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텔모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텔모 궁전은 스페인 세비야에 위치한 바로크 양식의 건축물이다. 1682년 해군 대학으로 건설을 시작하여, 이후 철도 협회, 문학 대학교, 몽팡시에 공작의 거주지 등으로 사용되었다. 1901년 신학교로 개조되었으며, 1989년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에 양도되어 현재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되고 있다. 궁전은 직사각형 평면, 중앙 안뜰, 탑, 예배당, 정원을 갖추고 있으며, 웅장한 추리게라 양식의 정면 입구와 12명의 세비야인 조각상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4년 완공된 건축물 - 성 안드리 교회
성 안드리 교회는 18세기 중반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에 의해 바로크 및 로코코 양식으로 건축되어 러시아 여제의 의뢰로 지어진 키이우의 교회로, 소련 시대를 거쳐 우크라이나 독립 후에는 정교회에 양도되었다가 현재는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관리한다. - 1754년 완공된 건축물 - 킹스 채플
킹스 채플은 1686년 보스턴에 설립된 뉴잉글랜드 최초의 성공회 교회로, 피터 해리슨이 설계한 석조 건물은 1754년에 완공되었으며,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유니테리언주의로 전환되어 현재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 소속으로 독자적인 전례를 따르며, 킹스 채플 묘지와 함께 프리덤 트레일의 명소이다. - 스페인의 궁전 - 알람브라
알람브라는 스페인 그라나다에 위치한 붉은 성이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된 궁전이자 요새 도시로, 나스르 왕조 시대에 이슬람 건축과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며 레콩키스타 이후 스페인 왕궁으로 사용되면서 르네상스 양식 건축물이 추가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스페인의 궁전 - 알카사르 (세비야)
알카사르 (세비야)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의 스페인 세비야 궁전으로, 이슬람 및 기독교 문화 영향을 받아 확장과 재건축을 거듭했으며 무데하르 양식 건축물과 정원으로 유명하여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 여러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되었다. - 세비야의 건축물 - 세비야 공항
세비야 공항은 스페인 세비야에 위치하며, 1914년 최초의 비행 착륙을 계기로 건설되어 국내외 노선을 확장, 현재 연간 1,0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고 에어버스 공장과 유지 보수 센터가 있는 항공 산업 기지이다. - 세비야의 건축물 - 알카사르 (세비야)
알카사르 (세비야)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의 스페인 세비야 궁전으로, 이슬람 및 기독교 문화 영향을 받아 확장과 재건축을 거듭했으며 무데하르 양식 건축물과 정원으로 유명하여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 여러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되었다.
| 산텔모궁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건축 양식 | 스페인 바로크 건축 |
| 위치 | 세비야, 스페인 |
| 건축가 | 레오나르도 데 피게로아 |
| 지정 정보 | |
| 국가 | 스페인 |
| 지정 명칭 | Palacio de San Telmo con el Jardín contiguo al mismo (산텔모 궁전과 인접 정원) |
| 종류 | 비 이동 문화재 |
| 지정 유형 | 기념물 |
| 지정 기준 | 기념물 |
| 지정일 | 1968년 4월 6일 |
| 식별 번호 | RI-51-0007309 |
2. 역사


산텔모 궁은 1682년 건립이 시작되어, 여러 차례 용도가 변경되었다. 1847년까지 항해사 대학, 해군 대학, 항해 대학 등 교육기관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철도 협회, 문학 대학교 본부 등으로 잠시 사용되었다. 1849년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이 건물을 매입하여 거주지로 사용하였으나, 그는 아내의 유산 문제로 스페인 궁정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1897년 몽팡시에 공작 부인 루이사 페르난다 공주 사후 세비야 대교구에 유증되었다.
1901년, 마르셀로 스피놀라 세비야 대주교 재임 시절 궁전은 신학교로 바뀌었다. 1989년까지 신학교로 사용되다가,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에 양도되어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게 되었다.[1]
2. 1. 건립 초기 (17세기-19세기)
1682년 3월 10일, 항해사 대학(Universidad de Mareantes)을 위해 건물이 건설되기 시작했는데, 이 대학은 나중에 해군 대학(Colegio de Marina)으로, 그 다음에는 항해 대학(Colegio de Naútica)으로 불리며 1847년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1] 그 후, 건물은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1] 처음에는 스페인의 당시 신생 철도 개발을 위한 철도 협회(Sociedad del Ferrocarril)와 문학 대학교(Universidad Literaria)의 본부로 잠시 사용되었지만, 활용도가 낮았고 이 단체들은 유지 보수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1] 1849년에는 루이 필리프 1세 프랑스 국왕의 아들이자 1848년 혁명 이후 프랑스에서 추방된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이 건물을 매입하여 공식 거주지로 사용했다.[1] 몽팡시에 공작은 스페인 궁정에서 호감을 얻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공작이 그의 아내를 위해 페르난도 7세의 유산 일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1] 몽팡시에 공작 부인 루이사 페르난다 공주가 1897년에 사망하자, 궁전은 세비야 대교구에 유증되었고, 현재 마리아 루이사 공원을 구성하는 정원은 1929년 이베로-아메리카 박람회의 부지인 세비야시에 유증되었다.[1]2. 2. 다양한 용도 (19세기-20세기 초)
1847년까지 산텔모 궁전은 항해사 대학, 해군 대학, 항해 대학 등으로 불리며 그 역할을 수행했다. 그 후 건물은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스페인의 당시 신생 철도 개발을 위한 철도 협회(Sociedad del Ferrocarril)와 문학 대학교(Universidad Literaria)의 본부로 잠시 사용되었지만, 활용도가 낮았고 이 단체들은 유지 보수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1] 1849년, 루이 필리프 1세 프랑스 국왕의 아들이자 1848년 혁명 이후 프랑스에서 추방된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이 건물을 매입하여 공식 거주지로 사용했다.[1] 몽팡시에 공작은 스페인 궁정에서 호감을 얻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공작이 그의 아내를 위해 페르난도 7세의 유산 일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1] 몽팡시에 공작 부인 루이사 페르난다 공주가 1897년에 사망하자, 궁전은 세비야 대교구에 유증되었고, 현재 마리아 루이사 공원을 구성하는 정원은 1929년 이베로-아메리카 박람회의 부지인 세비야시에 유증되었다.[1]1901년, 마르셀로 스피놀라가 세비야 대주교로 재임하는 동안 궁전은 신학교로 개조되었다.[1] 1989년까지 신학교로 사용되었으며, 세비야 대주교는 건물을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에 양도하여 새로운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게 했다.[1]
2. 3. 신학교와 자치정부 청사 (20세기-현재)
1901년, 마르셀로 스피놀라가 세비야 대주교로 재임하는 동안 산텔모 궁은 신학교로 개조되었다. 1989년까지 신학교로 사용되었으며, 세비야 대교구는 건물을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에 양도하여 새로운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게 했다.[4]1991년에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의 공식 청사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 개조 작업이 시작되었다. 2005년에는 두 번째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 작업은 18세기와 19세기 부분의 복원과 바스테라 이 사가스티사발이 20세기에 건설한 건축적 가치가 낮고 재료 품질이 좋지 않은 요소들을 개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4]
3. 건축
산텔모 궁전은 세비야 바로크 건축의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직사각형 평면에 여러 개의 안뜰, 네 모서리의 탑, 예배당, 정원을 갖추고 있다.
안뜰 중 하나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바로크 양식의 예배당은 건축가 레오나르도 데 피게로아가 설계했으며, 조각가 페드로 두케 이 코르네호, 석공 미겔 데 킨타나, 화가 도밍고 마르티네스, 목수 후안 토마스 디아스가 장식에 참여했다. 예배당에는 17세기 초에 제작된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부엔 아이레("좋은 공기의 성모") 조각상이 있다.[2]
1754년에 완성된 추리게라 양식의 정면 입구는 레오나르도 데 피게로아의 아들 마티아스와 손자 안토니오 마티아스가 제작했다. 문 양쪽에는 각각 3개의 기둥이 있고, 문 위에는 아틀란테스가 받치고 있는 발코니가 있다. 항해 예술과 과학을 상징하는 12개의 우화적인 여성상, 산 텔모(엘모), 성 페르난드, 성 헤르메네길드 조각상이 있다. [2]
Hotel Alfonso XIII 건너편 Calle Palos de la Frontera를 마주보는 파사드 꼭대기에는 1895년 안토니오 수실로가 제작한 12명의 유명한 세비야인 조각상이 있다.[2]
정원에는 1893년에 지어져 현재 마리아 루이사 공원으로 옮겨진 여왕의 재봉틀이 있었다. 이 건물은 모서리에 작은 포탑이 있는 육각형 성 모양을 하고 있으며, 네오무데하르 양식으로 세비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3]
3. 1. 개요

산텔모 궁전은 세비야 바로크 건축의 상징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직사각형 평면으로 지어졌으며, 중앙 안뜰을 포함한 여러 개의 내부 안뜰, 네 모서리에 탑, 예배당, 정원을 갖추고 있다. 안뜰 중 하나에서 접근할 수 있는 화려한 바로크 양식의 예배당은 건축가 레오나르도 데 피게로아의 작품이며, 조각가 페드로 두케 이 코르네호, 석공 미겔 데 킨타나, 화가 도밍고 마르티네스, 목수 후안 토마스 디아스 등이 장식에 참여했다. 예배당에는 17세기 초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부엔 아이레("좋은 공기의 성모") 조각상이 있다.[2]

궁전 정면은 1754년에 완성된 웅장한 추리게라 양식 입구가 특징이다. 이는 피게로아 가문의 마티아스와 안토니오 마티아스의 작품으로, 50000ESP가 들었다. 입구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 양쪽에는 각각 3개의 기둥이 있고, 문 위에는 아틀란테스(사람 형태의 조각상 지지대)가 받치고 있는 발코니가 있다. 12개의 우화적인 여성상은 항해 예술과 과학을 나타낸다. 기둥과 산 텔모(엘모)의 모습이 있는 조각 그룹이 있으며, 도시의 수호 성인인 성 페르디난드와 성 헤르메네길드가 그 옆에 있다.[2]
Hotel Alfonso XIII 건너편 Calle Palos de la Frontera를 마주보는 파사드 꼭대기에는 1895년 안토니오 수실로가 조각한 12명의 유명한 세비야인 조각상이 있다. [2]
| 인물 | 설명 |
|---|---|
| 후안 마르티네스 몬타녜스 | 조각가 |
| 로드리고 폰세 데 레온 | 카디스 후작, 그라나다 레콩키스타 사령관 |
| 디에고 로드리게스 데 실바 이 벨라스케스 | 화가 |
| 미겔 마냐라 | 기사, 박애주의자, 세비야 라 카리다드 병원 설립자 |
| 로페 데 루에다 | 작가 |
| 페르난도 데 에레라 | 시인 |
| 루이스 다오이스 | 군인, 스페인 독립 전쟁 (반도 전쟁) 영웅 |
| 베니토 아리아스 몬타노 | 인문주의자 |
|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 화가 |
| 페르난도 아판 데 리베라 이 엔리케스 | 알칼라 공작, 인문주의자 |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 수도사, 치아파스 (멕시코) 주교, 인디언 보호자 |
베니토 아리아스 몬타노는 프레헤날 데 라 시에라 (바다호스 주), 로드리고 폰세 데 레온은 카디스, 후안 마르티네스 몬타녜스는 알칼라 라 레알 (하엔 주)에서 태어났지만, 세비야에서 살다 죽은 "입양된" 세비야인이었다.[2]
정원에는 1893년에 지어져 현재 마리아 루이사 공원에 있는 여왕의 재봉틀 (''Costurero de la Reina'')이 있었다. 이 독특한 건물은 모서리에 작은 포탑이 있는 작은 육각형 성 형태를 하고 있다. 네오무데하르 양식으로 세비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3]
3. 2. 내부
이 궁전은 세비야 바로크 건축의 상징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직사각형 평면으로 지어졌으며, 중앙 안뜰을 포함한 여러 개의 내부 안뜰, 네 모서리에 탑, 예배당, 정원을 갖추고 있다. 안뜰 중 하나에서 접근할 수 있는 화려한 바로크 양식의 예배당은 건축가 레오나르도 데 피게로아의 작품이며, 조각가 페드로 두케 이 코르네호, 석공 미겔 데 킨타나, 화가 도밍고 마르티네스, 목수 후안 토마스 디아스 등이 장식에 참여했다. 예배당을 주재하는 것은 17세기 초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부엔 아이레("좋은 공기의 성모") 조각상이다.
3. 3. 외부
이 궁전은 세비야 바로크 건축의 상징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정면은 1754년에 완성된 웅장한 추리게라 양식 입구로 구별되며, 이는 레오나르도 데 피게로아의 아들인 마티아스와 손자인 안토니오 마티아스의 작품으로, 50,000 페소의 비용이 들었다.[2] 입구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 양쪽에는 각각 3개의 기둥이 있다. 문 위에는 아틀란테스(사람의 형태를 한 조각상 지지대)가 받치고 있는 발코니가 있다. 12개의 우화적인 여성상은 항해 예술과 과학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기둥과 페드로 곤잘레스, 선원의 수호 성인인 산 텔모(또는 엘모)의 모습이 있는 조각 그룹이 있으며, 도시의 수호 성인인 성 페르디난드(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와 성 헤르메네길드가 그 옆에 있다.Hotel Alfonso XIII 건너편의 Calle Palos de la Frontera를 마주보는 파사드 꼭대기에는 1895년 안토니오 수실로가 조각한 12명의 유명한 세비야인 조각상이 있다.[2] 12개의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인물 | 설명 |
|---|---|
| 후안 마르티네스 몬타녜스 | 조각가 |
| 로드리고 폰세 데 레온 | 카디스 후작이자 그라나다의 레콩키스타의 사령관 |
| 디에고 로드리게스 데 실바 이 벨라스케스 | 화가 |
| 미겔 마냐라 | 기사이며 박애주의자, 세비야의 라 카리다드 병원 설립자 |
| 로페 데 루에다 | 작가 |
| 페르난도 데 에레라 | 시인 |
| 루이스 다오이스 | 군인, 스페인 독립 전쟁 (반도 전쟁)의 영웅 |
| 베니토 아리아스 몬타노 | 인문주의자 |
|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 화가 |
| 페르난도 아판 데 리베라 이 엔리케스 | 알칼라 공작, 인문주의자 |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 수도사, 치아파스, 멕시코의 주교이자 인디언 보호자 |
이들 중 3명은 다른 곳에서 태어났지만 세비야에서 살다 죽은 "입양된" 세비야인이었다. 베니토 아리아스 몬타노는 프레헤날 데 라 시에라 (바다호스 주), 로드리고 폰세 데 레온은 카디스, 후안 마르티네스 몬타녜스는 알칼라 라 레알 (하엔 주)에서 태어났다.[2]
정원에는 1893년에 지어져 현재 마리아 루이사 공원에 있는 여왕의 재봉틀 (''Costurero de la Reina'')이 포함되어 있었다.[3] 이 독특한 건물은 모서리에 작은 포탑이 있는 작은 육각형 성의 형태를 하고 있다. 네오무데하르 양식으로 세비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3]
참조
[1]
서적
Arquitectura barroca sevillana del siglo XVIII
Instituto Diego Velázquez. Superior Council of Scientific Research
1952
[2]
웹사이트
https://www.lasnotic[...]
2024-08-01
[3]
웹사이트
Costurero de la Reina de Sevilla, España
http://fotografias-s[...]
2011-11-09
[4]
뉴스
San Telmo, un palacio en busca de su dignidad
http://elpais.com/di[...]
2007-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