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 (스포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는 규칙이 적용되는 맨손 격투 경기에서 유래하여, 중국 군대에서 기술과 능력을 시험하고 연습하기 위해 발전했다. 산타는 펀치, 킥, 던지기 기술을 허용하며, 아마추어와 프로 경기로 나뉜다. 중국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대한우슈협회가 한국의 산타를 주관한다. 주요 국제 대회로는 세계 우슈 선수권 대회, 산타 월드컵, 아시안 게임 등이 있으며, 류하이롱, 장웨일리 등이 유명 선수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축국
축국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군사 훈련, 오락 등으로 발전했으며, 한나라 시대에 황실에서 인기를 얻고 송나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명나라 시대에 쇠퇴하여 사라진 공을 차는 스포츠이다. - 중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타 (스포츠) | |
---|---|
개요 | |
![]() | |
종류 | 혼합 무술 |
국가 | 중국 |
창시자 | 불명 |
모체 | 장권 팔극권 북소림권 수아이차오 친나 우슈 채리불권 태극권 벽괘장 킥복싱 |
특징 | 풀 컨택트 |
별칭 | 산수 중국 복싱 중국 킥복싱 자유 격투 |
명칭 | |
중국어 간체 | 散打 |
중국어 정체 | 散打 |
한어 병음 | sǎndǎ |
로마자 표기 | sanda |
뜻 | 자유 격투 |
다른 표기 | 산수 武術散打 (우슈 산타) |
기술 | |
주요 기술 | 펀치 킥 던지기 기술 |
관련 단체 | |
국제 단체 | 국제 우슈 연맹 |
기타 | |
올림픽 | 없음 |
2. 역사
산타의 역사는 규칙이 없는 맨손 격투 경기인 '고가 경기장' (레이타이)에서 시작되었다.[6] 산타는 군대에서 경쟁 종목으로 발전했는데, 군인들이 맨손 무술 기술과 능력, 기법을 시험하고 연습하기 위해 이러한 시합을 자주 개최했기 때문이다. 이후 규칙이 제정되고 보호 장갑 등의 사용이 채택되었다. 1920년대 국민당이 황푸 군관학교에서 처음 사용했고,[7]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에서도 채택되었다. 산타는 전통적인 중국 무술을 참고하여 개발되었으며, 중국 정부가 민간인을 위한 호신술 및 스포츠 버전으로 개발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다.
공개적인 장소에서의 무술 시합은 "타뢰대"(뢰대 = 시합용 무대)라고 불렸지만, 통일된 경기 규칙이 없었고, 시합 전에 "생사상"(사상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서약서)에 서명하는 등 결투적인 성격을 띠었다.[12] 반면, 상박에서는 명확한 경기 규칙 하에 시합이나 흥행이 이루어졌다.
2. 1. 중화민국 시대
산타는 1920년대 국민당이 황푸 군관학교에서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활용했다.[7] 초기에는 통일된 규칙 없이 맨손 격투 형태로 진행되었으나, 점차 규칙이 제정되고 보호 장비가 도입되었다.[6]1928년 난징 중앙 국술관은 제1회 전국 국술 고시를 개최하여 다양한 문파의 무술가들이 실전 시합을 통해 경쟁하도록 했다. 산수(散手)는 체중 제한 없이, 방어구나 글러브 없이, 눈, 목, 하복부를 제외한 모든 공격(팔꿈치, 무릎 공격 포함)을 허용하는 규칙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부상자가 속출하고 경기 형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2][13]
1929년 저장 국술 유예 대회에서는 무승부가 자주 발생하여 무승부 시 양측 모두 실격 처리하는 규칙이 추가되었고, 얼굴 부상이 잦아 얼굴 연속 공격이 금지되었다. 1933년 전국 운동 대회에서는 산수에 야구와 축구 방어구를 사용하고 얼굴 공격을 금지했으나, 시간 제한 없이 상대를 쓰러뜨려야 승리하는 규칙 때문에 경기가 길어지고 몸싸움이 많아져 "국술 시합장은 투우장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13] 같은 해 제2회 전국 국술 고시는 5체급제로 변경되고 방어구를 착용했으나, 가벼운 타격에도 포인트를 주는 규칙 때문에 선수들이 접근전을 피하고 멀리서 싸우는 경향이 나타나 "국술 시합장은 투계장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3]
2. 2.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무술의 체육화가 강조되면서 타오루 경기가 추진되었으나, 실전적인 측면은 등한시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4] 1979년, 중국 중앙체육운동위원회는 저장성 체육운동위원회, 베이징 체원, 우한 체원 세 곳에 산타 연구반을 발족하여 경기 규칙과 기술 연구를 시작했다. 안전성, 중국 무술의 다양한 기술 활용, 간명한 규칙, 국제 격투기와의 차별화를 목표로 펀치, 킥, 던지기 기술을 허용하고 헤드기어, 보디 프로텍터와 글러브를 착용하는 방향으로 초기 틀이 만들어졌다. 이는 일본의 공수도나 태국의 무에타이처럼, 국가를 대표하는 격투기로서 세계에 소개하는 것도 염두에 둔 것이었다.베이징 체원의 연구반은 메이후이즈(팔괘장, 형의권, 摔跤, 복싱 등, 北京市什刹海体育运动学校|베이징시 십찰해 체육운동 학교중국어 레슬링 코치), 리바오루(摔跤 명가, 베이징 레슬링대 코치), 吴彬 (武术家)|우빈중국어(전통 무술, 베이징 무술대 주임 코치) 등이 중심이 되어, 선발된 학생들이 선수로서 훈련을 받았다. 검증 시합을 통해 규칙과 효과적인 전법을 모색하고, 전통 무술이나 무에타이 등과의 교류 시합도 실시하면서 기술의 유효성을 확인해 갔다.
1980년, 산시 무술 관마 대회에서 산타의 데몬스트레이션이 열렸다. 1981년, 전국 무술 관마 교류 대회에서 베이징 체원과 우한 체원의 산타 팀에 의한 첫 산타 공식 시합이 열렸다.
이처럼 제한된 그룹 내에서 경기 규칙과 기술 체계를 구축하고, 병행하여 롤 모델이 될 선수를 육성, 데몬스트레이션을 통해 소개하며, 단계적으로 산타 팀을 각지에 발족시키는 과정을 거쳐 산타의 보급이 진행되었다. 이는 "기존의 무술 문파가 각자의 기술로 경쟁할 수 있는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무술의 요소를 기반으로 기존 문파와는 다른 신격투기를 개발한다"라고도 할 수 있는 형태로, 중국 무술의 기술 면을 대표하는 위치로 도입되게 된다.
1989년, 국가체육위원회는 산타를 정식 경기 종목으로 인정하고, 전국 무술 산타 선수권 대회를 발족했다. 1992년, 제3회 아시아 무술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산타가 정식 종목이 되었다. 1993년, 제7회 전국 운동회에서 처음으로 산타가 정식 종목이 되었다. 1998년, 아시아 경기 대회 방콕 대회에서 처음으로 산타가 정식 종목이 되었다.
3. 경기 방식
산타 경기는 경기대(레이타이)나 일반 매트 위에서 진행된다. 대회는 라운드 로빈 방식이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 시간은 2분 3라운드(인터벌 1분) 또는 3분 5라운드(인터벌 1분)이다. 각 라운드마다 승패를 결정하며, 과반수의 라운드를 먼저 이기거나 상대를 KO시키면 승리한다. 던지기 기술은 허용되지만, 상대에게 잡힌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심판이 경기를 중단시킨다.
선수를 경기장 밖으로 밀어내거나 떨어뜨리는 선수에게는 경고, 감점 또는 심각한 경우 실격패가 선고될 수 있다.
3. 1. 아마추어
"아마추어 산다"는 발차기, 펀치, 무릎(머리에는 안 됨) 및 던지기를 허용한다.[9] 경기대(擂台, 레이타이)라고 불리는 단상 위에서 경기가 진행되지만, 규모가 작은 대회에서는 일반 매트 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경기대의 크기는 8m 사방의 정사각형이며, 높이는 80cm이다. 경기대는 나무로 조립하며, 경기장 위를 부드러운 매트로 덮는다. 경기장 위에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90cm 위치에 굵기 10cm의 경고선이 그어진다. 또한, 추락한 선수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경기대 주위 2m에 두께 30cm의 매트를 깐다.대회는 라운드 로빈 형식(총 득점 리그전)과 토너먼트 방식의 두 가지 중 하나로 진행된다. 경기 자체는 2분 3라운드(인터벌 1분)로 진행되며, 라운드마다 승패를 결정한다. 과반수의 라운드를 선취하거나, 상대를 KO시키면 승리한다. 던지기 기술은 허용되지만, 상대에게 잡힌 후 2초 이상 진전이 없으면 심판이 양쪽을 떼어 놓는다.[9]
3라운드 경기에서 2라운드를 먼저 선취하면 승리한다. 상대 선수가 부상이나 질병으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된 경우, 자동으로 승리한다. 상대 선수가 반칙으로 부상을 입었다고 거짓 주장하고, 경기 후 의사가 이를 확인하면 반칙을 한 쪽이 승리한다. 라운드 로빈 형식 대회에서 양 선수 모두 같은 수의 라운드를 획득하면 무승부 처리된다(총 득점 리그전은 반드시 승패를 결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 토너먼트 형식에서는 반드시 승패를 결정해야 하므로, 경고 횟수가 적은 쪽이 승리한다. 경고 횟수가 같다면 권고 횟수가 적은 쪽이 승리하며, 그것마저 같다면 연장전을 진행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선수는 트렁크스, 런닝셔츠, 아마추어 복싱 시합용 헤드기어, 보디 프로텍터, 레가드, 글러브를 착용한다. 또한 안전을 위해 마우스피스, 붕대, 파울컵도 착용한다. 단, 대회에 따라서는 반드시 레가드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는 중국에 본부를 둔 국제무술연맹이 정한 규칙[20]이기 때문에 단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국제 킥복싱 연맹(IKF)의 규칙에 따르면 보디 프로텍터는 착용하지 않는다.[21]
3. 2. 프로
프로 산다는 발차기, 펀치, 던지기뿐만 아니라 무릎 공격(머리 포함)을 허용한다.[9] 프로 선수들은 장갑, 컵, 마우스피스 외에 다른 보호 장비는 착용하지 않는다.[9]경기는 3분 5라운드로 진행되며, 획득한 라운드 수에서 앞서거나 상대를 KO시키면 승리한다. 던지기 기술은 허용되지만, 상대에게 잡혀 5초 이상 진전이 없으면 심판이 양측을 떼어 놓는다. 선수는 트렁크와 글러브를 착용하며, 마우스피스, 붕대, 파울컵도 착용한다.[22]
일부 산다 선수들은 K-1, 슛 복싱과 같은 격투기 대회에 참가하기도 한다.[9]
4. 기술
산타는 중국 무술 각 문파의 기술 중 실전에서 유효성이 확인된 기술들을 채택하여 구성되었다.[23] 1930년대부터 이러한 기술 재편 시도가 있었으며,[24] 장원광(베이징 체육대학 교수) 등이 1960년대 이후 산타 초기 이론을 구축했다.[25] 복싱, 레슬링 등 국외 격투기 연구를 통해 해당 기술들도 산타에 포함되었다.
현대 우슈 학교의 일반적인 커리큘럼은 중국 전통 무술 격투 스타일과 서양 복싱으로 구성되지만, 주로 과학적 효율성을 기반으로 한다. 우슈 산타는 타격과 그래플링을 포함하는 중국 무술 응용 기술로 구성된다.
산타는 전통 중국 격투 기술을 종합한 것으로, 우슈 산타 기술, 이론, 훈련 방법은 전통 중국 스타일과 함께 가르쳐진다. 산타는 모호한 격투 능력에 중점을 둔다.
킥복싱, 무에타이, 종합격투기 등과의 선수 교류 및 병행 수련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격투기의 영향도 존재한다.
4. 1. 펀치
4. 2. 킥
4. 3. 던지기
산타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없어, 손목이나 팔로 걸거나 긁어 올려 상대를 무너뜨리는 던지기 기술이 많다. 기존 격투기와의 차별성과 우위를 위해 던지기 기술이 특히 중시되었으며, 던지기에 의한 득점은 다운과 동등하게 평가될 정도로 경기에서 매우 중요하다.[23][24][25] 주요 던지기 기술은 다음과 같다.- 허리 던지기
- 어깨 던지기
- 스윕
- 더블 레그 테이크다운
- 싱글 레그 테이크다운
- 바디 락 테이크다운
- 킥 캐치 던지기
- 트립
- 가위 테이크다운
5. 체급
산타는 아마추어와 프로 모두 다양한 체급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된다. 국제 무술 연맹(IWUF)은 남녀 모두 11체급, 국제 킥복싱 연맹(IKF)은 남녀 모두 17체급으로 구분한다.[15] IWUF 기준 70kg급은 65kg 초과, 70kg 이하인 선수가 해당된다.
5. 1. 아마추어 (IWUF 기준)
국제 무술 연맹(IWUF) 기준 아마추어 산타는 남녀 모두 11체급으로 나뉜다.[15]체급 명칭 | 체중 (kg) |
---|---|
90kg 초과급 | > 90 |
90kg급 | 85 - ≦ 90 |
85kg급 | 80 - ≦ 85 |
80kg급 | 75 - ≦ 80 |
75kg급 | 70 - ≦ 75 |
70kg급 | 65 - ≦ 70 |
65kg급 | 60 - ≦ 65 |
60kg급 | 56 - ≦ 60 |
56kg급 | 52 - ≦ 56 |
52kg급 | 48 - ≦ 52 |
48kg 이하급 | ≦ 48 |
예를 들어, 70kg급은 체중이 65kg 초과, 70kg 이하인 선수가 해당된다.
5. 2. 프로 (IKF 기준)
국제 킥복싱 연맹(IKF)이 정하는 프로 산타의 체급은 남녀 모두 17체급이다.체급 명칭 | 체중(kg) | 체중(lbs) |
---|---|---|
슈퍼 헤비급 | 97.8kg 초과 | 215.1lbs 초과 |
헤비급 | 88.7 - 97.7kg | 195.1 - 215lbs |
크루저급 | 84.6 - 88.6kg | 186.1 - 195lbs |
라이트 크루저급 | 81.4 - 84.5kg | 179.1 - 186lbs |
라이트 헤비급 | 78.2 - 81.3kg | 172.1 - 179lbs |
슈퍼 미들급 | 75 - 78.1kg | 165.1 - 172lbs |
미들급 | 72.2 - 75kg | 159.1 - 165lbs |
라이트 미들급 | 69.6 - 72.2kg | 153.1 - 159lbs |
슈퍼 웰터급 | 66.9 - 69.5kg | 147.1 - 153lbs |
웰터급 | 64.6 - 66.8kg | 142.1 - 147lbs |
라이트 웰터급 | 62.2 - 64.5kg | 137.1 - 142lbs |
슈퍼 라이트급 | 60.1 - 62.2kg | 132.1 - 137lbs |
라이트급 | 57.77 - 60kg | 127.1 - 132lbs |
페더급 | 55.50 - 57.72kg | 122.1 - 127lbs |
밴텀급 | 53.22 - 55.45kg | 117.1 - 122lbs |
플라이급 | 50.95 - 53.18kg | 112.1 - 117lbs |
아톰급 | 50.9kg 이하 | 112lbs 이하 |
6. 주요 국제 대회
국제 우슈 연맹은 우슈를 장려하며 전 세계 모든 형태의 우슈를 관장하는 기구이다. 산타와 타오루는 경쟁적인 스포츠 우슈의 두 가지 범주이며,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인정을 받았다.
6. 1. 세계 우슈 선수권 대회
국제 우슈 연맹(IWUF)은 우슈를 장려하며 전 세계 모든 형태의 우슈를 관장하는 기구이다. 산타와 타오루는 경쟁적인 스포츠 우슈의 두 가지 범주이다. IWUF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인정을 받았다.6. 2. 산타 월드컵
국제 우슈 연맹(IWUF)은 우슈를 장려하며 전 세계 모든 형태의 우슈를 관장하는 기구이다. 산타와 타오루(형)는 경쟁적인 스포츠 우슈의 두 가지 범주이다. IWUF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인정을 받았다.6. 3. 아시안 게임
국제 우슈 연맹(IWUF)은 우슈를 장려하며 전 세계 모든 형태의 우슈를 관장하는 기구이다. 산타는 경쟁적인 스포츠 우슈의 한 종류이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인정을 받았다.7. 유명 선수
산타는 다양한 격투 스포츠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배출해 왔다.
참조
[1]
뉴스
The Professor of Sanshou
http://www.kungfumag[...]
2010-05-30
[2]
웹사이트
Journal of Chinese Martial Studies 01.2009
https://books.google[...]
2015-01-11
[3]
웹사이트
Black Belt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Inc.
2019-03-11
[4]
서적
A Complete Guide to Kung Fu
https://books.google[...]
Enslow Publishing, LLC
2019-03-11
[5]
웹사이트
Sanshou
https://books.google[...]
2015-01-11
[6]
웹사이트
About Sanda
https://www.australi[...]
[7]
뉴스
Full-Contact Kung Fu
http://ezine.kungfum[...]
2010-05-30
[8]
뉴스
Sanda:China's most popular combat sport
http://fightland.vic[...]
2015-10-22
[9]
웹사이트
MMA fighters in struggle for recognition in China - People's Daily Online
http://en.people.cn/[...]
2022-05-16
[10]
웹사이트
人物·张伟丽:走上国际赛场的"格斗女孩"
http://hebei.hebnews[...]
2019-07-19
[11]
웹사이트
邯郸少林智勇武术院毕业生张伟丽"打"破中国UFC纪录!
http://www.sanchengj[...]
2019-07-19
[12]
논문
武術散打の形成及び変遷過程に関する研究 ー1979年から2013年までー
日本
2019
[13]
서적
'増訂 中国武術史大観'
国書刊行会
2019
[14]
서적
'増訂 中国武術史大観'
国書刊行会
2019
[15]
논문
中国武術における散打の変遷過程についての研究
日本
2018
[16]
간행물
中国武术竞技力真相
中国
2010
[17]
간행물
中国武术研究报告No.1
中国武术研究报告No.1编委会
2017
[18]
웹사이트
中国武術国際選手権で初めて中国を破った国
https://parstoday.co[...]
Pars Today
2019-11-28
[19]
웹사이트
フィリピン格闘技界にウーシューが与えた影響
https://www.onefc.co[...]
ONE Championship
2020-05-02
[20]
웹사이트
IWUF Rules of Sanshou (2005 Edition,English)
http://www.iwuf.org/[...]
IWUF
2007-10-31
[21]
웹사이트
San Shou Rules
http://www.ikfkickbo[...]
[22]
웹사이트
San Shou Rules
http://www.ikfkickbo[...]
[23]
서적
现代武术散打基础理论与实践
北京师范大学出版社
2009
[24]
웹사이트
拳击加跤?——民国中央国术馆的散打雏形
https://zhuanlan.zhi[...]
徐帆
2019-05-17
[25]
웹사이트
中国武术家的集体智慧——中国散打的黎明①
https://zhuanlan.zhi[...]
徐帆
2019-06-25
[26]
웹사이트
武术散打竞赛规则与裁判法 - IWUF
http://www.iwuf.org/[...]
IWUF
2017-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