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인지모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위인지모형은 자신의 생각과 정신 과정을 인식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발달 심리학과 신경 심리학에서 연구되어 왔다. 정신 질환 모델에서는 인지적 주의력 증후군, 메타인지적 신념, 정신 모드, 실행 기능 등이 상호 작용하여 자기 조절 실행 기능 모델을 구성하며, 이는 다양한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 된다고 본다. 상위인지치료는 환자의 상위인지적 신념과 사고 방식을 변화시키는 기술을 사용하여, 우울증 및 불안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지 요법 - 에런 벡
미국의 정신과 의사 에런 벡은 인지 치료를 창시하고 '자동적 사고'와 '인지 삼각' 개념을 통해 정신 질환의 인지적 측면을 탐구했으며, 벡 우울증 척도(BDI) 개발 및 인지 행동 치료(CBT) 발전에 기여했다. - 인지 요법 - 노출 요법
노출 요법은 공포증, 강박장애, PTSD 등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인지행동치료 기법으로, 환자를 불안 유발 자극에 노출시켜 회피 행동 감소 및 불안 반응 완화를 목표로 하며, 생체 내 노출, 심상적 노출, 가상현실 노출, 체내수용기 노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지만, 심리학자들의 이해 부족 및 부정적 인식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상위인지모형 | |
---|---|
개요 | |
이름 | 메타인지 치료 |
다른 이름 | 상위인지 치료 |
영어 이름 | Metacognitive Therapy (MCT) |
유형 | 심리 치료 |
개발자 | 에이드리언 웰스 |
개발 연도 | 1990년대 초 |
기반 이론 | 자기 조절 실행 기능 모델 (S-REF) |
목표 | |
주요 목표 | 부정적인 생각에 대한 건강한 접근 방식 개발 인지적 주의 증후군 감소 |
세부 목표 | 자신의 사고 과정에 대한 인식 및 조절 능력 향상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에 대한 집착 감소 역기능적인 메타인지적 신념 수정 생각에 대한 생각 (메타인지) 변화 유도 |
특징 | |
핵심 특징 | 메타인지에 초점 인지적 주의 조절 훈련 특정 사고 내용보다 사고 과정 자체에 집중 자기 조절 실행 기능 모델 (S-REF)에 기반 |
기법 | 메타인지적 면담 주의 훈련 기법 (Attention Training Technique, ATT) 인지적 탈융합 기법 행동 실험 소크라테스식 대화 |
적용 | |
주요 적용 분야 | 불안 장애 우울증 |
기타 적용 분야 | 강박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 불안 장애 섭식 장애 정신병 |
효과 | |
효과성 | 불안 및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임이 입증됨 다른 정신 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인지 행동 치료 (CBT)와 유사한 효과 |
이론적 배경 | |
자기 조절 실행 기능 모델 (S-REF) | 역기능적 사고 패턴은 인지적 주의 증후군 (CAS)에 의해 유지된다고 봄 CAS는 걱정, 반추, 위협 감시, 고정된 주의를 포함 메타인지적 신념이 CAS를 활성화하고 유지하는 역할 |
비판 및 논쟁 | |
논쟁점 |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혼재 특정 질환에 대한 효과는 아직 불분명 치료 기법의 효과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
2. 역사
상위 인지는 "이후"(메타) "생각" (인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자신의 생각과 내적 정신 과정을 인식하고 통제하는 인간의 능력을 말한다.[6][7][8][9] 상위 인지는 수십 년 동안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원래 발달 심리학과 신경 심리학의 일부였다. 상위 인지의 예로는 현재 자신의 마음에 어떤 생각이 있는지, 주의 집중이 어디에 있는지 아는 것, 그리고 자신의 생각에 대한 믿음(정확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등이 있다. 최초의 상위 인지적 개입은 1980년대에 주의력 장애가 있는 어린이를 위해 고안되었다.[10][11]
2. 1. 한국에서의 발전
3. 정신 질환 모델
메타인지 모델에서 증상은 인지적 주의력 증후군(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 CAS)이라는 일련의 심리 과정에 의해 발생한다.[39] CAS는 부정적인 생각에 대응하여 확장된 사고를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과정, 즉 걱정, 반추, 위협 감시, 역효과를 내는 대처 행동을 포함한다.[2][4][12] 이러한 자기통제는 역기능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과정은 모두 환자의 메타인지적 신념에 의해 유발되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포함한다. 비록 이 모든 과정이 궁극적으로 고통을 연장시키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지만, 이 모델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부정적인 메타인지적 신념, 특히 일부 생각의 통제 불가능성과 위험성에 관한 신념이다.[12] 실행 기능 또한 사람이 특정 생각과 정신 모드에 집중하고 다시 초점을 맞추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정신 모드는 '객체 모드'와 '메타인지 모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사람들이 생각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유형의 관계를 나타낸다.[2]
모든 CAS, 메타인지적 신념, 정신 모드 및 실행 기능은 함께 '자기 조절 실행 기능 모델(S-REF)'을 구성한다.[2] 이것은 메타인지 모델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3. 1. 자기통제 실행기능 모델 (S-REF)
메타인지 모델에서 증상은 인지적 주의력 증후군(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 CAS)이라는 일련의 심리 과정에 의해 발생한다.[39] CAS는 부정적인 생각에 대응하여 확장된 사고를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과정, 즉 걱정/반추, 위협 감시, 역효과를 내는 대처 행동을 포함한다.[2][4][12] 이러한 자기통제는 역기능을 야기할 수 있다.이 세 가지 과정은 모두 환자의 메타인지적 신념에 의해 유발되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포함한다. 비록 이 모든 과정이 궁극적으로 고통을 연장시키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지만, 이 모델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부정적인 메타인지적 신념, 특히 일부 생각의 통제 불가능성과 위험성에 관한 신념이다.[12] 실행 기능 또한 사람이 특정 생각과 정신 모드에 집중하고 다시 초점을 맞추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정신 모드는 '객체 모드'와 '메타인지 모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사람들이 생각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유형의 관계를 나타낸다.[2]
모든 CAS, 메타인지적 신념, 정신 모드 및 실행 기능은 함께 '자기 조절 실행 기능 모델(S-REF)'을 구성한다.[2] 이것은 메타인지 모델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4. 치료 방법
상위인지치료(MCT)는 보통 8~12회기로 진행되는 시간 제한적인 치료법이다. 치료자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환자의 상위인지적 신념, 경험 및 전략을 발견한다. 그런 다음 치료자는 환자에게 모델을 공유하여 환자의 특정 증상이 어떻게 유발되고 유지되는지 지적한다.
그 후 치료는 환자의 어려움에 맞춰 환자가 생각과 맺는 관계를 변화시키고 사고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실험을 통해 상위인지적 신념에 도전한다. (예: "당신은 너무 걱정하면 '미칠' 거라고 믿습니다. 다음 5분 동안 최대한 걱정하고 어떤 영향이 있는지 봅시다") 및 ''주의 훈련 기법, 상황적 주의 재집중'' 및 분리된 마음챙김(마음챙김 기법과는 다른 독특한 전략)과 같은 전략을 사용한다.
4. 1. 주요 치료 기법
상위인지치료(MCT)는 보통 8~12회기로 진행되는 시간 제한적인 치료법이다. 치료자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환자의 상위인지적 신념, 경험 및 전략을 발견한다. 그런 다음 치료자는 환자에게 모델을 공유하여 환자의 특정 증상이 어떻게 유발되고 유지되는지 지적한다.그 후 치료는 환자의 어려움에 맞춰 환자가 생각과 맺는 관계를 변화시키고 사고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실험을 통해 상위인지적 신념에 도전한다. (예: "당신은 너무 걱정하면 '미칠' 거라고 믿습니다. 다음 5분 동안 최대한 걱정하고 어떤 영향이 있는지 봅시다") 및 ''주의 훈련 기법, 상황적 주의 재집중'' 및 분리된 마음챙김과 같은 전략을 사용한다. (이것은 다른 다양한 마음챙김 기법과는 구별되는 전략이다).
5. 연구 및 효과
임상 시험(무작위 대조 시험 포함)에서 MCT는 다양한 정신 건강 장애에 걸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큰 개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4년 기준으로 연구된 전체 피험자 수는 적으며, 메타 분석 결과 효과에 대한 강력한 결론을 내리기 전에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5] 2015년 학술지 ''인지 치료 및 연구''의 특별호는 MCT 연구 결과를 다루었다.[17]
2018년 메타 분석에서는 우울증과 불안에서 높은 효과 크기를 보이며 다양한 심리적 고통 치료에 있어서 MCT의 효과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본 연구 결과는 MCT가 다양한 심리적 고통에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시사한다. 현재까지 불안과 우울증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가 있다. 현재 결과는 MCT가 인지 행동 개입을 포함한 다른 정신 요법보다 우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확고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참가자가 있는 더 많은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18]
2020년 연구에서는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인지 행동 치료 (CBT)보다 MCT가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MCT는 유망해 보이며 우울증 치료에 필요한 발전을 제공할 수 있지만, 우울증에서 CBT와 비교한 MCT의 상대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충분한 규모의 임상 시험에 대한 증거가 현재 부족하다."고 요약했다.[19]
2018-2020년, 학술지 ''심리학 프론티어''의 연구 주제는 MCT에 대한 실험적, 임상적, 신경심리학적 증거 기반의 증가를 강조했다.[20]
최근 네트워크 메타 분석에 따르면 MCT(및 인지 처리 치료)는 PTSD에 대한 다른 심리 치료법보다 우수할 수 있다.[21] 그러나 MCT에 대한 증거 기반은 유망하고 증가하고 있지만, MCT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임상 시험은 소규모 및 선택적 표본과 창시자가 수행한 대부분의 임상 시험에 관여하면서 잠재적인 이해 상충으로 특징지어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MCT를 지역 사회 정신 건강 클리닉에서 대규모로 시행하기 전에 잠재적 이해 상충 없이 독립적인 연구자가 수행하는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실용적인, 잘 수행된 무작위 대조 시험이 시급히 필요하다.
상위인지모형에 대한 연구와 적용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주로 서구권 국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5. 1. 한국에서의 연구 및 적용
상위인지모형에 대한 연구와 적용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주로 서구권 국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참조
[1]
간행물
Common versus specific factors in psychotherapy: opening the black box
2017-12
[2]
서적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Guilford Press
2011
[3]
간행물
Modelling cognition in emotional disorder: the S-REF model
1996-11
[4]
간행물
Breaking the cybernetic code: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human metacognitive control system to enhance mental health
2019-12-12
[5]
간행물
The efficacy of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tic review
2014-05
[6]
간행물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enhancing learning
1988-08-01
[7]
서적
Advances in instructional psycholog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78
[8]
서적
Metacognition, cognition, and human performance. Vol. 2: Instructional practices
Academic Press
1985
[9]
간행물
Toward a cognitive neuroscience of metacognition
2000-06
[10]
간행물
Metacognition reconsider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research
1985-09
[11]
간행물
Development of strategic skills in impulsive and reflective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metacognition
1987-02
[12]
간행물
Cognitive-attentional syndrome –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AS-1 and multi-measure CAS-based clinical diagnosis
2019-05
[13]
간행물
The attention training techniqu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xiety: a laboratory-based component study
2014-10
[14]
간행물
How to deal with negative thoughts?: a preliminary comparison of detached mindfulness and thought evaluation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2015-02
[15]
간행물
Effects of attention training technique on brain function in high- and low-cognitive-attentional syndrome individuals: regional dynamics before, during, and after a single session of ATT
2020-09-01
[16]
서적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Guilford
2011
[17]
간행물
Special issue on metacognitive theory, therapy and techniques
https://link.springe[...]
Springer Verlag
2015-02
[18]
간행물
The efficacy of metacognitive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
[19]
간행물
Metacognitive therapy versus cognitive behaviour therapy in adults with major depression: a parallel single-blind randomised trial
2020-05
[20]
웹사이트
Metacognitive Therapy: Science and Practice of a Paradigm {{!}} Frontiers Research Topic
https://www.frontier[...]
Frontiers Media
2019-06-26
[21]
간행물
Trauma-focused psychotherapie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21-09-17
[22]
간행물
Common versus specific factors in psychotherapy: opening the black box
2017-12
[23]
간행물
Modelling cognition in emotional disorder: the S-REF model
1996-11
[24]
서적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Guilford Press
2011
[25]
간행물
Breaking the cybernetic code: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human metacognitive control system to enhance mental health
2019-12-12
[26]
간행물
The efficacy of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tic review
2014-05
[27]
간행물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enhancing learning
1988-08-01
[28]
서적
Advances in instructional psycholog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78
[29]
서적
Metacognition, cognition, and human performance. Vol. 2: Instructional practices
Academic Press
1985
[30]
간행물
Toward a cognitive neuroscience of metacognition
2000-06
[31]
간행물
Metacognition reconsider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research
1985-09
[32]
간행물
Development of strategic skills in impulsive and reflective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metacognition
1987-02
[33]
간행물
The attention training techniqu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xiety: a laboratory-based component study
2014-10
[34]
간행물
How to deal with negative thoughts?: a preliminary comparison of detached mindfulness and thought evaluation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2015-02
[35]
간행물
Effects of attention training technique on brain function in high- and low-cognitive-attentional syndrome individuals: regional dynamics before, during, and after a single session of ATT
2020-09-01
[36]
서적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Guilford
2011
[37]
논문
Common versus specific factors in psychotherapy: opening the black box
2017
[38]
논문
Modelling cognition in emotional disorder: The S-REF model
1996-11
[39]
서적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Guilford Press
2011
[40]
논문
Breaking the cybernetic code: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human metacognitive control system to enhance mental health
2019-12-12
[41]
논문
The efficacy of meta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tic review
201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