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자자리 유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자자리 유성군은 사자자리 부근에서 나타나는 유성군으로, 11월 14일부터 24일까지 활동하며 극대기는 11월 17일경이다. 템펠-터틀 혜성의 먼지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유성 속도가 매우 빠르고 밝은 유성을 보이기도 한다. 33년 주기로 템펠-터틀 혜성이 태양에 근접할 때 유성군의 출현 수가 증가하며, 과거 대규모 유성우를 여러 차례 기록했다. 1998년 이후 데이비드 애셔 등에 의해 유성군 출현 시각과 규모를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2001년 대규모 유성우 관측 이후 유성우 관측 활동이 활발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성우 - 사분의자리 유성우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매년 1월 초에 나타나는 유성우로, 폐지된 별자리인 사분의자리에서 복사점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복사점은 목동자리와 용자리 사이에 있으며, 최대 시간당 유성수는 변동이 심하고 활동 기간은 짧으며, 소행성 2003 EH₁이 모천체로 추정되고 혜성 C/1490 Y1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 유성우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사자자리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사자자리 - K2-18b
    K2-18b는 지구에서 124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K2-18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대기 중 수증기, 메탄, 이산화탄소, 다이메틸 설파이드가 검출되었으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사자자리 유성군
기본 정보
사자자리 유성
2009년 사자자리 유성군
최초 기록902년
모체55P/템펠-터틀 혜성
별자리사자자리
활동 기간11월 3일 – 12월 2일
극대기11월 17일
유성 속도70–71
시간당 천정복사수 (ZHR)15

2. 특징

사자자리 유성군의 복사점은 사자자리 γ별 부근에 있어 '''사자자리 γ 유성군'''이라고도 불린다. 활동 기간은 보통 11월 14일부터 11월 24일까지이지만, 11월 상순부터 활동이 관측되기도 한다. 극대기는 11월 17일경이 많지만, 며칠 정도 차이가 날 수도 있다.[1]

2. 1. 빠른 속도와 밝은 유성

템펠-터틀 혜성은 궤도 경사각이 커서, 사자자리 유성군의 먼지들은 지구와 정면 충돌에 가까운 형태로 지구 대기권에 들어온다. 지구의 공전 속도가 더해져 유성의 대지 속도는 초속 71km로, 모든 유성군 중 가장 빠르다. 사자자리 유성군의 유성도 이에 따라 빠르게 흐른다.[1]

새벽 2시경에는 복사점의 고도가 높아져 유성이 짧은 시간에 짙은 대기층에 들어오기 때문에 순식간에 사라지지만, 짙은 대기와의 충돌로 밝기가 증가한다. 그래서 화구라고 불리는 밝은 유성을 가끔 볼 수 있다.[1]

2. 2. 출현 시간과 관측 조건

사자자리 유성군은 복사점이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밤 11시경부터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복사점 고도가 낮은 시간대에는 유성 물질이 대기층에 거의 수평으로 돌입하기 때문에, 긴 궤적을 그리며 비교적 긴 시간(수 초 정도) 동안 날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유성흔이라고 불리는 연기 같은 흔적을 짧은 시간 동안 남기기도 한다.[46]

새벽 2시경에는 복사점 고도가 높아져, 짧은 시간에 짙은 대기층에 유성이 돌입하기 때문에, 순식간에 사라지지만, 짙은 대기와의 충돌로 인해 광도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화구라고 불리는 밝은 유성을 가끔 볼 수 있다.[46]

3. 주기적인 대규모 출현

템펠-터틀 혜성은 33년 주기로 태양 근처로 돌아오는데, 이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는 먼지가 많이 남아있다. 그래서 혜성이 태양에 가까워지기 전후 몇 년 동안에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 유성이 나타난다. 혜성이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유성을 보기 어렵지만, 혜성이 돌아올 때쯤이면 시간당 수천에서 수십만 개나 되는 엄청난 수의 유성이 쏟아지는 유성우나 유성 폭풍을 볼 수도 있다.[46]

하지만 혜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오는 해에 반드시 가장 많은 유성이 보이는 것은 아니며, 몇 년 정도 차이가 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템펠-터틀 혜성이 1999년에 돌아왔을 때는 1999년뿐만 아니라 1998년, 2001년, 2002년에도 유성이 많이 관측되었다. 또한, 혜성이 돌아온다고 해서 항상 많은 유성이 보이는 것도 아니었다. 그렇지만 과거에 이렇게 많은 유성이 나타난 것은 대부분 사자자리 유성군이었고, 역사적으로 기록된 대규모 유성우도 사자자리 유성군이 많다.

3. 1. 템펠-터틀 혜성과의 관계

템펠-터틀 혜성은 33년 주기로 태양에 접근하는데, 이때 혜성 궤도 주변에 먼지가 집중되어 사자자리 유성군 활동이 활발해진다.[46]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기 전후 몇 년 동안에는 대규모 유성우 또는 유성 폭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1999년, 2001년, 2002년에는 시간당 최대 3,000개의 사자자리 유성이 관측되는 놀라운 광경이 촬영되었다.[46] 과거 유성 폭풍 기록을 살펴보면, 1833년 폭풍은 1800년의 먼지 궤적과 충돌했기 때문이며,[39] 1866년 폭풍은 템펠-터틀 혜성의 1733년 통과,[40] 1966년 폭풍은 1899년 혜성 통과로 인해 발생했다.[41] 2001년과 2002년의 사자자리 유성 활동 증가는 1767년과 1866년에 혜성에서 방출된 먼지 때문이었다.[42]

피터 제니스켄스는 향후 50년간의 예측을 발표했지만,[43] 목성과의 근접 조우로 인해 혜성 궤도와 유성군이 교란되어 수십 년 동안 역사적인 규모의 폭풍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템펠-터틀 혜성이 태양 근처로 회귀할 때마다 사자자리 유성군의 출현 수는 크게 증가한다. 이는 혜성 궤도상에서 혜성 본체에 가까운 곳에 먼지가 특히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혜성이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해에는 유성 출현이 적지만, 혜성이 회귀할 무렵에는 최대 시간당 수천에서 수십만 개에 달하는 유성우나 유성 폭풍을 볼 수 있다.

혜성에서 방출된 먼지는 여러 번 공전하거나 다른 행성의 중력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 확산되지만, 사자자리 유성군의 먼지는 확산이 잘 진행되지 않아 혜성 궤도를 중심으로 한 관 모양의 범위(더스트 트레일 또는 더스트 튜브)에 집중된다. 영국의 데이비드 애셔는 더스트 트레일이 받는 행성의 중력 영향과 먼지가 받는 광압(태양광 압력)을 고려하여 유성군 출현 시각과 규모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46]

3. 2. 더스트 트레일 예측

혜성에서 방출된 먼지는 여러 번 공전하거나 다른 행성의 중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 확산되지만, 사자자리 유성군의 먼지는 확산이 잘 진행되지 않아 혜성의 궤도를 중심으로 한 관 모양의 범위에 먼지가 집중되어 있다. 이것을 더스트 트레일 또는 더스트 튜브라고 부른다. 이 더스트 트레일의 위치를 방출된 해마다 계산하여 영국의 데이비드 애셔(David Asher) 등은 유성군이 대거 출현하는 시각과 규모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애셔는 더스트 트레일이 받는 행성의 중력의 영향과 먼지가 받는 광압(태양광으로부터 받는 압력)도 고려하여 1998년 이후의 사자자리 유성군의 출현에 대해 예측을 진행했고, 매우 높은 정확도로 극대 시각을 맞혔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2001년에 관측된 대거 출현에서는 최대 출현 시각의 오차가 불과 5분 정도에 그쳐, 이전까지 24시간 이상 빗나가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던 유성군의 극대 시각 예보에 큰 변혁을 가져왔다.

4. 역사적 기록

사자자리 유성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902년 스페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30] 이후 중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도 주기적으로 관측되었다.[30] 1698년, 1799년, 1833년, 1866년, 1966년, 1999년, 2001년에는 대규모 유성우가 나타나 유성 천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사자자리 유성군의 극대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늦어지고 있다. 10세기에는 11월 초, 15세기에는 11월 7~10일경, 20세기 초에는 11월 15일경이었으며, 21세기 초 현재는 11월 17~19일경에 극대기를 맞는다.

4. 1. 주요 관측 사례

1799년 11월 11일부터 11월 12일에 걸쳐 대규모 유성우가 나타났는데, 독일의 알렉산더 폰 훔볼트베네수엘라쿠마나에서 친구인 프랑스 탐험가 에메 봉플랑과 함께 11월 12일 새벽에 우연히 사자자리 유성군을 목격하고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시간당 100만 개에 달하는 유성이 관측되었다고 하며, 훔볼트는 "전 하늘이 유성으로 뒤덮여 달 지름의 3배 이상 되는 유성이 없는 틈은 어디에도 없었다"고 기록했다. 유럽에서도 관측되었다.[6]

1833년 11월 12일부터 11월 13일에 걸쳐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대규모 유성우가 관측되었다. 최대 1시간당 5만 개에 달하는 '비와 같은' 대출현이 관측되었다고 전해진다. 미국 동부 지역에서는 날씨가 좋아 11월 13일 새벽에 많은 사람들이 이를 목격했다. 목격자들은 매우 놀라 "세상의 종말이다", "세상이 불타고 있다"며 울부짖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 유성으로 인해 밖이 밝아져 잠에서 깬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 이 대출현을 묘사한 판화(오른쪽)는 매우 유명하다. 예일 대학교의 데니슨 올름스테드는 이 현상을 상세히 연구하여 유성이 사자자리의 한 점에서 방사상으로 쏟아져 나오는 것과 그 점이 항성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올름스테드는 유성이 평행하게 운동하고 있으며 방사상으로 보이는 것은 투영일 뿐이고, 유성은 대기 현상이 아닌 우주 공간에서 기원한다는 것을 밝혀내 유성 천문학을 확립했다. 또한, 이때 대출현은 33년 주기일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25][26][27] 이 사건은 샤이엔족이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라코타족의 달력이 재설정되는 등 여러 미국 원주민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9][10][11]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생일은 1833년 사자자리 유성 사건을 기준으로 계산되었다.[12]

1866년에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을 중심으로 대규모 유성우가 관측되었다. 규모는 1799년1833년보다 작았지만, 유럽에서 시간당 2,000개, 북아메리카에서 시간당 6,000개의 유성이 관측되어 33년 주기가 증명되었다. 1865년에 발견된 템펠-터틀 혜성의 궤도가 사자자리 유성군과 거의 일치하고, 혜성의 공전 주기가 33년으로 대규모 출현이 관측된 해와 혜성이 회귀하는 해가 일치하면서 유성의 기원이 혜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27]

1966년에는 미국의 애리조나주키트피크 국립 천문대에서 최대 1초에 40개(시간당 약 15만 개)의 맹렬한 유성우가 관측되었다. 그러나 이때 대출현이 관측된 곳은 미국 내 좁은 지역에 한정되었고, 1000km 정도 떨어진 지역에서는 두드러진 출현이 관측되지 않았다. 러시아의 북극권 지역에서도 시간당 2만 개의 대출현이 보고되었다. 애리조나에서는 시간당 1000개 이상의 유성우가 40분 정도 관측되었다. 미국 중서부에서는 당일 날씨가 좋지 않았고, 1900년, 1933년 전후에 대출현이 관측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출현에 대한 기대가 거의 없어 목격자는 상당히 적었다.[29]

2001년 11월 18일부터 11월 19일 새벽까지의 대출현은 북아메리카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측 조건이 좋았다. 특히 일본에서는 대부분 지역에서 날씨가 좋아 전국적으로 시간당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유성우를 관측할 수 있었다. 북아메리카와 하와이에서는 1767년에 방출된 먼지 궤도로 인한 활발한 출현이 일본보다 몇 시간 먼저 관측되었다. 아셔 등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1699년과 1866년의 먼지 궤도로 인한 극대기가 각각 오전 2시 31분과 오전 3시 19분(모두 일본 시간)에 있을 것이며, 특히 3시 19분경에 일본에서 대출현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아셔 등은 그 전 몇 년간의 대출현을 정확히 예측했기 때문에 기대가 높았고, 많은 사람들이 대출현을 목격했다. 실제 극대 시각은 3시 20분 전후로 거의 완벽하게 예측과 일치했으며, 극대기에는 시간당 3000개에서 4000개의 유성이 관측되었다. 사전 예측보다 유성이 많이 나타나는 시간이 길어서, 일본 시간으로 오전 1시부터 해 뜰 무렵까지 5시간 가까이 시간당 1000개 이상의 유성이 관측되었다.

5. 한국의 관측 기록 및 문화적 영향

2001년 11월 18일부터 19일 새벽까지 사자자리 유성군이 대규모로 출현했을 때, 한국에서도 관측 조건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유성우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맑은 날씨 덕분에 시간당 수백에서 수천 개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었다.[1] 북아메리카와 하와이에서는 1767년에 방출된 먼지 궤도로 인한 활발한 유성우 출현이 일본보다 몇 시간 먼저 관측되기도 했다.[1]

애셔 등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1699년과 1866년 먼지 궤도로 인한 극대기가 각각 오전 2시 31분과 오전 3시 19분(일본 표준시)에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1] 특히 오전 3시 19분경에는 일본에서 대규모 유성우 출현이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1] 애셔 등은 이전 몇 년간의 대규모 유성우 출현을 정확히 예측했기 때문에 사람들의 기대가 높았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유성우를 목격했다.[1]

실제 극대 시각은 오전 3시 20분 전후로 예측과 거의 일치했으며, 극대기에는 시간당 3000개에서 4000개의 유성이 관측되었다.[1] 예상보다 유성이 많이 나타나는 시간이 길어져, 일본 표준시로 오전 1시부터 해가 뜰 무렵까지 5시간 가까이 시간당 1000개 이상의 유성이 관측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All you need to know: 2019's Leonid meteor shower https://earthsky.org[...] EarthSky 2019-02-26
[2] 논문 Leonid Dust Trails and Meteor Storms 1999
[3] 학위논문 Evolution of Two periodic Meteoroid Streams: the Perseids and Leonids http://aquarid.physi[...] 2009-12-24
[4] 웹사이트 Leonids meteor shower will soon light up the sky. Here's how to watch. https://www.cbsnews.[...] CBS News 2020-08-18
[5] 뉴스 Leonid shower a dud in 2019, but past years have featured extreme 'meteor storms' https://www.washingt[...] 2020-08-18
[6] 논문 The Leonid meteor shower and the history of the Semites (Arabs and Jews) 2009
[7] 웹사이트 The Leonid Meteor Shower Revealed: Shooting Star Show's Brilliant History https://www.space.co[...] Space.com 2020-08-18
[8] 웹사이트 Leonid MAC - Brief history of the Leonid shower http://leonid.arc.na[...] NASA 2020-08-18
[9] 웹사이트 What is the underlying significance of the birth of the white buffalo? http://www.aaanative[...] AAA Native Arts 2007-02-24
[10] 웹사이트 Counting by Winters http://wintercounts.[...] Smithsonian Institution 2009-12-24
[11] 서적 The Year the Stars Fell https://archive.org/[...] U of Nebraska Press 2007-06
[12] 서적 Kahbe nagwi wens: The man who lived in 3 centuries Historic Heartland Association
[13] 웹사이트 The Night the Stars Fell; My Search for Amanda Young https://www.angelfir[...] 2009-12-24
[14] 뉴스 The Fugitive https://www.nytimes.[...] 2009-12-24
[15] 뉴스 The Great Leonid Meteor Storm of 1833 – A first-hand account by Elder Samuel Rogers https://science.nasa[...] 2009-12-24
[16] 뉴스 Wednesday, November 13 https://www.newspape[...] 2015-10-27
[17] 뉴스 Meteoric Phenomenon https://www.newspape[...] 2015-10-27
[18] 논문 The Spectacular 1833 Leonid Meteor Storm: The View from Arkansas 1999
[19] 뉴스 At Halifax, Nova Scotia… https://www.newspape[...] 2015-10-27
[20] 논문 American Newspapers and the Great Meteor Storm of 1833: A Case Study in Science Journalism 2008-09
[21] 논문 Abe Lincoln and the Leonids http://media.skyandt[...] 2015-10-27
[22] 서적 The autobiography of Parley Parker Pratt, one of the twelve apostles 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embracing his life, ministry and travels, with extracts, in prose and verse, from his miscellaneous writings https://archive.org/[...] Chicago : Pub. for Pratt bros. by Law, King & Law
[23] 웹사이트 The Joseph Smith Papers http://josephsmithpa[...] 2014-06-08
[24] 논문 Fireballs, meteorites, and meteor showers http://ir.library.or[...] Oregon. Dept. of Geology and Mineral Industries 2015-10-27
[25] 논문 Observations on the Meteors of November 13th, 1833 https://www.biodiver[...] 2012-04-03
[26] 논문 Facts respecting the Meteoric Phenomena of November 13th, 1834. https://www.biodiver[...] 2018-01-13
[27] 웹사이트 Observing the Leonids http://meteorshowers[...] 2013-03-04
[28] 웹사이트 The Revelation of Bahá'u'lláh, Vol 2 http://www.peyman.in[...] 2017-05-08
[29] 웹사이트 Eyewitness accounts of the 1966 Leonid Storm http://leonid.arc.na[...] P. Jenniskens/NASA-ARC 2009-12-25
[30] 간행물 The Leonids by Radar--1957 to 1968 1970
[31] 간행물 Comet Tempel-Tuttle and the Leonid meteors 1981-09
[32] 웹사이트 leokin4.gif http://www.iltrails.[...] iltrails.org 2021-03-06
[33] 웹사이트 Comet 55P/Tempel-Tuttle and the Leonid Meteors http://trs-new.jpl.n[...] 2007-06-30
[34] 웹사이트 A Leonid on the Moon? https://science.nasa[...] 2009-08-27
[35] 웹사이트 Lunar Leonids: Encounters of the Moon with Leonid dust trails http://www.spaceweat[...] spaceweather.com 2009-12-25
[36] 논문 Comet Tempel-Tuttle and the Leonid meteor swarm 1985
[37] 논문 "#3 Leonid Predictions for the years 1999–2007 with the Satellite Model of Comets" http://metaresearch.[...] 2010-01-10
[38] 논문 Predicting the Strength of Leonid Outbursts 2000-01
[39] 웹사이트 Armagh Observatory http://www.arm.ac.uk[...]
[40] 웹사이트 Leonid dust trail positions in 1866 http://www.arm.ac.uk[...] Armagh Observatory
[41] 웹사이트 Armagh Observatory http://www.arm.ac.uk[...]
[42] 웹사이트 Meteor Orbs.org http://www.meteorobs[...]
[43] 서적 Meteor Showers and their Parent Com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4] 웹사이트 Leonids 2006: Morning of 19 November http://www.imo.net/l[...] 2021-12-14
[45] 웹사이트 Leonids 2007: visual data quicklook http://www.imo.net/l[...] 2021-12-14
[46] 웹사이트 Return of the Leonids https://science.nasa[...] NASA 2009-10-21
[47] 웹사이트 Leonids 2008: visual data quicklook http://www.imo.net/l[...] 2021-12-14
[48] 뉴스 Leonid Meteor Shower: Best Sky Show Tonigh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9-11-16
[49] 웹사이트 IMO Meteor Shower Calendar 2009 http://www.imo.net/c[...] The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2009-10-21
[50] 뉴스 Strong Leonid Meteor Shower Predicted for 2009 http://www.space.com[...] 2009-10-22
[51] 웹사이트 Watch Out for Leonids 2009 Meteor Shower http://science.mikel[...] 2009-10-22
[52] 웹사이트 Leonids 2009: visual data quicklook http://www.imo.net/l[...] The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53] 뉴스 From a Roar to a Purr: Prospects for the 2015 November Leonid Meteors https://www.universe[...] 2021-10-01
[54] 웹사이트 Leonids 2010: visual data quicklook http://www.imo.net/l[...] 2021-12-14
[55] 웹사이트 Leonids 2011: visual data quicklook http://www.imo.net/l[...] 2021-12-14
[56] 웹사이트 Leonids 2012: visual data quicklook http://www.imo.net/l[...] 2021-12-14
[57] 뉴스 Brilliant Leonids Meteor Shower Peak Occurs Morning of Nov. 18 https://www.nasa.gov[...] 2021-10-01
[58] 뉴스 Meteor Showers 2015 https://www.nasa.gov[...] 2021-10-04
[59] 뉴스 Leonid Meteor Shower Peaks This Week: Here's What to Expect https://www.space.co[...] 2021-10-01
[60] 뉴스 When good showers turn bad—the 2016 Leonids https://www.universe[...] 2021-10-01
[61] 뉴스 See the 2017 Leonid Meteor Shower at Its Peak: What to Expect https://www.space.co[...] 2021-10-01
[62] 뉴스 The Leonids during the off season period part 1. 2017: a small outburst! https://www.meteorne[...] 2021-10-02
[63] 뉴스 Observing 2018 Leonids https://www.imo.net/[...] 2021-10-02
[64] 뉴스 How to watch the Leonids, a dazzling meteor shower coming this weekend https://6abc.com/sci[...] 2021-10-02
[65] 뉴스 The Leonid Meteor Shower 2019 Is Peaking Now: Here's What to Expect https://www.space.co[...] 2021-10-02
[66] 뉴스 The Leonid meteor shower is coming — here's when and how to watch https://www.today.co[...] 2021-10-04
[67] 웹사이트 Meteor shower calendar 2021-2022 https://www.amsmeteo[...] American Meteor Society 2021-06-10
[68] 뉴스 Leonid meteor shower 2021: What you need to know https://earthsky.org[...] 2021-10-04
[69] 웹사이트 Leonids 2021-2030 http://feraj.ru/Radi[...] 2021-06-10
[70] 웹사이트 Leonids 1901-2100 http://feraj.ru/Radi[...] 2021-06-10
[71] 웹사이트 Meteor Shower Calendar 2022-2023 https://www.amsmeteo[...] American Meteor Society 2023-09-09
[72] 간행물 Leonid predictions for the period 2001–2100 http://feraj.ru/Radi[...] M. Maslov webpage 2007
[73]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Leonid shower http://leonid.arc.na[...] Leonid MAC
[74] 서적 Patrick Moore's Data Book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75] 논문 Large-Body Meteoroids in the Leonid Stream 1998-07
[76] 문서 ロマン・ロランの戯曲 「獅子座の流星群(レ・レオニズ)」『ロマン・ロラン全集』〈11〉 片山敏彦 訳、 みすず書房、1982年、所収。(ただし、フランス語原題 Les Léonides は [レ・レオニド] のように発音される。)
[77] 문서 例えば、レオニード流星群観測小研究会
[78] 문서 渡辺和郎「夏期大学講座内容 2 流れ星の大出現を予想する」細氷39号(1993) http://www.metsoc-ho[...] 北海道青少年科学館 2022-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