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구는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될 때 형성되는 지형으로, 마그마의 통로인 화도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분화가 끝나면 주변 토사가 무너져 웅덩이 형태로 변한다. 화구에 물이 고인 것은 화구호라고 하며, 화산이 폭발 등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지름 1km 이상의 분지는 칼데라라고 부른다. 화구는 열하 분화나 광역 응력장의 영향으로 화구열을 이루기도 하며, 지진이나 화산 가스 분출로 인한 위험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구 - 마르
마르는 지하수나 지표수와 마그마의 상호작용으로 화산 폭발 후 생긴 분지에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 또는 분화구로, 분화구 바닥이 분출 전 지표면보다 낮다는 특징을 가지며, 지질학적 연구와 관광 자원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 화구 - 지고쿠다니 (노보리베쓰시)
지고쿠다니는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에 위치한 화산 지형으로, 약 15,000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노보리베쓰 온천의 원천이 되고 시코츠토야 국립공원의 특별 보호 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 화산 지형 - 칼데라
칼데라는 지름 2km가 넘는 화산성 화구상 요지로, 마그마 방의 비어감에 따른 화산체 붕괴로 형성되며, 폭발형 또는 비폭발형 분출, 초대형 폭발, 재기 칼데라 형성 등의 특징을 보이고 지구 외 천체에서도 발견되며 다양한 지형과 광상을 포함한다. - 화산 지형 - 화산호
화산호는 화산의 분화구나 칼데라에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로, 칼데라에 형성된 큰 규모의 호수는 칼데라호라 하며, 강수, 지하수, 빙하 용융수 등으로 형성되지만 홍수 위험도 있고, 백두산 천지와 한라산 백록담이 대표적인 예이며, 화산 활동과 지하수의 영향으로 일반적인 호수와 수질 차이를 보인다.
화구 | |
---|---|
기본 정보 | |
![]() | |
정의 | |
설명 | 화산 활동으로 인해 지면에 생긴 대략 원형의 함몰 지형이다.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분화구 (천체) 폭렬화구 화구 (점화구) |
2. 화구의 형성과 형상
화구는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부터 올라와 지표로 분출될 때 형성된다. 화구 밑에는 마그마의 통로인 화도(火道)가 있다. 보통 원형이나 타원형의 절구 모양 웅덩이 형태를 띠며, 지름은 대부분 1km를 넘지 않는다.
화산이 분화할 때 폭발 등으로 화구 주변이 함몰되어 만들어진 분지인 칼데라와는 다르며, 칼데라는 지름이 1km가 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화산에서 분화구는 용암류와 테프라 같은 화산 분출물로 형성된 산 정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정상 분화구'''로 끝나는 화산은 대개 원뿔 형태를 띤다. 다른 화산 분화구는 화산 측면에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측면 분화구'''라고 한다.
분화구는 폭발이나 용암에 의해, 또는 이후의 침식 과정을 통해 분화 중에 파괴될 수 있다. 파괴된 분화구는 한쪽 면의 가장자리가 훨씬 낮다. 모든 화산이 분화구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2. 1. 화구호
화구에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를 화구호라고 한다. 한라산의 백록담은 대표적인 화구호이며, 백두산의 천지는 칼데라호이다.[4] 일부 화산 분화구는 비와 녹은 눈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져 화구호를 형성하기도 한다.[2] 이러한 호수는 소다호가 될 수 있으며, 이 중 다수는 활성적인 구조 운동 및 화산 활동 지역과 관련이 있다.[3]

2. 2. 마르(Maar)
마르는 마그마가 물에 포화된 암석을 통과하여 상승할 때 프레아틱 분화에 의해 형성되는 화산 폭발 분화구이다. 프레아틱 분화로 생긴 화구는 다른 화산에서 멀리 떨어진 평야에서 자주 발생하며, 산이 거의 없이 분화구만으로 구성된다.대한민국 제주도의 산굼부리는 용암 분출이 거의 없이 폭발로 인해 구멍만 깊게 파인 마르 지형이다. 폭발로 생긴 물질은 사방으로 흩어졌고, 소량만 주변에 쌓였다. 화구에 내린 빗물은 화구벽의 현무암 자갈층을 통해 바다로 흘러나간다. 대한민국에서는 산굼부리가 유일한 마르이며, 세계적으로는 일본과 독일에 몇몇 사례가 알려져 있다.[4]
3. 화구열
분출로 갈라지는 화구는 직선상으로 나란히 생긴 화구열(火口列)을 이루는 경우가 흔하다. 확인된 것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분화구는 캐나다 퀘벡주 북부 웅가바반도의 북서부 지역에 있는 웅가바퀘벡 분화구로 알려져 있다.[4]
1950년에 처음 알려진 이 분화구는 지름 3341m, 깊이 367m, 가장자리 높이가 101m이다. 구덩이에는 물이 차서 호수를 이루고 있으며, 주변에는 작은 원형 호수들이 있다.
미국 알래스카주 남부 화산지역에 있는 텐사우전드스모크스 계곡은 대표적인 화구열 계곡이다. 앵커리지 남서쪽으로 425km 떨어진 이 화산지형은 1912년 노바럽타 화산과 카트마이산 화산이 분출하면서 생겼다. 골짜기 바닥에 있는 수천 개의 분기공(연기·가스·증기 등을 뿜어대는 화산의 균열된 틈)에서 지명이 비롯되었으며, 현재 카트마이 국립공원과 보호구역의 일부이다.
1912년 6월 6일 알래스카 반도를 뒤흔든 격렬한 지진이 5일간 계속된 끝에 거대한 화산폭발이 시작되었고, 60시간에 걸쳐 29km3의 화산 분출물이 대기권과 성층권으로 뿜어올랐다.
3. 1. 열하 분화
마그마가 좁은 기둥 모양이 아닌 판 모양으로 상승하는 경우 열하 분화를 일으키는데, 지표에서는 연속된 균열이 아닌 타원형의 화구가 직선상으로 배열된 화구열이 된다.[4]3. 2. 광역 응력장
지각은 판의 움직임에 따라 응력을 받기 때문에 균열이 일어나기 쉬운 방향과 어려운 방향이 있다. 화구도 이런 영향을 받아 균열이 일어나기 쉬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우, 화구 간 간격은 열하 분화의 화구열보다 멀리 떨어져 있다.[4]4. 화산 분화구의 지형학
대부분의 화산에서 분화구는 용암류와 테프라와 같은 화산 분출물로 형성된 산 정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분화구를 '''정상 분화구'''라고 한다. 화산 측면에 있는 분화구는 '''측면 분화구'''라고 한다. 일부 화산 분화구는 비와 녹은 눈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져 화구호를 형성하기도 한다.[2] 이 중에는 소다호도 있으며, 다수는 활성적인 구조 운동 및 화산 활동 지역과 관련이 있다.[3]
분화구는 폭발이나 용암에 의해 파괴되거나, 이후의 침식 과정을 통해 파괴될 수 있다. 파괴된 분화구는 한쪽 면의 가장자리가 훨씬 낮다.
마르와 같이 산이 거의 없이 분화구만으로 구성된 화산도 있다. 이러한 화산 폭발 분화구는 마그마가 물에 포화된 암석을 통과하여 상승할 때 형성되며, 이로 인해 프레아틱 분화가 발생한다. 프레아틱 분화로 인한 화산 분화구는 다른 명백한 화산에서 멀리 떨어진 평야에서 자주 발생한다. 모든 화산이 분화구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5. 위험성
지진 활동 등으로 머지않아 분화와 화산쇄설류가 발생할 위험이 있을 수 있고, 유황이 함유된 가스의 분출로 중독사할 우려도 있어 출입을 제한하는 곳도 있다.[4] 황에서 유래하는 화산 가스 분출로 중독 사망할 우려가 있어 출입을 제한하는 지자체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C
http://www.physicalg[...]
physicalgeography.net
2008-04-12
[2]
웹사이트
Volcanic Craters
https://www.nps.gov/[...]
US National Park Service
2023-06-30
[3]
서적
Encyclopedia of Geobiology
2011-01
[4]
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편집), 학술용어 개념사전(이영규, 심진경, 안영이, 신은영, 윤지선 공저, 2010년 (주)북이십일 아울북 출판) 참조
[5]
글로벌2
폭렬화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