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홀 참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리아홀 참사는 1883년 6월 16일 영국 선덜랜드의 빅토리아 홀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이 끝난 후 발생한 압사 사고이다. 공연 후 상품을 받기 위해 몰려든 어린이들이 좁은 문으로 쏟아지면서 183명이 사망했다. 이 참사는 공공 오락 시설의 비상구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률 제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푸시 바" 비상 문의 발명을 이끌었다. 빅토리아 여왕은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하고 기금을 조성했으며,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기념비가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덜랜드 - 선덜랜드 대학교
선덜랜드 대학교는 1901년 설립되어 1992년 대학교 지위를 얻은 영국의 공립 대학교이며, 시티, 세인트 피터스, 런던, 홍콩 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학부 과정을 제공하고, 연구 성과와 학생 활동을 지원하지만, 최근 구조조정 등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빅토리아홀 참사 | |
---|---|
기본 정보 | |
명칭 | 빅토리아 홀 참사 |
발생 위치 | 영국 타인 위어 주 선덜랜드 빅토리아 홀 |
발생 날짜 | 1883년 6월 16일 |
발생 시간 | 오후 3시 |
사고 유형 | 군중 압사 |
사망자 수 | 183명 |
추가 정보 | 3세에서 14세 사이의 어린이들이 무료 장난감을 받기 위해 무대로 몰려들다가 압사함. |
![]() |
2. 사건
1883년 6월 16일, 순회 공연자들인 페이 부부(Mr. Fay, Mrs. Fay)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버라이어티 쇼 공연 이후 비극적인 참사가 발생했다.[13][14][1][2] 공연 자체는 마술 중 발생한 연기로 일부 앞줄 어린이들이 불편을 겪은 것을 제외하면[1] 큰 문제 없이 마무리되었다.
사건은 공연이 끝난 직후 시작되었다. 특정 번호표를 가진 어린이들에게 출구에서 상품을 나누어 준다는 안내와 함께, 무대 위에서도 객석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배포하기 시작했다. 이 소식에 갤러리에 있던 약 1,100명으로 추산되는 어린이들은 선물을 놓칠세라 아래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으로 한꺼번에 몰려들었다.[15][3]
그러나 계단 끝에 있던 문은 안쪽으로 열리는 구조였으며, 상품 표를 순서대로 확인하려는 목적으로[16] 한 번에 한 명의 어린이만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로 좁게 고정되어 있었다.[4] 현장에는 질서를 유지할 어른이 거의 없었고,[14] 흥분한 어린이들이 계단 아래로 계속 밀려들면서 문 앞에 있던 아이들은 뒤따르는 군중의 무게에 눌려 압사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2]
객석에 남아 있던 어른들은 뒤늦게 상황을 파악하고 문으로 달려갔지만, 문을 잠근 볼트가 어린이들이 몰려 있는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 밖에서는 열 수 없었다. 건물 관리인 프레데릭 그레이엄을 비롯한 어른들이 필사적으로 구조에 나섰다.[1]
2. 1. 당시 상황 증언
1883년 6월 16일, 순회 공연자들인 페이 부부(Mr. Fay, Mrs. Fay)는 어린이들을 위한 버라이어티 쇼를 선보였다.[1][2] 다양한 마술과 환술로 구성된 이 순회 마술 쇼는 대체로 별다른 문제 없이 진행되었으나, 마술 중 사용된 연기로 인해 앞줄에 앉았던 일부 어린이들이 불편함을 느끼거나 구토를 하기도 했다.공연이 끝날 무렵, 특정 번호표를 가진 어린이들에게 출구에서 상품을 나누어 준다는 안내가 있었다. 동시에 무대 위에서도 객석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나누어 주기 시작했다. 이 소식을 들은 갤러리에 있던 약 1,100명의 어린이들은 선물을 놓칠세라 아래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으로 급히 몰려들었다.[3]
문제는 계단 아래쪽에 있는 문에서 발생했다. 이 문은 안쪽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었고, 한 번에 한 명의 어린이만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로 좁게 고정되어 있었다. 이는 아마도 상품을 받을 티켓을 순서대로 확인하기 위한 조치로 추정된다.[4] 하지만 현장에는 질서를 유지할 어른이 거의 없었고, 어린이들은 앞다투어 계단을 내려가면서 문 쪽으로 심하게 몰렸다. 결국 앞쪽에 있던 어린이들은 문과 뒤따라오는 인파 사이에 끼어 옴짝달싹 못하게 되었고, 뒤에서 계속 밀려드는 군중의 무게에 눌려 압사하는 참혹한 사고가 발생했다.[2]
객석에 남아 있던 어른들은 뒤늦게 상황의 심각성을 깨닫고 문으로 달려갔지만, 문을 잠근 볼트가 어린이들이 몰려 있는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 밖에서는 열 수가 없었다. 건물 관리인 프레데릭 그레이엄은 겹겹이 쌓인 아이들을 빼내려 했으나 역부족이었고, 대신 다른 계단을 통해 위층으로 올라가 다른 출구로 약 600명의 아이들을 안전하게 대피시켰다.[1] 그 사이 다른 어른들은 좁게 열린 문틈으로 필사적으로 아이들을 한 명씩 끌어냈고, 한 남성은 결국 문을 경첩에서 뜯어내기도 했다.[1]
당시 생존자였던 윌리엄 코들링 주니어는 1894년에 당시의 끔찍했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 곧 우리는 매우 불편하게 꽉 찼지만 계속 아래로 내려갔다. 갑자기 계단에 누군가를 밟고 있다는 것을 느꼈고, 뒤에 있는 사람들에게 공포에 질려 "물러서! 물러서! 누군가 쓰러졌어!"라고 외쳤다. 소용없었다. 나는 군중과 함께 천천히 앞으로 나아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감정 없이 다른 사람들을 밟고 지나갔다.[5]
3. 사고 이후
이 참사로 인해 3세에서 14세 사이의 어린이 183명이 압박성 질식으로 사망했다.[6] 빅토리아 여왕은 유족들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보내고 재난 기금에 기부했으며,[7][17] 영국 전역에서 모인 기부금 5000GBP는 어린이들의 장례식과 모브레이 공원의 기념비 건립에 사용되었다.[2][8] 이 기념비는 후에 비숍웨어머스 묘지로 옮겨졌다가 훼손되었으나, 2002년 복원되어 다시 모브레이 공원으로 돌아왔다.[14][18][2][8]
참사 이후 전국적인 공분이 일었으며, 공공 오락 시설에 최소한의 외부 개방형 비상구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률이 제정되었고,[2] 이는 '푸시 바' 비상문의 발명으로 이어졌다.[9] 하지만 참사에 대한 책임으로 기소된 사람은 없었다.[2] 빅토리아 홀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낙하산 지뢰에 의해 파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2][10] 2010년부터는 매년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다.[11]
3. 1. 법률 제정에 미친 영향
당시 신문 보도는 전국적인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그 결과, 조사를 통해 공공 오락 시설에 최소한의 외부로 열리는 비상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2] 이는 "푸시 바" 비상 문의 발명으로 이어졌다.[9] 이 법은 여전히 유효하다.[2] 참사로 인해 기소된 사람은 없었으며,[2] 문을 볼트로 잠근 책임자는 밝혀지지 않았다.[2]3. 2. 그 이후
이 참사로 3세에서 14세 사이의 어린이 183명이 압박성 질식으로 사망했다. 희생자들에 대한 의학적 소견은 1883년 6월 23일자 영국 의학 저널에 상세히 기록되었다.[6]
빅토리아 여왕은 희생자 유족들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보내고 재난 기금에 기부했다.[7][17] 영국 전역에서 모인 기부금 5000GBP는 어린이들의 장례식과 모브레이 공원에 세워진 기념비 건립에 사용되었다. 죽은 아이를 안고 슬퍼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기념비는 이후 비숍웨어머스 묘지로 옮겨졌다가 점차 훼손되었다. 2002년, 6.3만파운드를 들여 대리석 조각상을 복원하고 보호 덮개를 씌워 다시 모브레이 공원으로 옮겼다.[14][18][2][8]
당시 신문 보도를 통해 참사 소식이 알려지자 영국 전역에서 분노가 일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공공 오락 시설에는 반드시 바깥쪽으로 열리는 비상구를 최소한으로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법률이 제정되었고,[2] 이는 밀기만 하면 열리는 비상문인 '푸시 바'(push bar)의 발명으로 이어졌다.[9] 이 법은 현재까지도 유효하다.[2]
그러나 참사에 대한 책임으로 기소된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며,[2] 문을 잠근 책임자 역시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사건이 발생했던 빅토리아 홀은 계속 사용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독일군의 공습으로 낙하산 지뢰에 맞아 파괴되었다.[2][10]
2010년부터는 선덜랜드 올드 타운십 헤리티지 협회 주관으로 매년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다.[11]
4. 미디어에서의 묘사
스코틀랜드의 시인 윌리엄 맥고나겔은 이 참사를 주제로 "The Sunderland Calamity"(선덜랜드의 재앙)라는 시를 썼다.[19][12]
5. 한국 사회에 주는 교훈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Sunderland's Victoria Hall Stampede
http://www.north-cou[...]
2007-01-27
[2]
웹사이트
Children's deaths that shocked the world
http://www.sunderlan[...]
2008-06-13
[3]
웹사이트
Victims of the Victoria Hall Calamity
http://www.genuki.or[...]
2007-01-27
[4]
간행물
The Victoria Hall Disaster 1883
http://www.sunderlan[...]
Sunderland City Council
2013-10-18
[5]
웹사이트
Remembrances of the Victoria Hall Disaster 1883
http://www.durhampas[...]
2007-01-27
[6]
논문
The Sunderland catastrophe
1883-06-23
[7]
웹사이트
Victoria Hall Disaster Toy Rocking Horse
http://www.bbc.co.uk[...]
BBC
2018-06-15
[8]
뉴스
Toy Tragedy Children Honoured
http://news.bbc.co.u[...]
2002-05-12
[9]
웹사이트
183 Children Died in a Stampede for Toys in 1883
http://www.smithsoni[...]
2013-08-19
[10]
서적
Alice in Sunderland: An Entertainment
Jonathon Cape
[11]
웹사이트
Sunderland falls silent to remember 183 children killed at Victoria Hall disaster
https://www.sunderla[...]
2017-06-16
[12]
웹사이트
The Sunderland Calamity
https://allpoetry.co[...]
2021-12-30
[13]
웹인용
Sunderland's Victoria Hall Stampede
http://www.north-cou[...]
2007-01-27
[14]
웹인용
Children's deaths that shocked the world
http://www.sunderlan[...]
2008-06-13
[15]
웹인용
Victims of the Victoria Hall Calamity
http://www.genuki.or[...]
2007-01-27
[16]
간행물
The Victoria Hall Disaster 1883
http://www.sunderlan[...]
Sunderland City Council
2013-10-18
[17]
웹인용
Victoria Hall Disaster Toy Rocking Horse
http://www.bbc.co.uk[...]
BBC
2018-06-15
[18]
뉴스
Toy Tragedy Children Honoured
http://news.bbc.co.u[...]
2002-05-12
[19]
웹인용
The Sunderland Calamity
https://allpoetry.co[...]
2021-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