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는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이다. 청자유개호, 금제구층탑, 은제 도금 사리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제구층탑과 은제 도금 사리기는 청자유개호 안에 들어 있었다. 청자유개호는 높이 31.2cm의 청자로, 몸체에는 세로 골 장식이, 뚜껑에는 꽃 덩굴무늬가 새겨져 있다. 금제구층탑은 높이 12.9cm의 작은 탑으로,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각 층 모서리에는 사슬이, 꼭대기에는 덩굴무늬가 있다. 은제 도금 사리기는 높이 17.3cm로, 연꽃무늬 기단 위에 6각 몸체와 지붕을 얹은 형태이며, 내부에는 수정 사리병이 들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리장엄구 -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는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에서 발견된 은제도금여래입상, 사리합, 수정사리병, 금동방형향갑, 동경, 전신사리경, 수라향갑낭, 명주보자기 등으로 구성된 10세기 말~11세기경의 유물 일체이며, 특히 수정사리병과 전신사리경은 뇌봉사 팔각오층전탑 출토 유물과 유사한 구성을 보인다.
  • 사리장엄구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는 1965년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유물들로, 청동여래입상, 유리 사리병, 순금금강경판 등을 포함하며 백제에서 고려 시대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불교중앙박물관 소장품 -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은 1612년 채하중과 그의 부인이 죽은 이를 기리기 위해 제작하여 봉은사에 봉안한 높이 27.6cm의 향완으로, 몸체와 받침에 은입사 기법으로 다양한 불교적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 불교중앙박물관 소장품 - 안동 광흥사 동종
    안동 광흥사 동종은 16세기 조선 중기에 제작된 보물로, 4면에 보살입상이 새겨져 있으며, 한국 종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서울특별시의 보물 -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조선 중종 시대에 세워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는 묘비 훼손을 막기 위한 경계문이 한글로 새겨진 비석으로,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비석으로 평가받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보물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영문 이름Reliquaries from the Stupa of Sujongsa Temple, Namyangju
지정 종류보물
지정 번호259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소유자민봉삼
관리불교중앙박물관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 광교빌딩)

2. 발견 경위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가 발견되었으며, 당시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과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는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 안에 들어 있었다.[1]

3. 구성 및 특징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가 발견되었다. 금제구층탑과 은제 도금 사리기는 청자유개호 안에 들어 있었다.[1]

각 유물에 대한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물명간략한 설명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높이 31.2cm, 아가리 지름 26cm. 몸체는 녹청색, 뚜껑은 녹황색이다.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높이 12.9cm의 작은 탑.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높이 17.3cm. 수정으로 만든 사리병이 안에 들어 있다.


3. 1. 청자유개호 (靑磁有蓋壺)

靑磁有蓋壺중국어는 높이 31.2cm, 아가리 지름 26cm의 청자로, 몸체 전체에 세로로 골이 파진 듯한 장식이 있고, 뚜껑에는 아름다운 꽃 덩굴무늬가 전체적으로 새겨져 있다. 뚜껑의 가장 가운데에는 모란 꽃송이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청자호의 색깔은 몸체와 뚜껑의 색이 다른데, 몸체는 녹청색이고 뚜껑은 녹황색을 띠고 있다. 이러한 색깔의 차이는 제작 시기나 소성 환경의 차이를 짐작하게 한다.[1]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59-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3. 2. 금제구층탑 (金製九層塔)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은 높이 12.9cm의 작은 탑으로, 정사각형 평상 모양 기단 위에 세워져 있다. 1층 탑 몸체 한 면에는 꽃잎 모양 출입구 3개가 있고, 나머지 면에는 격자무늬 창문이 표현되어 있다. 2층 이상에는 정면에만 출입구가 하나씩 있다. 각 층 지붕 네 모서리에는 사슬을 꼬아 달았고, 탑 꼭대기에는 덩굴무늬 장식이 있다.

3. 3. 은제 도금 사리기 (銀製 鍍金 舍利器)

높이 17.3cm로, 연꽃무늬가 있는 기단 위에 연꽃 무늬와 칠보 무늬를 면마다 번갈아 뚫어 조각한 6각의 몸체 위에 6각의 지붕을 얹은 형태이다. 지붕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 위에 보주가 장식되어 있다. 이 은제 도금 사리기 안에는 수정으로 만들어진 공 모양의 사리병이 들어 있는데, 여기에 구멍을 뚫고 사리를 모셨다.[1]

4. 보관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는 불교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으며, 소재지는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견지동, 광교빌딩)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