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통한 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통한 밤은 1520년 6월 30일,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아즈텍 제국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아즈텍 군대의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은 사건을 말한다. 스페인군은 테노치티틀란에서 쫓겨났지만, 이후 오툼바 전투에서 승리하고 군대를 재정비하여 테노치티틀란을 포위하여 아즈텍 제국을 멸망시켰다. 이 사건은 스페인 정복 과정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 스페인 측의 막대한 인명 피해와 아즈텍 제국의 몰락을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0년 멕시코 - 오툼바 전투
오툼바 전투는 1520년 7월 7일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라 노체 트리스테 이후 퇴각하던 중 오툼바 평원에서 아즈텍 군대와 맞서 싸워 승리함으로써 스페인 군대가 전력을 재정비하고 테노치티틀란을 함락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 1520년 멕시코 - 멕시코 정복
멕시코 정복은 16세기 초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세력이 아즈텍 제국을 무너뜨리고 멕시코 지역을 식민지화한 사건으로,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 진출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코르테스의 지략, 원주민 부족과의 동맹, 질병 확산, 통역관의 역할, 그리고 아즈텍 지도자들의 대응이 제국의 운명을 가르며 아즈텍 문명의 파괴와 스페인 문화의 이식, 메스티소 사회의 형성을 가져온 라틴 아메리카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1520년 분쟁 - 오툼바 전투
오툼바 전투는 1520년 7월 7일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라 노체 트리스테 이후 퇴각하던 중 오툼바 평원에서 아즈텍 군대와 맞서 싸워 승리함으로써 스페인 군대가 전력을 재정비하고 테노치티틀란을 함락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 1520년 분쟁 - 코무네로스 반란
코무네로스 반란은 1520년부터 1521년까지 카스티야 왕국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카를로스 1세의 즉위와 사회경제적 불만을 배경으로 코무네로스 회의를 통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으나 진압되었다. - 아즈텍의 역사 - 오툼바 전투
오툼바 전투는 1520년 7월 7일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라 노체 트리스테 이후 퇴각하던 중 오툼바 평원에서 아즈텍 군대와 맞서 싸워 승리함으로써 스페인 군대가 전력을 재정비하고 테노치티틀란을 함락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 아즈텍의 역사 - 템플로 마요르
템플로 마요르는 아즈텍 제국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중심부에 위치한 주요 신전으로, 위칠로포치틀리와 틀랄록에게 바쳐졌으며, 종교적, 정치적 중심지로서 1978년 발굴 이후 7,000점이 넘는 유물과 함께 아즈텍 문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 비통한 밤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전투명 | 라 노체 트리스테 (La Noche Triste, 슬픈 밤) |
| 별칭 | 라 노체 빅토리아사 (La Noche Victoriosa, 승리적인 밤) |
| 관련 사건 | 스페인인에 의한 아스테카 제국 정복 |
| 날짜 | 1520년 6월 30일 - 7월 1일 |
| 장소 | 멕시코시티, 테스코코호 호반 |
| 결과 | 아스테카 제국의 승리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에스파냐 트라스칼라 연맹 |
| 교전국 2 | 아스텍 삼각 동맹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교전국 1 지휘관 | 에르난 코르테스 페드로 데 알바라도 곤살로 데 산도발 디에고 데 오르다스 프란시스코 데 사우세도 프란시스코 데 루고 알론소 데 아빌라 크리스토발 데 올리드 후안 바스케스 데 레온 |
| 교전국 2 지휘관 | 쿠이틀라우악 |
| 병력 규모 | |
| 교전국 1 병력 | 스페인군 1,000–2,000명, 트라스칼텍 원주민 동맹군 12,000명 |
| 교전국 2 병력 | 아스텍 전사 20,000명 (추가 예비 병력 존재 가능성 높음) |
| 피해 규모 | |
| 교전국 1 피해 | 스페인인 400–800명 사망, 익사, 또는 포로, 트라스칼텍인 약 4,000명 사망 또는 포로 |
| 교전국 2 피해 | 미상 |
| 관련 전투 | |
| 관련 전투 목록 | 포톤찬 전투 (1519) 센틀라 전투 (1519) 셈포알라 (1519) 트라스칼라 (1519) 촐룰라 학살 (1519) 나우틀라 전투 (1519) 나르바에스 원정 (1520) 테노치티틀란 대사원 학살 (1520) 슬픈 밤 (1520) 오툼바 전투 (1520) 콜후아카톤코 전투 (1521) 테노치티틀란의 함락 (1521) |
2. 배경
1519년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원정대는 쿠바를 떠나 멕시코 해안에 상륙했다. 코르테스는 현재의 멕시코 땅에 풍요로운 나라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토토나카인을 아군으로 삼았으며, 아즈텍 제국에 적대적인 트라칼라 왕국과 동맹을 맺었다.
2. 1. 스페인군의 테노치티틀란 도착
1519년 2월, 에르난 코르테스가 이끄는 스페인 원정대는 쿠바를 떠나 멕시코 해안에 상륙했다. 현재의 멕시코 땅에 풍요로운 나라가 있다는 소문을 들은 코르테스는 토토나카인을 아군으로 삼고, 아즈텍 제국에 적대적인 트라칼라 왕국과 동맹을 맺었다. 수천 명의 트라칼라 병사와 함께 테노치티틀란으로 진군했다.1519년 11월 8일, 코르테스 원정대는 테노치티틀란에 도착하여 도시 내 특별 구역에 머물렀다. 아즈텍 황제(틀라토아니) 목테수마 2세는 스페인 군대를 정중하게 대접하고 자신의 아버지 아샤야카틀의 궁전을 숙소로 제공했다. 그러나 코르테스는 해안에서 스페인인이 현지 병사에게 습격당한 것을 이유로 목테수마 2세를 유폐했다. 목테수마 2세는 코르테스의 곁에 머무는 것처럼 행동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스페인인들은 자신들을 접대하는 이들의 배신을 의심하여 목테수마 2세를 인질로 잡았다. 목테수마는 백성들에게 스페인인들과 함께 살라는 신의 명령을 받았다고 설득했지만, 아즈텍인들은 다른 생각을 품었다. 이후 98일 동안 코르테스와 그의 원주민 동맹인 틀락스칼텍은 수도에서 점점 더 환영받지 못하는 손님이 되었다.
2. 2. 스페인과 아즈텍의 갈등 심화
디에고 벨라스케스 데 쿠에야르 쿠바 총독은 에르난 코르테스가 자신의 명령을 어기고 멕시코 원정을 강행한 것에 분노했다. 벨라스케스는 코르테스를 체포하기 위해 판필로 데 나르바에스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했다.[3] 코르테스는 나르바에스를 상대하기 위해 테노치티틀란을 페드로 데 알바라도에게 맡기고 해안으로 떠났다.[3]코르테스가 자리를 비운 사이, 알바라도는 테노치티틀란에서 아즈텍 귀족과 사제들이 참여하는 종교 축제를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테노치티틀란 대학살)[3] 이에 분노한 아즈텍인들은 반란을 일으켜 스페인군을 포위했다.
3. 전투의 전개
에르난 코르테스는 목테수마 2세에게 백성들에게 연설하여 전투를 중단하고 스페인 군대가 평화롭게 도시를 떠날 수 있도록 설득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아즈텍인들은 목테수마 2세를 조롱하며 돌과 화살을 던졌다. 스페인 측 설명에 따르면 목테수마 2세는 이 공격으로 사망했지만, 아즈텍인들은 스페인인들이 그를 살해했다고 주장한다.[3][5]
아즈텍 통치 계급은 스페인에 협력적인 목테수마 2세를 배신자로 여기고, 그의 동생 쿠이틀라우악을 새로운 틀라토아니로 추대하여 스페인과 싸웠다.[3][5]
1520년 6월 30일 밤, 코르테스와 스페인군은 테노치티틀란에서 탈출을 시도했다. 스페인군은 틀라코판으로 향하는 제방길을 통해 도시를 빠져나가려 했으나, 아즈텍 전사들의 공격을 받았다. 아즈텍 전사들은 카누를 타고 와서 투석기와 활로 공격했고, 전투는 밤새도록 계속되었다.[3] 이 과정에서 수많은 스페인 병사와 원주민 동맹군이 목숨을 잃었고, 코르테스 군대가 약탈한 금은보화도 대부분 잃었다. 코르테스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스페인인 150명, 말 45마리, 동맹 원주민 2,00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3]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는 코르테스가 이 참담한 패배에 눈물을 흘렸다고 기록했다.[3]
아즈텍의 전투는 생존자를 제물로 삼기 위한 포로를 얻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상대를 완전히 멸망시킨다는 생각은 없었기 때문에 스페인 측이 전멸하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
3. 1. 목테수마 2세의 죽음
코르테스는 목테수마에게 백성들에게 연설하여 전투를 중단하고 스페인인들이 평화롭게 도시를 떠날 수 있도록 설득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아즈텍인들은 목테수마를 조롱하며 돌과 화살을 던졌다. 스페인 측 설명에 따르면 목테수마 2세는 아즈텍인들의 공격으로 사망했지만, 아즈텍인들은 스페인인들이 그를 살해했다고 주장한다.[3][5]아즈텍 통치 계급은 스페인에 협력적인 목테수마 2세를 배신자로 여기고, 그의 동생 쿠이틀라우악을 새로운 틀라토아니로 추대하여 스페인과 싸웠다. 전투 중에 목테수마 2세가 살해되었는데, 누가 그를 살해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즈텍 측과 스페인 측의 주장이 서로 다르다.[3][5]
3. 2. 노체 트리 অ্যসটেক (슬픈 밤)
1520년 6월 30일 밤, 에르난 코르테스와 스페인군은 테노치티틀란에서 탈출을 시도했다. 스페인군은 틀라코판으로 향하는 제방길을 통해 도시를 빠져나가려 했으나, 아즈텍 전사들의 공격을 받았다. 아즈텍 전사들은 카누를 타고 와서 투석기와 활로 공격했고, 전투는 밤새도록 계속되었다.[3]이 과정에서 수많은 스페인 병사와 원주민 동맹군이 목숨을 잃었고, 코르테스 군대가 약탈한 금은보화도 대부분 잃었다. 코르테스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스페인인 150명, 말 45마리, 동맹 원주민 2,00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3] 베르날 디아스 델 카스티요는 코르테스가 이 참담한 패배에 눈물을 흘렸다고 기록했다.[3]
당시 아즈텍의 전투는 생존자를 제물로 삼기 위한 포로를 얻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상대를 완전히 멸망시킨다는 생각은 없었기 때문에 스페인 측이 전멸하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
4. 전투의 결과
아즈텍 제국은 승리했지만, 그 해에 퀴틀라와크는 스페인인이 가져온 천연두로 사망했고, 쿠아우테모크가 새로운 트라토아니로 즉위했다.[12]
스페인군과 그 동맹군은 숨팡고 호수 북쪽 끝을 우회하면서 더 많은 전투를 치렀다. 일주일 후, 테오티우아칸에서 멀지 않은 오툼바 전투에서 쫓아오는 아즈텍인들과 싸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코르테스에 따르면, 그가 아즈텍 지휘관을 죽였기 때문이며, 이는 스페인군에게 틀락스칼라에 도착할 수 있는 작은 숨 돌릴 틈을 주었다.[3] 코르테스는 틀락스칼라에서 테노치티틀란 포위전과 아즈텍 제국의 최종 멸망을 계획했다.
4. 1. 아즈텍의 상황
아즈텍 제국은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해에 퀴틀라와크는 스페인인이 가져온 천연두로 사망했다.[12] 쿠아우테모크가 새로운 트라토아니로 즉위했다.4. 2. 틀락스칼라로의 후퇴와 재정비
스페인군과 그 동맹군은 숨팡고 호수 북쪽 끝을 우회하면서 더 많은 전투를 치러야 했다. 일주일 후, 테오티우아칸에서 멀지 않은 오툼바 전투에서 그들은 쫓아오는 아즈텍인들과 싸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코르테스에 따르면, 그가 아즈텍 지휘관을 죽였기 때문이며, 이는 스페인군에게 틀락스칼라에 도착할 수 있는 작은 숨 돌릴 틈을 주었다.[3]코르테스는 테노치티틀란 포위전과 아즈텍 제국의 최종 멸망을 틀락스칼라에서 계획했다. 아즈텍 제국은 승리했지만, 퀴틀라와크는 그 해에 스페인인이 가져온 천연두로 사망했다.[12] 쿠아우테모크가 새로운 트라토아니로 즉위했다.
한편 패배한 코르테스는 오톤판(오툼바 전투Battle of Otumba영어)에서 다시 아즈텍 군과 싸운 후, 틀락스칼라로 돌아가 군대를 재정비하고, 700명 이상의 스페인인과 7만 명에 가까운 원주민 군대를 이끌고 다시 테노치티틀란으로 향했다. 수개월간의 전투를 거쳐 1521년 8월 13일에 쿠아우테모크가 체포되었다.
5. 역사적 의의
노체 트리스테는 스페인의 아즈텍 정복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아즈텍 제국의 강력한 저항을 보여준다. 이 사건은 스페인군의 잔혹성과 탐욕, 그리고 아즈텍인들의 용기와 희생을 동시에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Teoría de la bandera
https://books.google[...]
1974
[2]
뉴스
Mexico re-brands 1520 Spanish defeat as 'Victorious Night'
https://apnews.com/g[...]
2024-12-12
[3]
서적
The Conquest of New Spain
Penguin Books
1963
[4]
문서
[5]
서적
The [[Broken Spears]]: The Aztec Accounts of the Conquest of Mexico.
Beacon Press
1992
[6]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
[7]
문서
Prescott, Appendix.
[8]
문서
Prescott, Book 5, Chapter 3.
[9]
간행물
[[브리タニ카국제대백과사전]]소항목사전
https://kotobank.jp/[...]
[10]
간행물
Diccionario Biográfico Español de la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http://dbe.rah.es/bi[...]
[11]
논문
¿Lloró Cortés en el “Árbol de la Noche Triste”?
https://arqueologiam[...]
[12]
논문
Cuitláhuac. La visión de un vencedor
https://arqueologi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