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건축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 건축상은 서울시의 건축 발전을 장려하고 우수한 건축물을 발굴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등으로 구성되며, 매년 건축물의 창의성, 기능성, 공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상작을 선정한다. 역대 수상작들은 서울의 도시 경관을 대표하며, 한국 건축계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건축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수상 대상 | 건축 |
| 주최 | 서울특별시 |
| 장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연도 | 1979년 |
| 공식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2. 역사
서울특별시 건축상은 1979년에 제정되어 초기에는 공공건축물에 주로 시상되었으나, 점차 민간 건축물로 범위를 넓혀 다양한 건축 분야를 아우르게 되었다.
서울특별시 건축상은 건축의 공공적 가치를 구현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 우수한 건축물들을 발굴하여 서울의 건축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1979년에 제정되어 매년 시상되고 있다.
3. 시상 부문
서울특별시 건축상은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으로 나뉜다. 대상은 최고의 건축물에 수여되며, 최우수상은 대상에 버금가는 건축물, 우수상은 창의성, 기능성, 공공성 등이 우수한 건축물에 주어진다.
3. 1. 대상
| 연도 | 수상자 | 건축사사무소 | 건축명 |
|---|---|---|---|
| 2000 | 정승권 | 아르키움 | 어반하이브 |
| 2001 | 강기세 | AKDC(범,창조,희림) | ASEM 오피스타워 |
| 2002 | 류춘수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월드컵경기장 |
| 2003 | 한종률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시립미술관 |
| 2004 | 마리오 보타 | 창조 종합건축사사무소 | 교보생명 서초사옥 |
| 2005 | 박승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 |
| 2007 | 류재은 | 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 논현동 의화빌딩 |
| 2008 | 도미니크 페로, 심재호 |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복합단지 |
| 2009 | 김인철 | 건축사사무소 아르키움 | 어반하이브 |
| 2010 | 이필훈 |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타임스퀘어 |
| 2011 | 장기욱 | 보이드아키텍트 건축사사무소 | 서울대학교 사범교육 협력센터 |
| 2012 | 최문규 | 가아 건축사사무소 |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
| 2013 | 한종률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 2014 | 이소진 | 아뜰리에 리옹 서울 | 윤동주문학관 |
| 2015 | 정재헌 | 유림피엔씨 건축사사무소 | 도천라일락집 |
| 2016 | 최재원 | 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 구산동도서관마을 |
| 2017 | 장윤규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한내 지혜의 숲 |
| 2018 | 김찬중 |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 PLACE 1 |
| 2019 | 백상진 | 팀텐 건축사사무소 | 마포문화비축기지 |
| 2020 | 임재용 | 건축사사무소오씨에이 | 클리오 사옥 |
3. 2. 최우수상
최우수상은 서울특별시 건축상에서 대상에 버금가는 우수한 건축물에 수여되는 상이다. 매년 여러 작품이 선정되며, 건축물의 창의성, 기능성, 공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상작을 결정한다.| 연도 | 수상자 | 건축사사무소 | 건축명 |
|---|---|---|---|
| 2000년 | 서혜림 | 건축사사무소 힘마 | 서울특별시청 어린이집 |
| (해당 건축사사무소 정보 없음) | LG 강남 타워 및 아트센터 | ||
| 2001년 | 이강우 | Aoyama Studio | 서울대학교 스포츠 콤플렉스 |
| 이성관 | 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 | 거여지구 3단지 아파트 | |
| 2002년 | 정영균 | 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 | 한국산업은행 |
| 곽재환 | 맥건축 | 은평구립도서관 | |
| 2003년 | 이영희 | 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 | 마포 문화체육센터 |
| 이기범 | 신도시 종합건축사사무소 | 동부금융센터 | |
| 2004년 | 이종찬 | 원양 건축사사무소 | 공군회관 |
| 심성보 | 포스코에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포스틸타워 | |
| 2005년 | 박승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2) |
| 장 누벨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3) | |
| 2010년 | 이성관 | 건축사사무소한울건축 |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
| 2011년 | 정미 | 이온에스엘디 | 남산스테이트타워 |
| 신창훈 | 운생동 건축사사무소 | 옐로우 다이아몬드 | |
| 이두열 | 소리건축연구소 | 경희대학교 무용학부관 | |
| 2012년 | 전숙희 | WISE ARCHITECTURE |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
| 김용미 | 금성 종합건축사사무소 | 한성백제박물관 | |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도화공영주차장 및 복합청사 | |
| 김진구 |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최우수상 | |
| 2013년 | 이충기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시립대 선벽원 |
| 조정구 | 구가도시건축 | 진관사 역사관 | |
| 조남호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 방배동 집 | |
| 장윤규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성수문화복지회관 | |
| 2014년 | 조성기 김형종 | 건축사사무소 오퍼스 | 가회동 성당 |
| 정일교 | 건축사사무소 엠에이알유 | 아름지기 | |
| 김승희 |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 라파엘센터 | |
| 2015년 | 최문규 | 가아건축사사무소 | 현대카드 뮤직라이브러리 |
| 김동진 | 로디자인 | 논현 마트료시카 | |
| 전숙희 | 와이즈건축 | 어둠 속의 대화_북촌 | |
| 이민아 | 협동원 건축사사무소 | 서울강남지구 A4BL 공동주택 | |
| 2016년 | 인의식 | 종합건축사사무소연미건축 | 경농사옥 |
| 홍영애 | 건축사사무소moldproject | 불암골 행복발전소 | |
| 박인영 | 건축사사무소 에스에스에이아이 | 어쩌다가게@망원 | |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홍현:북촌마을 안내소 및 편의시설_북.촌.사.이 | |
| 2017년 | 김성우 |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 | 더북컴퍼니 사옥 |
| 이상대 | 스페이스연건축사사무소 | 논현동 d'A 프로젝트 | |
| 김범준 | TOPOS건축사사무소 | SOLO HOUSE | |
| 박도권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kt 광화문빌딩 East | |
| 2018년 | (해당 수상자 정보 없음)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코오롱 One&Only타워 |
| 김현준 | (해당 건축사사무소 정보 없음) | 은혜공동체 협동조합주택 | |
| 신창훈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수락행복발전소 | |
| 김재관 | 건축사사무소 무회건축 | 예진이네 집수리 | |
| 2019년 | 데이비드 치퍼필드 |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사사무소 | 아모레퍼시픽 본사사옥 |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서소문 역사공원 & 역사 박물관 | |
| 무목적 (無目的) | 건축사사무소 moldproject | 홍영애 | |
| 김시원 | 종합건축사사무소 시담 | KB청춘마루 | |
| 2020년 | 김희철 | 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 송파 책박물관 |
| 임진우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대서울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
| 강정은 | 건축사사무소에브리아키텍츠 | 중림창고 | |
| 박영서 | 건축사사무소에스오에이 | 통의동 브릭웰(BRICKWELL) | |
| 이현우 | 이집건축사사무소 | 공항고등학교 |
4. 역대 수상자
서울특별시 건축상은 서울특별시에서 주최하는 건축 분야 시상식으로, 매년 대상과 최우수상을 시상한다. 역대 수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연도 | 구분 | 수상자 | 건축사사무소 | 건축명 |
|---|---|---|---|---|
| 2000 | 대상 | 정승권 | 아르키움 | 어반하이브 |
| 2000 | 최우수상 | 서혜림 | 건축사사무소 힘마 | 서울시청 어린이집 |
|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 LG강남타워 및 아트센터 | |||
| 2001 | 대상 | 강기세 | AKDC(범,창조,희림) | ASEM 오피스타워 |
| 2001 | 최우수상 | 이강우 | Aoyama Studio | 서울대학교 스포츠 콤플렉스 |
| 이성관 | 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 | 거여지구 3단지 아파트 | ||
| 2002 | 대상 | 류춘수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월드컵경기장 |
| 2002 | 최우수상 | 정영균 | 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 | 한국산업은행 |
| 곽재환 | 맥건축 | 은평구립도서관 | ||
| 2003 | 대상 | 한종률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시립미술관 |
| 2003 | 최우수상 | 이영희 | 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 | 마포 문화체육센터 |
| 이기범 | 신도시 종합건축사사무소 | 동부금융센터 | ||
| 2004 | 대상 | 마리오 보타 | 창조 종합건축사사무소 | 교보생명 서초사옥 |
| 2004 | 최우수상 | 이종찬 | 원양 건축사사무소 | 공군회관 |
| 심성보 | 포스코에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포스틸타워 | ||
| 2005 | 대상 | 박승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 |
| 2005 | 최우수상 | 박승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2) |
| 장 누벨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3) | ||
| 2007 | 대상 | 류재은 | 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 논현동 의화빌딩 |
| 2008 | 대상 | 도미니크 페로, 심재호 |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복합단지 |
| 2009 | 대상 | 김인철 | 건축사사무소 아르키움 | 어반하이브 |
| 2010 | 대상 | 이필훈 |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타임스퀘어 |
| 2010 | 최우수상 | 이성관 | 건축사사무소한울건축 |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
| 2011 | 대상 | 장기욱 | 보이드아키텍트 건축사사무소 | 서울대학교 사범교육 협력센터 |
| 2011 | 최우수상 | 정미 | 이온에스엘디 | 남산스테이트타워 |
| 신창훈 | 운생동 건축사사무소 | 옐로우 다이아몬드 | ||
| 이두열 | 소리건축연구소 | 경희대학교 무용학부관 | ||
| 2012 | 대상 | 최문규 | 가아 건축사사무소 |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
| 2012 | 최우수상 | 전숙희 | WISE ARCHITECTURE |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
| 김용미 | 금성 종합건축사사무소 | 한성백제박물관 | ||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도화공영주차장 및 복합청사 | ||
| 김진구 |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최우수상 | ||
| 2013 | 대상 | 한종률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 2013 | 최우수상 | 이충기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선벽원 |
| 조정구 | 구가도시건축 | 진관사 역사관 | ||
| 조남호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 방배동 집 | ||
| 장윤규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성수문화복지회관 | ||
| 2014 | 대상 | 이소진 | 아뜰리에 리옹 서울 | 윤동주문학관 |
| 2014 | 최우수상 | 조성기, 김형종 | 건축사사무소 오퍼스 | 가회동성당 |
| 정일교 | 건축사사무소 엠에이알유 | 아름지기 | ||
| 김승희 |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 라파엘센터 | ||
| 2015 | 대상 | 정재헌 | 유림피엔씨 건축사사무소 | 도천라일락집 |
| 2015 | 최우수상 | 최문규 | 가아건축사사무소 | 현대카드 뮤직라이브러리 |
| 김동진 | 로디자인 | 논현 마트료시카 | ||
| 전숙희 | 와이즈건축 | 어둠 속의 대화_북촌 | ||
| 이민아 | 협동원 건축사사무소 | 서울강남지구 A4BL 공동주택 | ||
| 2016 | 대상 | 최재원 | 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 구산동도서관마을 |
| 2016 | 최우수상 | 인의식 | 종합건축사사무소연미건축 | 경농사옥 |
| 홍영애 | 건축사사무소moldproject | 불암골 행복발전소 | ||
| 박인영 | 건축사사무소 에스에스에이아이 | 어쩌다가게@망원 | ||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홍현:북촌마을 안내소 및 편의시설_북.촌.사.이 | ||
| 2017 | 대상 | 장윤규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한내 지혜의 숲 |
| 2017 | 최우수상 | 김성우 |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 | 더북컴퍼니 사옥 |
| 이상대 | 스페이스연건축사사무소 | 논현동 d'A 프로젝트 | ||
| 김범준 | TOPOS건축사사무소 | SOLO HOUSE | ||
| 박도권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KT 광화문빌딩 East | ||
| 2018 | 대상 | 김찬중 |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 PLACE 1 |
| 2018 | 최우수상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코오롱 One&Only타워 | |
| 김현준 | 은혜공동체 협동조합주택 | |||
| 신창훈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수락행복발전소 | ||
| 김재관 | 건축사사무소 무회건축 | 예진이네 집수리 | ||
| 2019 | 대상 | 백상진 | 팀텐 건축사사무소 | 마포문화비축기지 |
| 2019 | 최우수상 | 데이비드 치퍼필드 |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사사무소 | 아모레퍼시픽 본사사옥 |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서소문 역사공원 & 역사 박물관 | ||
| 무목적 (無目的) | 건축사사무소 moldproject | 홍영애 | ||
| 김시원 | 종합건축사무소 시담 | KB청춘마루 | ||
| 2020 | 대상 | 임재용 | 건축사사무소오씨에이 | 클리오 사옥 |
| 2020 | 최우수상 | 김희철 | 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 송파 책박물관 |
| 임진우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이대서울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
| 강정은 | 건축사사무소에브리아키텍츠 | 중림창고 | ||
| 박영서 | 건축사사무소에스오에이 | 통의동 브릭웰(BRICKWELL) | ||
| 이현우 | 이집건축사사무소 | 공항고등학교 |
4. 1. 대상 수상자
| 대상 | |||
|---|---|---|---|
| 연도 | 수상자 | 건축사사무소 | 건축명 |
| 2000 | 정승권 | 아르키움 | 어반하이브 |
| 2001 | 강기세 | AKDC(범,창조,희림) | ASEM 오피스타워 |
| 2002 | 류춘수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월드컵경기장 |
| 2003 | 한종률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시립미술관 |
| 2004 | 마리오 보타 | 창조 종합건축사사무소 | 교보생명 서초사옥 |
| 2005 | 박승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 |
| 2007 | 류재은 | 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 논현동 의화빌딩 |
| 2008 | 도미니크 페로, 심재호 |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복합단지 |
| 2009 | 김인철 | 건축사사무소 아르키움 | 어반하이브 |
| 2010 | 이필훈 |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타임스퀘어 |
| 2011 | 장기욱 | 보이드아키텍트 건축사사무소 | 서울대학교 사범교육 협력센터 |
| 2012 | 최문규 | 가아 건축사사무소 |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
| 2013 | 한종률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 2014 | 이소진 | 아뜰리에 리옹 서울 | 윤동주문학관 |
| 2015 | 정재헌 | 유림피엔씨 건축사사무소 | 도천라일락집 |
| 2016 | 최재원 | 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 구산동도서관마을 |
| 2017 | 장윤규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한내 지혜의 숲 |
| 2018 | 김찬중 |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 PLACE 1 |
| 2019 | 백상진 | 팀텐 건축사사무소 | 마포문화비축기지 |
| 2020 | 임재용 | 건축사사무소오씨에이 | 클리오 사옥 |
4. 2. 최우수상 수상자
최우수상 수상자들 역시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 건축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도 | 수상자 | 건축사사무소 | 건축명 |
|---|---|---|---|
| 2000 | 서혜림 | 건축사사무소 힘마 | 서울시청 어린이집 |
| 2000 |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 LG강남타워 및 아트센터 | |
| 2001 | 이강우 | Aoyama Studio | 서울대학교 스포츠 콤플렉스 |
| 2001 | 이성관 | 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 | 거여지구 3단지 아파트 |
| 2002 | 정영균 | 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 | 한국산업은행 |
| 2002 | 곽재환 | 맥건축 | 은평구립도서관 |
| 2003 | 이영희 | 희림 종합건축사사무소 | 마포 문화체육센터 |
| 2003 | 이기범 | 신도시 종합건축사사무소 | 동부금융센터 |
| 2004 | 이종찬 | 원양 건축사사무소 | 공군회관 |
| 2004 | 심성보 | 포스코에이앤씨 건축사사무소 | 포스틸타워 |
| 2005 | 박승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2) |
| 2005 | 장 누벨 | 삼우 종합건축사사무소 | 삼성미술관 리움(3) |
| 2010 | 이성관 | 건축사사무소한울건축 |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
| 2011 | 정미 | 이온에스엘디 | 남산스테이트타워 |
| 2011 | 신창훈 | 운생동 건축사사무소 | 옐로우 다이아몬드 |
| 2011 | 이두열 | 소리건축연구소 | 경희대학교 무용학부관 |
| 2012 | 전숙희 | WISE ARCHITECTURE |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
| 2012 | 김용미 | 금성 종합건축사사무소 | 한성백제박물관 |
| 2012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도화공영주차장 및 복합청사 |
| 2012 | 김진구 | 정림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최우수상 |
| 2013 | 이충기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선벽원 |
| 2013 | 조정구 | 구가도시건축 | 진관사 역사관 |
| 2013 | 조남호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 방배동 집 |
| 2013 | 장윤규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성수문화복지회관 |
| 2014 | 조성기, 김형종 | 건축사사무소 오퍼스 | 가회동성당 |
| 2014 | 정일교 | 건축사사무소 엠에이알유 | 아름지기 |
| 2014 | 김승희 |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 라파엘센터 |
| 2015 | 최문규 | 가아건축사사무소 | 현대카드 뮤직라이브러리 |
| 2015 | 김동진 | 로디자인 | 논현 마트료시카 |
| 2015 | 전숙희 | 와이즈건축 | 어둠 속의 대화_북촌 |
| 2015 | 이민아 | 협동원 건축사사무소 | 서울강남지구 A4BL 공동주택 |
| 2016 | 인의식 | 종합건축사사무소연미건축 | 경농사옥 |
| 2016 | 홍영애 | 건축사사무소moldproject | 불암골 행복발전소 |
| 2016 | 박인영 | 건축사사무소 에스에스에이아이 | 어쩌다가게@망원 |
| 2016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홍현:북촌마을 안내소 및 편의시설_북.촌.사.이 |
| 2017 | 김성우 |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 | 더북컴퍼니 사옥 |
| 2017 | 이상대 | 스페이스연건축사사무소 | 논현동 d'A 프로젝트 |
| 2017 | 김범준 | TOPOS건축사사무소 | SOLO HOUSE |
| 2017 | 박도권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KT 광화문빌딩 East |
| 2018 |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코오롱 One&Only타워 | |
| 2018 | 김현준 | 은혜공동체 협동조합주택 | |
| 2018 | 신창훈 | 운생동건축사사무소 | 수락행복발전소 |
| 2018 | 김재관 | 건축사사무소 무회건축 | 예진이네 집수리 |
| 2019 | 데이비드 치퍼필드 |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사사무소 | 아모레퍼시픽 본사사옥 |
| 2019 | 윤승현 | 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서소문 역사공원 & 역사 박물관 |
| 2019 | 무목적 (無目的) | 건축사사무소 moldproject | 홍영애 |
| 2019 | KB청춘마루 | 종합건축사사무소 시담 | 김시원 |
| 2020 | 김희철 | 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 송파 책박물관 |
| 2020 | 임진우 |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이대서울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
| 2020 | 강정은 | 건축사사무소에브리아키텍츠 | 중림창고 |
| 2020 | 박영서 | 건축사사무소에스오에이 | 통의동 브릭웰(BRICKWELL) |
| 2020 | 이현우 | 이집건축사사무소 | 공항고등학교 |
5. 의의와 영향
서울특별시 건축상은 건축가들에게 창작 의욕을 높이고, 시민들에게는 우수한 건축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서울의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건축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