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녀와 나무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녀와 나무꾼은 나무꾼이 선녀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지만, 선녀가 하늘로 돌아가고, 나무꾼이 선녀를 찾아 하늘로 올라갔다가 다시 땅으로 내려와 수탉이 된다는 내용의 한국 설화이다. 이 이야기는 아르네-톰슨-우더 지수 ATU 400 유형, 즉 "잃어버린 아내를 찾아 떠나는 남자"에 해당하며,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한국 전역에서 25개 이상의 변형 이야기가 기록되었으며, 나무꾼이 하늘로 가는 여부, 선녀 아내의 결정 등 여러 기준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개옷 설화 - 브륀힐드의 저승 가는 길
    브륀힐드의 저승 가는 길은 《고 에다》에 수록된 영웅시로, 발키리 브륀힐드가 시구르드의 죽음 후 사후 세계로 가는 여정에서 거인 여인을 만나 자신의 삶, 오딘과의 갈등, 시구르드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회상하며 영원히 함께할 것을 맹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날개옷 설화 - 백조 기사
    백조 기사는 중세 시대 전설로, 백조의 모습을 한 기사나 백조와 관련된 기사가 등장하는 이야기들을 통칭하며, 순수, 고귀함, 초자연적인 힘을 상징하는 백조 이미지와 결합되어 정의로운 기사, 구원자, 신성한 존재로 묘사된다.
  • 한국의 민담 - 흥부전
    흥부전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로, 착한 흥부와 심술궂은 놀부 형제를 통해 권선징악과 형제애를 나타내면서 조선 후기 사회상과 계층 갈등을 반영하는 판소리계 소설이자 모방담 설화이다.
  • 한국의 민담 - 아기장수 우투리
    아기장수 우투리는 한국 전래 설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산의 정기를 받아 태어난 비범한 아이가 역모를 일으킬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죽임을 당하거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는다는 공통된 줄거리를 가진다.
선녀와 나무꾼
개요
유형전래 설화
지역한국
관련 문화한국 문화
주제사랑
천상병
인간
만남
이별
유사한 이야기백조 처녀
선녀의 옷
줄거리
주요 내용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와 나무꾼의 사랑, 그리고 이별에 대한 이야기
등장인물
주요 인물선녀
나무꾼
사슴
주제 및 해석
주제인간과 초자연적인 존재 간의 사랑과 이별
고향에 대한 그리움
변형 및 파생 작품
관련 작품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됨
북한 버전북한에서는 결말이 다르게 각색된 버전이 존재함
분석
철학적 의미선녀와 나무꾼은 세계 각국의 신화 또는 전래 설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야기 구조를 지니고 있음

2. 다른 이름

이 이야기는 "선녀와 나무꾼"(仙女와 나무꾼, Seonnyeowa namukkun한국어) 또는 "나무꾼과 선녀"(Namukkungwa seonnyeo한국어)라고도 불린다.[5][6][7][8]

3. 줄거리

금강산 기슭에서 나무를 하며 생계를 유지하던 젊은 미혼 남자가 있었다. 어느 날, 나무꾼은 사슴을 도와주었고, 사슴은 그 대가로 선녀와 결혼하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나무꾼은 사슴의 조언에 따라 선녀 중 한 명의 옷을 숨겨 아내로 맞이했다. 선녀는 아이를 낳고 함께 살았지만, 결국 옷을 되찾아 아이들과 함께 하늘로 돌아갔다.[9][10][11]

나무꾼은 사슴의 도움으로 하늘로 올라가 가족과 재회했지만, 어머니를 그리워하다 실수로 지상에 남겨졌다. 그는 수탉으로 변했는데, 이것은 수탉이 아침에 울 때 가장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이유를 설명한다.[9][10][11]

4. 분석

이 설화는 여러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야기 전개에 따라 네 가지 유형의 서사를 구분한다. 또한, 선녀 아내의 운명이나 결정에 초점을 맞춘 분류도 존재한다.

4. 1. 유형

이 이야기는 국제적인 아르네-톰슨-우더 지수에서 ATU 400 유형, "잃어버린 아내를 찾아 떠나는 남자"로 분류된다.[12] 즉, 주인공이 초자연적인 기원을 가진 처녀(선녀)를 찾거나, 마법에 걸린 공주를 구출하는 내용으로, 어떤 경우든 주인공은 그녀와 결혼하지만, 그녀는 다른 곳으로 사라지고, 주인공은 그녀를 찾아 긴 여정을 떠난다.[12]

4. 2. 변형

학계에서는 이야기 전개에 따라 네 가지 유형의 서사를 구분한다. (1) 선녀가 도망쳐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우, (2) 나무꾼이 덩굴이나 다른 종류의 사다리를 통해 천상계에 도달하는 경우, (3) 나무꾼이 천상계에 도달하여 아내의 가족을 위해 일을 해야 하는 경우, (4) 나무꾼이 어머니를 그리워하여 다시 지상으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세 번째 서사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수집된 이야기 유형으로 여겨진다.[13][14] 네 번째 유형(남편이 어머니에게 돌아오는 경우)에서, 인간인 남편은 수탉으로 변하는데, 이는 "한국에서만 발견되는" 시퀀스이다.[15]

로스 킹(Ross King)에 따르면, 최씨와 김씨는 이 이야기를 세 가지 버전으로 나누었다. (1) 나무꾼이 하늘로 가는 여정이 없는 이야기, (2) 나무꾼이 아내를 따라 천상계로 가서 천상의 신을 위해 일을 해야 하는 이야기, (3) 나무꾼이 땅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보여주는 경우.[8]

또 다른 분류는 선녀 아내의 운명 또는 결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녀는 영원히 땅에 갇히게 된다. 그녀는 날개옷을 찾아 하늘로 돌아간다. 그녀는 여전히 날개옷을 찾지만, 자녀를 위해 머물기로 결정한다.[16]

5. 지역별 설화

제임스 H. 그레이슨에 따르면,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는 한국에서 흔히 발견되며, 한반도 전역에서 최소 25개의 변형 이야기가 기록되었다.[17][18] 일부 학자들은 한국의 선녀 이야기가 일본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9]
금강산 버전: 나무꾼은 강원도 금강산 기슭에서 사슴을 도와주고, 선녀의 옷을 훔쳐 결혼한다. 셋째 아이 출산 후, 선녀는 아이들과 하늘로 돌아간다. 나무꾼은 사슴의 도움으로 하늘에 올라가지만, 어머니를 그리워하다 실수로 지상에 남겨진다. 이 버전은 400형으로 분류되며, "사슴과 나무꾼"으로도 알려져 있다.[20][21][22]

정인섭(Jeong In-Seop)이 출판한 버전에서는, 젊은 나무꾼이 금강산 기슭에서 사슴을 구해준다. 사슴은 나무꾼에게 선녀들이 목욕하는 연못을 알려주고, 옷을 훔쳐 아내로 삼으라고 조언한다. 나무꾼은 막내 선녀의 옷을 훔쳐 결혼하고, 세 아이를 낳는다. 선녀는 옷을 되찾아 아이들과 하늘로 돌아가고, 나무꾼은 사슴의 도움으로 하늘에 올라가 가족과 재회하지만, 어머니를 그리워하다 지상에 남겨져 수탉이 된다.[9][10][11]
엘리노어 마이어스 주엣의 "다른 세계에서 온 아내": 창평이라는 청년이 수사슴을 도와주고, 선녀의 날개를 훔쳐 결혼한다. 세 아이를 낳은 후, 선녀는 날개를 되찾아 아이들과 다른 세계로 돌아간다. 창평은 수사슴의 도움으로 하늘로 올라가 가족과 재회한다.[23]

참조

[1] 서적 The Folk Treasury of Korea: Sources in Myth, Legend and Folktale 1970
[2] 서적 Myths and legends from Korea: an annotated compendium of ancient and modern materials Curzon Press 2001
[3] 서적 A guide to Korean literature Hollym International Corp. 1983
[4] 서적 The Philosophical Power of Fairy Tales from Around the World Palgrave Macmillan 2024
[5] 서적 The Folk Treasury of Korea: Sources in Myth, Legend and Folktale 1970
[6] 서적 American Myths, Legends, and Tall Tales: An Encyclopedia of American Folklore ABC-CLIO 2016
[7]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Vol. III 길잡이미디어 2014
[8] 간행물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and Contemporary Korean Fiction: A Case Study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2005
[9] 서적 Folk tales from Korea Hollym International Corp. 1982
[10] 서적 The Philosophical Power of Fairy Tales from Around the World Palgrave Macmillan 2024
[11] 서적 Korean Folk & Fairy Tales Hollym 1991
[12] 서적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73
[13] 간행물 Problems and Prospects for Comparative Scholarship on the 'Swan-Maiden' Tales of Korea and Japan 2007-12
[14] 서적 The Philosophical Power of Fairy Tales from Around the World Palgrave Macmillan 2024
[15] 서적 The Philosophical Power of Fairy Tales from Around the World Palgrave Macmillan 2024
[16] 간행물 일본의 〈천인각시天人女房〉담의 「지상체재형」「천인승천형」에 관한 고찰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와의 비교를 통하여- 2018-09
[17] 서적 Myths and legends from Korea: an annotated compendium of ancient and modern materials Curzon Press 2001
[18] 서적 The East Asian story finder: a guide to 468 tales from China, Japan and Korea, listing subjects and sources McFarland 2009
[19] 서적 The Folk Treasury of Korea: Sources in Myth, Legend and Folktale 1970
[20] 서적 Korean Folk-tal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1] 간행물 'Korean Folk-tales. By James Riordan. Oxford Myths and Legen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33 pp. $10.95 (paper)' 1995-08
[22] 서적 The story bag; a collection of Korean folk tales Tuttle 1955
[23] 서적 Which was witch?: tales of ghosts and magic from Korea Viking 1959
[24] 뉴스 김제문화예술회관, 모악정서 – 선녀와 나무꾼 공연 개최 http://www.jeonmin.c[...] 전민일보 2019-04-15
[25] 뉴스 선녀와 나무꾼 북한 버전... 엇, 결말이 왜 이렇지?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2018-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