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강은 제나라 희공의 딸로, 위나라 선공의 첩이 되었다. 태자급의 아내가 될 예정이었으나, 선공이 선강을 아내로 삼고 두 아들을 낳았다. 이후 선강은 아들 삭과 공모하여 태자급을 죽게 하고, 선공 사후 혜공이 어리자 공자 완과 재혼하여 여러 자녀를 낳았다. 그녀는 권력욕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딸 허목공부인은 열녀로 칭송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작부인 - 남자 (여자)
    위나라 영공의 부인이자 춘추 시대 여성 정치인인 난지는 영공의 총애를 받으며 국정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공자와의 만남으로도 알려져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뤄진다.
  • 중국의 황녀 - 효평황후
    효평황후는 전한 평제의 황후이자 왕망의 딸로, 정략결혼 후 왕망의 찬탈로 인해 격하되었으나 신나라 멸망 후 전한에 대한 충절을 지키고자 자결하여 후대에 열녀로 평가받았다.
  • 중국의 왕족 - 하희
    하희는 춘추 시대 정나라 목공의 딸로, 뛰어난 미모 덕분에 여러 권력자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파란만장한 삶을 산 여성이며, 진(陳)나라 하어숙에게 시집간 후 여러 스캔들과 초나라로 끌려가는 등 드라마틱한 생애를 보내 팜므파탈 또는 시대의 희생자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왕족 - 전국사군자
    전국사군은 중국 전국 시대의 맹상군, 평원군, 신릉군, 춘신군 네 명의 뛰어난 인물들을 지칭하며, 이들은 뛰어난 식견과 리더십으로 각 국가의 정치, 외교, 군사 분야에서 활약하며 전국 시대의 흐름에 영향을 미쳤다.
선강
기본 정보
작위위의 공작부인
출신 국가
개인 정보
성씨강씨 여씨
아버지희공
가족 관계
배우자선공, 소백
자녀공자 수
혜공
제자
대공
문공
송 환공 부인
허 목공 부인

2. 생애

정확하지는 않지만, 제나라 희공의 딸로 여겨진다.[1]

위나라 선공의 태자인 태자급의 아내가 되기 위해 위나라로 보내졌다. 그러나 선강이 너무 아름다웠기 때문에, 위나라 선공이 그녀를 마음에 들어 하여 자신의 아내로 삼고 그 사이에서 수(壽)와 삭(朔) 두 아들을 낳았다. 이로 인해 선공의 전처였던 이강은 자살하고, 그의 아들인 태자급은 차츰 걸림돌이 되어 갔다.

선강은 아들 공자 삭과 공모하여 태자급에게 엉뚱한 혐의를 씌워 선공에게 참소했다. 선공 또한 태자급으로부터 여자를 빼앗았다는 점 때문에 폐태자를 하고 싶었기에, 태자급을 제나라에 사신으로 보낸 틈을 타 도적에게 죽이기로 했다.

선강의 장남인 공자 수는 이 사실을 태자급에게 몰래 알리고 나라를 떠날 것을 권했다. 그러나 태자급이 이를 거절했기에, 공자 수는 태자급이 떠나기 전에 술을 먹여두고 자신이 태자급을 대신하기 위해 흰 기(白旄)를 들고 위나라 국경인 신(莘)으로 향했다. 도적은 흰 기를 보고 태자급이라고 생각하여 공자 수를 죽였다. 늦게 도착한 태자급은 "너희들이 노리는 것은 바로 나다"라고 말하며, 그 또한 도적에게 죽임을 당했다.

이로써 걸림돌인 태자급을 제거한 선강은 선공의 정실 부인이 되었고, 차남인 공자 삭을 태자로 세웠다. 이듬해 (기원전 700년), 선공이 훙거했으므로, 태자 삭이 그대로 위나라 임금(혜공)으로 즉위했다. 혜공이 아직 어렸기 때문에, 위나라 사람들은 그의 서형인 공자 완(소백)에게 선강과 재혼하게 했고, 그 사이에서 제자, 공손신, 대공, 문공, 송나라 환공 부인, 허의 목공부인을 낳았다.

2. 1. 위나라로 시집오기 전

정확한 출생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제나라 희공의 딸로 여겨진다.[1]

2. 2. 위나라 선공과의 관계

위나라 선공의 태자인 태자급의 아내가 되기 위해 위나라로 보내졌다. 그러나 선강이 너무 아름다웠기 때문에, 위나라 선공이 그녀를 마음에 들어 하여 자신의 아내로 삼고 그 사이에서 수(壽)와 삭(朔) 두 아들을 낳았다. 이로 인해 선공의 전처였던 이강은 자살하고, 그의 아들인 태자급은 차츰 걸림돌이 되어 갔다.

선강은 아들 공자 삭과 공모하여 태자급에게 엉뚱한 혐의를 씌워 선공에게 참소했다. 선공 또한 태자급으로부터 여자를 빼앗았다는 점 때문에 폐태자를 하고 싶었기에, 태자급을 제나라에 사신으로 보낸 틈을 타 도적에게 죽이기로 했다.

선강의 장남인 공자 수는 이 사실을 태자급에게 몰래 알리고 나라를 떠날 것을 권했다. 그러나 태자급이 이를 거절했기에, 공자 수는 태자급이 떠나기 전에 술을 먹여두고 자신이 태자급을 대신하기 위해 흰 기(白旄)를 들고 신(莘) (위나라의 국경)으로 향했다. 도적은 흰 기를 보고 태자급이라고 생각하여 공자 수를 죽였다. 늦게 도착한 태자급은 "너희들이 노리는 것은 바로 나다"라고 말하며, 그 또한 도적에게 죽임을 당했다.

이로써 걸림돌인 태자급을 제거한 선강은 선공의 정실 부인이 되었고, 차남인 공자 삭을 태자로 세웠다. 이듬해 (기원전 700년), 선공이 훙거했으므로, 태자 삭이 그대로 위군(衛君) (혜공)으로 즉위했다.

2. 3. 위나라 혜공 즉위 후

선공이 죽은 후, 아들 삭이 혜공으로 즉위하였다. 선강은 혜공의 서형인 소백(공자 완)과 재혼하여 제자, 공손신, 대공, 문공, 송나라 환공 부인, 허의 목공부인을 낳았다.[1]

3. 자녀

위 소백과의 사이에서 둔 딸 허목공부인은 열녀로 절개의 상징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이는 그의 모후 선강과는 대조적이다.

3. 1. 선공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

3. 2. 소백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


  • 제자
  • 대공 (신) … 제20대 위나라 군주
  • 문공 (훼) … 제21대 위나라 군주
  • 송 환공 부인 … 송나라 환공의 부인
  • 허목공 부인 … 허나라 목공의 부인

4. 평가

선강은 열녀전에 "음험하고 타락한 여성"으로 묘사되었으나,[1] 딸 허목공부인은 열녀이자 절개의 상징으로 여겨져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1]

4. 1. 부정적 평가

열녀전에는 "음험하고 타락한 여성"으로 기록되었다.[1] 권력욕에 눈이 멀어 패륜을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

4. 2. 상반된 평가

위 소백과의 사이에서 둔 둘째 딸 허목공부인은 열녀이자 절개의 상징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이는 그의 모후 선강공주와는 대조적이다.[1]

5. 기타

위 소백의 둘째 딸 허목공부인은 열녀로 절개의 상징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이는 그의 어머니 선강공주과는 대조적이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 - 618 C.E. Google Books 2007
[2] 서적 Overt and Covert Treasures: Essays on the Sources for Chinese Women's History https://books.googl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