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초구는 기원전 18년부터 서기 660년까지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특별시의 한 구로, 한강 이남 중앙부에 위치한다. 1988년 강남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10개의 법정동과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의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대법원, 검찰청 등 주요 법률 기관과 삼성, 현대자동차그룹 등 대기업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교육 시설과 상업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또한, 서래마을은 프랑스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초구의 행정 구역 - 반포동
반포동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하며,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현대적인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국립중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의 주요 시설과 반포한강공원, 서래섬 등 다양한 공원 및 녹지가 조성되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행정 구역 - 서초동
서초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교육 시설과 다양한 지하철역, 주요 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명인제약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서울 서초구 -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의 이전, 1990년대 프랑스계 기업들의 한국 진출로 형성되었고, 프랑스어 간판, 국기를 상징하는 색상의 블록 포장 도로 등 특징을 가지며, 서울프랑스학교, 다양한 프랑스 음식점, 카페 등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서울 서초구 - 서울고등법원
서울고등법원은 1908년 경성공소원으로 설치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48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으며, 서울, 인천, 경기 북부, 강원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고등법원이다.
서초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서초구 · 瑞草區 |
로마자 표기 | Seocho-gu |
유형 | 자치구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수도권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행정동 | 18개 |
면적 | 46.92 km² |
인구 | 405,126명 (2023년) |
우편번호 | 06500 – 06899 |
지역 번호 | +82-2-500(한국 내 02) |
웹사이트 | 서초구 공식 웹사이트 |
정치와 행정 | |
구청장 | 전성수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조은희 (국민의힘) 박성중 (국민의힘) |
지방 의회 | 서초구 의회 |
정당 | 국민의힘 |
상징 | |
구 나무 | 느티나무 |
구 꽃 | 장미 |
구 새 | 비둘기 |
역사 | |
설립 | 1988년 1월 1일 강남구에서 분리 |
문화 및 관광 | |
주요 시설 | 예술의 전당 |
교육 | |
학군 | 강남 8학군 |
교통 | |
지하철 | 강남역 (서울에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역) |
경제 | |
주요 기업 | 삼성그룹 본사 (삼성타운) |
기타 |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주거 지역 중 하나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지역 코드 | 11220 |
2. 역사
개편 전 | 개편 후 |
---|---|
강남구 서초동·잠원동·반포동·방배동·도곡동·양재동·우면동·원지동·염곡동·내곡동·신원동 | 서초구 서초동·잠원동·반포동·방배동·도곡동·양재동·우면동·원지동·염곡동·내곡동·신원동 |
- 1989년 1월 1일 도곡동이 다시 강남구의 관할로 바뀌었고, 강남구 포이동의 논현로 서쪽 지역이 양재동으로 편입되었다.[53]
- 서초구는 기원전 18년부터 서기 660년까지 존재했던 백제의 수도였다.[6] 당시 이 지역은 위례성(위례산성)이라 불렸으며, 현재 서초구의 서쪽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7] 한강 옆에 위치한 현재 서초구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기 때문에 종종 한국 문명의 요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
- 1965년 서울의 부도심으로 개발이 결정된 이후, 현대적인 건물들이 증가했다.
- 1988년 1월 1일 강남구에서 서초동, 잠원동, 반포동, 방배동, 도곡동, 양재동, 우면동, 원지동, 내곡동, 신원동, 염곡동을 분할하여 서초구가 탄생했다.
- 1989년 1월 1일
- * 도곡동이 강남구에 편입되었다.
- * 강남구 포이동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 1995년 6월 29일 17시 57분에 고급 백화점인 삼풍백화점이 건축상의 문제로 양쪽 끝 일부를 제외하고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망자 502명, 부상자 937명의 큰 참사였다. 현재 그 자리에는 고급 아파트인 아크로비스타가 있다.
3. 지리
서초구는 서울특별시 한강 이남의 중앙부에 위치한 지역이다. 동쪽으로 강남구, 서쪽으로는 동작구·관악구,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용산구와 인접하고, 남쪽으로는 우면산·청계산·인릉산을 경계로 경기도 과천시·성남시와 접한다.
강남대로를 경계로 강남구, 동작대로 및 현충로, 남부순환로를 경계로 동작구·관악구, 반포대교 및 한남대교 등을 경계로 용산구, 남태령을 경계로 경기도 과천시와 경부고속도로 및 청계산을 경계로 경기도 성남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우면산은 서초구 서초동, 방배동, 양재동 및 우면동의 경계를 따라 뻗어 있는 산악 지형이다.[28] 2011년, 서울 지역에 전례 없는 폭우가 쏟아졌는데, 단 3일 만에 587mm가 넘는 비가 내리면서 우면산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28] 이 재난은 서초구 형촌마을에 큰 피해를 입혀 17명 이상이 사망하고 5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29]
서초구는 서울특별시 남부 강남에 위치한다. 남북으로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다.
구분 | 내용 |
---|---|
산 | 우면산, 구룡산(Guryongsan), 청계산, 인릉산 |
하천 | 양재천(Yangjaecheon), 반포천 |
동쪽 | 강남구 |
서쪽 | 관악구・동작구 |
남쪽 | 경기도 성남시・과천시 |
북쪽 | (한강을 사이에 두고) 용산구 |
4. 행정 구역
서초구의 행정 구역은 10개의 법정동을 18개의 행정동이 관할한다. 서초구의 면적은 47.00km2이며, 서울시의 7.8%를 차지한다. 2020년 7월 말 기준 서초구의 주민등록 인구는 174,012세대, 428,252명이다.[12]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서초1동 | 瑞草洞 | 1.35 | 9,329 | 21,121 |
서초2동 | 1.23 | 8,612 | 18,743 | |
서초3동 | 3.05 | 13,955 | 30,873 | |
서초4동 | 0.872 | 11,068 | 31,704 | |
잠원동 | 蠶院洞 | 1.8 | 13,394 | 32,853 |
반포본동 | 盤浦洞 | 0.97 | 4,126 | 12,010 |
반포1동 | 0.878 | 14,409 | 32,604 | |
반포2동 | 1.25 | 5,123 | 16,161 | |
반포3동 | 1.37 | 7,648 | 22,003 | |
반포4동 | 1.43 | 7,306 | 19,503 | |
방배본동 | 方背洞 | 0.67 | 7,981 | 21,192 |
방배1동 | 0.68 | 7,698 | 17,451 | |
방배2동 | 1.94 | 8,704 | 20,480 | |
방배3동 | 2.4 | 8,377 | 21,793 | |
방배4동 | 0.95 | 9,804 | 23,720 | |
양재1동 | 良才洞 | 5.76 | 18,305 | 45,065 |
양재2동 | 7.58 | 10,835 | 22,671 | |
내곡동 | 內谷洞 | 12.69 | 7,338 | 18,305 |
서초구 | 瑞草區 | 47.00 | 174,012 | 428,252 |
대한민국에는 법으로 지정된 법정동과 행정 목적으로 지정된 행정동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12] 법정동의 주민 수가 변동함에 따라 담당 행정기관은 동을 여러 개의 행정동으로 분할하거나, 여러 법정동을 하나의 행정동으로 통합하기도 한다.[12]
행정동 | 법정동 |
---|---|
서초1동, 서초2동 | 서초동 |
서초3동 | 방배동, 서초동 |
서초4동 | 서초동 |
잠원동 | 잠원동 |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4동 | 반포동 |
반포3동 | 잠원동 |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2동, 방배3동, 방배4동 | 방배동 |
양재1동 | 양재동 |
양재2동 | 양재동, 원지동 |
내곡동 | 염곡동, 내곡동, 신원동 |
5.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90년 | 395,362명 |
1995년 | 384,221명 |
2000년 | 367,096명 |
2005년 | 370,080명 |
2010년 | 388,220명 |
2015년 | 420,804명 |
6. 경제
대한변호사협회에 따르면 서울에서 활동하는 변호사 3분의 1 이상이 서초동에서 일한다.[8] "서초 법조타운"으로 불리는 이 지역에는 대법원, 대검찰청,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지방경찰청 등 대한민국의 주요 법률 기관들이 있다.[8]
삼성은 삼성타운이라는 사옥 단지에 여러 முக்கிய 건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그룹 또한 이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다.[9][10]
서초구는 전문직 종사자의 거주 밀도가 높아 서울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1] 2021년 서초구 주민의 월평균 소득은 3770000KRW였는데, 이는 구 단위 기준으로 강남구 다음으로 높으며 서울시 월평균 소득 2980000KRW보다 높다.
6. 1. 개요
서초구는 1988년 강남구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강남구와 특히 행정·지리·사회·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서초구라는 지명 자체도 원래 강남구 관할이었던 강남역이 위치한 서초동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며, '''“강남(Gangnam)”'''이라는 명칭도 강남구와 사실상 공유하고 있다. 세계 1위 백화점 매출을 기록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44][45]과 코스트코 양재점 등이 입점해 있으며, 강남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최대의 프랑스인 밀집 지역인 서래마을, 세빛섬이 있는 반포한강공원 등도 유명하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는 물론 버스 수요 분산을 위해 설치된 서울남부터미널이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 있어 서울 남쪽 관문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내곡동에는 국가정보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서초동에는 국립외교원, 국립국악원과 국내 최대의 종합예술 공간인 예술의 전당, 그리고 대법원·대검찰청 등이 위치한 법조단지와 국립중앙도서관이 있어 서초구는 대한민국의 경제, 문화예술 및 법조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다[46].서울에서 전문직 고소득자, 자산가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꼽히며, 재산세 납부 기준으로 강남구 다음으로 2위, 평균 세전 월소득 기준으로는 25개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한 부촌이다. 강남구와 함께 강남서초교육지원청 관할의 강남 8학구 지역으로 교육열이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서초구는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에서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47].
6. 2. 법조 단지
대한변호사협회에 따르면 서울에서 활동하는 변호사 3분의 1 이상이 서초구 남쪽 동네인 서초동에서 일한다.[8] "서초 법조타운"으로 불리는 이 지역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법률 기관들인 대법원, 대검찰청,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지방경찰청 등이 있다.[8] 이 지역에는 또한 많은 변호사들의 의뢰인이 되는 세계 최대 기업들의 본사도 자리 잡고 있다.[8] 서초구는 대한민국의 경제, 문화예술 및 법조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다.[46]6. 3. 주요 기업
세계 최대 기업 중 여러 곳이 이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다.[9] 한국 최대 재벌인 삼성은 이 지역에 삼성타운이라는 사옥 단지에 많은 중요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9] 2022년 기준 세계 11위 자동차 제조업체인 현대자동차그룹 또한 이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다.[9][10]6. 4. 상업 시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44][45], 뉴코아아울렛 강남점, 신세계면세점 강남점, 이마트 양재점, 롯데마트 서초점, 킴스클럽 강남점, 코스트코 양재점이 서초구에 입점해 있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세계 1위 백화점 매출을 기록했으며[44][45], 코스트코 양재점과 함께 강남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7. 교육
강남교육지원청(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관할하며, 이 지역은 높은 수준의 교육으로 유명하다.[13] 휘문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등 한국에서 가장 엘리트적이고 경쟁적인 고등학교들이 있다.[14] 강남교육지원청 관할 고등학교 졸업생들은 한국 최고 대학에 높은 진학률을 자랑하며, 2022년 서울대학교 신입생 중 10%가 강남교육지원청 관할 학교 출신이었다.[15] 토리치 트리니티 대학교는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해 있다.[16]
7. 1. 강남 8학군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초·중·고등학교는 ‘강남 8학군’으로 불리며, 한국에서 교육 경쟁이 가장 치열한 지역이다. 강남교육지원청(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관할하는 교육지원청이다.[13] 이 지역은 높은 수준의 교육으로 유명하며, 휘문고등학교와 경기고등학교와 같이 한국에서 가장 엘리트적이고 경쟁적인 고등학교들이 있다.[14] 강남교육지원청 관할 고등학교 졸업생들은 한국 최고 대학에 높은 진학률을 자랑한다.[15] 2022년 서울대학교 신입생 중 10%가 강남교육지원청 관할 학교 출신이었다.[15] 서초구는 강남구와 함께 강남서초교육지원청 관할의 강남 8학군 지역으로 교육열이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7. 2. 주요 교육 기관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관할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강남교육지원청은 이 지역의 높은 교육 수준으로 유명하다.[13] 휘문고와 경기고 등 한국에서 가장 엘리트적이고 경쟁적인 고등학교들이 있다.[14] 강남교육지원청 관할 고등학교 졸업생들은 한국 최고 대학에 높은 진학률을 자랑하며, 2022년 서울대학교 신입생 중 10%가 강남교육지원청 관할 학교 출신이었다.[15]학교명 | 비고 |
---|---|
다니엘학교 |
학교명 | 비고 |
---|---|
백석예술대학 |
학교명 | 비고 |
---|---|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 |
예일신학대학원대학교 |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
서초구는 21개의 공공도서관을 갖춘 대규모 공공도서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18] 도서관 외에도 초등학교 24개, 중학교 15개, 고등학교 11개, 장애인학교 1개, 대학교 2개가 있다.[18]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초·중·고등학교는 ‘강남 8학군’으로 불리며, 한국에서 교육 경쟁이 가장 치열한 지역이다.
- 원촌중학교
- 서초서원초등학교
8. 문화·관광
서초구는 경제, 문화예술 및 법조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다.[46] 신세계백화점 강남점[44][45]과 코스트코 양재점 등이 입점해 있으며, 강남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남부터미널이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 있어 서울 남쪽 관문 역할을 하기도 한다. 내곡동에는 국가정보원이 있다.
1995년 6월 29일 서초동에 위치한 삼풍백화점이 구조적 결함과 규제 소홀로 인해 붕괴되었다.[26] 이 사고로 502명이 사망하고 9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26]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는 의도치 않은 건물 붕괴로 인한 사상자 수 측면에서 라나 플라자 공장 붕괴 사고(방글라데시)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26] 이준을 비롯한 삼풍백화점 건설 책임자들은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27]
8. 1. 명소
조선 태종과 원경왕후의 묘인 헌릉과 순조와 순원왕후가 합장되어 있는 묘인 인릉이 있다. 둘을 합하여 헌인릉이라 한다.(내곡동 소재)[20]구룡산(306m) 기슭에 세종대왕릉(영릉)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년)에 여주로 옮겨졌다.(내곡동 소재)[20] 구룡산 제2봉 국수봉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예술의 전당은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종합예술시설로서, 오페라하우스, 미술관, 서예관, 음악관 등이 있고, 예술의 전당 바로 옆에는 국립국악원이 있다.(서초동 소재)[20]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20] 예술의 전당은 오페라하우스, 음악당, 한가람미술관, 한가람디자인미술관, 서울서예박물관 등 5개의 주요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21] 음악당과 서울서예박물관은 1988년에 건립되었다.[20] 한가람미술관과 미술자료관은 1990년에 완공되었고, 오페라하우스는 1993년에 건립되어 개관하였다.[20] 예술의 전당은 매년 약 3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한다.[21]
서초동에는 교보문고, 대법원, 검찰청, 국립중앙도서관 등이 있다. 반포4동에는 신세계백화점, 마르퀘스플라자, 메리어트 호텔, 호남선 고속버스터미널 등이 있는 센트럴시티가 있고, 바로 옆에는 경부선 등 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있다.
반포한강공원에는 세빛섬과 반포대교 달빛무지개 분수 등의 명소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에 설립되었으며 서울에 위치해 있다.[22] 이 도서관은 1,000만 권이 넘는 장서와 수많은 외국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23]
서초구 방배3동에 위치한 국립국악원은 한국의 궁중 음악과 민속 음악을 보존하기 위해 1951년 설립되었다.[24] 이 기관은 워크숍, 연구 및 실황 공연을 개최하고 참여함으로써 한국 전통 음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24]
강남역은 한국에서 가장 붐비는 곳 중 하나이며 젊은이들이 자주 만나는 장소이다.[34] 싸이의 히트곡 "강남스타일"이 발표된 후에는 주요 관광 명소가 되기도 했다.[34] 이 역에는 음식점, 극장, 레코드 가게, 미용실, 마사지 업체 등 다양한 매장이 있다.[34] 또한 중요한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며 버스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34]
8. 2.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반포4동에 있는 지역으로, 흔히 프랑스 마을 또는 "리틀 프랑스"라고 불린다.[32] 1980년대에 고급 주택들이 들어서면서 부유한 주거 지역이 되었다.[32]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가 용산구에서 서초구로 옮겨오면서 서래마을에 프랑스 사람들이 많이 살게 되었다. 1990년대에는 까르푸, TGV, CLSA, 르노 은행 등 프랑스 기업들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서래마을에 사는 프랑스인들이 더 늘어났다.[33] 현재 한국에 사는 프랑스인의 약 40%가 서래마을에 살고 있다.[33]9. 교통
서초구는 대중교통과 도로 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분당선 등 여러 철도 노선이 지나가며, 버스 노선도 잘 갖춰져 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서울남부터미널이 있어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이용도 편리하다.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 위치하여 서울 남쪽 관문 역할을 한다.[46]
9. 1. 철도
- 한국철도공사
- *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 (서울 지하철 4호선 직결) ← 남태령역 → (경기도 과천시)
- 신분당선 (●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 *: (강남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청계산입구역 → (경기도 성남시)
- 서울교통공사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강남구) ← 강남역 - 교대역 - 서초역 - 방배역 → (동작구)
- * ● 서울 지하철 3호선
- *: (강남구) ← 잠원역 - 고속터미널역 - 교대역 - 남부터미널역 - 양재역 → (강남구)
- * ● 서울 지하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 *: (동작구) ← 남태령역 → (과천선 직결)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 (강남구) ← 논현역 - 반포역 - 고속터미널역 - 내방역 → (동작구)
- 서울시메트로9호선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 (동작구)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역 - 사평역 → (강남구)[1]
9. 2. 버스
박민식조혜전
조상현
조상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