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킥복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킥복싱은 다양한 발차기 기술과 펀치를 사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한국에서는 1964년 구판홍에 의해 킹투기라는 무술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한다. 1960년대 일본에서 무에타이와 가라테를 결합하여 킥복싱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이후 일본, 미국, 유럽 등지로 확산되었다. 킥복싱은 다양한 규칙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오리엔탈 룰, 아메리칸 킥복싱, 네덜란드식 킥복싱, 무에타이 등이 대표적이다. K-1, 글로리, 원 챔피언십과 같은 주요 단체들이 존재하며, 펀치, 킥, 무릎, 팔꿈치 기술을 사용한다. 킥복싱은 뇌 손상 위험과 같은 비판과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에서 시작된 스포츠 - 규도
    규도는 일본의 전통적인 궁술로 정신 수양과 예의범절을 중시하며,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무사 계급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고, 다양한 유파와 전일본궁도연맹을 중심으로 현대 스포츠화되었으며, 사법팔절을 기본 동작으로 수련하고, 도구와 기술 단계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 일본에서 시작된 스포츠 - 거합도
    거합도는 칼을 뽑아 다시 넣는 기술을 중심으로 "항상 준비하고 즉시 맞춘다"는 의미를 담은 일본 무도로, 정신 수양과 즉각적인 반응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며, 형 위주의 비대련 방식으로 수련된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 무술에 관한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무술에 관한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킥복싱
개요
킥복싱 경기 모습
종류풀 컨택트
포커스펀치
발차기
타격
올림픽미개최
IWGA2017 (초청 경기)
2022
역사
기원고대사, 아마도 선사 시대
파생 무술슈트 복싱
발레 투도
종합격투기
컴뱃 삼보
기타
관련 인물킥복싱 선수 목록 참고
용어
영어Kickboxing
IPA/ˈkɪkbɒksɪŋ/
로마자 표기Kikbokseong
스포츠 정보
종주국전 세계
성별혼성
종류혼합 격투기
장비글러브
접촉풀 컨택트
올림픽미개최
일본 킥복싱
일본어キックボクシング
로마자 표기Kikkubokushingu
발생 국가일본
발생 년도1966년 (쇼와 41년)
창시자노구치 오사무
야마다 타츠오
기원무에타이
권투
가라테
글러브 가라테 (GHQ무도 금지령)
파생 종목슈트 복싱
K-1
글러브 가라테
주요 기술발차기
펀치
팔꿈치 공격
공식 웹사이트전일본 킥복싱 연맹
신일본 킥복싱 협회
WAKO
WKA

2. 역사

한국킥복싱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킥복싱은 1964년 9월 구판홍이 태권도, 복싱, 유도, 레슬링 등의 특성을 종합하여 체계화한 '킹투기'라는 무술에서 기원한다고 주장한다. 1968년 4월, 일본의 노구치 오사무 기꾸복싱(킥복싱) 회장이 광주를 방문하여 구판홍 창시자와 회담을 가졌고, 한국의 킹투기와 일본의 기꾸복싱을 '킥복싱'으로 명칭을 통일하고 한일 간 국제 교류를 합의하면서 킥복싱이라는 무술이 한국에서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1963년 극진가라테 선수였던 쿠로사와 켄지, 나카무라 타다시, 노보루 오자와가 무에타이의 성지인 룸피니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가진 것을 킥복싱의 기원으로 본다. 이 경기에서 나카무라와 노보루는 승리했지만, 리더였던 쿠로사와 켄지는 패배하였다. 이후 쿠로사와 켄지는 가라테의 스타일을 살리면서 복싱 펀치와 무에타이 경기 규칙을 응용한 새로운 무술을 만들게 된다. 1966년, 일본의 복싱 프로모터 노구치 오사무는 "킥복싱"이라는 명칭을 고안하고 "일본 킥복싱 협회"를 설립하여 시합을 시작했고, 이것이 일본과 태국 등지에서 흥행하며 미국과 유럽까지 퍼져나가게 되었다.

1959년 12월 20일, 도쿄도다이토구의 아사쿠사 공회당에서 일본 최초의 무에타이 경기가 개최되었다.[85] 일본 권법 공수도의 창시자 야마다 타츠오는 직접 타격제에 의한 가라테 시합화를 목표로 무에타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1년, 야마다는 무에타이 전 챔피언 카우키를 도장에 초대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1962년, 야마다는 고라쿠엔 홀에서 가라테 복싱을 "제1회 가라테 경기회"로 개최했지만, 당시 가라테계에서는 묵살되었다. 한편, 노구치 오사무는 1962년 8월 24일 고라쿠엔 홀에서 개최된 일본에서 두 번째 무에타이 경기를 보고 가라테 대 무에타이의 흥행 가능성을 느꼈다. 1963년, 오야마 마스 타츠의 오야마 도장에서 구로사키 겐지, 나카무라 타다시, 후지히라 아키오가 태국 방콕에서 가라테 대 무에타이 교류전에 참가하여 2승 1패로 승리했다.

킥복싱은 광범위한 용어이므로, 그 역사를 이해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격투는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이며, 발차기와 주먹질은 인간의 공격성의 행위로 선사 시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존재했을 것이다.[22] 가장 오래된 권투의 묘사는 기원전 3천년기 수메르부조에서 발견되었다. 킥복싱 형태는 고대 인도에도 존재했다. 무스티-유다에 대한 초기 언급은 기원전 2천년 중반에 편찬된 ''라마야나'' 및 ''리그베다''와 같은 고전 베다 서사시에서 나타난다. ''마하바라타''는 주먹을 꽉 쥐고 권투를 하는 두 명의 격투가와 발차기, 손가락 공격, 무릎 공격, 머리 박치기로 싸우는 모습을 묘사한다.[6] 무스티 유다는 무에타이와 무에 라오와 같은 동남아시아의 많은 유명한 무술에 선행되었고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고대 그리스의 종합 격투기인 판크라티온에서는 모든 신체 부위를 사용하여 타격을 가하는 안 판크라티온(Anō Pankration) 모드에서 킥복싱 형태가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 권투에서 발차기가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발차기에 대한 증거가 있지만,[23][24][1]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25][26]

판크라티스트들이 심판의 눈 앞에서 싸우는 모습. 기원전 500년경 파나테나이아 상 암포라의 B면


프랑스는 발차기와 권투 기술을 포함하는 스포츠에 복싱 글러브를 처음 도입한 국가이다. 1743년, 현대적인 복싱 글러브는 영국인 잭 브로턴에 의해 발명되었다.[27] 프랑스인 샤를르 르쿠르는 영국식 복싱 글러브를 라 복스 프랑세즈에 추가했다.[28] 샤를르 르쿠르는 현대 사바테 또는 라 복스 프랑세즈의 선구자였다. 그는 발차기와 주먹질을 모두 사용하는 형태를 만들었다.[29] 르쿠르는 사바테를 스포츠이자 호신술로 처음 인식했다.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은 유럽식 복싱 글러브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토착 아시아 무술에 도입했다. 유럽식 복싱 글러브의 사용은 인접한 시암으로 확산되었다.

''라 복스 프랑세즈''의 옛 사진


1950년대에 야마다 타츠오라는 일본인 가라테가가 처음으로 가라테와 무에타이를 결합한 새로운 스포츠의 개요를 정립했다. 이는 1960년대 초에 가라테와 무에타이 간의 시합이 시작되면서 더욱 발전되었고, 규칙 개정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 중반에는 킥복싱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첫 번째 이벤트가 오사카에서 개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킥복싱은 일본을 넘어 북미와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주요 기구들이 설립되었다.

  • 일본에서는 이 스포츠가 널리 인기를 얻어 1980년대 암흑기를 겪기 전까지 정기적으로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다.
  • 북미에서는 스포츠에 대한 규칙이 명확하지 않아 킥복싱과 풀 컨택트 가라테가 본질적으로 동일했다.
  • 유럽에서는 이 스포츠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1990년대까지 번성하지 못했다.


1990년대 이후 킥복싱은 주로 일본의 K-1 프로모션이 지배했으며, 다른 프로모션과 대부분 기존의 기구에서도 경쟁이 이루어졌다.

경쟁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대중 매체, 체력 단련, 호신술 분야에서도 참여와 노출이 증가했다.

2. 1. 기원

한국킥복싱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킥복싱은 1964년 9월 구판홍이 태권도, 복싱, 유도, 레슬링 등의 특성을 종합하여 체계화한 '킹투기'라는 무술에서 기원한다고 주장한다. 1968년 4월, 일본의 노구치 오사무 기꾸복싱(킥복싱) 회장이 광주를 방문하여 구판홍 창시자와 회담을 가졌고, 한국의 킹투기와 일본의 기꾸복싱을 '킥복싱'으로 명칭을 통일하고 한일 간 국제 교류를 합의하면서 킥복싱이라는 무술이 한국에서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1963년 극진가라테 선수였던 쿠로사와 켄지, 나카무라 타다시, 노보루 오자와가 무에타이의 성지인 룸피니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가진 것을 킥복싱의 기원으로 본다. 이 경기에서 나카무라와 노보루는 승리했지만, 리더였던 쿠로사와 켄지는 패배하였다. 이후 쿠로사와 켄지는 가라테의 스타일을 살리면서 복싱 펀치와 무에타이 경기 규칙을 응용한 새로운 무술을 만들게 된다. 1966년, 일본의 복싱 프로모터 노구치 오사무는 "킥복싱"이라는 명칭을 고안하고 "일본 킥복싱 협회"를 설립하여 시합을 시작했고, 이것이 일본과 태국 등지에서 흥행하며 미국과 유럽까지 퍼져나가게 되었다.

1959년 12월 20일, 도쿄도다이토구의 아사쿠사 공회당에서 일본 최초의 무에타이 경기가 개최되었다.[85] 일본 권법 공수도의 창시자 야마다 타츠오는 직접 타격제에 의한 가라테 시합화를 목표로 무에타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1년, 야마다는 무에타이 전 챔피언 카우키를 도장에 초대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1962년, 야마다는 고라쿠엔 홀에서 가라테 복싱을 "제1회 가라테 경기회"로 개최했지만, 당시 가라테계에서는 묵살되었다. 한편, 노구치 오사무는 1962년 8월 24일 고라쿠엔 홀에서 개최된 일본에서 두 번째 무에타이 경기를 보고 가라테 대 무에타이의 흥행 가능성을 느꼈다. 1963년, 오야마 마스 타츠의 오야마 도장에서 구로사키 겐지, 나카무라 타다시, 후지히라 아키오가 태국 방콕에서 가라테 대 무에타이 교류전에 참가하여 2승 1패로 승리했다.

킥복싱은 광범위한 용어이므로, 그 역사를 이해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격투는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이며, 발차기와 주먹질은 인간의 공격성의 행위로 선사 시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존재했을 것이다.[22] 가장 오래된 권투의 묘사는 기원전 3천년기 수메르부조에서 발견되었다. 킥복싱 형태는 고대 인도에도 존재했다. 무스티-유다에 대한 초기 언급은 기원전 2천년 중반에 편찬된 ''라마야나'' 및 ''리그베다''와 같은 고전 베다 서사시에서 나타난다. ''마하바라타''는 주먹을 꽉 쥐고 권투를 하는 두 명의 격투가와 발차기, 손가락 공격, 무릎 공격, 머리 박치기로 싸우는 모습을 묘사한다.[6] 무스티 유다는 무에타이와 무에 라오와 같은 동남아시아의 많은 유명한 무술에 선행되었고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고대 그리스의 종합 격투기인 판크라티온에서는 모든 신체 부위를 사용하여 타격을 가하는 안 판크라티온(Anō Pankration) 모드에서 킥복싱 형태가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 권투에서 발차기가 허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발차기에 대한 증거가 있지만,[23][24][1]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25][26]

프랑스는 발차기와 권투 기술을 포함하는 스포츠에 복싱 글러브를 처음 도입한 국가이다. 1743년, 현대적인 복싱 글러브는 영국인 잭 브로턴에 의해 발명되었다.[27] 프랑스인 샤를르 르쿠르는 영국식 복싱 글러브를 라 복스 프랑세즈에 추가했다.[28] 샤를르 르쿠르는 현대 사바테 또는 라 복스 프랑세즈의 선구자였다. 그는 발차기와 주먹질을 모두 사용하는 형태를 만들었다.[29] 르쿠르는 사바테를 스포츠이자 호신술로 처음 인식했다.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은 유럽식 복싱 글러브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토착 아시아 무술에 도입했다. 유럽식 복싱 글러브의 사용은 인접한 시암으로 확산되었다.

1950년대에 야마다 타츠오라는 일본인 가라테가가 처음으로 가라테와 무에타이를 결합한 새로운 스포츠의 개요를 정립했다. 이는 1960년대 초에 가라테와 무에타이 간의 시합이 시작되면서 더욱 발전되었고, 규칙 개정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 중반에는 킥복싱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첫 번째 이벤트가 오사카에서 개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킥복싱은 일본을 넘어 북미와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주요 기구들이 설립되었다.

  • 일본에서는 이 스포츠가 널리 인기를 얻어 1980년대 암흑기를 겪기 전까지 정기적으로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다.
  • 북미에서는 스포츠에 대한 규칙이 명확하지 않아 킥복싱과 풀 컨택트 가라테가 본질적으로 동일했다.
  • 유럽에서는 이 스포츠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1990년대까지 번성하지 못했다.


1990년대 이후 킥복싱은 주로 일본의 K-1 프로모션이 지배했으며, 다른 프로모션과 대부분 기존의 기구에서도 경쟁이 이루어졌다.

경쟁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대중 매체, 체력 단련, 호신술 분야에서도 참여와 노출이 증가했다.

2. 2. 발전

한국킥복싱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킥복싱은 1964년 9월 구판홍이 태권도, 복싱, 유도, 레슬링 등의 특성을 종합하여 만든 '킹투기'에서 시작되었다. 1968년 4월, 일본의 노구치 오사무 킥복싱 회장이 광주를 방문, 구판홍 창시자와 회담을 가졌고, '킹투기'와 일본의 '기꾸복싱'을 '킥복싱'으로 명칭을 통일하고 한일 간 국제 교류를 합의했다.

일본에서의 킥복싱은 1963년 극진가라테 선수들이 무에타이 선수들과 대결한 것을 계기로 발전했다.[33] 구로사키 겐지는 무에타이의 강력함을 실감하고 가라테 스타일을 살리면서 복싱 펀치와 무에타이 시합 룰을 응용한 새로운 무술을 만들었다.[33] 1959년 12월 20일, 도쿄 아사쿠사 시청에서 태국 선수들 간의 무에타이 경기가 열렸고, 야마다 타츠오는 무에타이에 관심을 보이며 "가라테-복싱"이라는 새로운 무술을 제안했다.[30] 1963년 2월 12일, "가라테 대 무에타이 시합"에서 일본은 2-1로 승리했지만, 사와무라 타다시는 6월에 태국 선수에게 패배했다.[33]

노구치 오사무는 무에타이를 연구하여 1966년에 "킥복싱"이라는 명칭을 고안하고 일본 킥복싱 협회를 설립했다.[86] 초기에는 던지기와 머리 박치기가 허용되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34] 1970년까지 킥복싱은 일본에서 TV로 방송되며 인기를 얻었지만,[35] 1970년대 각종 기구 난립과 오일 쇼크등으로 침체되었다.[36][37] 1971년 전일본 킥복싱 협회 (AJKA)가 설립되었고, 초대 위원장은 이시하라 신타로였다.[87] 후지와라 토시오는 1978년 태국 선수를 꺾고 라이트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최초의 비 태국인이었다.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초반, 이시이 카즈요시는 글러브 가라테를 아마추어 스포츠로 만들었다. 1993년, 이시이 카즈요시가 K-1을 설립하면서 킥복싱은 다시 유명해졌다.[40][41] K-1은 팔꿈치 공격과 목 조르기를 금지하는 특별 규칙을 적용했다.[40][41]

미국에서는 1970년에서 1973년 사이에 킥복싱 프로모션이 개최되었다. 1970년 1월 17일, 조 루이스가 그레그 베인스를 2라운드 녹아웃으로 이기면서 최초의 공식 경기가 열렸다.[43] 초기에는 규칙이 명확하지 않았고, 체급 구분 없이 진행되기도 했다. 1974년 프로페셔널 가라테 협회(PKA)와 1976년 세계 킥복싱 협회(WKA)가 설립되면서 미국 풀 컨택트 가라테와 킥복싱이 제도적으로 분리되었다.

국제 킥복싱 연맹(IKF)은 1992년 설립되었고, 1999년 최초의 아마추어 오픈 북미 토너먼트를 만들었다. 국제 스포츠 킥복싱 협회(ISKA)는 척 노리스와 함께 월드 컴뱃 리그를 공동 운영했으며, 스트라이크포스 MMA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서독에서는 1970년대부터 미국식 킥복싱이 보급되었고, 게오르그 F. 브루크너는 1976년 세계 킥복싱 기구의 공동 창립자였다. 네덜란드에서는 1976년 얀 플라스와 톰 하린크가 NKBB(네덜란드 킥복싱 협회)를 설립하며 일본식 킥복싱이 도입되었다. 네덜란드 선수들은 K-1 대회에서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었다.

1969년에는 일본의 대학에서 최초의 『니혼 대학 킥복싱 동호회』가 야마자키 테루아사에 의해 결성되었다.[84] 1972년10월에는 전일본 학생 킥복싱 연맹이 발족되었다.[84]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오일 쇼크 이후의 대불황과 방송 중단등으로 킥복싱의 인기가 하락했다.[87] 1990년대가 되면서 이시이 카즈요시가 K-1을 창설하여 다시 인기를 얻었다.

2. 3. 현대

한국킥복싱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킥복싱은 1964년 9월 구판홍이 태권도, 복싱, 유도, 레슬링 등의 특성을 종합하여 만든 '킹투기'에서 기원한다. 1968년 4월, 일본의 노구치 오사무 킥복싱 회장이 광주를 방문하여 구판홍과 회담을 가졌고, 킹투기와 일본의 '기꾸복싱'을 '킥복싱'으로 명칭을 통일하고 한일 간 국제 교류를 합의하였다.

일본에서는 1963년 극진가라테 선수들이 무에타이 선수들과 대결한 것을 킥복싱의 계기로 본다. 이 경기에서 극진가라테 선수들이 무에타이의 강력함을 실감하고, 가라테 스타일에 복싱 펀치와 무에타이 경기 규칙을 응용한 새로운 무술을 만들었다. 1966년, 일본의 복싱 프로모터 노구치 오사무는 '킥복싱'이라는 명칭을 고안하고 '일본 킥복싱 협회'를 설립하여 시합을 시작했다.

1970년대 킥복싱은 침체기를 겪었으나, 1990년대 K-1의 흥행으로 부흥기를 맞았다. K-1은 팔꿈치 공격을 금지하고 클린치 상태를 빠르게 해제하여 관객에게 더 흥미로운 경기를 제공했다. 200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K-1은 2010년대부터 인기를 잃고 몰락했고, 이후 글로리, 슈퍼컴뱃 등의 단체가 킥복싱의 명맥을 잇고 있다.

1984년 일본 킥복싱 7개 단체 중 4개 단체가 합동하여 일본 킥복싱 연맹을 설립했고, 1985년에는 마샬 아츠 일본 킥복싱 연맹이 설립되었다. 1987년 전일본 킥복싱 연맹이 창설되었고, 1996년에는 뉴 재팬 킥복싱 연맹 (NJKF)이 결성되었다. 1997년 전일본 킥복싱 연맹이 해산되었다가 재설립되었고, 같은 해 J-NETWORK (J-NET)가 결성되었다. 1998년에는 킥 유니온 (K-U)이 결성되었다.

1990년대 이시이 카즈요시는 풀 콘택트 가라테 대회를 개최하며 킥복싱의 아류 규칙으로 K-1을 창설하여 인기를 얻었다.

3. 종류



'''오리엔탈 룰''' ('''K-1 룰''' 또는 '''통합 룰'''이라고도 함)[47][48], 때로는 '''일본식 킥복싱'''이라고도 불림[12]은 1966년에 "킥복싱"이라는 이름을 채택한 최초의 격투 스포츠였으며, 나중에 레트로님으로 "일본식 킥복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K-1, ONE Championship, Glory 및 Bellator Kickboxing과 같은 많은 주요 킥복싱 프로모션에서 이 규칙을 채택했다.[44][45][46][49]

오리엔탈 룰은 일본의 권투 프로모터 노구치 오사무와 가라데 수련자 야마다 타츠오에 의해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가라데와 무에타이의 혼합으로 의도되었지만,[50] 이후 1970년대에 네덜란드에서 처음 공식화된 네덜란드 룰의 영향을 받았다.

1959년 12월 20일, 도쿄 아사쿠사 시청에서 태국 선수들 간의 무에타이 경기가 열렸다. "''일본 겐포 가라테도''"를 창시한 야마다 타츠오는 가라테 시합에서 서로 직접적인 타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 컨택트 규칙의 가라테 시합을 원했고, 무에타이에 관심을 보였다. 그는 이미 1959년 11월에 ''"새로운 무술의 설립과 산업화를 위한 계획 초안"''이라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 새로운 무술에 대한 잠정적인 이름으로 "가라테-복싱"을 제안했다.[30] 야마다가 챔피언 나크 무에이 (그리고 그의 아들 야마다 칸의 스파링 파트너였음)를 초청하여 무에타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태국 선수는 복싱 프로모터이자 무에타이에도 관심을 가진 노구치 오사무에 의해 영입되었다.[31][32]

1963년 2월 12일, "가라테 대 무에타이 시합"이 열렸다. ''오야마 도장'' (극진회관)에서 온 세 명의 가라테 선수들이 태국의 룸피니 복싱 스타디움으로 가서 세 명의 무에타이 선수와 싸웠다. 세 명의 극진 가라테 선수는 나카무라 타다시, 구로사키 겐지, 오사와 아키오 (오사와 노보루로도 알려짐)이다. 일본은 2-1로 승리했다.[33] 같은 해 6월, 가라테카이자 미래의 킥복서인 사와무라 타다시는 최고의 태국 선수 사만 소르 아디손과 대결하여 16번 다운되었고 패배했다.[33] 사와무라는 이 시합에서 배운 것을 진화하는 킥복싱 토너먼트에 통합하게 된다.

노구치 오사무는 무에타이를 연구하여 무에타이의 기술보다 더 많은 규칙을 흡수하고 채택한 복합 무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킥복싱''이라고 명명했다. 킥복싱의 주요 기술은 극진에서 파생되었다. 초기 시합에서는 던지기와 머리 박치기가 허용되었으나, 나중에 폐지되었다. 최초의 킥복싱 제재 기구인 ''킥복싱 협회''는 1966년 노구치 오사무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리고 첫 번째 킥복싱 행사가 1966년 4월 11일 오사카에서 열렸다.

야마다 타츠오는 1967년에 사망했지만, 그의 도장은 ''스기나미 체육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킥복싱을 지원하기 위해 킥복서들을 계속 배출했다.[34]

킥복싱은 TV에서 방송되기 시작하면서 일본에서 인기를 얻으며 부흥했다.[35] 1970년까지 킥복싱은 일본에서 세 개의 다른 채널에서 주 3회 방송되었다. 사와무라 타다시는 특히 인기 있는 초기 킥복서였다.[36][37] 1971년에는 전일본 킥복싱 협회 (AJKA)가 설립되었으며 약 700명의 킥복서를 등록했다. 초대 AJKA 위원장은 도쿄의 오랜 지사였던 이시하라 신타로였다.

1980년까지, 저조한 시청률과 텔레비전 방송 빈도 감소로 인해 일본 킥복싱의 황금기는 갑자기 종말을 맞이했다. 1993년 K-1이 설립되기 전까지 킥복싱은 TV에서 볼 수 없었다.[38][39]

1993년, 세이도회관 가라테의 창시자인 이시이 카즈요시가 특별 킥복싱 규칙 (팔꿈치와 목 조르기 금지)으로 K-1을 제작하면서 킥복싱은 다시 유명해졌다.[40][41]

무에타이와 오리엔탈 킥복싱의 주요 차이점은 팔꿈치 공격과 던지기가 금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클린치 파이팅의 양이 대폭 감소했다. 이러한 변화는 부상을 줄이고 TV 시청자에게 더 쉽게 경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오리엔탈 룰 경기는 전통적으로 5라운드, 각 3분으로 진행되었지만, 이후 3라운드 경기가 인기를 얻었다.

규칙:


  • 파이터는 급소를 제외하고, 펀치, 킥(허리 아래 킥 포함), 스윕, 무릎 (몸통에만)으로 상대를 공격할 수 있다.
  • 팔꿈치 공격은 금지된다.
  • 클린치 파이팅은 매우 제한적이거나 허용되지 않는다
  • 던지기와 머리 박치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 경기는 3~5라운드(각 3분)로 진행되며 라운드 사이에는 1분 휴식을 취한다.

3. 1. 일본식 킥복싱 (오리엔탈 룰)



'''오리엔탈 룰''' ('''K-1 룰''' 또는 '''통합 룰'''이라고도 함)[47][48], 때로는 '''일본식 킥복싱'''이라고도 불림[12]은 1966년에 "킥복싱"이라는 이름을 채택한 최초의 격투 스포츠였으며, 나중에 레트로님으로 "일본식 킥복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K-1, ONE Championship, Glory 및 Bellator Kickboxing과 같은 많은 주요 킥복싱 프로모션에서 이 규칙을 채택했다.[44][45][46][49]

오리엔탈 룰은 일본의 권투 프로모터 노구치 오사무와 가라데 수련자 야마다 타츠오에 의해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가라데와 무에타이의 혼합으로 의도되었지만,[50] 이후 1970년대에 네덜란드에서 처음 공식화된 네덜란드 룰의 영향을 받았다.

1959년 12월 20일, 도쿄 아사쿠사 시청에서 태국 선수들 간의 무에타이 경기가 열렸다. "''일본 겐포 가라테도''"를 창시한 야마다 타츠오는 가라테 시합에서 서로 직접적인 타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 컨택트 규칙의 가라테 시합을 원했고, 무에타이에 관심을 보였다. 그는 이미 1959년 11월에 ''"새로운 무술의 설립과 산업화를 위한 계획 초안"''이라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 새로운 무술에 대한 잠정적인 이름으로 "가라테-복싱"을 제안했다.[30] 야마다가 챔피언 나크 무에이 (그리고 그의 아들 야마다 칸의 스파링 파트너였음)를 초청하여 무에타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태국 선수는 복싱 프로모터이자 무에타이에도 관심을 가진 노구치 오사무에 의해 영입되었다.[31][32]

1963년 2월 12일, "가라테 대 무에타이 시합"이 열렸다. ''오야마 도장'' (극진회관)에서 온 세 명의 가라테 선수들이 태국의 룸피니 복싱 스타디움으로 가서 세 명의 무에타이 선수와 싸웠다. 세 명의 극진 가라테 선수는 나카무라 타다시, 구로사키 겐지, 오사와 아키오 (오사와 노보루로도 알려짐)이다. 일본은 2-1로 승리했다.[33] 같은 해 6월, 가라테카이자 미래의 킥복서인 사와무라 타다시는 최고의 태국 선수 사만 소르 아디손과 대결하여 16번 다운되었고 패배했다.[33] 사와무라는 이 시합에서 배운 것을 진화하는 킥복싱 토너먼트에 통합하게 된다.

노구치 오사무는 무에타이를 연구하여 무에타이의 기술보다 더 많은 규칙을 흡수하고 채택한 복합 무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킥복싱''이라고 명명했다. 킥복싱의 주요 기술은 극진에서 파생되었다. 초기 시합에서는 던지기와 머리 박치기가 허용되었으나, 나중에 폐지되었다. 최초의 킥복싱 제재 기구인 ''킥복싱 협회''는 1966년 노구치 오사무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리고 첫 번째 킥복싱 행사가 1966년 4월 11일 오사카에서 열렸다.

야마다 타츠오는 1967년에 사망했지만, 그의 도장은 ''스기나미 체육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킥복싱을 지원하기 위해 킥복서들을 계속 배출했다.[34]

킥복싱은 TV에서 방송되기 시작하면서 일본에서 인기를 얻으며 부흥했다.[35] 1970년까지 킥복싱은 일본에서 세 개의 다른 채널에서 주 3회 방송되었다. 사와무라 타다시는 특히 인기 있는 초기 킥복서였다.[36][37] 1971년에는 전일본 킥복싱 협회 (AJKA)가 설립되었으며 약 700명의 킥복서를 등록했다. 초대 AJKA 위원장은 도쿄의 오랜 지사였던 이시하라 신타로였다.

1980년까지, 저조한 시청률과 텔레비전 방송 빈도 감소로 인해 일본 킥복싱의 황금기는 갑자기 종말을 맞이했다. 1993년 K-1이 설립되기 전까지 킥복싱은 TV에서 볼 수 없었다.[38][39]

1993년, 세이도회관 가라테의 창시자인 이시이 카즈요시가 특별 킥복싱 규칙 (팔꿈치와 목 조르기 금지)으로 K-1을 제작하면서 킥복싱은 다시 유명해졌다.[40][41]

무에타이와 오리엔탈 킥복싱의 주요 차이점은 팔꿈치 공격과 던지기가 금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클린치 파이팅의 양이 대폭 감소했다. 이러한 변화는 부상을 줄이고 TV 시청자에게 더 쉽게 경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오리엔탈 룰 경기는 전통적으로 5라운드, 각 3분으로 진행되었지만, 이후 3라운드 경기가 인기를 얻었다.

규칙:

  • 파이터는 급소를 제외하고, 펀치, 킥(허리 아래 킥 포함), 스윕, 무릎 (몸통에만)으로 상대를 공격할 수 있다.
  • 팔꿈치 공격은 금지된다.
  • 클린치 파이팅은 매우 제한적이거나 허용되지 않는다
  • 던지기와 머리 박치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 경기는 3~5라운드(각 3분)로 진행되며 라운드 사이에는 1분 휴식을 취한다.

3. 2. 아메리칸 킥복싱 (풀 컨택트)



'''아메리칸 킥복싱'''(풀 컨택트 킥복싱)은 서양 복싱과 가라테를 혼합한 격투 스포츠이다.[57]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쇼토칸 가라테, 복싱, 당수도, 극진공수도 등이 융합되어 발전하였다.

1970년 1월 17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최초의 풀 컨택트 킥복싱 경기가 열렸다. 절권도 수련자이자 가라테 챔피언이었던 조 루이스는 프로모터 리 포크너의 도움을 받아 이 경기를 주최했다.[42] 당시 경기는 '풀 컨택트'로 광고되었으나, 아나운서는 '킥복싱'이라고 칭했으며, 초기 규칙에는 무릎, 팔꿈치, 스윕이 포함되었다.[43] 조 루이스는 이 경기에서 켄포 스타일리스트 그레그 베인스를 2라운드 KO로 꺾었다.[43]

1974년, 조 루이스를 중심으로 프로페셔널 가라테 협회(PKA)가 설립되어 풀 컨택트 가라테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킥복싱과 풀 컨택트 가라테가 사실상 같은 스포츠로 취급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풀 컨택트 킥복싱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76년에는 세계 킥복싱 협회(WKA)가 설립되었다. PKA와 WKA는 전 세계적으로 경기를 승인하고 랭킹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킥복싱 발전에 기여했다. 1992년에는 국제 킥복싱 연맹(IKF)이 설립되었고, 1999년에는 IKF 월드 클래식이 창설되어 아마추어 킥복싱 및 무에타이 토너먼트로 자리 잡았다.

국제 스포츠 킥복싱 협회(ISKA)는 척 노리스와 함께 월드 컴뱃 리그(WCL)를 공동 운영하기도 했으며, 스트라이크포스와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다. ISKA는 스포츠 가라테 분야로도 확장하여 북미 스포츠 가라테 협회(NASKA)와 함께 US 오픈 & ISKA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아메리칸 킥복싱(풀 컨택트) 경기에서 남성 선수는 상의를 벗고 킥복싱 바지를 입으며, 마우스가드, 핸드랩, 복싱 글러브, 샅보호대, 정강이 보호대, 킥 부츠 등의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58] 여성 선수는 스포츠 브라와 가슴 보호대를 추가로 착용한다.[58]

주요 규칙은 다음과 같다:[59]

  • 허리 위를 향한 펀치와 발차기가 허용된다.
  • 팔꿈치와 무릎 공격은 금지된다.
  • 클린치와 그래플링은 금지되지만, 발 스윕은 허용된다.
  • 경기는 보통 3~10라운드로 진행되며, 각 라운드는 2분, 라운드 사이 휴식은 1분이다.
  • 1 라운드당 상대방의 허리 위로 8번의 발차기를 해야한다. 8번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포인트가 감점된다.


아메리칸 킥복싱(풀 컨택트)에서 활동한 주요 선수로는 데니스 알렉시오, 조 루이스, 릭 루퍼스, 장-이브 테리오, 베니 유키데즈, 빌 월리스, 돈 "드래곤" 윌슨 등이 있다.

3. 3. 네덜란드식 킥복싱



'''네덜란드식 킥복싱'''은 1970년대 일본식 킥복싱과 무에타이가 네덜란드에 소개되면서 생겨났다.[61] 얀 플라스는 일본식 킥복싱을 네덜란드에 도입하여, 1976년 NKBB(네덜란드 킥복싱 협회)를 설립했다.[61] 톰 하린크는 1983년 MTBN(네덜란드 무에타이 협회)을, 1984년 WMTA(세계 무에타이 협회)와 EMTA(유럽 무에타이 협회)를 설립했다.[61] 메지로 짐, 차쿠리키 짐, 골든 글로리 등 네덜란드의 가장 유명한 킥복싱 체육관은 모두 일본식 킥복싱과 극진 가라데의 영향을 받거나 파생되었다.[61]

1962년 존 블루밍이 오야마 도장(이후 극진회관)에서 수련 후 귀국하여 네덜란드에서 "오오야마 도장"을 설립하고 가라테와 유도를 가르치며 가라테를 널리 퍼지게 하였다.[61] 1966년에는 오야마 도장의 사범대였던 쿠로사키 켄지가 네덜란드에서 11개월 동안 지도하면서 킥복싱 기술도 전파했다.[61] 쿠로사키가 킥복싱으로 전향하여 설립한 메지로 짐에서 수련한 얀 플라스가 고국인 네덜란드에 메지로 짐 암스테르담을 설립했다. 톰 하릭이 설립한 도조 차크리키, 메지로 짐 암스테르담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던 요한 보스가 설립한 보스 짐과 함께 "네덜란드 3대 짐"으로 불린다.[61]

네덜란드식 킥복싱은 유럽식 룰을 기반으로 하며, 팔꿈치 공격은 금지되지만 양측이 동의하면 허용된다. 무릎 공격은 몸통에만 허용된다.[61] 경기는 3분 3라운드로 진행된다. K-1 룰은 네덜란드식 킥복싱 룰을 기반으로 발전되었다.[61]

네덜란드 선수들은 K-1 대회에서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었다. 1993년부터 2012년까지 발급된 19개의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십 타이틀 중 15개가 네덜란드 선수들(피터 아츠, 에르네스토 후스트, 레미 본야스키, 세미 슐트, 알리스타 오브레임)에게 돌아갔다.[61] 나머지 4개의 타이틀은 1993년 크로아티아의 브란코 치카티치, 1996년 스위스의 앤디 허그, 2001년 뉴질랜드의 마크 헌트, 2012년 크로아티아의 미르코 필리포비치가 획득했다.[61]

네덜란드식 룰의 유명한 선수로는 알리스타 오브레임, 바스 루텐, 멜빈 만호프, 게가드 무사시, 레미 본야스키, 피터 아츠 등이 있다.[61]

3. 4. 무에타이

무에타이 경기


'''무에타이''' 또는 '''태국 권투'''는 5라운드, 각 3분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남성 선수들은 상의를 탈의하고 반바지를 입으며 마우스 가드, 핸드랩, 정강이 보호대, 10온스 복싱 글러브, 샅 보호대 및 때로는 ''쁘라찌앗'' 팔찌를 착용한다.[65] 여성 태국 복싱 선수는 남성 의류/보호 장비 외에 스포츠 브라와 가슴 보호대를 착용한다. 무에타이는 팔꿈치, 무릎, 클린치, 던지기, 스윕, 로우킥을 허용하는 유일한 킥복싱 스타일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66][67][68] 급소 공격은 1980년대까지 국제 무에타이에서 허용되었으며, 여전히 태국 자체에서도 부분적으로 허용된다.[69] 미들 바디와 머리에 대한 킥은 높은 점수를 받아 심판의 채점표에서 많은 점수를 얻는다. 킥이 막혔더라도 킥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는다. 반대로 펀치는 더 적은 점수를 받는다.

무에타이 규칙에 따라 경기를 한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아피데 싯 흐룬, 부아카오 반차멕, 창푸악 키앗송릿, 롭 카만, 라몬 데커스, 코반 룩차오마이사통, 디젤노이 초 타나수칸, 생차이 P.K. 생차이무에타이짐, 사마트 파야카룬 및 욧산클라이 페어텍스가 있다.

선수들은 펀치, 허리 아래의 킥을 포함한 킥, 팔꿈치 및 무릎으로 상대를 공격할 수 있으며, 클린치가 허용된다. 특정 던지기와 스윕이 허용되지만 엉덩이 던지기와 발목 뒤로 스윕하는 것은 불법이다.[66][67][68] 경기는 일반적으로 각 3분 동안 5라운드로 진행되며, 라운드 사이에 2분 휴식을 취하지만, 일부 프로모션에서는 1분 휴식을 취하는 3라운드 경기가 사용된다. 로킥, 팔꿈치, 바디 및 안면에 대한 무릎차기를 허용한다. 태국의 무에타이가 도박 대상이 되기도 하여, 라운드 사이의 인터벌은 2분이다. 그러나 국제 규칙 등에서는 1분 또는 1분 30초로 단축하기도 한다. 무에타이와 킥복싱의 차이점에 대해 사토 요시히로는 "무에타이는 기술의 화려함과 방어의 숙련도, 킥복싱은 상대에게 입힌 데미지의 양으로 판정한다"고 말했다.

3. 5. 기타

한국식 킥복싱은 권격도 또는 격투기라고도 불리며, 정무도에 의해 창시되었다.[53][54][55][56] 태권도, 서양 권투, 무에타이의 규칙과 기술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스타일로, 태권도의 기본적인 발차기 스타일을 사용하면서 무에타이의 기술과 서양 권투의 발놀림, 회피 기술을 추가로 사용한다.

십 대의 로우킥 킥복싱 경기


'''인터내셔널 룰''' 또는 '''프리스타일 킥복싱'''(미국에서는 '''로우킥'''이라고도 함)은 로우킥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풀 컨택트 룰과 대조된다. 남성 킥복싱 선수들은 상의를 탈의하고, 킥복싱 바지 또는 반바지, 그리고 마우스 가드, 손 보호대, 복싱 글러브, 정강이 보호대, 가슴 보호대 등의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여성 킥복싱 선수들은 남성 의류/보호 장비 외에 스포츠 브라와 가슴 보호대를 착용한다.[62] 릭 루퍼스와 아브라함 로케니 등이 이 규칙 하에서 활동하는 유명한 선수이다.

  • 선수들은 상대방의 허리 아래를 포함한 펀치, 무릎, 킥으로 공격할 수 있지만, 급소 공격은 금지된다.
  • 팔꿈치 공격은 금지된다.
  • 던지기와 발 걸기는 금지된다.
  • 클린치는 5초 동안만 허용된다.
  • 경기는 아마추어의 경우 3~5 라운드, 프로의 경우 3~10 라운드로 진행되며, 모든 라운드는 각각 2~3분 동안 진행된다. 각 라운드 사이에는 1분간의 휴식이 주어진다.


WKA 킥복싱은 무에타이, 일본 킥복싱, 풀 컨택트 킥복싱의 기술과 규칙을 혼합하여 사용한다.[63]

  • 세계 타이틀전은 12라운드, 대륙별 경기는 10라운드, 국내 경기는 5라운드로 진행된다.
  • 선수들은 협회에서 승인한 유니폼, 테이프, 붕대를 착용해야 한다.
  • 또한, 선수들은 사타구니 보호대, 마우스피스, 헤어 고정 장치를 착용해야 한다.
  • 일반적인 반칙(눈 찌르기, 급소 가격, 물기, 모욕 등)은 금지된다.
  • 무릎 공격, 팔꿈치 공격, 백 피스트, 클러빙 공격, 머리 박치기, 손바닥 공격, 관절 기술, 상대방의 다리와 팔 잡기, 과도한 클린치 유지는 모두 금지된다.
  • 경기 중 지나치게 시간 끄는 선수에게는 심판이 경고한다.
  • 8 카운트 이후에도 선수가 일어나지 못하면 녹아웃(Knockout)이 선언된다.


ISKA 킥복싱은 풀 컨택트, 일본식, 무에타이, 프리스타일 킥복싱 규칙이 혼합된 형태이다.[64]

  • 선수는 단체에서 승인한 유니폼을 착용해야 하며, 경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모든 선수는 글러브, 발 보호대, 급소 보호대, 마우스피스를 착용해야 하며, 정강이 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팔뚝 보호대는 사용할 수 없다.
  • 넘어뜨리는 기술을 제외한 그래플링 기술 사용은 금지된다.
  • 일반적인 반칙은 금지된다.
  • 돌려차기 반칙에 대한 특별 규칙이 적용되며, 종종 페널티로 이어진다.
  • 상대의 타격을 막기 위해 상대의 사지를 막는 것은 반칙이다.
  • 8 카운트 동안 일어나지 못하면 KO가 선언된다.
  • 시합 중 특정 횟수 이상의 녹다운은 TKO 승리를 결정하지 않는다.


'''레트웨이'''는 미얀마에서 유래된 킥복싱의 한 유형으로, 최소한의 규칙과 보호 장비를 특징으로 한다. 머리 박치기 사용을 허용하고 강조하며, 선수들은 장갑을 착용하지 않는다. 경기는 정식 또는 기술적 녹아웃으로만 이길 수 있으며, 녹아웃된 선수는 마지막 라운드에서 녹아웃되지 않는 한, 2분 휴식 후 한 번 더 싸움을 계속할 수 있다. 점수는 없고, 5라운드가 끝나기 전에 녹아웃이 발생하지 않으면 경기는 무승부로 선언된다. 남성 선수들은 상체를 노출하고 반바지를 입으며, 보호 장비는 마우스 가드, 사타구니 보호대, 손과 발을 감싸는 랩으로 구성된다. 여성 선수들은 남성 의류 및 보호 장비 외에 스포츠 브라와 가슴 보호대를 착용한다. 소 린 우, 툰 툰 민, 데이브 르듀크, 투 투 및 사이러스 워싱턴이 레트웨이 규칙에 따른 주목할 만한 선수이다.

  • 상대는 펀치, 킥(허리 아래 킥 포함), 팔꿈치, 무릎, 머리 박치기로 서로를 공격할 수 있다.
  • 클린치, 던지기, 쓸어넘기기가 허용된다.
  • 경기는 5라운드(각 3분)로 진행되며, 라운드 사이에 2분 휴식이 주어진다.


산타 선수가 상대에게 테이크다운을 시도하고 있다.


'''산타'''('''산수''', '''중국 권법''', '''중국 킥복싱'''이라고도 함)는 중국 인민해방군이 최초로 개발한 킥복싱의 한 형태로, 전통적인 쿵푸와 현대 격투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근접 거리와 빠른 연속적인 펀치와 킥, 레슬링, 테이크다운, 던지기, 쓸기, 킥 캐치를 포함한 전통적인 킥복싱과 일부 경쟁에서는 팔꿈치와 무릎 공격까지 결합한다. 남성 선수는 상의를 탈의하고 반바지를 입으며, 마우스 가드, 핸드랩, 권투 글러브 및 사타구니 보호대를 포함한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여성 킥복서는 남성 의류/보호 장비 외에 스포츠 브라와 가슴 보호대를 착용한다. 웨이 루이, 팡 비안, 자오치, 무슬림 살리코프, 팻 배리, 장티에취안, 류 하이롱, 쭝 레이, 샤흐불라트 샴할라예프 및 샤밀 자부로프가 산수 규칙에 따라 유명한 선수이다.

  • 선수는 사타구니를 제외하고 허리 아래 킥을 포함하여 펀치와 킥으로 상대를 공격할 수 있다.
  • 팔꿈치와 무릎은 금지된다(일부 대회 제외).
  • 클린치, 던지기 및 쓸기가 허용된다.
  • 경기는 5라운드(각 라운드 3분)이며 라운드 사이에 1분 휴식이 주어진다.


'''슛복싱'''(Shootboxing) (일명 '''스탠딩 발리 투두''')은 일본에서 인기 있는 독특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킥복싱으로, 킥, 펀치, 니킥, 던지기 외에 스탠딩 서브미션 기술인 초크 홀드, 암바, 손목 꺾기 등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남성 파이터는 상의를 탈의하고, 밀착형 바지를 착용하며, 마우스 가드, 핸드 랩, 복싱 글러브, 샅보호대와 같은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여성 킥복서는 남성 의류/보호 장비 외에 스포츠 브라와 가슴 보호대를 착용한다. 쿠보타 레나, 오가타 켄이치, 시시도 히로키, 타카하시 아이, 앤디 사워 등이 슛복싱 룰 하에서 활동하는 유명한 파이터이다.

  • 상대방은 펀치, 킥, 허리 아래를 포함한 킥(샅 제외), 니킥으로 서로를 공격할 수 있다.
  • 팔꿈치 공격은 금지된다(2001년 이후).
  • 클린치, 던지기, 스윕이 허용된다.
  • 스탠딩 서브미션이 허용된다.
  • 경기는 3라운드(각 라운드 3분)로 진행되며, 라운드 사이에 1분 휴식이 주어진다.


드라카(Draka)는 러시아 킥복싱이라고도 불리며, 1992년 이고르 에조프(Igor Ejov)가 개발하고 창시한 킥복싱의 혼합 스타일이다. 주로 세계 드라카 연맹(World Wide Draka Federation, WWDF)과 국제 킥복싱 드라카 연맹(International Kickboxing Draka Federation, IKDF)에 의해 보급된다. 이 스타일은 특히 산타(Sanda) 및 슈트 복싱(Shoot Boxing)과 유사하며, 무에타이, 복싱, 삼보, 유도, 레슬링 기술이 혼합되어 있다.

  • 선수는 발차기, 무릎, 펀치, 팔꿈치를 사용할 수 있다.
  • 테이크다운, 던지기 및 스윕 사용도 허용된다.
  • 그라운드 기술 및 조르기는 금지된다.


Xtreme Gladiator는 국제 킥복싱 연맹에서 창시한 하이브리드 킥복싱 스타일로, 복싱, 무에타이, 산타, 레슬링, 유도의 기술들을 혼합한 것이다. 슛 복싱과 마찬가지로, 관절 기술, 조르기, 목 조르기와 같은 서브미션 기술을 스탠딩과 그라운드 모두에서 허용하는 몇 안 되는 스타일 중 하나이지만, 그라운드에서의 경기는 30초 또는 1분으로 제한된다.[74]

  • 주먹을 쥐거나, 손바닥으로 치는 타격은 허용된다.
  • 팔뚝 타격과 팔꿈치 타격은 허용된다.
  • 스탠딩 상태에서 발로 밟는 것은 허용된다.
  • 안쪽 다리에 대한 오블리크 킥은 허용된다.
  • 경기가 서 있는 상태에서 무릎으로 머리, 몸통, 정강이를 공격하는 것은 허용된다.
  • 그라운드에서 위로 차는 킥은 허용된다.
  • 모든 종류의 던지기, 슬램, 테이크다운이 허용된다.
  • 조르기와 관절 기술은 허용된다.
  • 넘어진 상태에서 발로 밟는 것은 금지된다.
  • 넘어진 상대의 머리에 킥과 무릎 공격은 금지된다.
  • 12-6 팔꿈치 공격은 금지된다.
  • 일반적인 반칙은 금지된다.


별칭 레그 킥(로우 킥) 룰은 한때 유럽과 미국에서는 "킥복싱 룰"로 여겨졌다. 1976년에 세계 가라데 협회로 창설된 미국의 WKA가 1977년부터 전일본 킥복싱 협회와 제휴하여 독자성을 확립하기 위해 제창한 룰이다. 무에타이를 기축으로 한 일본의 룰과 미국의 프로 가라데(풀 컨택트 룰)의 절충안으로, 미국과 일본 및 유럽의 선수들이 같은 링에서 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기본은 2분 1라운드의 풀 컨택트 룰에 허벅지 바깥쪽만 로우 킥을 허용한 것으로, 무릎 관절이나 안쪽 허벅지에 대한 타격은 금지되었다. 1980년대 전반까지는 선수의 풀 컨택트용 롱 팬츠 착용과 1라운드당 허리 위를 8회 킥하는 룰이 의무화되었다. 단, 발에 대한 프로텍션은 풋 패드만 사용하고, 정강이 보호대는 제외되었다. 일본에서도 1980년대 전반 한때, 전일본 마셜 아츠 연맹의 흥행에서 빈번하게 행해지던 룰이다. 이어진 신생 전일본 킥복싱 연맹의 흥행에서도 WKA의 타이틀 매치 등의 국제전에서는 이 룰이 채택되었다. 다만, 이 시기부터 롱 팬츠 착용과 8 킥 카운트는 점차 제외되었다. 미국에서는 WKA 외에 KICK라는 단체가 세계 타이틀전에서만 채택했던 룰이지만, 이내 WKA를 포함한 많은 단체가 이 룰을 포함한 여러 룰의 챔피언을 인정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로우 킥의 공격 부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4. 주요 단체

K-1, 글로리, 슈퍼컴뱃, 쿤룬 파이트, 맥스 FC, MKF, TAS 등이 주요 킥복싱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잇츠 쇼타임무신은 소멸되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킥복싱 단체로는 글로리, K-1, PKA, ISKA, ONE Championship, Karate Combat, RISE, WAKO, World Kickboxing Network, Enfusion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여러 킥복싱 단체들이 설립되고 통합되는 과정을 거쳤다. 1984년에는 일본 킥복싱 연맹이 설립되었고, 1985년에는 마샬 아츠 일본 킥복싱 연맹이 설립되었다. 1987년에는 전일본 킥복싱 연맹이 창설되었으며, 1996년에는 뉴 재팬 킥복싱 연맹 (NJKF)이 결성되었다. 1997년에는 J-NETWORK (J-NET)가 결성되었고, 1998년에는 킥 유니온 (K-U)이 결성되었다.

2006년에는 텐쿠 킥복싱 협회와 UKF 재팬이 설립되었다.[88][89] 2008년에는 재팬 프로페셔널 무에타이 위원회(JPMC)가 설립되어 WBC 무에타이의 일본 창구 역할을 하게 되었다.[90] 2009년에는 JPMC, NJKF, MA 일본이 공동으로 "WBC 무에타이 룰 일본 통일 왕좌 결정 토너먼트"를 개최하였다.[91] 2010년에는 M-1 무에타이 챌린지가 중심이 되어 재팬 마셜 아츠 디렉터즈(''JMD'')가 발족했다.[94] 2016년에는 킥복싱 진흥회가 발족되었다.

일본의 왕좌 인정 단체는 세계 왕좌 인정 단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로 분열되어 있다. 프로 일본 지역 왕좌, 주요 일본 왕좌 및 세계 왕좌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세계 타이틀
  • 세계 킥복싱 협회(WKA)
  • 국제 킥복싱 연맹 (IKF)
  • 국제 경기 가라테 협회 (ISKA)
  • 세계 킥복싱 연맹 (WKF)
  • 세계 킥복싱 단체 협회 (WAKO)
  • K-1
  • WBC MUAY THAI

  • 일본 국내 타이틀
  • BLADE FIGHTING CHAMPIONSHIP
  • KICKBOXING ZONE
  • 뉴 재팬 킥복싱 연맹 (NJKF)
  • 신일본 킥복싱 협회 (SNKA)
  • 마샬 아츠 일본 킥복싱 연맹 (MAJKF)
  • J-NETWORK
  • M-1
  • R.I.S.E.
  • NKB
  • UKF 재팬
  • 일본 프로 킥복싱 연맹
  • 일본 슈트복싱 협회
  • 재팬・프로페셔널・무에타이・커미티 (JPMC)
  • K-1
  • 일본 격투기 킥 연맹
  • UN-JK 연맹
  • KNOCK OUT

  • 일본의 지역 타이틀
  • 오키나와 격투기 연맹 (OMAF)
  • ISKA 오키나와
  • 전 오키나와 왕좌
  • JML
  • 격투기 MISSION
  • 국제 챠크리키 협회

  • 지역 단체
  • * 동북 격투기 연합회 (BRAVE)
  • * 나가노현 무에타이 연맹
  • * 야마나시현 킥복싱 협회

  • 국내 단체
  • * 전일본 학생 킥복싱 연맹 (UKF)
  • * 전일본 신 가라테도 연맹 (AJSKF)
  • * 전일본 글러브 가라테도 연맹 (AJGKF)
  • * 일본 아마추어 킥복싱 연맹 (JAKF)
  • * J-NETWORK
  • * UN-JK 연맹

  • 국제 단체
  • * 세계 킥복싱 단체 협회
  • * 세계 무에타이 연맹
  • * 세계 킥복싱 협회 (WKA)
  • * 국제 킥복싱 연맹 (IKF)
  • * 국제 킥복싱·문화 진흥 협회

5. 기술

5. 1. 펀치

복싱 펀치와 매우 유사하며, 다음과 같은 기술이 포함된다.

  • - 앞손에서 뻗는 스트레이트 펀치. 팔은 몸통 측면에서 뻗으며, 이 동작과 동시에 빠르게 몸통을 회전시킨다. 잽은 상대의 머리나 몸통을 향할 수 있으며, 종종 크로스와 함께 사용된다.
  • 크로스 - 뒷손에서 뻗는 스트레이트 펀치
  • 훅 - 머리나 몸통을 향해 아치형으로 날리는 둥근 펀치. 일반적으로 점수 획득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 어퍼컷 - 턱을 가격하는 위로 솟아오르는 펀치
  • 백피스트 일반적으로 앞손으로 사용하며, '''리버스 백피스트'''와 '''스피닝 백피스트'''는 모두 뒷손으로 사용한다. 팔을 들어 팔꿈치에서 구부린 다음 팔을 빠르게 펴서 손가락의 뒷부분으로 머리 측면을 가격하는 기술이다.
  • 플라잉 펀치는 일반적으로 뒷손으로 치며, 전투원은 앞발로 뛰어올라 뒷발로 뒤로 차면서 펀치처럼 뒷손을 동시에 뻗어 하늘을 나는 "슈퍼맨"의 모습을 연출한다.
  • 오버핸드 (''오버컷'' 또는 ''드롭'') - 뒷손으로 던지는 반원형 수직 펀치. 상대가 바빙 또는 슬리핑할 때 주로 사용된다. 체중에 의존하는 드롭의 전략적 유틸리티는 강력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볼로 펀치 - 바닥에서 날리는 것처럼 보이는 넓은 어퍼컷/라이트 크로스/스윙의 조합
  • 헤이메이커 - 헤이메이커는 훅과 유사한 넓은 각도의 펀치이지만, 몸통 회전 대신 큰 루프에서 힘을 얻는다. 세련되지 않은 펀치로 간주되며, 상대의 반격을 허용하기 쉽다.

5. 2. 킥

일반적인 발차기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라운드하우스 킥 또는 ''원형 발차기'' – 발의 앞부분 또는 정강이로 머리나 몸통을 '끊어 치는' 동작으로 타격한다.
  • 프론트 킥 또는 ''푸시 킥/하이 킥'' – 발바닥으로 얼굴이나 가슴을 타격한다.
  • 사이드 킥 – 발꿈치로 지면과 평행하게 다리를 뻗어 머리, 다리 또는 몸통을 타격한다.
  • 세미-서클 킥 또는 ''45도 라운드하우스 킥''


라운드하우스 킥


스핀 킥, 점핑 킥, 그리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특수하거나 변형된 발차기 기술이 있다.

  • 훅 킥 (힐 킥) – 다리를 몸의 측면으로 뻗어 발꿈치나 발바닥으로 머리를 타격하기 위해 다리를 다시 후크한다.
  • 크레센트 킥 및 ''포워드 크레센트 킥''
  • 액스 킥 – '스톰프 아웃 킥' 또는 '액스 킥'이다. 스톰프 킥은 일반적으로 아래로 내려가 발꿈치의 측면 또는 밑면(일반적으로 발꿈치 밑면)으로 타격한다.
  • 백 킥 – 발의 밑면으로 전달된다.
  • 쓸기 – 상대방의 위치, 균형 및 힘에 따라 상대방의 발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쓸 수 있다.


백, 사이드, 훅, 액스 킥의 스핀 버전과 모든 킥의 점핑 버전도 수행할 수 있다.

5. 3. 무릎

일본식 킥복싱에서 무에타이의 영향을 받은 무릎 기술은 이 스타일을 다른 킥복싱 규칙과 구별하는 주요 차이점이다.[75]

  • '''정면 무릎'''(장거리 무릎 차기 또는 앞꿈치 차기). 이 무릎 공격은 상대방의 복부, 사타구니, 엉덩이 또는 척추에 뒷발 또는 반대 발을 사용하여 가해지며, 상대방의 목, 어깨 또는 팔을 잡고 앞으로 당긴다.
  • '''플라잉 니''' – 앞발 또는 뒷발로 사용할 수 있다. 폭발적인 스냅으로 위로 올라가 상대방의 얼굴, 턱, 목 또는 가슴을 공격한다.
  • '''훅 니''' – 앞발 또는 뒷발로 사용할 수 있다. 반원을 그리며 회전하여 상대방의 옆구리를 공격한다.
  • '''사이드 니''' – 근거리 전투에서 사용되는 매우 속임수가 많은 무릎 기술이다. 무릎을 발가락까지 들어올리거나 위로 들어올린 다음, 왼쪽과 오른쪽으로 꺾어 상대방의 민감한 무릎 관절, 허벅지 안쪽, 사타구니를 공격한다.


무릎 공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티 카오 문서를 참조.

5. 4. 방어

킥복싱의 주요 방어 자세는 세 가지가 있다. 각 스타일마다 선수별로 차이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방어 스타일을 바꾸기도 한다.

  • '''슬립'''은 몸을 회전시켜 펀치가 머리 옆으로 지나가게 하는 기술이다. 상대 펀치가 오면 엉덩이와 어깨를 회전시켜 펀치를 피한다. 무하마드 알리가 이 기술로 유명했다.
  • '''바빙과 위빙''' 중 '''바빙'''은 머리를 옆으로 움직여 펀치 아래로 피하는 것이다. 펀치가 오면 다리를 구부리고 몸을 좌우로 움직여 피한 후, 다시 똑바로 서서 상대 팔의 안팎으로 이동한다.
  • 블로킹은 방어자가 스트라이크를 차단하여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어 기술이다.
  • '''패링''' 또는 '''블로킹'''은 손을 사용하여 공격을 막는 기술이다. 펀치가 오면 손목이나 팔뚝에 타격을 가해 펀치 방향을 바꾼다.
  • '''커버링'''은 얼굴이나 몸을 보호하는 최후의 수단이다. 손을 높이 들어 머리와 턱을 보호하고, 팔뚝을 몸에 밀착시켜 바디 샷을 막는다.
  • 클린치는 그래플링의 한 형태로, 거리가 좁혀져 펀치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상대의 손을 잡거나 넥 레슬링 자세로 들어간다. 칼라 타이, 언더훅, 오버훅, 바디 락등으로 상대방을 제어하며 무릎, 팔꿈치, 스윕, 던지기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6. 규칙

킥복싱은 다양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오리엔탈/K-1 룰은 펀치, 하이킥, 로우킥, 무릎 공격을 허용하지만, 미국식 킥복싱은 허리 위에만 펀치와 킥을 허용한다.[44][45][46] 21세기 초, 글로리, 원 챔피언십, 벨라토르 킥복싱 등은 k1/오리엔탈 룰을 채택했다.

하미드 암니가 2017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에서 풀 컨택트 바지를 입고 풀 컨택트 스타일로 경기를 하는 모습


단체 분열로 인해 무에타이에 가까운 것부터 안전을 위해 위험한 기술을 제거한 것까지 다양한 규칙이 존재한다. 팔꿈치나 무릎 공격은 출혈을 유발하기 쉬워 금지되기도 한다. 극단적인 스타일에서는 팔꿈치 공격, 무릎 차기, 정강이 발차기가 금지되고 허리 위쪽 공격만 허용되기도 한다.

경기 중 발생하는 주요 상황은 다음과 같다:

  • KO(''K''nock''O''ut, 녹아웃): 상대가 10 카운트 안에 일어나지 못하거나 파이팅 포즈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레퍼리가 데미지가 크다고 판단하여 카운트 아웃을 시킨 경우.
  • 판정(on Point): 라운드마다 채점하여 더 많은 점수를 얻은 선수를 승자로 한다.
  • TKO ('''T'''echnical '''K'''nock '''O'''ut): 한쪽 선수가 불리하거나, 경기를 계속할 수 없어 심판이 경기를 중단시킨 경우.


채점은 10점 만점 감점 방식이다. 녹다운 1회당 2점, 2회당 3점 감점이다. 녹다운이 없으면 정확하게 펀치를 적중시킨 선수에게 10점, 그렇지 않은 선수에게 9점을 준다. 3명의 심판 중 2명 이상이 지지한 선수가 승리한다. 심판 판정에 따라 유나니머스 데시전(만장일치), 마조리티 데시전(다수결), 스플릿 데시전(판정 분리) 등으로 나뉜다. 무승부도 가능하다.

시합 중 다음과 같은 행위는 반칙이며, 레퍼리의 주의를 받는다. 반복되면 감점, 악질적인 경우 실격패가 된다.

  • 배팅: 머리로 공격.
  • 로블로: 급소 공격.
  • 래빗 펀치: 후두부 공격.
  • 등 공격 (키드니 블로우).
  • 레퍼리 브레이크 명령 후 공격.
  • 라운드 종료 공 울린 후 공격.
  • 서밍: 엄지손가락으로 눈 찌르기.
  • 오픈 블로우: 글러브 안쪽으로 치기.
  • 던지기 기술 (단체 또는 룰에 따라 다름).
  • 관절기・조르기 (단체 또는 룰에 따라 다름).
  • 규정 횟수 이상 킥 사용 안 함 (단체 또는 룰에 따라 다름).
  • 팔꿈치 공격 (단체 또는 룰에 따라 다름).

7. 한국의 킥복싱

한국킥복싱협회의 주장에 따르면, 한국의 킥복싱은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1964년 9월 당시 대한 태권도협회 오도관 전남 본관장인 구판홍이 제자들에게 태권도를 지도, 보급하는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강한 무술을 만들고자 태권도, 복싱, 유도, 레슬링 등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절충하여 치고, 차고, 던지고, 꺾고, 조르는 종합 무술로 체계화하여 킹투기라는 무술을 독창적으로 창안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킹투기는 각종 무술 중에서 가장 과격한 최고의 격투 무술로써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1968년 4월에 일본의 노구치 오사무 기꾸복싱(킥복싱) 회장이 킹투기의 발상지인 광주에 와서 구판홍 창시자와 최초의 회담을 가졌으며, 일본의 노구치오사무 회장이 무에타이라는 태국의 전통무술과 극진가라데를 접목시켜 만든 기꾸복싱과 한국의 킹투기를 킥복싱으로 명칭을 통일하기로 하고, 한일 간의 국제 교류를 합의하였다. 그로 인하여 킥복싱이라는 무술이 한국에서 최초로 탄생하게 된 것이라고 한국킥복싱협회는 주장한다.

일본에서의 킥복싱은 1963년 극진가라테의 선수였던 쿠로사와 켄지, 나카무라 타다시, 노보루 오자와가 무에타이의 성지인 룸피니 스타디움에 가서 싸우게 된 것을 킥복싱이 만들어진 계기로 본다. 이 시합에서 나카무라와 노보루는 승리를 거두지만 정작 리더격이었던 쿠라사와 켄지는 참패를 당한다. 종합성적은 2-1로 극진측의 승리였지만, 시합 패배 후 무에타이의 강력함을 실감한 쿠로사와 켄지는 가라테의 스타일을 살리면서 복싱 펀치와 무에타이 시합룰을 응용한 새로운 무술을 만들게 된다. 일본의 복싱 프로모터 노구치 오사무는 1966년 "킥복싱"이라는 명칭을 고안하고 일본의 복싱이나 가라테 선수를 모아 "일본 킥복싱 협회"를 만들어서 시합을 시작했고, 이것이 일본과 태국 등지에서 흥행하면서 미국과 유럽까지 퍼져나가게 된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까지 흥성하던 킥복싱은 1970년대 들어 각종 킥복싱 기구의 난립과 오일 쇼크 등의 영향으로 침체일로에 빠졌으나, 1990년대 신설된 K-1이 흥행하면서 부흥기를 맞이한다. 200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하던 K-1이 2010년대부터 다시 인기를 잃고 몰락하면서 이후 글로리, 슈퍼컴뱃 등의 단체가 킥복싱의 명맥을 잇고 있다.

권격도(Kun Gek Do) 또는 격투기라고도 불리는 한국식 킥복싱은 정무도에 의해 창시되었다.

태권도, 서양 권투, 무에타이의 규칙과 기술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스타일이다.

한국식 킥복싱은 태권도의 기본적인 발차기 스타일을 사용하지만, 무에타이의 전형적인 기술과 서양 권투의 발놀림, 회피 기술도 추가로 사용한다.

규칙은 다음과 같다:[53][54][55][56]


  • 펀치와 발차기가 허용된다.
  • 팔꿈치 공격과 무릎 공격이 허용된다.
  • 던지기와 클린치가 허용된다.
  • 회전 기술이 허용된다.


K-1, 글로리, 슈퍼컴뱃, 쿤룬 파이트, 맥스 FC, MKF, TAS 등의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잇츠 쇼타임, 무신 등의 단체는 소멸되었다.

7. 1. 단체

K-1, 글로리, 슈퍼컴뱃, 쿤룬 파이트, 맥스 FC, MKF, TAS 등의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잇츠 쇼타임, 무신 등의 단체는 소멸되었다.

7. 2. 선수

8. 비판 및 논란

사람을 기절시키거나 뇌진탕을 유발하는 것만으로도 영구적인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76] 사람을 기절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사람을 죽일 가능성이 있는 힘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다.[77] 격투 스포츠를 포함한 신체 접촉이 많은 스포츠는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이라는 뇌 질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이 질병은 선수의 생애 동안 발병하기 시작하며, 스포츠 활동이 중단된 후에도 계속 진행된다. 뇌진탕뿐만 아니라 반복적이고 뇌진탕 이하의 머리 타격도 CTE를 유발한다.[78][79][80][81][82][83]

8. 1. 뇌 손상 위험

사람을 기절시키거나 뇌진탕을 유발하는 것만으로도 영구적인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76] 사람을 기절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사람을 죽일 가능성이 있는 힘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다.[77] 격투 스포츠를 포함한 신체 접촉이 많은 스포츠는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이라는 뇌 질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이 질병은 선수의 생애 동안 발병하기 시작하며, 스포츠 활동이 중단된 후에도 계속 진행된다. 뇌진탕뿐만 아니라 반복적이고 뇌진탕 이하의 머리 타격도 CTE를 유발한다.[78][79][80][81][82][83]

8. 2. 기타

참조

[1] 서적 Pyx Lax (Kick-Punch) Kick Boxing: Ancient Greek Martial Arts
[2] 웹사이트 Is it just karate without the philosophy? https://www.independ[...] 1995-04-16
[3] 뉴스 Directory : Kick-boxing is the hottest workout in town, thanks to a streetwise fighter called Catwoman. Here's where to get your kicks. https://web.archive.[...] 1992-07-17
[4] 뉴스 Offering a Fighting Chance to Get in Shape https://web.archive.[...] 1998-05-22
[5] 뉴스 Powerful! Kickboxing Is A Killer, Thriller Workout https://web.archive.[...] 1998-08-18
[6] 웹사이트 Section XIII: Samayapalana Parva http://www.sacred-te[...]
[7] 뉴스 Is it just karate without the philosophy? Not according to Big Daddy Chris Ozar reigning from Jersey City. He's been kickboxing for years. https://www.independ[...] 1995-04-17
[8] 뉴스 Kickboxing climbs up to be at par with other martial arts http://economictimes[...] 2009-07-19
[9] 웹사이트 A History and Style Guide of Kickboxing https://www.liveabou[...]
[10] 웹사이트 Kickboxing Rules: How To Kickbox Rules of Sport https://www.rulesofs[...] 2021-12-14
[11] 웹사이트 "A HISTORY OF KICKBOXING" : NORTH AMERICA'S SURPRISINGLY TABOO 'KICKBOXING' HISTORY! (Part 1) : 1950s and 1960s https://www.kick-fra[...] 2018-10-27
[12] 논문 Acute neuromuscular, cogni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a Japanese kickboxing competition in semi-professional fighters https://research.stm[...] 2017-10-01
[13] 웹사이트 Black Belt February 1972 https://books.google[...] 1972-02-01
[14] 서적 Kickboxing https://books.google[...] Bellwether Media 2013-08-01
[15] 웹사이트 Black Belt https://books.google[...] 1972-02-01
[16] 뉴스 Kungfu goes international http://archive.wikiw[...] 2002-08-01
[17] 뉴스 Fitness Bound; Holiday pounds? Give 'em a swift kick https://www.latimes.[...] 2006-12-18
[18] 웹사이트 Korean Kickboxing https://www.dgbba.co[...]
[19] 문서 said to be from a Sanskrit word 'mavya'
[20] 뉴스 Get in shape at a Thai kickboxing camp https://www.usatoday[...] 2008-10-13
[21] 웹사이트 Lethwei boxing in Myanmar: Asia's new martial arts sensation https://www.cnn.com/[...] 2014-09-18
[22]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entry for Boxing https://www.britanni[...]
[23] 서적 The Victor's Crown: A History of Ancient Sport from Homer to Byzantiu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
[24] 웹사이트 Ancient Roman Boxing https://earlychurchh[...] 2015-11-14
[25] 논문 The Evidence for Kicking in Greek Boxing https://www.jstor.or[...]
[26] 웹사이트 Boxing Gloves of the Ancient World https://ejmas.com/jc[...]
[27] 웹사이트 Now and then: boxing gloves Sport The Observer https://www.theguard[...]
[28] 간행물 The Fighting Sport of France 1982-02-01
[29] 웹사이트 savate spor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0] 서적 The Complete Martial Arts Training Manual https://books.google[...] Tuttle 2012-04-16
[31] 웹사이트 Black Belt October 1968 https://books.google[...] 1968-10-01
[32] 웹사이트 Black Belt February 1973 https://books.google[...] 1973-02-01
[33] 웹사이트 Origins of Japanese Kickboxing – The Karate vs Muay Thai Fight That Started It All http://8limbs.us/mua[...] 8 Limbs 2015-12-28
[34] 서적 Physical Exercises & the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Readworthy Publications (P) Limited 2009-07-01
[35] 웹사이트 Black Belt December 1968 https://books.google[...] 1968-12-01
[36] 웹사이트 「キックの鬼」沢村忠さんが死去 肺がんで入院 https://www.nikkansp[...] 2023-02-21
[37] 잡지 Kick-boxing Booming in Japan https://books.google[...] 2023-02-22
[38] 웹사이트 Kickboxing – Persian International Martial Arts Federation https://amirmosadegh[...] 2022-04-14
[39] 웹사이트 What Is Japanese Kickboxing? Easily Explained For Beginners https://mmachannel.c[...] 2022-04-14
[40] 뉴스 K-1 hits the spot: Ultimate fighters pack a punch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10-11-25
[41] 뉴스 Turning the martial arts into mondo mayhem https://web.archive.[...] Time 2010-11-25
[42] 웹사이트 Lewis, Joe http://www.worldwide[...] World Wide Dojo 2016-09-22
[43] 웹사이트 Joe Lewis http://www.starsyste[...] 2016-08-08
[44] 웹사이트 Rules https://www.glorykic[...] 2020-08-16
[45] 웹사이트 ONE Championship's Super Series debuts on Friday https://www.bworldon[...] 2020-08-16
[46] 웹사이트 Bellator Kickboxing's Weight Classes & Rule Set Revealed http://fcfighter.com[...] 2020-08-26
[47] 웹사이트 IKF UNIFIED RULES http://www.ikfkickbo[...] 2020-08-16
[48] 웹사이트 Unified Rules of Professional Kickboxing – Association of Boxing Commissions https://www.abcboxin[...] 2020-08-16
[49] 웹사이트 K-1 INTERNATIONAL RULES http://www.k-1.co.jp[...] 2021-05-14
[5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Kickboxing https://www.extremam[...] 2020-11-10
[51] 웹사이트 ONE X results and highlights: Hiroki Akimoto wins the ONE bantamweight belt in a thrilling kickboxing bout https://www.sportske[...]
[52] 웹사이트 WAKO Rules https://wako.sport/w[...]
[53] 웹사이트 Korean Kickboxing https://londoncombat[...]
[54] 웹사이트 Gwon Gyokdo https://www.kenfuder[...]
[55] 웹사이트 Kickboxing styles https://www.kickboxi[...]
[56] 웹사이트 Kun Gek Do https://www.white-ti[...]
[57] 웹사이트 Trying to Reignite Kickboxing in the USA http://fightland.vic[...] 2016-02-24
[58] 뉴스 This sport needs a role model To its followers, kickboxing is the best of both worlds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0-11-25
[59] 웹사이트 Wako - World Association of Kickboxing Organizations https://wako.sport/ 2022-01-26
[60] 웹사이트 Points Fighting Rules http://www.wakoweb.c[...] wakoweb.com 2015-09-24
[61] 웹사이트 Dutch Kickboxing https://mmachannel.c[...] 2021-10-04
[62] 웹사이트 Wako - World Association of Kickboxing Organizations https://wako.sport/ 2022-01-26
[63] 웹사이트 WKA Rules https://d17nlwiklbtu[...]
[64] 웹사이트 ISKA Kickboxing rules and regulations https://www.iskaworl[...]
[65] 웹사이트 Liam Harrison talks upcoming ONE Championship fight and ongoing beef with Dave Leduc https://thebodylockm[...] 2020-01-08
[66] 웹사이트 IFMA Muay Thai rules https://muaythai.spo[...]
[67] 웹사이트 Illegal Throws in Muay Thai – Just What Can't You Do? https://8limbsus.com[...] 2022-11-18
[68] 웹사이트 Preparing for your first Thai rules fight. – Damien Trainor https://www.damientr[...] 2022-11-18
[69] 웹사이트 Lumpinee Stadium rules https://web.archive.[...]
[70] 웹사이트 Varazdat Does It Again https://www.asbarez.[...] 2001-04-13
[71] 웹사이트 Draka https://www.ikfkickb[...]
[72] 웹사이트 Kickboxing https://www.kenfuder[...]
[73] 웹사이트 No Holds Barred https://www.latimes.[...] 1997-09-04
[74] 웹사이트 XG Rules https://www.ikfkickb[...]
[75] 웹사이트 List of Kickboxing Moves https://www.sportsre[...] 2021-01-14
[76] 뉴스 Boxing: The health risks https://web.archive.[...] 2010-05-06
[77] 논문 Better and Safer Boxing: Ringside and Boardroom Medical Control of Boxing Careers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web.archive.[...] 2014-09-22
[78] 논문 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A paradigm in search of evidence? 2015-06
[79]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long-term effects of mild brain injury 2017-04
[80] 논문 Concussion, microvascular injury, and early tauopathy in young athletes after impact head injury and an impact concussion mouse model - Brain, Volume 141, Issue 2, February 2018 https://academic.oup[...]
[81] 논문 Clinical subtypes of 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Literature review and proposed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raumatic encephalopathy syndrome
[82] 논문 Effects of Subconcussive Head Trauma on the Default Mode Network of the Brain
[83] 논문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Repetitive Subconcussive Head Impacts in Sport: Brain Changes and Dampened Motor Control Are Seen After Boxing Practice 2019
[84] 웹사이트 キックボクシングは日本発祥 昭和のプロモーター・野口修が手がけた意外な大御所芸能人 https://times.abema.[...]
[85] 웹사이트 学生キックボクシング連盟創立40周年 http://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13-12-17
[86] 웹사이트 全国的な広がり待たれる大学キックボクシング http://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11-12-24
[87] 서적 東京12チャンネル 運動部の情熱 集英社
[88] 웹사이트 天空5.28 新宿:「天空キックボクシング協会」に団体化 http://www.boutrevie[...] 2006-05-02
[89] 웹사이트 武頼漢1.21 新宿:新田、UKF世界戦調印式でマジットとエール交換 http://www.boutrevie[...] 2007-01-20
[90] 웹사이트 JPMCが組織名と活動方針を一部変更 http://www.boutrevie[...] 2008-10-03
[91] 웹사이트 WBCムエタイルール日本統一王座決定トーナメント開催! http://www.njkf.info[...] 2009-06-13
[92] 웹사이트 全日本キック解散。Krushフェスで新団体発表 http://www.boutrevie[...] 2009-08-21
[93] 웹사이트 4階級で初代の日本統一王者が決定 http://www.boutrevie[...] 2009-09-25
[94] 웹사이트 ムエタイ&RISEをより競技化するためJMD発足、理事長は藤原敏男氏! http://gbring.com/so[...] 2010-01-25
[95] 뉴스 武蔵、ホースト両氏が協力、キックボクシング振興会が設立 来春大会開催へ https://www.daily.co[...] 2016-11-22
[96] 서적 The Birth of Competition JKD https://books.google[...] Black Belt 1992-05
[97] 뉴스 Directory : Kick-boxing is the hottest workout in town, thanks to a streetwise fighter called Catwoman. Here's where to get your kicks. http://articles.lati[...] The Los Angeles Times 1992-07-17
[98] 뉴스 Offering a Fighting Chance to Get in Shape http://articles.lati[...] The Los Angeles Times 1998-05-22
[99] 뉴스 Powerful! Kickboxing Is A Killer, Thriller Workout http://articles.chic[...] 1998-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