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은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에서 발견된 총 21점의 전적을 의미한다. 9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진본, 주본, 정원본과 백지묵서보살본행경 권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적은 크기, 형태, 보존 상태 등이 다양하며 서지학적, 불교사적, 서예사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엄경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은 조선 철종 7년에 남호영기 스님이 제작한 대방광불화엄경을 새긴 3,175매의 목판이며, 대승불교의 대표적 경전으로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온돌로 보존된다. - 화엄경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은 당나라 징관과 송나라 정원의 화엄경 주해, 판본 특징, 묵서 해석, 역사적 가치, 그리고 송과 일본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자료를 포함하는 페이지입니다. - 불교중앙박물관 소장품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는 금제구층탑, 은제 도금 사리기, 청자유개호 등으로 구성되어 불교중앙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며 보존 및 역사 연구, 문화 교육 자료로 활용된다. - 불교중앙박물관 소장품 -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은 1612년 채하중과 그의 부인이 죽은 이를 기리기 위해 제작하여 봉은사에 봉안한 높이 27.6cm의 향완으로, 몸체와 받침에 은입사 기법으로 다양한 불교적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 고려의 책 -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로, 삼국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역사, 신화, 설화, 불교 관련 기록 등을 담고 있으며, 《삼국사기》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단군 신화, 향가, 불교 설화 등이 기록되어 국어 국문학 및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고려 후기 민족의 자주 의식을 고취하려는 일연의 역사관이 반영되어 있다. - 고려의 책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2. 지정 내역
개운사 복장전적은 총 21점으로,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진본, 주본, 정원본과 백지묵서보살본행경 권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적은 9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크기와 형태, 보존 상태 등이 다양하다.
순번 | 명칭 | 수량 | 연대 | 크기 (세로×가로cm) | 비고 |
---|---|---|---|---|---|
1 |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6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晋本 卷36) | 1점 | 11〜12세기 | 29.5×1,178 | 권미(卷尾)부분 결락. 25〜27행 17자. |
2 |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56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56) | 1점 | 11〜12세기 | 29.5×900 | 권수(卷首)부분 결락. 24〜27행 17자. |
3 |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4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24) | 1점 | 9세기 | 27.7×880 | 완본(完本). 27행 17자. |
4 |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6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26) | 1점 | 9〜10세기 | 28×720 | ‘지(地)’의 측천무후제자 사용. 24〜27행 17자. |
5 |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3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33) | 1점 | 11〜12세기 | 29.7×710 | 완본(完本). 26~28행 17자. |
6 |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9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39) | 1점 | 11〜12세기 | 28.5×1,115 | 완본(完本). 27~27행 17자. |
7 | 백지묵서보살본행경 권중 (白紙墨書菩薩本行經 卷中) | 1점 | 10세기 | 29×700 | 권수(卷首)부분 결실. 25행 17자. |
8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2) | 1점 | 11〜12세기 | 29.5×870 | 권수(卷首)결실. 26행 17자. |
9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3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33) | 1점 | 9〜10세기 | 27.5×900 | 완본(完本). 26행 17자. |
10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4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44) | 1점 | 9〜10세기 | 27.8×? | 26행 17자. |
11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8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48) | 1점 | 12〜13세기 | 30.7×860 | 권말(卷末)에 음의(音義)가 있음. 24행 17자. |
12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2) | 1점 | 11〜12세기 | 28.9×800 | 26행 17자. |
13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8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18) | 1점 | 11〜12세기 | 29×250 | 26행 17자. |
14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8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28) | 1장 | 11세기 | 29.2×59 | 낱장으로 된 변상도. |
15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5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35) | 1점 | 10〜11세기 | 30.7×860 | 26행 17자. |
16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9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49) | 1점 | 12〜13세기 | 30.6×460 | 권말(卷末)에 음의(音義)가 있음. 26행 17자. |
17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3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63) | 1점 | 9〜10세기 | 27.8×233 | 27행 16자, ‘국(國)’의 측천무후제자 사용. |
18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8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78) | 1점 | 9〜10세기 | 28.0×910 | 26행 17자. |
19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10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10) | 1점 | 12〜13세기 | 30×810 | 권말(卷末)에 음의(音義)가 있음. 24행 17자. |
20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16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16) | 1점 | 10〜11세기 | 27.5×700 | 완본(完本). 26행 17자. |
21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20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20) | 1점 | 11〜12세기 | 28.3×558.5 | 26행 17자. |
합계 | 21점 |
2. 1. 개요
2. 2. 상세 목록
(세로×가로cm)(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晋本 卷36)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56)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24)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26)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33)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39)
(白紙墨書菩薩本行經 卷中)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2)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33)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44)
(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48)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2)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18)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28)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35)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49)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63)
(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78)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10)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16)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