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글로벌리서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글로벌리서치는 1986년 삼성생명 부설 삼성경제연구소로 설립되어 1991년 법인으로 전환된 연구 기관이다. 경영 전략, 거시 경제, 글로벌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과거 삼성생명과의 내부 거래 의혹, 대기업 이해 대변 논란, 급진적 다문화 정책 추진 논란 등의 사건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22년 1월,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 삼성의 자회사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 삼성의 자회사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며 자체 기술 플랫폼 구축과 ESG 경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1986년 설립된 기업 - 한온시스템
한온시스템은 자동차 공조 및 열관리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대한민국 시장 점유율 1위, 세계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며 자동차 전동화 추세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 1986년 설립된 기업 - 토요코인
토요코인은 원가 절감, 간소한 시설, 온라인 예약 시스템, 회원 제도를 통해 저렴한 숙박을 제공하는 일본 호텔 체인이지만, 과거 불법 개조 및 직원 인권 문제 등의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는 국내외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삼성글로벌리서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삼성글로벌리서치 |
원어 | Samsung Global Research (SGR) |
창립 | 1991년 4월 1일 |
인물 | 차문중 (대표이사 사장)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4, 28~31층 (서초동) |
![]() | |
웹사이트 | 삼성글로벌리서치 |
자본금 | 60,000,000,000원 (2016.12) |
매출액 | 147,656,108,268원 (2016) |
영업이익 | -1,685,062,993원 (2016) |
순이익 | 33,085,846원 (2016) |
자산총액 | 110,400,422,523원 (2016.12) |
주주 | 삼성전자(주): 29.80% 삼성SDI(주): 29.60% 삼성전기(주): 23.80% 삼성생명보험(주): 14.80% 삼성물산(주), 삼성중공업(주): 각 1.00% |
종업원 | 282명 (2016.12) |
형태 | 연구법인 |
2. 연혁
- 1986년 7월 삼성생명 부설 삼성경제연구소 설립
- 1991년 4월 (주)삼성경제연구소로 법인 전환
- 1993년 10월 회원제 정보 서비스 "SERI Club" 시작
- 1996년 10월 인터넷 홈페이지 www.seri-samsung.org 개설
- 2004년 11월 글로벌 독자를 위한 영문 웹사이트 SERIWorld.org 개설
- 2006년 3월 삼성경제연구소 북경사무소(SERIChina) 공식 웹사이트 www.SERIChina.org 개설
- 2010년 6월 15일 국내 민간 연구기관 최초 모바일 웹사이트 m.seri.org 개설
- 2022년 1월 (주)삼성글로벌리서치로 사명 변경[3]
3. 조직
삼성글로벌리서치는 사장단과 주요 임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임동성, 정구현, 정기영 사장을 비롯하여, SERI CEO 위원회(위원장: 노재범), SERI World 위원회(위원장: 한주연), SERI China(위원장: 박기순) 등이 주요 조직이다.[1]
주요 임원으로는 경제정책실장 민승규 전무, 글로벌연구실장 황인성 부사장, 인적자원&조직연구실장 정권택 전무, 금융산업전략실장 권순우 부사장, 산업전략실 I 실장 김재윤 전무, 산업전략실 II 실장 김은환 부사장, 기획조정실장 류한호, 이범일 전무, 기업시민연구실장 신현암 부사장 등이 있다.[1]
3. 1. 부서
부서명 |
---|
경영전략실 |
연구조정실 |
지식경영실 |
공공정책실 |
기술산업실 |
인사조직실 |
거시경제실 |
글로벌연구실 |
SERI CEO 위원회 (위원장: 노재범) |
SERI World 위원회 (위원장: 한주연) |
SERI China (위원장: 박기순) |
4. 연구 분야
- 경영 전략 연구
- 연구 조정
- 지식 관리
- 공공 정책 연구
- 기술 및 산업 연구
- 인적 자원 연구
- 거시 경제 연구
- 글로벌 연구
5. 사건·사고 및 논란
삼성글로벌리서치는 여러 사건·사고 및 논란에 연루된 바 있다. 주요 논란으로는 삼성생명과의 내부거래 의혹, 대기업 이해 대변 논란, 급진적 다문화 정책 추진 논란 등이 있다.
5. 1. 삼성생명과 내부거래 의혹
2010년 3월 12일 《연합인포맥스》는 "삼성생명이 삼성경제연구소에 건당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의 용역비를 지급하고도 이를 증빙할 수 있는 용역 결과 보고서를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며 "금융당국은 연구소가 각종 국책 연구사업을 진행하면서 생긴 적자를 삼성생명이 대신 메워주기 위한 편법이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4]5. 2. 대기업 이해 대변 논란
삼성경제연구소는 자본시장통합법의 핵심 논리를 제시해 왔고, 인수합병(M&A) 활성화와 금산분리 완화,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 대기업의 경영권 보호 장치 제도화 등을 주장했다.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논의를 촉발시키기도 했으며, 노무현 정부 출범 전에는 400여 쪽에 이르는 <국정 과제와 국가 운영에 대한 아젠다>를 대통령 당선자에게 전달하기도 했다.[5]5. 3. 급진적 다문화 정책 추진 논란
최홍 연구원은 2010년 4월 6일 '금융위기와 외국인 고용환경의 변화' 보고서에서 유엔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한국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50년까지 1159만 명의 이민자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1]참조
[1]
웹사이트
연구소 연혁
http://www.seri.org/[...]
2006-12-17
[2]
뉴스
대한민국 新 인맥 - 국가운영 어젠다 주도하는 삼성경제연구소
http://weekly.khan.c[...]
주간경향
2008-11-04
[3]
뉴스
삼성경제연구소, 모바일 웹사이트 개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6-15
[4]
뉴스
"삼성, 공짜 국책연구 용역으로 정부 포섭해"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0-03-14
[5]
뉴스
삼성경제연구소 베껴쓰기 심각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