/[...] 2007-04-20
[73] 웹사이트 Iron Deficiency – United States, 1999–2000 https://www.cdc.gov/[...] 2012-04-21
[74] 웹사이트 Global Iron-Deficiency Anemia Therapy Market – Industry Trends and Forecast to 2027 - https://www.databrid[...] 2023-08-02
[75] 논문 Iron deficiency and cognitive achievement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2001-06
[76] 논문 A review of studies on the effect of iron deficiency on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2001-02
[77] 웹사이트 Iron Deficiency Anaemia: Assessment, Prevention, and Control: A guide for programme managers https://www.who.int/[...] 2010-08-24
[78] 논문 Differentiation of iron deficiency from thalassaemia trait 1973-04
[79] 논문 Emergency Medicin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nemia 2018-08
[80] 웹사이트 eMedicine – "Vitamin B-12 Associated Neurological Diseases" http://www.emedicine[...] 2006-07-18
[81] 웹사이트 Physiology or Medicine 1934 – Presentation Speech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934-12-10
[82] 서적 Blackwell's Five-Minute Veterinary Consult Clinical Companion: Small Animal Toxicology John Wiley & Sons 2016
[83] 서적 Veterinary hematology: a diagnostic guide and color atlas Elsevier/Saunders 2012
[84] 논문 Robinson's Current Therapy in Equine Medicine 2015
[85] 논문 Laboratory evaluation of anemia 1987-04
[86] 웹사이트 MedTerms Definition: Refractory Anemia http://www.medterms.[...] Medterms.com 2011-04-27
[87] 웹사이트 Good Source for later http://atlasgenetics[...] Atlasgeneticsoncology.org
[88] 논문 Refractory iron deficiency anemia as the primary clinical manifestation of celiac disease 2003-02
[89] 논문 What are RBC-transfusion-dependence and -independence? 2011-01
[90] 서적 Blood Banking and Transfusion Medicine: Basic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06
[91] 서적 Pulmonary Vascular Diseas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06
[92] 논문 Management of RBC-transfusion dependence 2007
[93] 서적 BOPOD – Ferri's Clinical Advisor 2016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
[94] 논문 Strategies to control nutritional anemia 1996-11
[95] 논문 Daily iron supplementation for improving anaemia, iron status and health in menstruating women. 2016-04-18
[96] 논문 Intravenous ascorbic acid administration for erythropoietin-hyporesponsive anemia in iron loaded hemodialysis patients 2002-04
[97] 웹사이트 Anaemia management in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Guidance and guidelines | NICE http://guidance.nice[...] 2011-02-09
[98] 논문 Iron therapy for preoperative anaemia 2019-12-07
[99] 논문 Clinical use of intravenous iron: administration, efficacy, and safety 2010
[100] 논문 Treatment of anemia in patients with heart disease: a systematic review 2013-12
[101]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iron deficiency anaemia 2011-10
[102] 논문 Blood transfusions for anaemia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2012-02-15
[103] 웹사이트 Pernicious anemia: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2-08-04
[104] 서적 Clinical neurology https://www.worldcat[...] Manson 2008
[105] 논문 Vitamin B12 Deficiency: Recognition and Management https://www.aafp.org[...] 2017-09-15
[106] 웹사이트 Pernicious Anemia Clinical Presentation: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http://emedicine.med[...] 2022-08-04
[107] 논문 September 2007 update on EORTC guidelines and anemia management with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s
[108] 웹사이트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12-08-17
[109] 논문 Erythropoietin plus iron versus control treatment including placebo or iron for preoperative anaemic adults undergoing non-cardiac surgery
[110] 웹사이트 Exceptional Blood Loss – Anemia http://www.uhms.org/[...] 2008-05-19
[111] 논문 Hyperbaric oxygen in exceptional acute blood-loss anemia http://archive.rubic[...] 2008-05-19
[11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hyperbaric oxygen in the treatment of severe anemia: an evidence-based approach http://archive.rubic[...]
[113] 논문 Erythropoietin plus iron versus control treatment including placebo or iron for preoperative anaemic adults undergoing non-cardiac surgery 2020-08-13
[114] 논문 British Committee for Standards in Haematology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Pre-Operative Anaemia 2015-11
[115] 논문 The Global Burden of Anemia
[116] 논문 Severe acquired anaemia in Africa: new concepts. 2011-09
[117] 논문 How Severe Anaemia Might Influence the Risk of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African Children 2020-09-22
[118] 논문 Anemia, genetic diseases, and malaria in prehistoric mainland Southeast Asia 1996-09
[119] 서적 三輪血液病学
[120] 서적 内科学書
[121] 웹사이트 外来語 https://www.thpa.or.[...] 一般社団法人 東京都病院薬剤師会 2017-12-30
[122] 웹사이트 業界用語辞典 http://job.nikken-mc[...] 日研メディカルケア 2017-12-30
[123] 서적 内科学
[124] 서적 血液診療エキスパート・貧血
[125] 서적 内科学書
[126] 서적 三輪血液病学
[127] 서적 三輪血液病学
[128] 논문 2.ヘプシジンの発見とその後の発展
[129] 논문 ミルクのラクトフェリン 日本乳業技術協会
[130] 서적 ラクトフェリン2007 :ラクトフェリン研究の新たな展望と応用へのメッセージ 日本医学館
[131] 논문 慢性肝障害における鉄代謝異常と除鉄療法
[132] 논문 Effect of iron therapy on behavior performance in nonanemic, iron-deficient infants https://doi.org/10.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33] 논문 古くて新しい問題,鉄欠乏 https://doi.org/10.1[...] 日本小児血液・がん学会
[134] 논문 Anemi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valuation and treatment http://www.ebmedicin[...] 2013-11
[135]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136] 논문 Anemia, genetic diseases, and malaria in prehistoric mainland Southeast Asia 1996-09
[13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