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자산운용은 1997년 삼성JP모건투자신탁운용으로 출범하여 삼성투자신탁운용, 삼성투신운용을 거쳐 201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자산운용사이다. 2002년 한국거래소에 첫 ETF인 KODEX 200을 상장했으며, 2014년 삼성생명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홍콩, 싱가포르 등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며, 블록체인 및 비트코인 관련 ETF를 출시하는 등 핀테크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 기업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는 1850년 화물 운송 회사로 시작하여 현금 수송 회사들의 합병을 거쳐 금융 서비스 분야로 확장, 여행자 수표 출시와 프리미엄 신용카드 출시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 금융 기업 -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대한민국 사회 기반 시설에 투자하는 펀드로서, 현재 다양한 고속도로, 터널, 항만, 상수도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지하철과 고속도로를 소유했으나 매각했고, 2022년 기준 군인공제회가 최대 주주이다. - 1999년 해체된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 1999년 해체된 기업 - 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라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주택 관련 금융 안정과 주택 시장 발전에 기여하며, 다양한 보증 사업, 기금 운용, 부동산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지만, 시장 과열 우려 및 소외 계층 배려 부족 문제 개선이 필요하다. - 삼성의 자회사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 삼성의 자회사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며 자체 기술 플랫폼 구축과 ESG 경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삼성자산운용 주식회사 |
영문 이름 | Samsung Asset Management |
한자 이름 | 三星資産運用 |
설립 | 1998년 9월 15일 |
이전 이름 | 삼성생명투자신탁운용 (1999년)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펀드 운용 투자 자문 일임 운용업 |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서초동) |
CEO | 서봉균 |
모회사 | 삼성생명 |
직원 수 | 369명 (2022년) |
웹사이트 | 삼성자산운용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93,430,000,000원 |
매출액 | 281,361,855,245원 |
영업이익 | 103,877,005,842원 |
순이익 | 76,497,743,980원 |
자산 총액 | 1,021,349,384,056원 |
AUM (2020년 9월 30일) | US$2334억 |
소유 구조 | |
주주 | 삼성생명: 100% |
관련 회사 | |
계열사 | 삼성그룹 |
2. 연혁
- 1997년: '''삼성JP모건투자신탁운용''' 출범, 이후 '''삼성투자신탁운용'''으로 사명 변경[1]
- 1998년: 삼성생명이 '동양투자신탁' 인수 후 '삼성투자신탁증권'과 '''삼성생명투자신탁운용'''으로 분리[2]
- 1999년: '삼성투자신탁운용'과 '삼성생명투자신탁운용' 합병, '''삼성투자신탁운용''' 출범[3]
- 2000년: 회사명을 삼성투신운용으로 변경, 삼성증권 계열사 편입[4]
- 2002년: 한국거래소에 첫 ETF인 KODEX 200 상장[1]
- 2007년: 홍콩에 첫 해외 사무소 개설[1]
- 2008년: 싱가포르에 사무소 개설[1]
- 2010년: '''삼성자산운용'''으로 사명 변경[1]
- 2014년: 삼성생명이 지분 100% 인수[1]
- 2015년: 캐피탈 그룹, 중국건설은행과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 체결[2][3]
- 2016년: 에드몽 드 로스차일드 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 체결, 본사를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서초동)으로 이전[4][5]
- 2017년: 자회사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헤지자산운용''' 출범[6]
- 2022년: 홍콩에서 최초로 삼성 블록체인 기술 ETF 출시[7]
- 2023년: 홍콩에서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 출시[8]
2. 1. 설립 초기 (1997년 ~ 2000년)
1997년, '''삼성JP모건투자신탁운용'''이 출범한 이후 '''삼성투자신탁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했다.[1] 1998년에는 삼성생명이 '동양투자신탁'을 인수하여 '삼성투자신탁증권'과 '''삼성생명투자신탁운용'''으로 분리했다.[2] 1999년, '삼성투자신탁운용'과 '삼성생명투자신탁운용'이 합병하여 '''삼성투자신탁운용'''이 출범했다.[3]2000년 3월, 회사명을 삼성투신운용으로 변경하였고, 삼성증권의 계열사가 되었다.[4]
2. 2. 성장 및 변화 (2001년 ~ 2010년)
2002년 1월, 한국거래소에 첫 ETF인 KODEX 200을 상장했다.[1]2007년 11월, 홍콩에 첫 해외 사무소를 개설했다.[1] 1년 뒤 싱가포르에 사무소를 열었다.[1]
2010년 4월, 회사명을 '''삼성자산운용'''으로 변경했다.[1]
2. 3. 삼성생명 자회사 편입 및 확장 (2011년 ~ 현재)
2014년, 삼성생명이 지분 100%를 인수하여 삼성자산운용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였다.[1]2015년, 캐피탈 그룹과 한국 투자자를 위한 액티브 투자 전략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고, 중국건설은행과 중국에서 ETF 상품 출시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2] [3]
2016년, 에드몽 드 로스차일드 그룹과 한국과 유럽에서 뮤추얼 펀드 교차 판매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고,[4]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서초동)으로 본사를 이전했다.[5]
2017년, 자회사 '''삼성액티브자산운용'''과 '''삼성헤지자산운용'''을 출범시켰다.[6]
2022년, 홍콩에서 최초로 삼성 블록체인 기술 ETF를 출시했다.[7]
2023년 1월, 홍콩에서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를 출시했다.[8]
3. 주요 사업
삼성자산운용은 상장지수 펀드(ETF), 해외 사업, 전략적 파트너십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3. 1. 상장지수 펀드 (ETF)
2002년 1월, 한국거래소에 첫 상장지수 펀드(ETF)인 KODEX 200을 상장했다.[1] 2015년 중국건설은행과 중국에서 ETF 상품 출시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1] 2022년 홍콩에서 최초로 삼성 블록체인 기술 ETF를 출시했고,[1] 2023년 1월에는 홍콩에서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를 출시했다.[1]3. 2. 해외 사업
삼성자산운용은 2007년 11월 홍콩에 첫 해외 사무소를 개설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시작했다.[1] 2008년에는 싱가포르에도 사무소를 열었다.[1]2015년에는 캐피탈 그룹과 한국 투자자를 위한 액티브 투자 전략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고,[1] 같은 해 중국건설은행과 중국에서 ETF 상품 출시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1] 2016년에는 에드몽 드 로스차일드 그룹과 한국과 유럽에서 뮤추얼 펀드 교차 판매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1]
2022년에는 홍콩에서 최초로 삼성 블록체인 기술 ETF를 출시했고,[1] 2023년 1월에는 홍콩에서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를 출시했다.[1]
3. 3. 전략적 파트너십
2015년 캐피탈 그룹과 한국 투자자를 위한 액티브 투자 전략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1] 같은 해, 중국건설은행과 중국에서 ETF 상품 출시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2] 2016년에는 에드몽 드 로스차일드 그룹과 한국과 유럽에서 뮤추얼 펀드 교차 판매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3]4. 핀테크 분야 진출
삼성자산운용은 2022년 홍콩에서 삼성 블록체인 기술 ETF를 출시하며 핀테크 분야에 진출했다.[1] 2023년 1월에는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를 출시했다.[1]
4. 1. 블록체인 및 비트코인 관련 ETF
2022년, 홍콩에서 최초로 삼성 블록체인 기술 ETF를 출시했다.[1] 2023년 1월에는 홍콩에서 삼성 비트코인 선물 액티브 ETF를 출시했다.[1]참조
[1]
웹사이트
asset managers in Asia with $233.4 billion in AUM
http://www.eng.samsu[...]
2020-09-30
[2]
웹사이트
Form ADV
https://reports.advi[...]
[3]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21
http://www.eng.samsu[...]
2022-06-13
[4]
웹사이트
Samsung Asset plans new global macro fund
https://koreajoongan[...]
2016-06-01
[5]
뉴스
Samsung Asset Likes China Consumer Stocks as Spending to Boom
https://www.bloomber[...]
2010-10-08
[6]
웹사이트
Samsung Life seeks to wholly own Samsung Asset Management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7]
웹사이트
Tax rules may hinder ETF growth in Korea, says Samsung AM {{!}} Fund Managers
https://www.asianinv[...]
2010-04-29
[8]
웹사이트
ETFs entice Korean investors amid volatile market
https://www.kedgloba[...]
[9]
웹사이트
Samsung Investments readies Asia expansion {{!}} Moves {{!}} AsianInvestor
https://www.asianinv[...]
2021-06-25
[10]
뉴스
Samsung Investments names CIO for Singapore office
https://www.reuters.[...]
2008-09-29
[11]
웹사이트
Capital Group, Samsung Asset Management form strategic partnership in Korea
https://www.pionline[...]
2015-10-14
[12]
웹사이트
Samsung Asset Management continues to actively target China's ETF market
https://en.g-enews.c[...]
2021-01-08
[13]
웹사이트
Edmond de Rothschild teams up with Samsung Asset Management
https://www.internat[...]
2016-04-29
[14]
웹사이트
Investment firms spin off units
https://koreajoongan[...]
2016-08-29
[15]
웹사이트
Samsung Asset Management launches first blockchain-focused ETF in Hong Kong
https://www.scmp.com[...]
2022-06-12
[16]
뉴스
Samsung Fund Unit Considers More Hong Kong Crypto Products After ETF
https://www.bloomber[...]
202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