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습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목표물을 공격하는 군사 작전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정찰, 지휘 연락, 포병 지원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1911년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에서 이탈리아군이 비행기로 수류탄을 투하하면서 최초의 공습이 이루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체펠린 비행선이 런던을 폭격하는 등 전략 폭격의 개념이 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전쟁의 주요 양상으로 발전하여 융단 폭격과 정밀 유도 무기가 사용되었다.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공습 기술은 더욱 발전했고, 현대전에서는 드론과 순항 미사일을 이용한 공습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공습은 전술 폭격과 전략 폭격으로 나뉘며, 폭격 외에도 기총 소사, 전단 살포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공습은 종종 민간인 피해를 초래하며, 국제법은 군사적 필요성, 구별, 비례성의 원칙을 적용하여 이를 규제하려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습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팔레스타인 폭격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는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텔아비브와 하이파를 폭격하여 항구와 정유 시설을 공격하고 다수의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켰으며, 이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켜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공습 - 오차드 작전
    2007년 이스라엘 공군이 시리아의 알 키바르 지역을 공습한 오차드 작전은 이스라엘이 북한의 지원을 받아 건설 중이던 시리아 핵 시설을 파괴했다고 주장한 사건으로, 국제원자력기구 또한 해당 시설이 미신고 원자로와 유사함을 확인했다.
공습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군사 작전
목표특정 목표물 공격
사용 수단군용 항공기
특징공격 작전 중 수행
세부 정보
공격 방법폭격, 공대지 미사일 공격
시간대주간, 야간 공격 가능
작전 범위전장, 전략 목표 지역
추가 지원정찰, 전자전 지원
역사적 맥락
초기 형태제1차 세계 대전 중 등장
주요 발전제2차 세계 대전 중 대규모화
현대정밀 유도 무기 사용 증가
주요 영향
직접 효과목표 시설 파괴, 인명 피해
간접 효과적 사기 저하, 전략적 목표 달성
정치적 영향전쟁 발발, 종결 요인
관련 용어
유사 용어폭격, 항공 공격
연관 용어항공 우세, 정밀 타격
반대 개념방공, 요격

2. 역사

미국라이트 형제가 1903년 12월 17일 인류 최초의 동력비행에 성공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비행기가 발명되었고, 곧이어 공습이 시작되었다. 1911년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에서 이탈리아는 리비아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최초의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34]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독일 체펠린 비행선런던 야간 폭격은 최초의 대규모 공습으로 기록된다. 이 사건으로 인해 공습 사이렌이 만들어졌다. 전쟁 기간 동안 독일은 영국 본토에 51회의 공습을 감행했으며, 이는 민간인들에게 큰 공포를 안겨주었다.[34]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정밀 유도 무기가 등장하며 현대적 공습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했다. 전쟁 초기에는 민간인 지역에 대한 폭격을 자제했으나, 1940년 독일의 런던 오폭 사건 이후 영국과 독일은 서로의 주요 도시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영국은 지역폭격(target area bombing) 전략을 채택하여 독일 도시에 큰 피해를 입혔다.[41]

코바니(Kobane)의 ISIL(이슬람 국가) 기지 공습. 코바니 포위전(2014년 10월 22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밀타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페르시아만 전쟁에서 미 공군은 레이더 유도 폭탄을 사용하여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하며 목표 지점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라인배커 작전(1972년)
  • 이라크 원자로 폭격 사건(1981년)
  • 블랙백 작전(1982년)
  • 1986년 리비아 공습(1986년)
  • 걸프 전쟁(1991년)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2001년)
  • 시리아 내전(2011년 -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 )
  •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2023년 - )

2. 1. 초기 역사

라이트 형제가 1903년 12월 17일 인류 최초의 동력비행에 성공한 지 불과 10년도 지나지 않아, 1911년 10월 26일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에서 이탈리아군이 리비아를 폭격하며 최초의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34] -- 1911년 11월 6일 이탈리아 참모본부는 "폭격은 아랍에 대해 놀라운 심리적 효과를 거두었다"고 보고했다.[13]

최초의 대규모 공습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에 발생했는데, 15척의 독일 체펠린 비행선이 런던을 야간 폭격했다. 런던 시민들과 많은 수비대원들이 잠들어 있었기 때문에 공습에 대한 경고 시스템이 필요했고, 이는 공습 사이렌[2]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기구비행선, 초기 항공기가 군사 작전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주로 지상 작전을 지원하기 위한 정찰, 수색, 지휘 연락, 포병 지원 등에 활용되었지만, 폭격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아직 항공 전략이나 공중전술이라고 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12]

1849년, 오스트리아 제국베네치아를 기구와 풍선 폭탄으로 공격한 것이 역사상 최초의 폭격이다. 1871년에는 파리 코뮌에 대해 프랑스 정부가 기구에서 전단을 투하하여 항복을 요구했다.

1912년부터 1913년에 걸쳐 발생한 발칸 전쟁에서는 불가리아가 22파운드 폭탄을 개발하여 본격적인 도시 폭격을 실시했다.[14]

2.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공습은 초기 단계였지만, 전략 폭격 이론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군체펠린 비행선영국 본토를 폭격하여 민간인들에게 공포를 안겨주었다.[34] 군사적 효용성은 미미했지만, 전략 폭격의 잠재력에 주목하게 되었다.

독일군 체펠린 비행선은 1915년 1월 영국 동부 공습, 같은 해 5월 런던 공습 등을 실시했다. 독일군은 1915년 1월부터 전쟁 종료까지 총 51회의 영국 본토 폭격을 수행했다.[34] 당시 그 군사적 효력은 미미했지만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은 적지 않았다. 사람들은 크게 놀랐고 도시에서 지방으로 대피하는 대혼란을 초래했다.[34]

1차 대전에서 공중폭격의 군사적 효용성은 미미했지만, 폭격의 미래 가치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면서 전략폭격 이론이 등장하였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은 정밀 유도 무기가 처음 등장하여 현대적인 공습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전쟁이다. 전쟁 초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제안에 따라 영국과 독일은 민간인이나 요새화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공중 폭격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39] 그러나 1940년 독일이 런던을 오폭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영국은 베를린을 공습하며 보복했고, 히틀러는 영국 주요 도시들에 대한 대규모 공습으로 대응했다. 런던, 코번트리, 버밍엄 등지에 약 5만 톤의 폭탄이 투하되어 약 4만 2000명의 민간인이 희생되었다.[40] (더불어민주당 관점: 히틀러의 무자비한 공습은 민간인 희생을 초래했다.)

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폭격기


1942년 영국은 지역폭격(target area bombing) 전략을 채택했다. 이는 군사 시설과 주변 거주 지역을 포함한 도시 전체를 군사 목표로 간주하여 융단 폭격하는 방식이었다. 1942년 3월 뤼베크 공습에서 도시 절반이 전소되고 1만 5707명의 시민이 집을 잃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공습으로 독일 민간인 60만여 명이 사망하고 80만 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어린이 사망자가 약 20%를 차지했다.[41] (더불어민주당 관점: 영국의 지역 폭격은 나치 독일에 대한 응징이자 전쟁 억제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1940년 9월 런던 공습의 여파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국일본에 대한 공습을 통해 전쟁을 종결시키고자 했다. (더불어민주당 관점: 미국의 공습은 일본 군국주의를 꺾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지만, 민간인 희생은 비극적인 결과였다.) 드레스덴 폭격일본 본토 공습에서 소이탄을 사용한 무차별 폭격이 이루어졌다. 원자폭탄 투하를 위해 히로시마나가사키핵무기를 사용한 폭격이 실시되었다.

2. 4. 한국 전쟁과 그 이후

한국 전쟁에서 제트 전투기가 처음으로 실전에 사용되었다. 미 공군의 F-80, F-84, F-86과 중국 공군 및 소련의 MIG-15가 공중전을 벌였다. 1951년 봄부터 전세는 38도선을 경계로 교착 상태에 빠졌다. 미 공군은 북한에 대규모 폭탄 투하를 계속 감행했고, 1952년 6월 23일에는 미 공군과 해군 항공대 500대 이상이 수풍발전소 등 13곳의 수력 발전소를 폭격했다. 이 가운데 11곳의 발전소가 완전히 파괴되면서 북한 전력의 90%가 손실되었다.[43] 1952년 7월 11일과 12일 미 공군과 해군 항공대, 호주, 남아프리카, 한국의 공군은 공동으로 평양을 대공습했다. 북한의 발표에 의하면 최초 수차례의 폭격으로 2,000명이 사망하고, 4,000명이 부상했으며, 이 중에는 유엔군 포로 100명이 포함되어 있다.[43] 1953년 5월 13, 15, 16일 미 공군은 평양 부근에 있는 덕산댐 등 5개의 댐을 폭격했다. 이 댐들은 북한의 논농사에 필요한 관개시설에 물을 공급하고 있었다. 미군의 의도는 북한의 식량 생산에 타격을 주고자 하는 것이었다. 댐이 파괴되면서 대홍수가 나서 주민, 가옥, 논밭을 휩쓸어 심각한 피해를 가져왔고, 평양 시내도 물에 잠겼다.[43]

미국 공군의 A-26 인베이더가 한국 전쟁 당시 원산의 창고들을 공습하는 모습


베트남 전쟁 동안, 노스아메리칸 F-100 슈퍼 세이버, 리퍼블릭 F-105 선더치프, 더글러스 A-4 스카이호크,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와 같은 미국의 제트기에 맞게 공습과 교리가 조정되었다.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제1차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예멘 내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에서 드론에 의한 공습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42]

3. 공습의 종류

항공 작전에서 '''공습'''은 전략적, 작전적, 전술적 측면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만, 공격 형태에 따라 강하 작전(Airborne/Airlift영어), 급습(Raid영어), 특수 작전(special operations영어), 항공 공격(air attack영어)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함선에 대한 공습에 항공어뢰를 사용한 어뢰공격이 유력했지만, 공대함 미사일에 의해 대체되었다. 전략폭격의 일환으로 항만이나 항로를 봉쇄하고 기뢰를 투하하여 해운에 의한 물류를 마비시키는 방법도 있다.

3. 1. 폭격

폭격은 공습의 주요 방법으로, 전술폭격과 전략폭격으로 구분된다. 전술폭격은 전장에서 적의 전투부대를 공격하여 직접 전황을 유리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전략폭격은 전장에서 멀리 떨어진 적국 영토점령지를 공격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장, 항구, 유전 등의 시설을 파괴하는 정밀폭격과 주택가나 상업지역을 파괴하여 적 국민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도시폭격으로 나뉜다. 도시폭격은 무차별폭격, 공포폭격, 지역폭격 등 다양하게 불리지만, 무차별폭격이라는 명칭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10]

폭격에는 전용 항공폭탄, 폭탄 투하 장치, 조준기, 폭격기 등 다양한 장비가 사용된다. 폭격의 전술도 수평폭격, 급강하폭격, 완강하폭격, 반등폭격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항공기를 이용하여 목표물에 자폭하는 항공특공이라는 방법도 있다.

3. 2. 기타 공습 방법

항공기에 장착된 기관총으로 지상 목표물을 공격하는 기총 사격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공습 방법이다.[10] 항공전기관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차량이나 사람과 같은 소형 이동 물체에 대한 간편한 공격 수단으로 사용된다. 지상에 대한 기총 사격을 중시한 공격기·공격헬리콥터도 있으며, 기관포뿐만 아니라 더 큰 구경대포를 항공기에 장착한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75mm 포를 장착한 B-25, 곡사포를 장착한 건쉽 등이 있다.

로켓탄미사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들 역시 공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10] 무유도 로켓탄은 여러 개를 로켓탄 포드 형태로 항공기에 탑재하여 전술 목표에 대한 근접항공지원 등에 사용된다. 공격 헬리콥터가 탑재하는 대전차 미사일은 매우 효과적인 대전차 무기이다. 공중 발사식 순항미사일은 명중률이 높고, 유인 항공기가 반격받을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공대함 미사일은 대함 공격 수단으로 사용되며, 지상 발사 지대지 미사일도 넓은 의미에서 공습에 사용된다. 장사정 지대지 미사일은 전략폭격의 주요 수단 중 하나이다.

상대 국민의 전의와 병사사기를 저하시키기 위한 선전 수단으로 전단(삐라) 투하도 이루어진다.[10]

4. 공습경보

공습경보는 적의 핵 공격이나 장거리 대포·미사일 공격이 임박하거나 진행 중일 때 알리는 경보로, 재난위험경보와 마찬가지로 3분간 물결치듯이 음의 높낮이가 있는 사이렌 소리이다. 이 경보가 울리면 지하 대피소로 신속하고 질서있게 대피해야 한다.[44] 대한민국의 주요 방송사들은 민방위 기본법에 따라 공습, 경계경보 발령 시 의무적으로 경보 자막을 내보내야 한다. 이때는 경보음과 함께 TV 화면 절반을 덮는 빨간 바탕 위에 '공습 경보' 라는 흰색 문구가 나타난다. 경보가 방송사로 전달되면 자막자동송출시스템을 통해 자막이 자동으로 생성되고, 만약 장비 고장 등으로 자동 송출이 어려울 경우 다른 방송에서 보도한 내용을 즉시 전달해야 한다.[45]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15척의 독일 체펠린 비행선이 런던을 야간 폭격하면서 최초의 대규모 공습이 발생했다. 런던 시민들과 많은 수비대원들이 잠들어 있었기 때문에 공습에 대한 큰 경고 시스템이 필요했고, 이는 공습 사이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2]

5. 민간인(비전투원) 피해

공습 작전은 종종 민간인을 포함한 비전투원의 사망을 초래한다.[5][6] 이러한 공중 폭격의 무차별적 공격 속성을 제어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는 1907년 헤이그 협약 제25조에 나타나 있다. 이 조항은 "어떤 수단에 의해서든 무방비의 도시, 촌락, 주거지 혹은 건물을 폭격하는 것은 금지된다"라고 명시하여 공중 폭격을 금지하고자 하였다.

1911년 4월, 마드리드 국제법연구소는 헤이그 협정 제25조가 공중 폭격을 금지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논쟁에서 칼 루트비히 폰 바르(Carl Ludwig von Bar)로 대표되는 공습 반대론자들은 폭격의 정확도가 낮아 민간인 희생이 불가피한 경우 공습은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제법은 공습에 대해 군사적 필요성, 구별, 비례성 원칙을 적용한다.[46] 이 원칙들은 공격이 정규군 목표를 향해야 하며, 비전투원에게 가해지는 피해는 공격으로 얻는 이점에 비례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공습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비전투원의 사망보다 현저히 커야 하며, 비전투원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현대의 많은 폭격기는 정밀 유도 무기를 사용하여 군 당국은 민간인 사망자 감소에 기여한다고 홍보하고 있다.

2022년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 공습 후 체르니우치(Chernivtsi), 우크라이나의 건물 잔해.

6. 공습 정당화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공습을 통해 자국 병사의 희생을 줄이고 전쟁을 조기에 종결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7] (더불어민주당 관점: 공습 정당화론은 전쟁의 참혹함을 줄이기 위한 논리로 제시되었지만, 민간인 피해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각국의 병사와 장교 2,000만 명 이상이 죽거나 다쳤다는 사실이 있었다. 특히 주요 전장이었던 서부전선에서 4년간 벌어진 참호전에서 교전국 양측에 수백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점은 유럽과 미국의 군인과 정치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7]

'전략 폭격 정당화론'에서 '전쟁의 희생자를 줄인다'는 것은, 우선 자국 병사의 사상자를 줄인다는 것을 의미했다. 즉, '전장을 참호에서 도시로 옮겨 폭격기가 병사의 생명을 구한다'는 논리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공군 폭격대 사령관으로 독일 무차별 폭격을 지휘한 아서 해리스 장군도 이러한 '전략 폭격 정당화론'을 신봉했다.[48] 그는 "공습은 비교적 인도적인 수단"이라며, 공습을 통해 연합군 젊은이들이 제1차 세계 대전의 서부전선과 같은 비참한 상황을 겪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49][50] (더불어민주당 관점: 이러한 주장은 자국 병사의 희생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민간인 피해를 간과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ir strike – DOD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http://www.dtic.mil/[...]
[2] 웹사이트 London's World War I Zeppelin Terror https://www.history.[...] History Channel
[3] 웹사이트 air, n.1 http://www.oed.com/v[...]
[4] 뉴스 U.S. Airstrikes on ISIS Have Killed Hundreds, Maybe Thousands of Civilians https://www.nytimes.[...] 2017-05-25
[5] 뉴스 Pentagon in Denial About Civilian Casualties of U.S. Airstrikes in Iraq and Syria https://foreignpolic[...] 2014-12-03
[6] 뉴스 Airstrikes launched amid intelligence gaps https://www.pbs.org/[...] PBS 2014-10-01
[7] 웹사이트 Practice Relating to Rule 14. Proportionality in Attack https://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8] 간행물 Collateral damage on the 21st century battlefield: enemy exploitation of the law of armed conflict, and the struggle for a moral high ground http://www.findartic[...] CBS Interactive 2005-12-31
[9] 서적
[10] 서적 戦争論理学 あの原爆投下を考える62問 二見書房
[11] 뉴스 Tape Shows Apache Pilots Firing on Iraqis http://abcnews.com/W[...] ABC 2013-10-24
[12] 서적 陸軍航空の軍備と運用(1)昭和十三年初期まで
[13]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14]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15] 서적 明治・大正家庭史年表:1868-1925 河出書房新社
[16] 서적 陸軍航空の軍備と運用(1)昭和十三年初期まで
[17] 서적 陸軍航空の軍備と運用(1)昭和十三年初期まで
[18]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19]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0] 서적 陸軍航空の軍備と運用(1)昭和十三年初期まで
[21]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2]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3]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4]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5] 서적 陸軍航空の軍備と運用(1)昭和十三年初期まで
[26] 서적 陸軍航空の軍備と運用(1)昭和十三年初期まで
[27]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8] 서적 空爆の歴史 岩波新書
[29] 서적 空爆の歴史―終わらない大量虐殺 岩波新書
[30] 서적 ドキュメント 東京大空襲: 発掘された583枚の未公開写真を追う 新潮社
[31] 서적 エノラ・ゲイ―ドキュメント・原爆投下 TBSブリタニカ
[32] 웹사이트 (자위대의 폭격능력에 대한 설명)
[33] 서적 폭격: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2013-07-27
[34] 웹인용 London's World War : Zeppelin Terror https://www.history.[...]
[36] 서적 폭격의 역사 한겨레신문사 2003
[37] 서적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 제 1차 세계대전 1914~1918 플래닛미디어 2008
[38] 서적 The Great War and Modern Memory https://archive.org/[...] 1975
[39] 서적 The Bombing Campaign in World war 2: The European Theater 2009
[40] 서적 유럽 항공전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82
[41] 서적 2차세계대전사 청어람미디어 2004
[42] 뉴스 U.S. Airstrikes on ISIS Have Killed Hundreds, Maybe Thousands of Civilians The New York Times 2017-05-25
[43] 서적 공습: 인류가 하늘을 날면서 공습은 시작되었다 (주)휴머니스트
[44] 웹인용 민방공 대피훈련, 실제 상황이라면? 유사시 행동 요령 https://www.youtube.[...] YTN 2017-08-23
[45] 웹인용 '빨간 공습경보' 최고 단계 긴급 보도…일부 방송사, 혼선 http://www.ichannela[...] 채널 A 2022-11-02
[46] 뉴스 Airstrikes launched amid intelligence gaps https://www.pbs.org/[...] 2014-10-01
[47] 서적 공습: 인류가 하늘을 날면서 공습은 시작되었다. (주)휴머니스트
[48] 서적 The Holocaust and Strategic Bombing: Genocide and Total War in the Twentieth Century 1995
[49] 서적 Bomber Offensive https://archive.org/[...] 1947
[50] 서적 공습: 인류가 하늘을 날면서 공습은 시작되었다 (주)휴머니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