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규칙
- 4. 대회 형식
- 5. 대한민국과의 관계
- 6. 역대 챔피언
- 6.1.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무차별급)
- 6.2. K-1 슈퍼헤비급 챔피언 (+100kg)
- 6.3. K-1 헤비급 챔피언 (-100kg)
- 6.4. K-1 크루저급 챔피언 (-90kg)
- 6.5. K-1 월드 MAX 챔피언 (-70kg)
- 6.6. K-1 슈퍼 웰터급 챔피언 (-70kg)
- 6.7. K-1 웰터급 챔피언 (-67.5kg)
- 6.8. K-1 슈퍼 라이트급 챔피언 (-65kg)
- 6.9. K-1 라이트급 챔피언 (-62.5kg)
- 6.10. K-1 슈퍼 페더급 챔피언 (-60kg)
- 6.11. K-1 페더급 챔피언 (-57.5kg)
- 6.12. K-1 슈퍼 밴텀급 챔피언 (-55kg)
- 6.13. K-1 밴텀급 챔피언 (-53kg)
- 6.14. K-1 여자 플라이급 챔피언 (-52kg)
- 6.15. K-1 여자 아톰급 챔피언 (-45kg)
- 6.16. K-1 갑자원 챔피언
- 6.17. K-1 칼리지 챔피언
- 참조
1. 개요
K-1은 1993년 일본에서 시작된 입식 격투기 단체로, 킥복싱을 기반으로 펀치, 킥, 무릎차기 등의 기술을 사용하는 경기를 주최한다. 무차별급 토너먼트 'K-1 월드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K-1 월드 MAX' 등 다양한 체급의 대회를 개최하며 인기를 얻었다. 이후 재정난과 소유권 변동을 겪었지만, K-1 Global Holdings 시대를 거쳐 현재 K-1 실행위원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본을 넘어 전 세계로 중계 방송을 확대하고 있다. K-1은 다양한 체급의 챔피언을 배출했으며, 한국 선수들도 K-1 무대에서 활약하며 한국 격투기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킥복싱 단체 - 무신 (무술)
무신은 2009년부터 시작된 격투기 대회로, 태권도 출신 선수와 비 태권도 출신 선수 간의 대결을 주로 다루었으며, 미국에서 종합격투기 룰을 적용한 대회도 개최했다. - 킥복싱 단체 - 맥스 FC
MAX FC는 2015년부터 대한민국에서 다양한 체급의 입식격투기 대회를 개최하며 한국인 및 외국인 챔피언을 배출하고 있는 단체이다. - 1993년 설립된 기업 - 이마트
이마트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마트인 창동점을 개점한 신세계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월마트 코리아 인수, 다양한 사업 포맷 확장, 온라인 사업,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이다. - 1993년 설립된 기업 -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은 도쿄도를 중심으로 방송하는 독립 UHF 지상파 방송국으로, 뉴스 중심에서 지역 중심 방송으로 전환 후 흑자를 달성하고 디지털 방송 전환과 심야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성장했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K-1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사기업 |
장르 | 무술 엔터테인먼트 기획 프로모션 |
설립 | 1993년 |
설립자 | 이시이 가즈요시 |
본사 위치 | 시부야구, 도쿄 |
산업 | 무술 엔터테인먼트 기획 및 프로모션 |
소유주 | M-1 Sports Media Co., Ltd |
홈페이지 | k-1.co.jp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일본 발상 킥복싱 이벤트 K-1 |
유튜브 채널 | K-1 【official】YouTube channel |
유튜브 활동 기간 | 2014년 - |
유튜브 장르 | 스포츠 |
유튜브 구독자 수 | 약 52.3만 명 |
유튜브 조회수 | 약 6억 4586만 회 |
회사 정보 (일본어) | |
회사명 | 株式会社M-1スポーツメディア |
영문 회사명 | M-1 SPORTS MEDIA K.K. |
본사 우편번호 | 150-0001 |
본사 위치 | 도쿄도시부야구진구마에 6-34-20 하라주쿠 리젠시 1F |
업종 | 격투기 흥행의 기획・운영・제작 격투기 짐 경영 모바일 콘텐츠의 기획・운영 격투기 기어・이벤트 상품 등의 상품 개발・판매 |
대표자 | 대표이사 오오키 치와 |
외부 링크 | k-1.co.jp |
2. 역사
K-1은 한 해 동안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선발된 선수들과 이전 해 월드 그랑프리 8강 진출자, 주최 측 추천 선수 등 16명이 참가하는 월드 그랑프리를 개최하여 챔피언을 결정한다. 16강전 후 연말에 8강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챔피언이 탄생한다.
K-1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 초기 (1993-2011)
- K-1 글로벌 홀딩스 시대 (2012-2023)
- K-1 실행위원회 및 현재 (2014-)
2. 1. 초기 (1993-2011)
이시이 가즈요시는 1993년 세이도카이칸 가라테를 기반으로 킥복싱 규칙을 도입하여 K-1을 창립했다.[7] K-1은 「가라테」, 「킥복싱」, 「쿵푸」, 「권법」등의 입식 격투기 혹은 「격투기」 그 자체, 그리고 「KING」의 머리글자인 '''K'''와 넘버원을 의미하는 '''1'''을 합쳐, 타격계 입식 격투기 세계 최강자를 결정하는 대회를 개최한다는 컨셉으로 설립되었다.[56][57]초기에는 일본을 중심으로 대회가 열렸으나, 1995년 앤디 훅을 앞세워 스위스에서 첫 해외 대회를 개최한 이후, 2000년에는 북미, 유럽, 호주 등에서 지역 예선 대회를 개최하며 본격적으로 세계 진출을 시작했다.
1996년 후지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 네트워크와 골든 타임 방송을 시작했고, 1997년에는 나고야 돔, 오사카 돔, 도쿄 돔에서 "3대 돔 투어"를 개최하며 인기를 얻었다. 특히 도쿄 돔에서 열린 『K-1 GRAND PRIX '97 결승전』은 54,500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2002년에는 미들급(-70kg) 부문인 『K-1 WORLD MAX』 시리즈를 시작했고, 2008년에는 라이트급(-60kg)도 신설되었다. 제롬 레 밴너, 마크 헌트, 어니스트 호스트, 미르코 크로캅 등 주력 선수들이 전성기를 맞이했고, 밥 샙과 같은 선수들이 등장하면서 K-1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2002년 8월에는 국립 가스미가오카 경기장에서 『Dynamite!』를 개최하여 일본 국내 격투기 대회 사상 최다 관객 동원 기록인 91,107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2년 12월, K-1 운영 회사인 주식회사 케이-원(K-1)이 법인세법 위반으로 적발되면서(케이-원 탈세 사건), 이시이 가즈요시가 K-1의 모든 직책에서 사임했다. 2003년부터는 타니가와 사다하루가 설립한 회사 'FEG'가 주최·운영을 맡게 되었다.
타니가와 사다하루는 아케보노 타로나 바비 오로곤과 같이 화제성이 있는 선수들을 출전시키며 시청률을 우선시하는 '타니가와 몬스터 노선'을 시작했다. 이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기존 팬들에게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10년, K-1과 모회사인 FEG의 재정 문제[12]가 불거지면서 많은 선수들이 파이트 머니를 지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13][14]
2. 2. K-1 글로벌 홀딩스 시대 (2012-2023)
2012년 1월 30일, 홍콩에 본부를 둔 K-1 Global Holdings가 이시이 가즈요시로부터 K-1을 인수하여 K-1 글로벌을 창시하면서 새로운 K-1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6] 2012년 2월 1일, EMCOM 엔터테인먼트(EMCOM Entertainment Inc.)는 바비종(Barbizon)으로부터 K-1을 인수했다. 2012년 3월, 잇츠 쇼타임은 EMCOM 엔터테인먼트가 홍콩에 새로운 회사인 K-1 글로벌 홀딩스(K-1 Global Holdings Ltd.)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K-1 글로벌 홀딩스는 K-1 브랜드의 새로운 공식 소유주가 되었다. 잇츠 쇼타임과 프로모션 간의 계약에 따라 잇츠 쇼타임에 소속된 특정 선수들은 향후 K-1 글로벌 이벤트에 출전해야 했다.[17][18]K-1 월드 맥스 파이널 16은 2012년 5월 27일 스페인 마드리드의 팔라시오 비스타레그레(Palacio Vistalegre)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 이후, 선수들의 출연료 미지급, FEG의 미결제 재정 의무, K-1 이름의 소유권 이전 불완전 등에 대한 논란과 소문이 돌았다.[19] 새로운 K-1 회장은 선수들에게 미지급된 금액을 지불하고 50%의 보너스를 포함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했다.[20]
2012년 6월, 잇츠 쇼타임이 글로리 스포츠 인터내셔널(Glory Sports International)에 인수되어, 결국 새로운 프로모션인 GLORY에 합병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21]
2012년 8월 10일, K-1은 루마니아에 기반을 둔 킥복싱 프로모션인 슈퍼콤뱃(SUPERKOMBAT)과의 공동 프로모션 계약을 발표했다.[22] 이 계약은 결국 종료되었지만, SK 회장 에두아르드 이리미아(Eduard Irimia)는 회사가 2013년에 독립할 것이지만, K-1을 포함하여 관심 있는 모든 프로모션과 선수 제공을 통해 협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23]
2012년 5월 16일, 전 K-1 MAX 세계 챔피언 마사토가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에 취임했다.[67]
2012년 5월 27일, K-1 글로벌이 운영 회사가 되어 처음으로 개최된 대회 "K-1 RISING 2012~K-1 WORLD MAX FINAL16 2012~"가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K-1의 미들급 토너먼트 FINAL16이 열렸으며, 앤디 사워 등 많은 강호 선수들이 출전한 외, 슈퍼 헤비급 원매치에는 9년 만에 출전하는 미르코 크로캅, 프로 복싱 전향을 표명했던 바다 하리 등이 출전했다.
2012년 10월에 도쿄 료고쿠 국기관에서 무차별급 토너먼트 1회전 「K-1 RISING 2012 WORLD GP FINAL 16」, 2013년 3월에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에서 무차별급 결승 토너먼트 「K-1 World Grand Prix FINAL in Zagreb」을 개최, 미르코 크로캅이 우승했다.[68]
2012년 11월, K-1 글로벌에 대해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LEXI INVESTMENT LIMITED를 할당처로 하는 제3자 할당 증자가 실시되어, EMCOM의 연결 대상에서 제외되었다.[69] 2012년을 마지막으로 마사토가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를 사임했다.[70]
2013년 9월부터는 K-1 WORLD MAX 2013이 순차적으로 개최되어, 2014년 10월에 결승이 열렸다.
격투기 흥행의 한편으로, 2013년부터 "K-1 GYM"의 브랜드명으로 종합 격투기를 중심으로 한 스포츠 짐을 전개하기 시작했다(운영은 주식회사 M-1 스포츠 미디어). 2013년 8월에는 1호점을 도쿄 무사시코야마 (구 타카다 도장 부지)에 오픈하고,[71] 2014년 4월에는 코히루이마키 타카유키가 이끄는 「코히루이마키 도장」을 리뉴얼하는 형태로 에비스에 2호점을 오픈했다.[72] 같은 달에는 계속해서 총본부를 신주쿠의 GEN 스포츠 팰리스에 오픈했다.[73]
2. 3. K-1 실행위원회 및 현재 (2014-)
2014년 5월 29일, 일본에서 "K-1 월드 리그"가 출범했다. 이는 K-1 글로벌 홀딩스로부터 일본 지역 명칭권과 독점 라이선스를 획득한 것으로, 2012년의 K-1과는 별개의 단체로 간주된다.[24] K-1 월드 리그는 -55kg, -60kg, -65kg, -70kg 및 헤비급 선수들을 중심으로 프로 이벤트, 아마추어 대회, K-1 체육관 운영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었으며, M-1 스포츠 미디어가 기획 및 제작을 담당했다.[25] 2014년 9월 24일, K-1 월드 리그는 '''K-1 월드 GP'''로 명칭을 변경했다.[26]K-1 월드 리그는 크러쉬 브랜드를 공식적으로 통합했다.[25] 2009년에 출범한 크러쉬는 K-1과 AJKF의 협력으로 탄생했으며, 당시 K-1 대회의 두 번째 티어로 여겨졌다.[27] 세가와 타케루, 츠바키하라 타츠야, 레오나 페타스 등 많은 미래의 K-1 선수들이 크러쉬를 거쳐갔다. 이후 K-1은 아마추어와 프로 대회의 중간 단계인 KHAOS 브랜드를 추가했다. K-1은 일본 전역에 체육관을 운영하며 선수 육성 시스템을 갖추고, 선수들이 훈련, 아마추어 대회, 프로 대회를 거쳐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28]
2016년 9월 20일, K-1 월드 GP 총괄 프로듀서 마에다 켄사쿠가 은퇴하고,[29] 크러쉬 총괄 프로듀서였던 미야타 미츠루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30] 2017년 6월부터 K-1 월드 GP는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이벤트를 다시 개최하기 시작했으며, 선수들이 K-1과 독점 계약을 맺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1]
2018년 12월 17일, 전 크러쉬 및 K-1 해설자이자 무술 작가인 나카무라 타쿠미가 미야타 미츠루의 뒤를 이어 총괄 프로듀서로 임명되었다.[32] 2019년 1월 26일, 크러쉬는 "K-1 KRUSH FIGHT"로 명칭을 변경하여 K-1과의 연관성을 강조했으나,[33] 2019년 12월 7일 다시 크러쉬로 명칭을 변경하여 K-1의 두 번째 티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려는 시도를 했다.[34]
2023년 2월 10일, K-1은 일본 격투기 단체 RISE와 선수 교류에 합의했다.[35][36] 이는 THE MATCH 2022라는 Tenshin Nasukawa vs. Takeru 크로스오버 유료 시청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공동 개최한 이후 이루어진 결과였다.[37]
2023년 2월 28일, M-1 스포츠 미디어가 K-1 브랜드의 글로벌 라이선스 권한을 획득하고, K-1 International Federation (KIF)에서 관리하게 되었다.[38] 2023년 7월 17일, 나카무라 타쿠미가 프로듀서 직에서 물러났다.[39]
2023년 7월 18일, 전 Glory 재팬 제너럴 매니저였던 카를로스 키쿠타가 새로운 K-1 프로듀서로 발표되었다. 같은 날 K-1은 Quintet과 공동으로 2023년 9월 10일에 개최될 ReBOOT 이벤트를 발표했다.[40] 이후 K-1은 헤비급과 75kg 이하 체급을 각각 "K-1 WORLD GP"와 "K-1 WORLD MAX"로 재편하고, 헤비급 월드 그랑프리를 개최하며, 극진회관과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했다.[41]
2023년 8월 8일, 전 집행 프로듀서였던 미야타 미츠루가 Krush 프로듀서로 임명되었고,[42] 2024년 1월 19일, 이시이 카즈요시가 고문으로 임명되었다.[43]
K-1 경기는 현재 일본에서 스트리밍 텔레비전 서비스 아베마 TV를 통해 방송되며,[49] K-1은 정기적으로 전체 경기, 기자 회견, 미디어 자료를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한다.[50] 2023년 8월 30일, DAZN은 9월 10일 ReBOOT~K-1 ReBIRTH~ 이벤트를 시작으로 200개 국가에서 향후 K-1 이벤트를 배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1][52][53]
3. 규칙
K-1 경기는 6미터 이상의 정사각형 링에서 진행되며, 4개의 로프로 둘러싸여 있다.[44][45] 허용되는 기술과 금지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
허용 기술 | 금지 기술 |
---|---|
경기는 보통 3분 3라운드로 진행되며, 무승부일 경우 연장전을 치를 수 있다.[44][45] 승패는 다음 요소로 결정된다.
- 다운: 1라운드 안에 2번 다운 (토너먼트 결승전 제외) 또는 3번 다운 (원매치와 토너먼트 결승전)되면 KO로 처리된다.[44][45]
- 테크니컬 녹아웃(TKO): 레퍼리 또는 의사가 경기 속행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거나, 세컨드에 의해 수건이 투입된 경우.[44][45]
- 판정: 심판 3명에 의한 판정으로 결정된다.[44][45]
- 실격[44][45]
심판은 다운된 선수에게 8카운트를 세며, 선수가 경기를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카운트를 중단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44][45] 채점 기준은 다음과 같다.[44][45]
채점 기준 |
---|
다운 횟수 (한 라운드에 3번 다운되면 테크니컬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에서는 2번)[44][45] |
상대에게 가한 데미지[44][45] |
클린 히트 횟수[44][45] |
공격성[44][45] |
4. 대회 형식
K-1 연간 대회는 세계 각지 예선 토너먼트로 시작된다. 예선 통과 선수, 전년도 월드 그랑프리 8강 진출자, 주최 측 추천 선수 16명이 연말 월드 그랑프리에 출전해 챔피언을 가린다.[46] 16강전 후, 연말 8강 토너먼트로 챔피언이 결정된다.
K-1은 체급별 챔피언 결정을 위해 단일 경기와 원나잇 토너먼트를 혼합했다.[46]
K-1 체급별 챔피언은 다음과 같다.
- -100kg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바다 하리|바드르 하리ma | 2007년 4월 28일 ~ 2008년 12월 17일(박탈) | 1 |
2 | 후지모토 쿄타로|후지모토 교타로일본어 | 2009년 3월 28일 ~ 2011년 10월 1일(반납) | 1 |
- -70kg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마랏 그리고리안|마라트 그리고랸hy | 2015년 7월 4일 ~ 현재 | 0 |
- -65kg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케우 페어텍스|깨우 훼아텓th | 2014년 11월 3일 ~ 현재 | 1 |
- -60kg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우라베 고야|우라배 고야일본어 | 2015년 1월 18일 ~ 2015년 11월 21일 | 0 |
2 | 우라베 히로타카|우라배 히로타카일본어 | 2015년 11월 21일 ~ 현재 | 0 |
K-1 경기는 6m 이상 사방에 4개 로프가 있는 링에서 진행된다. 경기 형식은 다음과 같다.
- 원매치: 본선 3분 3라운드, 연장 1라운드, 3다운제.[80] 선수 육성용 프리리미나리 원매치는 3분 3라운드(여자는 2분 3라운드), 3다운제, 연장전 없음, 무승부 가능.
- 토너먼트: 3분 3라운드, 연장 1라운드.[81] 결승전 제외 2다운제, 결승전 3다운제.
K-1은 펀치, 킥 등 타격 기술만 유효하며, 박치기, 팔꿈치 치기, 급소 공격 등은 반칙이다. 뒷손 치기 제약, 던지기, 관절 기술, 누르기도 반칙이다. 껴안기 상태 무릎차기 등 상대를 잡는 공격은 금지되었다.[82]
승패 결정은 다음과 같다.
- 넉아웃(KO): 9카운트 내 미기상, 1라운드 2회(토너먼트 결승 제외) 또는 3회(원매치, 토너먼트 결승) 다운.
- 테크니컬 넉아웃(TKO): 레퍼리나 의사 판단, 세컨드 수건 투입.
- 판정: 심판 3명 중 2표 이상 획득(연장전은 라운드 머스트 시스템).
- 실격: 반칙으로 1경기 감점 3점, 고의적 악질 반칙으로 경기 속행 불가 시.
우발적 버팅 등으로 경기 속행 불가 시, 1라운드 전 무효 경기, 2라운드 후 부상 판정(무승부 가능). 토너먼트 무효, 부상 판정 시 경기 가능 선수 진출. 토너먼트 승리 선수 부상 시 선수 의사 존중, 링 닥터 판단 기권. 이 경우 리저브 파이트 승자나 패자 출전. 링 슈즈 착용은 허용, (무릎 아래) 발 기술 금지.[82]
4. 1. K-1 월드 그랑프리
초창기 K-1 그랑프리는 일본에서 개최된 단일 이벤트 토너먼트로, 초청받은 선수들이 참가했다. 1998년부터 K-1은 K-1 지역 예선 토너먼트(이론상 6개)로 구성된 K-1 월드 그랑프리 형식을 도입하여, 선수들이 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할 자격을 얻도록 했다. 또한 지역 예선 자격을 위한 국가별 예선을 개최하기 위해 라이선스를 받은 K-1 파이팅 네트워크 이벤트를 활용했다.[60]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엘리미네이터("파이널 16")는 16명의 참가자가 파이널("파이널 8")의 최종 8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이벤트이다. 파이널 엘리미네이터에서 8명의 참가자가 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만나게 된다. 토너먼트 형식의 다른 요소들도 수년에 걸쳐 수정되었다. 파이널은 1997년부터 2006년까지 도쿄 돔에서 개최되었다.[60]
4. 2. K-1 월드 MAX
2002년, K-1은 70kg 미들급 부문을 위한 K-1 월드 MAX ("미들급 아티스틱 엑스트림") 토너먼트를 시작했다. K-1 월드 그랑프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60] 2007년에는 K-1 월드 GP 챔피언과는 별개로 슈퍼 헤비급(100kg 초과) 및 헤비급(100kg 이하) 타이틀이 신설되었다.[60]4. 3. 기타 대회
K-1에서는 메인 이벤트 외에도 다양한 체급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K-2 그랑프리 (-79kg), K-3 그랑프리 (-76kg) 등의 대회가 열렸다.또한, 일본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리그가 운영되었다.
- K-1 JAPAN 시리즈: 일본인 선수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K-1 갑자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리그였다.
- K-1 칼리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리그였다.
5. 대한민국과의 관계
K-1은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여러 한국 선수들이 K-1 무대에서 활약했다.
- 임수정: 여성 격투가로, 2009년 'K-1 AWARD & MAX KOREA 2009'에서 RENA와의 경기로 주목받았다.[61]
- 최홍만: 씨름 선수 출신으로, K-1에서 '테크노 골리앗'이라는 별명으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 김태영: K-1 초창기부터 활동한 선수로, K-3 그랑프리에 참가했다.
- 이성현: K-1 월드 MAX 2014에서 3위를 차지했다.
K-1은 2004년부터 대한민국에서 대회를 개최하며 한국 격투기 시장에 진출했다.
6. 역대 챔피언
K-1은 다양한 체급별 챔피언을 배출해왔다.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무차별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K-1 슈퍼헤비급 챔피언 (+100kg) ===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세미 슐트 | 2007년 3월 4일 ~ 2013년 6월 26일(반납) | 4 |
=== K-1 헤비급 챔피언 (-100kg) ===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세미 슐트 | 2007년 3월 4일 ~ 2013년 6월 26일(반납) | 4 |
2 | 로엘 마나아트 | 2018년 ~ 현재 | 1 |
=== K-1 크루저급 챔피언 (-90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대 | 2017년 11월 23일 - 2018년 3월 21일 | 안토니오 프라치바트|안토니오 프라치바트hr | 0 |
2 | 2018년 3월 21일 - 현재 | 로엘 마나트|로엘 마나트nl | 1 |
3 | 2024년 - 현재 | 류처|류처중국어 | 1 |
=== K-1 월드 MAX 챔피언 (-70kg) ===
K-1 월드 MAX 챔피언 (-70kg)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K-1 슈퍼 웰터급 챔피언 (-70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대 | 2015년 7월 4일 ~ 2016년 12월 6일 (반납) | 마랏 그리고리안|마랏 그리고리안hy | 0 |
2대 | 2017년 6월 18일 ~ 2019년 1월 18일 (반납) | 칭기스 알라조프|칭기스 알라조프be | 1 |
3대 | 2020년 3월 22일 ~ 2021년 12월 4일 | 키무라 "필립" 미노루|키무라 "필립" 미노루pt | 0 |
4대 | 2021년 12월 4일 ~ 2023년 12월 9일 | 와지마 히로미|와지마 히로미일본어 | 1 |
5대 | 2023년 12월 9일 ~ 현재 | 오우양 펑|오양펑중국어 | 0 |
=== K-1 웰터급 챔피언 (-67.5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 | 2017년 9월 18일 - 2020년 6월 3일 (반납) | 쿠보 유타 | 3 |
=== K-1 슈퍼 라이트급 챔피언 (-65kg) ===
대 | 재위 기간 | 왕자 | 방어 횟수 |
---|---|---|---|
초대 | 2014년 11월 3일 ~ 2017년 6월 18일 | 깨오 위라삭렉 | 2 |
2대 | 2017년 6월 18일 ~ 2018년 8월 19일 (반납) | 노나카 마사아키 | 1 |
3대 | 2018년 11월 3일 ~ 2019년 6월 30일 | 깨오 위라삭렉 | 0 |
4대 | 2019년 6월 30일 ~ 2020년 9월 22일 | 안보 루키야 | 2 |
5대 | 2020년 9월 22일 ~ 2022년 4월 3일 | 야마자키 히데아키 | 0 |
6대 | 2022년 4월 3일 ~ 2024년 3월 8일 (반납) | 야마토 테츠야 | 2 |
7대 | 2024년 9월 29일 ~ 현재 | 요드쿤폰 위라삭렉|요드쿤폰 위라삭렉th | 0 |
=== K-1 라이트급 챔피언 (-62.5kg) ===
대 | 재위 기간 | 왕자 | 방어 횟수 |
---|---|---|---|
초 | 2017년 2월 25일 ~ 2018년 3월 21일 | 웨이 루이|웨이 루이중국어 | 1 |
2 | 2018년 3월 21일 ~ 2019년 3월 10일 | 우라베 코야 | 0 |
3 | 2019년 3월 10일 ~ 2020년 12월 13일 | 하야시 켄타 | 0 |
4 | 2020년 12월 13일 ~ 2021년 7월 17일 | 곤나파 위라사크렉|곤나파 위라사크렉th | 0 |
5 | 2021년 7월 17일 ~ 2023년 3월 12일 | 아사쿠 히로오 | 0 |
6 | 2023년 3월 12일 ~ 현재 | 요자 유키|요자 유키일본어 | 0 |
=== K-1 슈퍼 페더급 챔피언 (-60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 | 2015년 1월 18일 - 2015년 11월 21일 | 우라베 코야 | 0 |
2 | 2015년 11월 21일 - 2017년 2월 25일 | 우라베 히로타카 | 0 |
3 | 2017년 2월 25일 - 2018년 2월 3일 (박탈) | 타이가 | 0 |
4 | 2018년 3월 21일 - 2022년 6월 27일 (반납) | 타케루 | 2 |
5 | 2022년 9월 11일 - 현재 | 레오나 페타스 | 0 |
=== K-1 페더급 챔피언 (-57.5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 | 2016년 11월 3일 ~ 2018년 3월 20일 (반납) | 타케루 | 1 |
2 | 2018년 6월 17일 ~ 2019년 8월 25일 (반납) | 무라코시 유타 | 1 |
3 | 2019년 11월 24일 ~ 2021년 3월 21일 | 에가와 유키 | 0 |
4 | 2021년 3월 21일 ~ 2021년 12월 4일 | 츠바키하라 류야 | 0 |
5 | 2021년 12월 4일 ~ 현재 | 군지 타이토 | 1 |
=== K-1 슈퍼 밴텀급 챔피언 (-55kg) ===
대 | 챔피언 | 획득일 | 방어 횟수 |
---|---|---|---|
1 | 타케루 | 2015년 4월 19일 ~ 2016년 8월 28일 (반납) | 1 |
2 | 타케쿠시 요시키 | 2017년 4월 22일 ~ 2020년 12월 13일 (반납) | 1 |
3 | 카네코 아키히로 | 2022년 2월 27일 ~ 현재 | 1 |
=== K-1 밴텀급 챔피언 (-53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 | 2022년 12월 3일 ~ 현재 | 쿠로다 토마 | 0 |
=== K-1 여자 플라이급 챔피언 (-52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대 | 2019년 12월 28일 ~ 2023년 12월 9일 | KANA | 2 |
2대 | 2023년 12월 9일 ~ 2024년 3월 20일 | Antonia Pliatsou|안토니아 프리프티영어 | 0 |
3대 | 2024년 3월 20일 ~ 현재 | SAHO | 0 |
=== K-1 여자 아톰급 챔피언 (-45kg) ===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대 | 2022년 6월 25일 - 2023년 3월 12일 | พเยาว์ พ.เมืองเพชร|파야폰 아유타야 파이트짐th | 0 |
2대 | 2023년 3월 12일 - 현재 | 스가와라 미유 | 0 |
=== K-1 갑자원 챔피언 ===
K-1 갑자원 챔피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K-1 칼리지 챔피언 ===
K-1 칼리지 챔피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6. 1.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무차별급)
회 | 개최일 | 우승 | 준우승 | 3위 |
---|---|---|---|---|
1 | 1993년 4월 30일 | 브랑코 시카틱 | 어네스트 후스트 | 사타케 마사아키 모리스 스미스 |
2 | 1994년 4월 30일 | 피터 아츠 | 사타케 마사아키 | 패트릭 스미스 브랑코 시카틱 |
3 | 1995년 5월 4일 | 피터 아츠 (2) | 제롬 르 밴너 | 마이크 베르나르도 어네스트 후스트 |
4 | 1996년 5월 6일 | 앤디 훅 | 마이크 베르나르도 | 무사시 어네스트 후스트 |
5 | 1997년 11월 9일 | 어네스트 후스트 | 앤디 훅 | 프란시스코 필리오 피터 아츠 |
6 | 1998년 12월 13일 | 피터 아츠 (3) | 앤디 훅 | 마이크 베르나르도 샘 그레코 |
7 | 1999년 12월 5일 | 어네스트 후스트 (2) | 미르코 "크로캅" 필리포비치 | 샘 그레코 제롬 르 밴너 |
8 | 2000년 12월 10일 | 어네스트 후스트 (3) | 레이 세포 | 프란시스코 필리오 시릴 아비디 |
9 | 2001년 12월 8일 | 마크 헌트 | 프란시스코 필리오 | 스테판 레코 알렉세이 이그나쇼프 |
10 | 2002년 12월 7일 | 어네스트 후스트 (4) | 제롬 르 밴너 | 레이 세포 마크 헌트 |
11 | 2003년 12월 6일 | 레미 본야스키 | 무사시 | 시릴 아비디 피터 아츠 |
12 | 2004년 12월 4일 | 레미 본야스키 (2) | 무사시 | 가오클라이 캐노라싱 프랑수아 보타 |
13 | 2005년 11월 19일 | 세미 쉴트 | 글라우베 페이토자 | 레미 본야스키 무사시 |
14 | 2006년 12월 2일 | 세미 쉴트 (2) | 피터 아츠 | 어네스트 후스트 글라우베 페이토자 |
15 | 2007년 12월 8일 | 세미 쉴트 (3) | 피터 아츠 | 제롬 르 밴너 레미 본야스키 |
16 | 2008년 12월 6일 | 레미 본야스키 (3) | 공석[92] | 에롤 지머만 구칸 사키 |
17 | 2009년 12월 5일 | 세미 쉴트 (4) | 바다 하리 | 알리스타 오브레임 레미 본야스키 |
18 | 2010년 12월 11일 | 알리스타 오브레임 | 피터 아츠 | 세미 쉴트 구칸 사키 |
19 | 2024년 12월 14일 | 아리엘 마차도 | 펑 루이 | 야마구치 쇼다이 에롤 지머만 |
6. 2. K-1 슈퍼헤비급 챔피언 (+100kg)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세미 슐트 | 2007년 3월 4일 ~ 2013년 6월 26일(반납) | 4 |
6. 3. K-1 헤비급 챔피언 (-100kg)
대 | 챔피언 | 보유 기간 | 방어 횟수 |
---|---|---|---|
1 | 세미 슐트 | 2007년 3월 4일 ~ 2013년 6월 26일(반납) | 4 |
2 | 로엘 마나아트 | 2018년 ~ 현재 | 1 |
6. 4. K-1 크루저급 챔피언 (-90kg)
대 | 재위 기간 | 챔피언 | 방어 횟수 |
---|---|---|---|
초대 | 2017년 11월 23일 - 2018년 3월 21일 | 안토니오 프라치바트 | 0 |
2 | 2018년 3월 21일 - 현재 | 로엘 마나트 | 1 |
3 | 2024년 - 현재 | 류처 | 1 |
6. 5. K-1 월드 MAX 챔피언 (-70kg)
코히루이마키 타카유키두에인 루드윅
알베르트 크라우스
알베르트 크라우스
드라고
알베르트 크라우스
앤디 사워
부아카오 포.프라묵
드라고
앤디 사워
셰인 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