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굴뚝나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산굴뚝나비는 나비목 네발나비과에 속하는 나비로, 1783년에 처음 기록되었습니다. 2005년 3월 1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458호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부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름의 유래:
-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처럼 까맣고 높은 산에서 서식한다고 하여 "산굴뚝나비"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형태:
- 날개를 편 길이는 47mm 내외 (49~51mm)이며,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날개색이 옅습니다.
- 몸 전체가 흑색이며, 날개 윗면과 아랫면에 흰색 띠가 있습니다.
- 앞날개에는 2~3개의 검은 뱀눈 무늬가 있습니다.
서식지:
- 한국에서는 북한의 개마고원과 한라산 1,300m 이상의 높은 지역에서 서식합니다. 남한에서는 유일하게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합니다.
- 세계적으로는 극동 러시아, 유럽 동남부, 중국 북서부, 티베트, 몽골 등지에 분포합니다.
생태:
- 성충은 1년에 한 번, 5월에서 9월 초순에 걸쳐 나타나며, 제주도 한라산에서는 7~8월에 볼 수 있고, 7월 하순에 개체 수가 가장 많습니다.
- 솔체꽃, 송이풀, 꿀풀 등 다양한 꽃에서 꿀을 빨아 먹습니다.
- 수컷은 화산암 위에 앉아 쉬는 것을 선호합니다.
- 암컷은 먹이 식물(주로 벼과 식물, 김의털 등)의 잎에 알을 하나씩 낳습니다.
-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납니다.
보호 현황:
-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 최근 한라산에서는 서식지가 해발 1500m에서 1700m로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따뜻해지면서 더 낮은 기온을 찾아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타:
- 과거 한반도가 추웠을 때 제주도의 낮은 곳에 살다가 기온이 상승하면서 한라산 백록담 주변으로 올라간 것으로 추정되어 '이산가족의 슬픔을 간직한 나비'로 불리기도 합니다.
산굴뚝나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나비목 |
과 | 네발나비과 |
아과 | 뱀눈나비아과 |
속 | 산굴뚝나비속 |
종 | 산굴뚝나비 |
학명 | Hipparchia autonoe |
학명 명명자 | Esper, 1783 |
지정 정보 | |
남한 천연기념물 | 이름: 산굴뚝나비 순번: 458 지정일: 2005년 3월 17일 소재지: 전국 일원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