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루는 불교에서 번뇌를 세 가지로 분류한 개념으로, 욕루, 유루, 무명루로 나뉜다. 욕루는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 유루는 존재에 대한 집착과 자아의식에 대한 미혹, 무명루는 진리에 대한 무지를 의미한다. 《잡아함경》에서는 사리불이 외도 염부차와의 문답을 통해 삼루와 누진의 관계를 설명하며, 팔정도를 통해 누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세친의 《구사론》, 미륵보살의 《유가사지론》, 무착과 세친의 《집론》, 《잡집론》 등에서도 삼루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 분류법 - 십이수면
  • 번뇌 분류법 - 액 (불교)
    액은 멍에, 속박 등을 비유하는 불교 용어로, 번뇌가 중생을 삼계 등에 얽매이게 하거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특히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수면의 성질을 강조하고 4액으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삼루
일반 정보
한자 표기三漏
로마자 표기samnu
불교 용어
팔리어tayo āsavā
산스크리트어traya āsravā
중국어三漏
중국어 병음sānlòu
영어three kinds of contamination, three kinds of outflow, three affluents

2. 삼루의 정의

2. 1. 욕루(欲漏)

욕루(欲漏)는 욕계의 번뇌를 의미하며, 감각적 욕망과 욕구에 대한 집착을 뜻한다.

2. 2. 유루(有漏)

유루(有漏)는 색계와 무색계의 번뇌를 의미한다. 유루는 존재 자체에 대한 집착과 자아의식에 대한 미혹을 뜻한다.

2. 3. 무명루(無明漏)

무명루(無明漏)는 삼계(三界)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근본적인 무지(無知)를 의미한다. 이는 진리(眞理)에 대한 무지(無知)와 어리석음을 뜻한다.

3. 경론별 설명

3. 1. 잡아함경

《잡아함경》 제18권 제490경 〈염부차경(閻浮車經)〉에서 사리불은 외도 수행자인 염부차의 질문에 답하면서 3유루(三有漏)에 대해 설명한다. 유루(有漏)는 욕유루(欲有漏), 유유루(有有漏), 무명유루(無明有漏)의 세 가지 유루를 말한다. '''누진'''(漏盡) 또는 '''유루진'''(有漏盡)은 이 세 가지 유루에 대한 욕구(欲)가 완전히 사라진 상태를 의미하며, 8정도(八正道)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사리불은 정사(正士)로서 염부차와 논의를 마치고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갔다.

{{인용문4

|1=閻浮車問舍利弗。謂有漏盡。云何名為有漏盡。 舍利弗言。有漏者。三有漏。謂欲有漏.有有漏.無明有漏。此三有漏。欲盡無餘。名有漏盡。 復問。舍利弗。有道有向。修習多修習。得漏盡耶。 舍利弗答言。有。謂八正道。正見。乃至正定。 時。二正士共論議已。各從座起而去。

|3=염부차가 사리불에게 물었다.


유루(有漏)가 다한다[有漏盡]고 말하는데 어떤 것이 유루가 다하는 것입니까?


사리불이 말하였다.


유루에 세 가지 유루가 있으니, 이른바 욕유루(欲有漏) '''·''' 유유루(有有漏) '''·''' 무명유루(無明有漏)입니다. 이 세 가지 유루에 욕심[欲]이 다하여 남음이 없으면 유루가 다한 것이라고 합니다.


또 물었다.


사리불이여, 닦아 익히고 많이 닦아 익히면 번뇌가 다하게 되는[漏盡] 이 있고 방법이 있습니까?


사리불이 말하였다.


있습니다. 이른바 8정도(八正道)이니, 즉 바른 소견[正見]과……(내지)……바른 선정[正定]입니다.


그 때 두 정사(正士)는 서로 논의를 마치고 각각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갔다.

|4=《잡아함경》 제18권 제490경 〈염부차경(閻浮車經)〉.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2n0099_p0126b15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694 한글본]}}

3. 2. 구사론

세친의 《구사론》에서는 삼루를 더욱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과 작용을 설명한다.

3. 3. 유가사지론

미륵보살의 《유가사지론》에서는 유식학적 관점에서 삼루를 설명하고, 마음의 작용과 번뇌의 관계를 밝힌다.

3. 4. 집론·잡집론

무착과 세친의 《집론》과 《잡집론》에서는 삼루를 포함한 다양한 번뇌의 종류와 그 상호 관계를 설명한다.

4. 현대적 의의

4. 1. 개인적 차원

4. 2. 사회적 차원

참조

[1] CBETA 검색 "[https://www.google.com/search?q=%22%E4%B8%89%E6%B5%81%22+%E7%84%A1%E6%98%8E%E6%B5%81+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hl=zh-TW&inlang=zh-TW&domains=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gs_l=heirloom-serp.3...2292.4575.0.4886.2.2.0.0.0.0.100.191.1j1.2.0...0.0...1ac.1.12.heirloom-serp.qDqC-IKmmQQ&oq=%22%E4%B8%89%E6%B5%81%22+%E7%84%A1%E6%98%8E%E6%B5%81+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 三流]" 2013-05-17
[2] CBETA 검색 "[https://www.google.com/search?q=%22%E4%B8%89%E6%9C%89%E6%BC%8F%22+%E7%84%A1%E6%98%8E%E6%9C%89%E6%BC%8F+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hl=zh-TW&inlang=zh-TW&domains=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gs_l=heirloom-serp.3...2292.4575.0.4886.2.2.0.0.0.0.100.191.1j1.2.0...0.0...1ac.1.12.heirloom-serp.qDqC-IKmmQQ&oq=%22%E4%B8%89%E6%9C%89%E6%BC%8F%22+%E7%84%A1%E6%98%8E%E6%9C%89%E6%BC%8F+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 三有漏]" 2013-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