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성역은 서울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1996년 11월 23일 남한산성역으로 개통하여 1998년 10월 1일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이 역은 수도권에서 가장 깊은 지하 55.4m에 위치하며, 2면 2선의 곡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성남북초등학교, 창성중학교, 한국폴리텍1대학 성남캠퍼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전철역 - 수내역
수내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1994년 초림역으로 개통되어 2002년 역명 변경을 거쳤으며, 롯데백화점과 연결되고 주변에 상업 및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 성남시의 전철역 - 가천대역
가천대역은 수인·분당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4년 경원대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가천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가천대학교 비전타워와 연결되어 있다. -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역 - 별내역
별내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2012년 경춘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24년 8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경춘선 갈매역과 퇴계원역 사이, 8호선 다산역 사이에 위치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나들목과 인접해 고속도로 접근성이 용이하다. -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역 - 암사역
암사역은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8호선 역으로, 1999년 개통 이후 2024년 별내선 직결 운행으로 일부 열차의 종착역 기능이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암사동 주민센터, 암사종합시장, 암사 선사 유적지 등의 주변 시설을 갖추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산성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산성역 |
로마자 표기 | Sanseong-nyeok |
한자 표기 | 山城驛 |
역 번호 | 822 |
노선 | 8호선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7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1996년 11월 23일 |
승차 인원 | 7,668명 (2015년) |
승강 인원 | 15,149명 (2015년) |
이전 역 | 남위례역 (821) |
다음 역 | 남한산성입구역 (823) |
역간 거리 | 남위례역 1.5km, 남한산성입구역 1.3km |
![]()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연혁
- 1996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 ~ 모란 구간 개통과 함께 '''남한산성역'''으로 영업 개시.
- 1998년 10월 1일: '''산성역'''으로 역명 변경.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 2021년 12월 18일: 남위례역 개통과 함께 역번호를 기존 821에서 822로 변경.
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3개가 있다.
3. 1. 특징
이 역은 고지대 주변에 있어 역 깊이가 55.4m로 상당히 깊다. 수도권 전철 역 중에서는 가장 깊으며, 대한민국 전체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 다음으로 두 번째로 깊은 역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처럼 상하행선 사이가 벽으로 막혀 있어 반대편 승강장을 볼 수 없는 폐쇄식 구조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승강장은 2면 2선이며 곡선 형태를 띠고 있고, 풀스크린 타입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이 매우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잘 갖추어져 있다. 출구는 총 3개가 있다.3. 2. 구조
이 역은 고지대 주변에 위치하여 역의 깊이가 55.4m로 매우 깊다. 이는 수도권 전철 중에서는 가장 깊은 것이며, 대한민국 전체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 다음으로 두 번째로 깊은 역이다.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지하에 위치한다. 승강장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처럼 상하행선 사이가 벽으로 완전히 막혀 있어 반대편 승강장을 볼 수 없는 폐쇄형 구조이다. 승강장에는 풀스크린 타입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이 매우 깊기 때문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잘 갖추어져 있다. 출구는 총 3개가 있다.
'''승강장 정보'''
3. 3.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행선과 하행선 승강장 사이는 벽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중에서는 가장 깊은 역으로, 승강장이 지하 55.4m에 위치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방송 등에서 승강장 번호를 별도로 안내하지는 않는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6. 인접한 역
821 남위례
남위례역
남한산성입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