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공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공씨는 중국 주나라 진(晉)나라 때 사공 벼슬을 지낸 가신(賈辛)에게서 유래된 성씨이다. 한국의 사공씨는 효령(군위)을 본관으로 하며, 2000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4,307명이 확인되었다. 시조는 당나라 희종 때 예부시랑을 지낸 사공도이며, 고려 충숙왕 때 효령군에 봉해진 사공중상을 1세조로 한다. 사공중상의 후손으로 사공실, 사공민 등이 있으며, 현대 인물로는 사공일, 사공영진, 사공용 등이 있다.
'''사공'''(司空)씨는 중국(中國) 돈구(頓丘 : 현재의 허베이성 다밍현 일대)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었던 진(晉)나라 때 가신(賈辛)이라는 인물이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는데, 왕으로부터 벼슬 이름을 성(姓)으로 하사(下賜)받은 것이 사공씨의 시작이라고 전해진다.
'''사공'''(司空)씨는 대한민국의 성씨 중 하나이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4,307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효령(군위) 단본이다.
2. 기원
3. 한국의 사공씨
효령 사공씨의 시조는 당나라 희종 때 예부시랑을 지낸 사공도(司空圖)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고려 충숙왕 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삼고 있다.
3. 1. 효령 사공씨
'''효령 사공씨'''(孝令 司空氏)의 시조는 당나라 희종(僖宗)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사공도'''(司空圖)이다. 사공도는 897년(신라 효공왕 1년) 황소의 난을 피해 일가족과 동료 7학사를 데리고 신라로 건너와 당나라 문화 보급에 앞장섰다. 이후 난이 평정되자 사공도는 당나라로 돌아갔으나, 신라에 남은 그의 가족과 후예들이 사공씨의 계통을 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시조 이후의 계보가 명확하지 않아,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寺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삼고 있다.
사공중상의 아들인 사공실(司空實)은 1353년(고려 공민왕 2년) 문과에 급제하여 광흥창사(廣興倉使)와 대호군(大護軍)을 역임했다. 또한 한림박사(翰林博士)로서 뛰어난 문장과 덕행으로 명성을 떨쳐 「동방명현록(東方名賢錄)」에 이름이 기록되었다.[1]
사공실(司空實)의 아들인 사공민(司空敏)은 고려 말의 명장 최영(崔瑩) 장군의 사위이다. 사공민(司空敏)은 공민왕과 창왕 대에 걸쳐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삼사 부윤(三司府尹)을 지냈으며, 숭록대부(崇祿大夫)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의 지위에 올랐다. 하지만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절의(節義)를 지켰다.[2] 사공민(司空敏)의 사위는 남양 홍씨 창사공(倉使公) 홍계강(洪季康)이다.
3. 2. 고려시대 인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시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功)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효령 사공씨의 1세조로 한다.
사공중상의 아들 사공실(司空實)은 1353년(공민왕 2년) 문과에 급제하여 광흥창사(廣興倉使)와 대호군(大護軍)을 지냈다. 한림박사(翰林博士)로서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이 뛰어나 「동방명현록(東方名賢錄)」에 이름이 기록되었다.[1]
사공실(司空實)의 아들 사공민(司空敏)은 고려 우왕의 장인이었던 최영(崔瑩) 장군의 사위이다. 사공민(司空敏)은 공민왕과 창왕 대에 걸쳐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삼사 부윤(三司府尹)을 지냈으며, 숭록대부(崇祿大夫)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의 지위에 올랐다. 그러나 고려의 국운(國運)이 기울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절의(節義)를 지켰다.[2] 사공민(司空敏)의 사위는 남양 홍씨 창사공(倉使公) 홍계강(洪季康)이다.
4. 현대 인물
참조
[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사공실
[2]
웹인용
효령 사공씨
http://www.jokb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