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교통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1일 설립되어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9호선까지의 노선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2014년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통합 논의를 거쳐, 2017년 5월 31일 통합 출범하였다. 서울 전역과 인천,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도시철도를 운행하며, 1호선, 3호선, 4호선은 한국철도공사와 공동 운영한다. 2020년 이후 매년 1조 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65세 이상 고령자 무임승차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설립된 철도 기업 - 엑소 (대중교통)
    엑소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광역권의 통근 철도 및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역 교통망 운영 기관으로, 1995년 설립된 AMT의 후신이며, 2017년 RTM으로 변경 후 2018년 Exo 브랜드를 도입하여 몬트리올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 역할을 한다.
  • 서울교통공사 -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로 설립되어 2005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운영 기관으로, 서울 지하철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며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서울교통공사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1994년 설립되어 서울 지하철 5, 6, 7, 8호선을 운영하며 서울 시민의 교통 편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메트로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하기 전 안전, 노조, 경영 비효율성 등의 문제에 직면했던 대한민국의 지방 공기업이다.
  • 서울 성동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시설공단
    서울시설공단은 서울특별시의 시설물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여러 본부를 통해 서울시의 도로, 공원, 체육시설 등 다양한 시설의 유지보수, 관리 및 교통 관련 사업을 운영하며 서울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서울 성동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와 광진구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목록을 가나다순으로 제공한다.
서울교통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명서울교통공사
영문 회사명Seoul Metro
한자 회사명서울交通公社
설립일2017년 5월 31일
창립일2017년 5월 1일
이전 회사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46
사업 지역서울특별시 및 인접지역
산업육운업
유형지방 공기업
웹사이트서울교통공사 공식 홈페이지
서울교통공사 로고
로고
서울교통공사 본사
서울교통공사 본사
경영진
대표이사백호
재정 정보 (2022년 12월 말 기준)
자본금23조 2,758억 2,295만원
자산총액15조 4,226억 7,899만원
부채총액6조 5,569억 5,960만원
매출액1조 7,683억 7,387만원
영업이익-9,345억 1,338만원
당기순이익-6,419억 5,717만원
소유 및 관계
모기업서울특별시 (100%)
주요 자회사서울메트로환경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지티엑스에이운영
운영 정보
주요 사업서울 지하철 운영
직원 수16,577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

2. 통합 배경

2014년 12월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의 핵심 공약에 따라 서울 지하철 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통합이 추진되었다.[15] 중복 인력 감축,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임원 인건비 절감으로 2027년까지 10년간 연간 약 214억의 비용 절감 효과가 전망되었다. 하지만 양 기관 노동조합의 반대로 2016년 3월 통합 논의가 중단되었다.[16] 이후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를 계기로 안전관리 문제가 제기되면서, 기관 통합으로 안전관리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여론 속에 통합 논의가 재개되었다.[17] 양 노조가 통합에 찬성하고, 2017년 3월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서울교통공사 설립 조례’가 통과되면서 통합 절차가 시작되었다.

3. 연혁

2014년 12월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의 핵심 공약에 따라 서울 지하철 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통합이 추진되었다.[15] 2016년 3월 양 기관 노동조합의 반대로 통합 논의가 중단되었으나,[16] 같은 해 5월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를 계기로 안전관리 문제가 제기되면서 통합 논의가 재개되었다.[17] 2017년 3월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서울교통공사 설립 조례'가 통과되면서 통합 절차가 시작되었다.

2017년 5월 31일 서울교통공사가 공식 출범하였다. 초대 사장은 김태호 전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이 임명되었다.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은 출범식에서 공사가 시민에게 더욱 사랑받는 공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로 안전 문제가 촉발된 만큼, 통합 과정에서 안전관리 부문도 강화하였다.

날짜내용
2017년 5월 1일설립
2017년 5월 31일서울교통공사 공식 출범
2017년 9월 5일이레일과 소사원시선(수도권 전철 서해선) 운영 계약(20년) 체결.[9]
2018년 1월 12일서해선 운영 자회사 소사원시선운영(주)(현 서해철도) 설립[10]
2018년 11월 28일9호선 2·3단계 운영 자회사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 해산, 직영 전환
2019년 12월 21일6호선 신내역 개통
2020년 8월 8일5호선 하남선 1단계 구간 개통(미사~하남풍산)
2021년 3월 27일5호선 하남선 2단계 구간 개통(강일, 하남시청~하남검단산)
2021년 12월 18일8호선 남위례역 개통
2022년 3월 19일4호선 진접선 개통(당고개~진접)
2023년 1월환승역 차내 멜로디 얼씨구야에서 풍년으로 변경
2024년 8월 10일8호선 별내선 개통(암사~별내)


4. 역대 사장

역대사장임기
1대김태호2017년 5월 1일 ~ 2019년 12월 23일
직무대행최정균2019년 12월 24일 ~ 2020년 3월 31일
2대김상범2020년 4월 1일 ~ 2023년 1월 26일
직무대행심재창2023년 1월 27일 ~ 2023년 5월 22일
3대백호2023년 5월 23일 ~


5. 운영 노선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가 소유한 철도와 역을 관리하며,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을 운영한다. 1호선, 3호선, 4호선은 한국철도공사와 직결 운행한다.[4]

수도권 전철 1호선(청량리역 ~ 서울역)[18], 수도권 전철 3호선(지축역 ~ 오금역)[19], 수도권 전철 4호선(불암산역 ~ 남태령역)[20]한국철도공사와 공동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남양주도시공사와, 서울 지하철 7호선인천교통공사와, 서울 지하철 9호선서울시메트로9호선과 공동 운영한다.

노선명구간영업 거리 (km)
1호선청량리역 - 서울역7.8km
2호선순환선: 서울시청역 - 서울시청역48.8km
성수지선: 성수역 - 신설동역5.4km
신정지선: 신도림역 - 까치산역6km
3호선지축역 - 오금역38.2km
4호선불암산역 - 남태령역31.7km
과천선과천역 - 불암산역14.9km
5호선본선: 방화역 - 상일동역45.2km
지선: 강동역 - 마천역7.6km
하남선상일동역 - 하남검단산역7.4km
6호선응암역응암역 - 신내역35.1km
7호선장암역 - 부평구청역57.1km
8호선암사역 - 모란역17.7km
9호선개화역 - 중앙보훈병원역12.8km


6. 운행 지역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 전 지역을 운행한다. 또한, 직결 운행을 통해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타사 구간에도 진입한다.[4]

7. 차량 기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차량 기지는 다음과 같다.

8. 보유 차량

노선차량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9. 요금 체계

수도권 전철 기본 요금제를 따르고 있으며, 기본 요금은 10km까지 1400KRW이다. 매 5km마다 100KRW씩 추가되며, 50km 초과 시에는 매 8km마다 100KRW씩 더해진다. 강원도 춘천시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가는 경우에는 수도권 내외를 연속 이용하는 것으로 보아 매 4km마다 100KRW을 더 내야 한다.[3]

현금으로 승차하여 가까운 구간을 이용할 경우 1000KRW 지폐 1장과 100KRW 동전 5개를 함께 내야 기본 구간을 이용할 수 있고, 10km를 넘으면 100KRW 동전 지불 비중이 더 커질 수 있다. 교통카드는 충전된 금액에서 일정액이 빠져나가고, 정기권도 잔액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대한민국에서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는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도로 인해 서울교통공사의 적자가 심화되고 있다.[3]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는 앞으로 재정 부담을 더욱 크게 할 것으로 예상되어, 무료 이용 연령을 높이는 것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3]

서울 지하철 운영 기관인 서울교통공사는 2020년 이후 매년 약 1조의 순손실을 기록하여 누적 순손실이 14조에 달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3]

한국철도공사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운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재정 적자로 인해 요금 인상 및 만 65세 이상 경로 무료 이용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2020년 서울교통공사 등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47.2%)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재정 악화 요인으로 “무료 이용 제도”를 꼽았다.[11]

서울교통공사는 부채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적자 해소가 어려워지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이용자 감소로 향후 재정 악화가 예상되며, 2022년 기준 공사의 누적 적자는 17.6808조에 이른다.[12]

지하철 기본 요금이 8년 만에 인상되어 2023년 10월부터 10km 구간까지는 1250KRW에서 1400KRW으로 인상되었다. 10km를 초과하는 경우 5km마다 100KRW씩 추가되며, 5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8km마다 100KRW씩 추가된다.[14] 또한,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서는 지하철 요금을 무료로 하는 제도가 있다.[14] 하지만 이러한 저렴한 요금 체계가 적자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어, 요금 체계 개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4]

10. 차량 접근음

11. 로고송

"희망 가득 한 아름 안고서 안전하고 편안한 곳으로 행복찾아 나르는 우리 친구 서울교통공사"[1] 로고송은 2017년 8월 18일에 정식으로 공개됐다.[1]

12. 안내 방송

서울교통공사 출범 이후 안내방송은 다음과 같다.


  • 한국어: 강희선
  • 영어: 제니퍼 클라이드
  • 중국어: 조홍매 (1~8호선)
  • 일본어: 도이 미호
  • 출발 및 도착 BGM: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 환승 BGM: 얼씨구야 → 풍년 (2023년 1월 변경)

12. 1. 안내 방송 유형

일반 역사의 안내 방송은 "이번 역은 000, 000 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왼/오른쪽입니다."와 같이 나온다. 영어로는 "This stop is 000, 000. The doors are on your left/right."라는 안내가 나온다. 서울교통공사 1~8호선에서는 다음 역 안내 방송으로 "다음 역은 000, 000 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왼/오른쪽입니다."라는 한국어 안내만 나온다.

환승 역사의 경우, 여러 노선이 동시에 정차하는 특성 때문에 풍년 음악이 먼저 나온 후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순서로 안내 방송이 나온다.

풍년 음악 후에는 "이번 역은 000, 000 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왼/오른쪽입니다. XX, YY 방면으로 가실 고객께서는 (이번 역에서) ○호선/○○선으로 갈아타시기 바랍니다."라는 한국어 안내 방송이 나온다. 그 후 "This stop is 000, 000. The doors are on your left/right. You can transfer to Line Number ○/○○ Line."이라는 영어 안내 방송이 나오며, 광고 멘트도 함께 나온다. 3개 이상의 노선이 있는 환승역의 경우, 노선 번호 순서대로 안내 방송이 나온다. 예를 들어, 고속터미널역에서는 3호선 승차 기준으로 7, 9호선이 먼저 안내되고, 종로3가역에서는 1호선 승차 시 3, 5호선 순서로 안내된다. 김포공항역에서는 5호선 승차 시 9호선,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 순서로 안내 방송이 나온다. 신설동역에서는 2호선 지선 이용 시 종착역 안내 방송과 함께 1호선, 우이신설선 순서로 안내 방송이 나온다. 공덕역에서는 5호선 승차 시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순서로 안내 방송이 나오며, 추후 신안산선 개통 시 경의중앙선 다음에 안내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아니지만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는 경의중앙선 승차 시 6호선, 공항철도 순서로 안내 방송이 나온다.[31]

중국어일본어 안내 방송은 다음과 같다. 중국어는 "前方到站是, 000, 000站。"(前方到站是, 000, 000站。|첸팡따오짠스, 000, 000짠.중국어) 일본어는 "まもなく, 000, 000駅です。"라고 짧게 안내된다. 현재 환승역에서만 중국어와 일본어 안내 방송이 나오지만, 앞으로는 기종점 역사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13. 경영 현황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은 자회사를 통해 운영하였으나, 3단계 개통을 앞두고 노사 합의로 해당 자회사를 서울교통공사에 합병시켜 서울교통공사가 2·3단계 구간을 직영하기로 결정되었다.[32] 서울교통공사가 보유 중인 계열사는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해철도주식회사, 김포골드라인운영 등 3개의 업체이며, 이들은 각각 서울 지하철 9호선(메트로9호선), 서해선(소사원시운영), 김포골드라인(김포골드라인운영)을 관할한다.

대한민국에서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 서울교통공사의 적자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이용자 감소는 앞으로 재정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무료 이용 연령 상향에 대한 논의까지 나오고 있다. 한국철도공사(Korail)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3]

한국철도공사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운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재정 적자로 인해 요금 인상 및 65세 이상 경로 무료 이용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2020년 서울교통공사 등이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47.2%)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재정 악화 요인으로 “무료 이용 제도”를 지적했다.[11]

서울교통공사는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자구 노력만으로는 사실상 적자 해소가 어려워지고 있다.

13. 1. 영업 적자 추이 (단위: 억원)

구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잠정)
매출액11.453조19.865조20.046조15.595조16.291조17.683조
영업손실(3.862조)(5.322조)(5.324조)(10.901조)(9.385조)(9.345조)
당기순손실(4.074조)(5.388조)(5.864조)(11.137조)(9.644조)(6.419조)(5.173조)



서울교통공사는 통합 이후에도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2023년 잠정실적'에 따르면 2023년 당기순손실은 5.173조이었다.[33] 2020년 이후 매년 약 1조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2022년 기준 누적 적자는 17조 6.808조에 달한다.[12]

13. 2. 노동조합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하여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하였다. 이후, 각각 1노조였던 서울지하철노동조합과 5678서울도시철도노동조합이 통합해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이 되었고, 2노조였던 서울메트로노동조합과 서울도시철도실천노동조합은 통합해 서울교통공사통합노동조합이 되었다.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의 청산 이후에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메트로9호선지부도 서울교통공사의 노조가 되었다.

14. 논란

2018년 3월 1일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서울교통공사 직원 중 일부가 기존 직원의 친인척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과 유민봉 의원 등이 이 의혹을 제기했으며,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등 야당은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반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특혜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34]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대중교통 점거 시위 과정에서 YTN 보도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가 내부 문건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 대우를 지시하고 언론 플레이를 시도하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

14. 1. 친인척 특혜 채용 의혹

2018년 3월 1일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서울교통공사 직원 1285명 중 108명(8.4%)이 기존 직원의 친인척으로 밝혀져 특혜 채용 의혹이 제기되었다.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과 유민봉 의원 등이 해당 의혹을 제기했다. 유민봉 의원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시행한 친인척 재직 현황 조사에서 1285명 가운데 11.2%만 응답해 108명만 친인척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전수조사를 하면 그 규모가 108명의 10배인 1080명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34]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등 야당은 국정조사를 요구했으나,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특혜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34]

14. 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시위 관련 장애인 차별 대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대중교통 점거 시위 과정에서 YTN 보도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가 내부 문건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 대우를 지시하고 언론 플레이를 시도하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 더불어민주당은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차별 없는 대중교통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2]

15. 일반 주제

서울교통공사 외에도 대한민국에는 인천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 경기교통공사 등 여러 도시의 지하철을 운영하는 기관들이 있다.

15. 1. 다른 도시철도 전담 기관

참조

[1] 뉴스 Seoul Metro Created out of Merger between Two Subway Corporations http://english.hanky[...] The Korea Economic Daily 2017-05-31
[2] 뉴스 서울교통공사 사장에 백호…"혁신 원년…방향키 과감히 전환" https://m.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3-05-23
[3] 뉴스 (News Focus) Free subway rides for seniors under hot debate again amid aging society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3-02-17
[4]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블로그 https://blog.naver.c[...]
[5] 뉴스 '지하철 1∼8호선 통합' 서울교통공사 5월 설립할 듯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2-20
[6] 뉴스 ソウルメトロと都市鉄道公社が統合へ http://world.kbs.co.[...] 2014-12-11
[7] 뉴스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이름은 '서울교통공사'(Seoul Metro)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6-12-01
[8] 뉴스 서울시의회 임시회 폐회…'서울교통공사 조례' 통과 5월께 서울지하철 양공사 통합기관 출범 http://news1.kr/arti[...] news1 2017-03-03
[9] 뉴스 소사∼원시 복선전철, 서울교통공사가 20년간 운영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7-09-05
[10] 웹사이트 회사 소개(会社紹介) http://sosawonsi.sar[...]
[11] 뉴스 ソウル市バス、地下鉄の赤字膨らむ https://www.wowkorea[...] WoW!Korea 2022-06-15
[12] 뉴스 ソウル地下鉄が8年ぶりに料金引き上げ…累積赤字1.7兆円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3-07-24
[13]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財務分析 https://www.jobkorea[...]
[14] 뉴스 「65歳から地下鉄無料」は見直すべき? 少子高齢化の韓国で論争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4-12
[15] 뉴스인용 ‘부채 4조6000억’ 서울메트로·도시철도공 합친다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14-12-10
[16] 뉴스인용 '서울지하철 통합’ 결국 무산됐다 https://news.heraldc[...] 헤럴드경제 2016-03-31
[17] 뉴스인용 서울지하철 통합공사 새 이름 '서울교통공사' https://n.news.naver[...] 이데일리 2016-12-01
[18] 문서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 정보
[19] 문서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 정보
[20] 문서 인천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 정보
[21] 문서 인천교통공사 관할 구간 정보
[22] 문서 구리도시공사 및 남양주도시공사 관할 구간 정보
[23] 문서 서울시메트로9호선 및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 정보
[24] 문서 간석역 위치 정보
[25] 문서 도원역 위치 정보
[26] 문서 석남역 위치 정보
[27] 문서 병점역 위치 정보
[28] 문서 서동탄역 위치 정보
[29] 문서 서울교통공사 관할 노선 정보 (종착역 방향)
[30] 문서 서울교통공사 관할 노선 정보 (종착역 방향)
[31] 문서 한국철도공사 관할 정보
[32] 뉴스인용 서울지하철 9호선 2·3단계, 서울교통공사 직영 전환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8-11-28
[33] 뉴스인용 [단독]이자만 年 840억 지출…깊어진 '무임승차의 늪'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3-25
[34] 뉴스인용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특혜채용’인가 ‘정당한 채용’인가? https://www.hani.co.[...] 한겨레 2018-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