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운터테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운터테너는 변성기 이후 훈련된 가성이나 두성을 사용하여 높은 음역을 구사하는 남성 성악가를 의미한다. 중세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보이 소프라노나 카스트라토와는 구분된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알프레드 델러의 등장으로 부흥기를 맞았으며, 헨델, 모차르트 등 고전 시대 작곡가부터 현대 작곡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에서 역할을 맡고 있다. 팔세토 창법을 주로 사용하며, 오페라에서는 카스트라토를 위해 작곡된 역할이나 여성의 남장 역할을 맡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악 음역 - 테너
    테너는 남성 성인 가수의 가장 높은 음역으로, 오페라에서는 B♭₂에서 D₅까지의 음역을 가지며 음색과 역할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고, 합창 음악에서는 주요 성부 중 하나이며 극적이고 강렬한 표현에 적합하여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 성악 음역 - 바리톤
    바리톤은 베이스와 테너 사이의 음역을 가진 남성 성악가로, 18세기 이후 독립적인 음역으로 자리 잡았으며, 19세기 벨칸토 창법 발전과 함께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분화되어 오페라와 대중음악, 한국 성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성악 - 칸타타
    칸타타는 가사에 따라 세속 칸타타와 교회 칸타타로 나뉘며, 오페라, 오라토리오와 유사한 형식을 갖는 음악 형식이다.
  • 성악 - 벨칸토
    벨칸토는 '아름다운 노래'라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하여 18~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한 이탈리아 성악 스타일로, 아름다운 음색, 레가토, 화려한 기교, 운율적인 노래, 감정 표현, 명확한 악절 방식 등을 특징으로 하며 헨델, 모차르트, 로시니 등에게 영향을 주었고 쇠퇴 후 마리아 칼라스 등의 노력으로 부활하여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카운터테너
카운터테너
설명높은 음역의 남성 성악
음역테너알토 사이
역사바로크 음악 시대부터 사용
특징가성 사용
여성 성악가의 음역을 소화
주요 역할오페라
오라토리오
합창
발성법가성을 기반으로 한 특수한 발성법 사용
음악적 특징
음색독특하고 매력적인 음색
때로는 여성적인 음색
성역높은 음역
레퍼토리헨델
바흐
몬테베르디
퍼셀
현대 음악현대 음악에서도 활발히 사용됨
참고 문헌
저자제임스 매키니
제목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Vocal Faults
출판사Genovex Music Group
출판년도1994
ISBN978-1-56593-940-0
참고 서적



관련 링크
위키포털[[File:Viola d'amore.png|35px|위키포털 클래식 음악]]
관련 문서카운터테너
영어 문서en

2. 정의

변성기를 거친 후에도 훈련된 가성으로 높은 음역을 구사하는 남성 성악가를 카운터테너라고 한다. 팔세티스트(Falsettist영어)라고도 한다. 그러나 카운터테너란 말의 뜻이 모호하기 때문에 메일 소프라노(Male soprano) 또는 메일 알토(Male alto)라고도 한다.

카운터테너는 변성기가 지난 남성이 가성이나 두성을 사용하여 여성 파트(알토, 메조소프라노, 소프라노) 또는 여성에 상응하는 음역을 부르는 것을 가리킨다. 보이소프라노나, 바로크 시대에 변성기 이전에 거세하여 고음역을 유지하는 카스트라토와는 구별된다.

영국 등에서 합창의 알토에 카운터테너가 선호되었던 것도 있어서 "남성 알토"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테너의 연장선에서 고음을 내는 것(오토 콘트르라는 성종이 있지만)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소프라노(Soprano)를 부르는 남성은 여성의 가장 높은 음역(C4~E6)을 내며, 카운터테너와 구별하여 남성 소프라노, 소프라니스트, 또는 소프라니스타(Sopranista)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역사

카운터테너라는 용어는 14세기 다성음악 발전과 함께 등장했다. 단선율에서 2성부로 발전하면서, '테너' 아래 음역에 비해 위 음역을 부르던 '''콘트라테노르'''(Contra Tenorla)에서 유래했다.[3]

카운터테너는 중세 이후 여성의 목소리를 억압하던 역사 속에서 카스트라토가 19세기 초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이들을 대신하여 인기를 얻었다.[2]

카스트라토는 거세를 통해 사춘기 이전 음성을 유지하는 반면, 카운터테너는 팔세토(가성)를 훈련해 알토 음역을 노래한다. 팔세토는 목에 힘을 주지 않고 호흡으로 소리를 머리 위로 띄우는 두성 창법이다.[2]

3. 1.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14세기 다성음악이 발전하면서, 그전까지 단선율이던 음역이 2성부로 발전했다. 이때 '테너'라고 불리던 아래 음역에 비해 위 음역을 부르던 '''콘트라테노르'''(Contra Tenorla)에서 카운터테너라는 용어가 유래했다.[3] 1450년경 오케겜과 오브레히트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4성부 작곡이 도입되면서 ''contratenor''는 테너보다 위와 아래에 있는 ''contratenor altus''와 ''contratenor bassus''로 나뉘었다. 이후 이 용어는 이탈리아에서는 ''contratenor altus''가 ''altus''가 되었고, 프랑스에서는 ''하이트콩트르'', 영국에서는 카운터테너가 되었다.[2]

중세 유럽에서는 "여성은 교회에서 침묵해야 한다"는 바울의 권고[4]에 따라 여성이 교회나 무대에서 노래하는 것이 금지되었다.[5] 이에 따라 교회 성가대에서는 보이 소프라노 대신 성인 남성이 팔세토(가성)를 사용하여 알토 파트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는 특히 영국 성가대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3. 2. 바로크 시대

카스트라토는 거세라는 신체적 변화를 통해 사춘기 이전의 음성을 유지하는 반면, 카운터테너는 사춘기 이후 가성을 훈련해 알토 음역을 노래한다.[2] 17~18세기 비발디, 헨델 등 바로크 오페라가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카스트라토가 주역으로 스타덤에 올랐으나, 19세기 초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카운터테너가 이들을 대신하여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2]

영국에서는 헨리 퍼셀이 ''요정 여왕''(1692)의 비밀, 여름 역할 등 "카운터테너"를 위한 중요한 음악을 작곡했다.[8] 그러나 퍼셀 시대의 카운터테너 '테너'는 18세기 초반을 넘어 영국에서 크게 번성하지 못했다. 퍼셀 사후 20년 안에 헨델이 런던에 정착했고, 이탈리아식 노래에 완전히 기반을 둔 오페라 세리아가 곧 영국 극장에 자리 잡았다.[8]

3. 3. 19세기 이후 ~ 20세기 부흥

19세기 말까지 여성의 출입을 금했던 유럽 교회에서 알토 파트를 담당하던 카운터테너는 20세기 들어서 사라지는 듯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작곡 당시의 연주 양식을 되살린다'''는 원전 연주가 유행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부흥기를 맞았다.[2]

비발디, 헨델 등 바로크 오페라 붐에 힘입어 17~18세기 오페라의 주역으로 스타덤에 올랐던 카스트라토가 19세기 초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이들 대신 카운터테너가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알프레드 델러의 등장으로 카운터테너는 다시 부활하였고, 클라우스 후버 등 현대 작곡가들이 앞다투어 카운터테너를 위한 곡을 작곡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헨리 퍼셀 시대의 카운터테너 '테너'는 18세기 초반을 넘어 영국에서 크게 번성하지 못했다. 퍼셀 사후 20년 안에 헨델이 런던에 정착했고, 이탈리아식 노래에 완전히 기반을 둔 오페라 세리아가 곧 영국 극장에 자리 잡았다.[8] 같은 시기에, 카스트라토는 이탈리아 못지않게 영국 오페라 무대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들은 헨델의 오라토리오 여러 편에도 참여했지만, 카운터테너 역시 가끔 독창자로 출연했는데, 그들을 위해 쓰인 파트는 퍼셀의 높은 파트에 더 가까웠으며, 일반적인 음역은 A3에서 E5였다.[3] 그들은 또한 헨델의 합창곡에서 알토 파트를 불렀다. 카운터테너는 18세기와 19세기 내내 성공회 전통(그리고 글리와 같은 세속 장르)의 합창 가수로서 연주자로 생존했다. 그렇지 않다면 대중의 관심에서 대부분 사라졌을 것이다.[2]

다음은 20세기 이후 부흥기를 이끈 주요 카운터테너 목록이다.

  • 알프레드 델러
  • 데이비드 다니엘스
  • 프랑코 파지올리
  • 데릭 리 레이진
  • 도미니크 비스
  • 메라 요시카즈
  • 제임스 보우만
  • 안드레아스 숄
  • 브라이언 아사와
  • 르네 야콥스
  • 마이클 챈스
  • 김세진
  • 문지훈
  • 정세훈
  • 이동규
  • 이희상
  • 오스틴 킴(콘트랄토)
  • 루이스 초이
  • 정민호
  • 최성훈

4. 발성법

높은 음을 낼 수 있는 비결은 팔세토(falsettoit)(가성) 창법이다.[11] 팔세토는 목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소리로 호흡으로 받쳐서 소리를 머리로 띄워 올리는 것이다(이것을 두성(頭聲)이라고 한다).[9] 많은 성악 전문가들은 "두성"이라는 용어에 동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후두를 동반한 높은 댐핑된 레지스터에 "두성"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것은 현대 고음 오페라 테너의 발성에서 전형적인 것이다. 후자 유형의 두성은 성대 진동 측면에서 실제로 "흉성"과 더 유사하며, "말하는 목소리"와 같은 발성을 사용하기 때문이다(성악 과학자들은 "모달"이라고 함). 이는 음색에 반영된다.[11]

카운터테너 음역(E3–E5)을 트레블 표(왼쪽)와 피아노 건반에 표기(C4는 중앙 C를 나타내는 점)


카운터테너의 음역은 여성의 알토 또는 메조소프라노 음역과 같다.[12] 훈련된 카운터테너는 일반적으로 알토 또는 메조소프라노와 비슷한 위치에 음역 중심을 갖는다.[11] 전문 카운터테너이자 이 분야의 저명한 저자인 피터 길스(Peter Giles)는 카운터테너를 음악적 파트로 정의하지, 발성 스타일이나 기법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현대적인 용법에서 "카운터테너"라는 용어는 중세 용어 ''contratenor altus''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운터테너 가수는 어떤 발성 스타일이나 기법을 사용하든 카운터테너 파트를 부르는 남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9] 카운터테너의 음역은 일반적으로 알토 음역과 같으며, 대략 G3에서 D5 또는 E5까지 확장된다.[12] 여성 음성과 비교하여 남성 음성은 저음쪽으로 더 넓은 음역을 가지지만, 음역의 가장 낮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실제로 대부분의 카운터테너는 이 음역의 상반부 이상에서 최소한 팔세토 발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되지만, 대부분은 저음부에 대해 어떤 형태의 "흉성"(그들의 말하는 목소리의 음역과 유사함)을 사용한다. 이러한 가수에게 가장 어려운 과제는 중음역의 하단부를 관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몇몇 음표(B3 주변)는 두 가지 발성 기법으로 모두 부를 수 있으며, 레지스터 간의 전환은 어떻게든 혼합되거나 부드럽게 관리되어야 한다.[9]

5. 용어

변성기를 거친 후에도 훈련된 가성으로 높은 음역을 구사하는 사람을 카운터테너, 또는 팔세티스트(Falsettista|팔세티스타it, Falsettist|팔세티스트영어)라고 한다. 그러나 카운터테너란 말의 뜻이 모호하기 때문에 메일 소프라노(Male soprano|메일 소프라노영어) 또는 메일 알토(Male alto|메일 알토영어)라고도 한다.[1]

특히 영국 합창 전통에서는 소프라노 또는 알토 음역에서 노래하기 위해 모달 보이스가 아닌 팔세토 발성에 의존하는 남성을 "남성 소프라노"와 "남성 알토"라고 구분한다. 다른 곳에서는 이 용어들이 널리 통용되지 않으며, 일부에서는 남성 팔세토 가수를 묘사하는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13]

특히 소프라노를 부르는 남성은 여성의 가장 높은 음역(C4~E6)을 내며, 카운터테너와 구별하여 남성 소프라노, 소프라니스트, 또는 소프라니스타(Sopranista)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6. 오페라 및 오라토리오에서의 역할

카스트라토를 위해 작곡된 역할이나 여성 가수를 위해 작곡된 남장 역할을 오페라에서 맡기도 한다. 헨델, 글룩, 모차르트 등 바로크, 고전 시대 작곡가뿐만 아니라, 브리튼, 리게티, 글래스 등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에도 카운터테너 역할이 등장한다.[15][16][17][18][19][20]

7. 저명한 카운터테너

알프레드 델러는 20세기 카운터테너 부흥을 이끈 선구자적인 인물이다.[1] 제임스 보우먼 역시 카운터테너의 대중화에 기여한 주요 인물로 손꼽힌다.[1] 안드레아스 숄은 맑고 청아한 음색으로 유명하며, 바로크 음악 해석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준다.[1] 필립 자루스키는 화려한 기교와 풍부한 표현력을 바탕으로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한다.[1] 프랑코 파지올리는 드라마틱한 음색과 압도적인 무대 장악력으로 유명하다.[1]

이 외에도 데이비드 다니엘스, 데릭 리 레이진, 도미니크 비스, 브라이언 아사와, 르네 야콥스, 마이클 챈스, 제라르 레네, 요헨 코발스키, 베르트하르트 란다우어, 클라우스 노미, 슬라바 등 여러 카운터테너들이 활동하고 있다.

7. 1. 한국의 카운터테너

한국에서는 김세진, 문지훈, 정세훈, 이동규, 이희상, 오스틴 킴(콘트랄토), 루이스 초이, 정민호, 최성훈 등이 활동하고 있다. 2023년 JTBC 팬텀싱어4에서 우승한 리베란테의 멤버 김지훈은 카운터테너로서, 결성 당시부터 대중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팀 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

==== 일본 ====

일본에서는 오카모토 토모타카(岡本知高), 후지키 다이치(藤木大地), 요네라 요시카즈(米良美一) 등이 알려져 있다.[1]

8. 다른 성악 파트

참조

[1] 서적 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Vocal Faults Genovex Music Group
[2] harvnb
[3] harvnb
[4] 성경
[5] 문서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some falsettist altos, such as Lorenzino Sances and Mario Savioni, occasionally appeared onstage, especially in Rome.
[6] 웹사이트 SingerList http://sophia.smith.[...]
[7] 문서 the nature of the haute-contre voice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debate, but it is now generally accepted that haute-contres sang in what voice scientists term "modal", perhaps using falsetto or falsettone for their highest notes
[8] 서적 Tenor, History of a voice Yale University Press
[9] harvnb
[10] 웹사이트 Russell Oberlin explica o que é um contratenor https://www.youtube.[...] 2008-02-23
[11] harvnb
[12]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13] 논문 The Alto or Countertenor Voice 1967-01-01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Handel Saul http://www.gramophon[...]
[18] 문서
[19] 문서
[20] 웹사이트 The Enchanted Island: The Music http://www.metopera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