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구는 성대의 진동 패턴에 따라 발생하는 음성 레지스터를 의미하며, 언어 병리학자와 성악 교육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보컬 프라이, 모달 보이스, 가성, 휘슬 레지스터의 네 가지로 구분하며, 성악 교육에서는 남성은 흉성, 두성, 가성, 여성은 흉성, 중성, 두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레지스터의 정의와 개수에 대한 논쟁은 성악가, 음악가, 음성학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1성구, 2성구, 3성구, 4성구, 5성구, 무수 성구 등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성구 전환 시 음색 변화가 생기는 현상을 브레이크라고 하며, 성구 융합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 한국의 성악에서도 흉성, 두성, 가성을 중심으로 발성 훈련이 이루어지며, 전통 성악과 서양 음악의 레지스터 개념이 융합되어 연구되고 있다. 파이프 오르간에서는 파이프의 종류와 조합에 따라 음색을 조절하는 것을 레지스터라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창 - 보컬
    보컬은 대중음악에서 노래를 담당하며 멜로디와 가사를 전달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록 밴드나 음악 유닛에서 필수적인 존재이다.
  • 가창 - 크루너
    크루너는 라디오 방송과 전기 녹음 기술 발전에 힘입어 등장한 부드럽고 섬세한 창법의 대중가수를 일컫는 용어이다.
  • 성악 - 카운터테너
    카운터테너는 변성기 이후 훈련된 가성이나 두성으로 높은 음역을 구사하는 남성 성악가이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부흥기를 맞았고, 다양한 시대의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에서 역할을 수행한다.
  • 성악 - 칸타타
    칸타타는 가사에 따라 세속 칸타타와 교회 칸타타로 나뉘며, 오페라, 오라토리오와 유사한 형식을 갖는 음악 형식이다.
  • 오페라 용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오페라 용어 - 비브라토
    비브라토는 음악에서 음높이를 주기적으로 미세하게 흔들어 음색에 생동감과 따뜻함을 더하는 기법으로, 19세기 이후 서양 음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다양한 악기와 장르에서 활용된다.
성구
개요
정의특정 음역대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진동하는 성대의 일련의 음조 주파수, 음색 및 볼륨
설명음성에서 다양한 "소리" 또는 "음색"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성대 구성
특징음높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후두 기능의 변화
음역특정 목소리 유형이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음조 범위
성구 종류
일반적인 성구가성
모달 음역
보컬 프라이
휘슬 음역
성구 시스템성구는 단절적이 아닌 연속체로 간주될 수 있음
역사
초기 이론13세기 유럽의 성악 교사들은 성역이 남성 목소리에 세 개, 여성 목소리에 두 개 있다고 주장
현대 연구20세기 들어서야 성구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얻기 위한 과학적 연구가 시작됨
생리학적 측면
후두 기능성구는 성대 길이, 긴장, 두께 및 닫힘 정도의 변화를 반영
음향적 측면
음색 및 음량각 성구는 특정한 음색과 음량을 가지며, 이는 성대 진동 방식에 따라 결정됨
성악 교육
성구 조절성악가는 훈련을 통해 성구를 조절하고 부드럽게 전환하여 다양한 음색과 표현을 만들어낼 수 있음
참고 문헌

2. 레지스터의 정의 및 종류

음성 레지스터는 성대의 서로 다른 진동 패턴에서 발생하며, 언어 병리학자와 일부 성악 교육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성대는 적어도 네 가지 뚜렷한 진동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9] 각 진동 형태는 고유한 음고 범위와 특징적인 소리를 갖는다.

가창 및 그 훈련에서, 주로 발성자의 체감, 여러 기관의 작동 방식의 차이로 소리를 구분할 때, 일련의 소리 시리즈를 성구(레지스타)라고 부르며, 음색으로 구분하는 "성종"[18]과는 구별된다. 성구와 성종[18]의 차이는 간단히 말해 발성 기구가 성구이고, 음색(스펙트럼이나 소나그램에 나타나는)이 성종이다. 다만, 발성 기구와 음색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어 성종과 성구를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다.

미국의 대중음악에서는 라이트 보이스와 헤비 보이스 두 가지 "성종"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으며, "성구"라는 말은 불필요하다고 지도하는 사람이 많다. 이는 미국인 대다수가 변성점이 눈에 띄지 않는 발성을 하기 때문에 "성구"를 체감하기 어려운 것이 영향을 미친다. 반면 일본인, 특히 남성의 다수는 변성점이 매우 눈에 띄는 발성을 하여, 오히려 "성종"을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일본 여성에게는 (미국인의 다수와 마찬가지로) "성구"를 모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2. 1. 성대의 진동 패턴

성대는 최소 네 가지 이상의 뚜렷한 진동 형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진동 형태는 고유한 음고 범위와 특징적인 소리를 갖는다. 이러한 진동 형태는 다음과 같다.[9]

  • '''모달 보이스''' (자연적인 또는 정상적인 목소리): 성대의 자연적인 성향이나 작용 방식을 나타낸다.
  • '''보컬 프라이''': 가장 낮은 레지스터이다.
  • '''가성''': 모달 보이스보다 높은 레지스터이다.
  • '''휘슬 레지스터''': 가장 높은 레지스터이다.


이 네 가지 레지스터는 각각 고유한 진동 패턴, 음고 범위(일부 중복 있음), 특징적인 소리를 가진다.[4][9]

언어 병리학자와 음성학 학자들은 4개의 레지스터를 인식하지만, 성악 교육자들은 의견이 분분하다. 이는 "레지스터"라는 단어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혼란과 논란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어 병리학 및 기타 과학에서는 성대 레지스터를 후두 기능과 관련된 순수한 생리학적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이러한 논쟁은 존재하지 않는다.[9]

성악 교육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를 세 개의 레지스터("흉성", "두성", "가성")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많은 성악 교육자들은 "흉성"과 "두성"이라는 용어의 부정확한 사용을 비난하며, 레지스터가 아닌 공명 현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흉성"과 "두성"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레지스터 문제로 묘사되는 많은 문제들이 실제로는 공명 조절의 문제라고 본다.[2]

목소리의 다양한 레지스터에서 다양한 유형의 흉성 또는 두성 소음을 낼 수 있는데, 이는 성대의 서로 다른 진동 패턴과 후두 근육의 조작을 통해 발생한다.[10] "흉성"과 "두성" 외에도 목소리가 낼 수 있는 다른 소리 또는 음색은 성문 구성이라고 하며, 이는 성문의 내전 및 외전의 결과로 발생한다. 이 연속체에 존재하는 성문 구성은 내전 흉성, 외전 흉성, 내전 가성 및 외전 가성이다.[11]

이러한 서로 다른 성대 진동 패턴은 특정 후두 근육이 활성 또는 비활성이 됨에 따라 발생한다. 예를 들어, 내전 및 외전 흉성 동안에는 갑상피열근이 항상 활성화되는 반면, 가성 동안에는 이 근육이 활성화되지 않는다.[13]

모달 레지스터에서는 음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성대의 길이, 장력, 두께가 변화한다. 만약 가수가 이러한 요소 중 하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후두 기능은 정적 상태가 되어 파단이 발생하고 음질에 명백한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파단은 종종 레지스터 경계 또는 전환 영역으로 식별되며, 파사지오 또는 폰티첼로라고 한다.[14] 성악 교육자들은 가수가 하나의 레지스터에서 다른 레지스터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훈련시킨다.

2. 2. 주요 레지스터

성대의 진동 패턴에 따라 발생하는 음성 레지스터는 언어 병리학자와 일부 성악 교육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최소 네 가지로 구분된다. 모든 사람이 네 가지 형태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중 첫 번째는 '''모달 보이스'''로, 자연스러운 목소리이다.[9] 나머지 세 가지는 '''보컬 프라이''', '''가성''', '''휘슬''' 레지스터이다.[4][9]

  • '''보컬 프라이 (Vocal Fry):''' 가장 낮은 음역으로, 느슨한 성문 폐쇄를 통해 톡톡 거리는 소리를 낸다.[2]
  • '''모달 보이스 (Modal Voice):''' 말하기와 노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음역이다.[9]
  • '''가성 (Falsetto):''' 모달 보이스 위에 위치하며, 플루트와 유사한 음색을 가진다.
  • '''휘슬 레지스터 (Whistle Register):''' 인간 목소리의 가장 높은 음역대로, 휘파람 소리와 유사하다.[15]

2. 3. 기타 레지스터

성악에서는 흉성, 두성, 중성, 팔세토 네 가지가 일반적이다. 두성, 흉성 등은 관악기의 일부에서도 사용되는 단어이다. 그 외에 플라젤렛(슈퍼 헤드 보이스(극고음), 휘슬 보이스), 슈트로바스(에지 사운드(에지 보이스), 보컬 플라이) 등이 있지만, 앞서 언급한 네 가지에 비하면 잘 사용되지 않는다.[18]

3. 레지스터와 관련된 개념

환성점 (Break Point, Passaggio): 성구와 성구 사이의 전환점으로, 음정이 불안정해지거나 음색이 급변하는 지점이다.[14] 목소리가 "뒤집히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4] 여성은 프리모와 세콘도 파사지오, 두 개의 파사지오를 가진다.[16] 남성도 두 개의 파사지오를 가지지만, 여성과는 다른 지점에서, 다른 방식으로 전환이 이루어진다.[17]
성구 융합 (Mixed Voice, Voix Mixte): 환성점을 부드럽게 연결하고, 여러 성구의 특징을 결합하는 기술이다.[14] 성구 융합이 잘 이루어지면 환성점이 드러나지 않게 되고, 자유롭게 성구를 넘나들며, 여러 성구의 특징을 가진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성구 융합이 진행될수록 성구의 구별은 모호해진다.[14] 성구 융합과 관련된 용어로는 믹스 보이스(영어), 뷔아 미크스트(voix-mixte|보아 믹스트프랑스어), 보체 핀타(voce-finta|보체 핀타it), 보체 디 핀테(voce di finte|보체 디 핀테it) 등이 있다.

4. 레지스터 논쟁

음성 레지스터는 성대의 서로 다른 진동 패턴에서 발생한다. 언어 병리학자와 일부 성악 교육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성대는 적어도 네 가지 뚜렷한 진동 형태를 생성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이 모든 형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9] 이러한 진동 형태 중 첫 번째는 자연적인 또는 정상적인 목소리로 알려져 있으며, '''모달 보이스'''라고도 불린다. 나머지 세 가지 진동 형태는 '''보컬 프라이''', '''가성''', '''휘슬'''이다.[4][9]

언어 병리학자와 음성학 학자들은 4개의 레지스터를 인식하는 반면, 성악 교육자들은 의견이 분분하다. 이러한 논쟁은 언어 병리학 및 기타 과학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데, 성대 레지스터를 후두 기능과 관련된 순수한 생리학적 관점에서 보기 때문이다. 노래의 예술과 관련된 작가들은 1개에서 7개의 레지스터가 존재한다고 말한다.[9]

성악 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행은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를 모두 세 개의 레지스터로 나누는 것이다. 남성의 목소리는 "흉성", "두성", "가성"으로, 여성의 목소리는 "흉성", "중성", "두성"으로 지정된다. 그러나 많은 성악 교육자들은 '''"흉성 레지스터"'''와 '''"두성 레지스터"'''라는 용어의 부정확한 사용을 비난한다. 이러한 전문가들은 모든 레지스터가 후두 기능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흉성이나 두성에서 레지스터가 생성된다는 말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대신 '''"흉성"'''과 '''"두성"'''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레지스터 문제로 묘사되는 많은 문제들은 실제로 공명 조절의 문제라고 본다.[2]

목소리의 다양한 레지스터에서 다양한 유형의 흉성 또는 두성 소음을 낼 수 있다. 이는 성대의 서로 다른 진동 패턴과 후두 근육의 조작을 통해 발생한다.[10] 흉성과 두성은 구별하기 가장 쉬운 레지스터로 간주될 수 있다. 성대 진동의 물리적 변화와 후두 근육의 근육 변화에 의해 생성된 보컬 음색은 성문 구성이라고 한다.[11] 이러한 구성은 성문의 내전 및 외전의 결과로 발생한다.

레지스터의 정의와 수에 관해 존재하는 혼란은 한 사람이 해당 레지스터의 가장 낮은 음높이에서 가장 높은 음높이까지 노래할 때 모달 레지스터에서 발생하는 일 때문이기도 하다. 성대의 진동 주파수는 길이, 장력 및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음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성대의 길이가 길어지고 장력이 증가하며 두께가 감소한다.[1] 가수가 이러한 요소 중 하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러한 점진적인 변화를 방해하면, 후두 기능은 정적 상태가 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파단이 발생하여 음질에 명백한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파단은 종종 레지스터 경계 또는 레지스터 사이의 전환 영역으로 식별된다. 레지스터 사이의 뚜렷한 변화 또는 파단을 파사지오 또는 폰티첼로라고 한다.[14]

성구를 만들어내는 발성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인간의 성구는 본래 몇 개인가, 훈련 시에는 몇 개로 나눠야 하는가와 같은 문제가 성악가, 음악가, 음성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다.

4. 1. 다양한 관점

성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은 성악 교육자와 연구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주요 관점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관점설명특징
1성구주의변성점이 부자연스러운 발성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현대에는 일반적이지 않다.
2성구주의 (a)벨칸토 창법에 기반하여, 남성의 목소리를 흉성과 두성(또는 가성)으로 나눈다.[9]여성의 음역은 대부분 가성 또는 두성으로 취급된다.
2성구주의 (b)2성구(a) 중 하나를 진성으로 하고, 그 음역을 넓혀 둘로 나눈다.남성은 흉성, 여성은 두성을 진성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3성구주의 (a)2성구(b)를 흉성, 중성, 두성의 세 성구로 나눈다.[9]독일식 성구 구분으로 불리기도 한다.
3성구주의 (b)2성구(a)의 한쪽을 둘로 나누거나, 새로운 성구를 추가하여 세 성구로 나눈다.유파에 따라 성구 구분이 다를 수 있다.
4성구/5성구주의가성, 플라젤렛, 슈트로바스 등을 추가하여 성구를 구분한다.[9]
무수 성구음고와 음량에 따라 성구가 무수히 많다고 본다.[9]일반적인 성구 개념과 다를 수 있다.



각 관점은 성대의 진동 패턴, 공명, 후두 기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성구를 정의한다. 특히, 2성구주의와 3성구주의는 성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구분 방식이다.[9]

5. 오르간의 레지스터

파이프 오르간의 소리를 내는 파이프는 모든 음역에서 한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높은 음역은 금속으로 만든 플루트관, 낮은 음역은 나무로 만든 폐관 리드관 등 여러 종류가 사용되며, 그 조합을 바꿔 음색을 조절한다. 이 발음체(관) 종류의 차이, 혹은 그 조합의 차이에 따른 구분을 레지스터라고 한다. 스톱(음전)과 같은 개념으로 보기도 하지만, 스톱은 레지스터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논문 Towards an Integrated Physiologic-Acoustic Theory of Vocal Registers 1972-02
[2] 서적 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Vocal Faults Genovex Music Group
[3] 서적 The Science of Vocal Pedagogy: Theory and Applic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4] 서적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Thieme
[5] 서적 Hints on Singing E. Ascherberg 1894
[6] 서적 Basics of Vocal Pedagogy: The Foundations and Process of Singing McGraw-Hill 1998
[7] 서적 Basics of Vocal Pedagogy: The Foundations and Process of Singing McGraw-Hill 1998
[8] 서적 Complete Handbook of Voice Training Parker Pub. 1979
[9] 서적 The Voice and its Disorders John Wiley & Sons; 6th Edition
[10] 논문 Investigation of four distinct glottal configurations in classical singing—A pilot study http://dx.doi.org/10[...] 2009-02-05
[11] 논문 Investigation of four distinct glottal configurations in classical singing—A pilot study http://dx.doi.org/10[...] 2009-02-05
[12] 학위논문 Intrinsic laryngeal muscle activity and vocal fold adduction patterns in female vocal registers http://dx.doi.org/10[...] The University of Iowa 2008
[13] 논문 Investigation of four distinct glottal configurations in classical singing—A pilot study https://pubs.aip.org[...] 2009-03-01
[1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Opera
[15] 웹사이트 Voice Registers: Chest, head and other voices at Vocalist.org.uk http://www.vocalist.[...] 2017-09-26
[16] 논문 Laryngeal evidence for the first and second passaggio in professionally trained sopranos 2017-05-03
[17] 간행물 Passaggio (i)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2-23
[1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