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선농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선농단은 조선 시대 임금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선농제를 지내던 곳이다. 태조 때부터 시작되어 춘분과 추분에 선농제를 지냈으며, 가뭄 시에는 기우제를 올렸다. 선농제 후에는 왕이 직접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농사의 중요성을 알리는 친경 행사를 거행했는데, 이 행사는 순종 융희 4년까지 이어졌다. 현재는 제단과 문인상,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남아 있으며, 매년 곡우에 선농제 재현 행사가 열린다. 또한, 선농단의 역사와 의의를 전시하는 선농단역사문화관이 동대문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농업 - 산미증식계획
  • 한국의 농업 - 호미
    호미는 한국 농경 문화에서 사용된 농기구로, 쇠 날과 자루, 손잡이로 구성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현대 농기계 등장에도 밭농사 등에 널리 쓰이며 해외에서도 정원 가꾸기 도구로 인기를 얻고 있다.
  • 해제된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경교장
    경교장은 일제강점기 친일파 최창학이 지은 별장이었으나 김구에게 넘겨져 거처 및 대한민국 임시 정부 청사로 사용되었고, 김구 암살 이후 문화재로 지정되어 복원 및 재개관하여 역사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해제된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운현궁
    운현궁은 고종 즉위 후 흥선대원군이 집정하면서 정치 중심 역할을 한 곳으로, 궁궐과 유사한 격식과 규모를 갖추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축소되었고, 현재는 복원된 건물들을 중심으로 공개되어 왕실 결혼식 재현 행사가 열린다.
  • 서울 동대문구의 건축물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1947년 흥국 공업초급중학교로 설립되어, 1970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21년까지 총 30,202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학교이다.
  • 서울 동대문구의 건축물 - 동대문시장
    동대문시장은 1905년 광장주식회사 설립으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에는 배오개시장으로 불렸으며, 한국 전쟁 이후 상권이 확장되어 남대문시장과 함께 서울의 양대 시장으로 성장하여 의류, 직물, 잡화 등 다양한 상품을 도소매로 판매한다.
서울 선농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서울 선농단
로마자 표기Seoul Seonnongdan
유형사적, 유형문화재(해제)
지정 번호 (사적)436
지정 번호 (유형문화재)15 (해제)
지정일 (사적)2001년 12월 29일
지정일 (유형문화재)1972년 8월 30일
해제일 (유형문화재)2002년 3월 15일
주소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274-1번지
시대조선-대한제국
소유동대문구
면적3,933m2

2. 역사

태조 이래로 임금이 친히 이곳에서 춘분과 추분에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先農祭)를 지냈으며, 가뭄이 심할 때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3]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적전(籍田)에서 왕이 친히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농사일의 소중함을 알리고 권농에 힘썼다. 이때 농부들 중에서 고령다복한 사람을 뽑아 임금을 도와 같이 밭을 갈게 하였다. 이 '''친경'''(親耕) 행사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 융희 4년(1910년)까지 계속되었다.[3] 현재 선농단에는 가로 세로 4m의 제단과 문인상만 남아 있다.

선농단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크고 오래된 향나무가 있다.

선농단의 권역은 제기동역에서 선농단에 이르는 일대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경성여자사범학교가 이곳에 옮겨왔으며, 한국 전쟁 이후로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이 들어섰다.[4] 1975년 서울대학교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한 이후에는 제단과 향나무가 있는 일부 터만 남기고 주택가가 조성되었다.[4] 1973년 서울시 지방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에는 경내에 친경대가 남아 있다고 보도되었으나,[5] 현재는 그 위치를 찾을 수 없다.

2. 1. 조선시대

태조 이래로 임금이 친히 이곳에서 춘분과 추분에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先農祭)를 지냈으며, 가뭄이 심할 때는 기우제를 지냈다.[3] 선농제를 올린 뒤에는 선농단 동남쪽에 마련된 적전(籍田)에서 왕이 친히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농사일의 소중함을 알리고 권농에 힘썼다. 이때 농부들 중에서 고령다복한 사람을 뽑아 임금을 도와 같이 밭을 갈게 하였다. 이 친경(親耕) 행사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 융희 4년(1910년)까지 계속되었다.[3] 현재 선농단에는 가로 세로 4m의 제단과 문인상만 남아 있다.

2. 2.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서울 선농단의 권역은 제기동역에서 선농단에 이르는 일대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경성여자사범학교가 이곳에 옮겨왔으며, 한국 전쟁 이후로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이 들어섰다.[4] 1975년 서울대학교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한 이후에는 제단과 향나무가 있는 일부 터만 남기고 주택가가 조성되었다.[4] 1973년 서울시 지방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에는 경내에 친경대가 남아 있다고 보도되었으나,[5] 현재는 그 위치를 찾을 수 없다.

3. 선농제 재현 행사

매년 곡우가 되면 과거의 선농제가 재현된다. 선농제에서는 옛 복장을 갖춘 이들이 임금의 행차에서부터 제사까지의 과정을 재현하며, 선농단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는 설렁탕을 행사를 관람하는 이들에 제공한다.

조선 시대에 왕의 친경을 경축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로 1980년 제주에서 개최된 전국민속경연대회에 한양 풍물놀이가 출품되었다. 한양풍물놀이는 모심기·논매기소리, 아낙네호미춤, 곱사춤, 홍두깨춤, 무당춤, 대동풍물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선농제

매년 곡우가 되면 과거의 선농제가 재현된다. 선농제에서는 옛 복장을 갖춘 이들이 임금의 행차에서부터 제사까지의 과정을 재현하며, 선농단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는 설렁탕을 행사를 관람하는 이들에 제공한다.

조선 시대에 왕의 친경을 경축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로 1980년 제주에서 개최된 전국민속경연대회에 한양 풍물놀이가 출품되었다. 한양풍물놀이는 모심기·논매기소리, 아낙네호미춤, 곱사춤, 홍두깨춤, 무당춤, 대동풍물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2. 한양 풍물놀이

한양 풍물놀이는 조선 시대에 왕의 친경을 경축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로 1980년 제주에서 개최된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품되었다. 한양풍물놀이는 모심기·논매기소리, 아낙네호미춤, 곱사춤, 홍두깨춤, 무당춤, 대동풍물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6]

4. 선농단역사문화관

2015년 서울 동대문구에서 선농단의 역사와 의의를 전시하는 목적으로 선농단역사문화관을 개관하였으며 선농단 입구에 있다.

5. 천연기념물

5. 1. 서울 선농단 향나무

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문화재지정․해제 https://event.seoul.[...] 서울특별시장 2002-03-15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01-57호(문화재지정) http://gwanbo.mois.g[...] 문화재청 2001-12-29
[3] 서적 ‘詣東耤田親耕’ 1910-05-05
[4] 뉴스 浪漫 저무는 東崇洞50년 <完> 독특한 學風 자랑 경향신문 1975-01-30
[5] 뉴스 続 서울 文化財순례 (1) 先農壇 동아일보 1973-02-14
[6] 뉴스 「漢陽風物놀이」出品 市,전국 民俗경연대회에 경향신문 1980-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